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자궁경부 촬영진 ( New Cervicography ) , 세포검사 그리고 HPV-DNA 검사를 이용한 새로운 자궁경부암 검진 모델 ( Model ) 개발

        김승조(SJ Kim),박찬규(CK Park),이효표(HP Lee),남궁성은(SE Namkoong),강순범(SB Kang),서호석(HS Saw),이재관(JK Lee),김수녕(SN Kim),김재원(JW Kim),배석년(SN Bae),김찬주(CJ Kim),이근호(KH Lee),이선영(SY Lee),김인호(IH Kim),이찬(C Lee),이정노(J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The false negative rate of conventional cytology is reported to range from 18 to 45%.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ective screening strategies that would ideally be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cytology.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conventional cytology, cervicography, HPV-DNA testing and their combinations as primary screening techniques for cervical neoplasia.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the models and guidelines for screening tools of cervical cancer of the uterus by evaluating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st-effectiveness of all the screening methods. Study design : We conducted a screening of random sample of wo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Gyn. of five different major university hospitals such as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Korea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Yeonsei University Hospital and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Hospital, from May 1, 1996 to April 30, 1999. In a cohort women with an age range of 20 to 70 who underwent routine cytologic screening at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and local clinics from April 1, 1996 to Decomber 31, 2000. cervicography (n=417,125) and testing for HPV-DNA (n=1,347) by the hybrid capture assay were studied for the ability of the cervical cancer screeuing. A new cervicography system with Kim's classification which was developed by Prof. Kim Seung Jo as an adjunctive method for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was applied in this cohort study. And then, accuracy, effectivencess, cost-effectiveness of the single or combined screening method were analysed. Result :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ap smear were ranged from 55.6% to 83.1% and 72.8% to 88.3%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Pap smear and cervicography had sensitivity from 89.7% to 98.6%, specificity from 68.2% to 93.2%. With combination of Pap smear, HPV DNA test and cervicography, sensitivity became also highest accuracy among all screening methods from 92.8% to 98.8%. Considering medical charges for diagnosis and social cost occurred by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results, the most cost-effective diagnostic modality was thought to be the combination of Pap smear and cervicography(91,433 won).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LSIL, colposcopic examination confirmed progression to high grade intraepithelial lesion(HSIL) in 10.7% patients, persistence of LSIL in 55% patients during the 3 year follow-up period. Accuracy of the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and CIN can significantly be improved by cytology with new cervicography rather than cytology alone. We concluded that cervicography can be important adjunctive tests for cervical cytolog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ervical screening by allowing a more sensitive detection of cervical neoplas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 13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이승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앙은 부인암의 1%를 차지하는 자궁육중 중 40-50%를 차지하 는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아직 그발생 기전 및 임상병리학적 성상에 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은 실정이다. 이 종양의 대부분은 폐경기 여성에서 발생하며 예후는 매우 불량하여 발견 2년내 전체 환자의 90%이상이 사망한다. 그러나 조기진단법이 성립되어 있지않고 치 료효과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1985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 지 9년동안 원자력병원산부인과에서 진단된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 13예를 의무기록을 토 대로 문헌고찰과 함께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환자의 중앙연령은 54세였고, 폐경기 이후의 환자가 84.6%였다. 환자들은 주증상으로 질 출혈(69.2%)복부종괴(30.8%), 골반 내 통증(23.1%) 자궁탈출증(7.7%)등이었고, 이학적 소견상 복부종양(69.2%), 자궁경부로부터 돌출된 종괴 (23.1%)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자궁경부 세포 진 검사상 악성종양 소견을 보인 예가 38.5%에서 있었다. 2. 종용표지물질인 CA-125는 5례에서 시행되었는데 이중 3례(60%)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자궁내막조직검사나 자궁경부 조직검사가 시행되었던 경우 7례에서는 모두 악성 혼합성 중배 엽종양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환자중 4명은 수술후 조직검사상 악성혼합성 중배엽종양으로 판명되었고, 2명은 조직검사상 정확한 진단을 얻을 수 없었으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임상 소견으로 진단하였다. 3. 악성혼합성 중배엽종양 환자중 일부에서 고혈압(7.7%), 비만 (30.8%), 당뇨 (23.1%) 가 동 반되어 있었다. 또한 과거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기왕력이 잇는 환자가 46.2%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기왕력이 있는 환자가 46.2%으로 방사선 치료후 발병까지의 기간은 5년에서 15년 6개월까지였다. 4. 환자들은 FIGO임상병기에 따라 재분류하였는데 제 1기 15.3%, 제 2기 38.5%, 제 3기, 제 4기 및 미분류의 경우가 각각 15.3%였다. 병리조직학적 분류상 heterologous type이 12례, carcinosarcoma가 1례에서 있어 대부분 heterologous type인 양상을 보였다. 5. 치료를 포기한 3례를 제외한 10례의 환자중 2례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그중 1 례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추가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또한 8례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 방법은 7례에서는 전자궁 적출술 및 양측 난소난관 절재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type II 자궁적출술과 양측 난소난관 절제술 및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보조요법은 5례에서만 시행되었는데, 3례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2례에서는 항암화학요법만 시행되었다. 6.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던 환자중 72.7%는 1차치료후 1개월에서 17개월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18.2%는 무병상태로 생존하고 있고 9.1%에서는 유병상태로 생존하고 있다. 사망한 환자의 중앙 생존율은 6개월이었고, 8예에서는 모두 폐경기 상태였으며 비교적 진행된 병기를 보였다. 이전에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6례에서 모두 사망하였다. 이상의 같은 결과로 보아 자궁에 발생한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은 대개 폐경기 이후에 발생하고 방사선 치료의 기왕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매우 빨리 진행하고 아직 어떤 치료 방법도 효과적이지 않아 , 대부분 사망에 이르는 예후가 극히 나쁜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 및 예후인자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n the female genital tract,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MMMT) of the uterus are very aggresive and rare tumors. A retrospective study of 13 patients with MMMT were analyzed clinical and path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ients age renged from 21 to 71 years old with an median age of 54 years old. Elven women (84.6%) were postmenopausal. six patients(46.1%)had documented previous pelvic irradiation which had been administred due to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 The latent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irradiation and the diagnosis of the MMMT is known in all cases and ranged from five to sixteen years (average nine years). 2. Vaginal bleeding(69.2%) was the most frequent presenting symptom. Other symptoms included abdominal mass(30.8%), pelvic pain(23.1%) vaginal discharge(15.4%) uterine prolapse(7.7%). Pelvic mass(69.2%) was the most frequent physical finding followed by a polypoid mass protruding from the cervix(23.1%). Papanicolaou smears suggested malignancy in 5 of the 3 reported cases(38.5%). 3. The patients were staged clinically as follows ; four stage I(30.8%), five stage II(38.5%) one stage III(7.7%), two stage IV(15.4%), one undetermined stage(7.7%). 4. Type I or II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were preformed in eight cases (61.5%).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an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in 3 cases (23.1%). Plstoperative chemotherapy a lone was administered in 2 cases (15.4%) One patient recieved radiation therapy alone, chemotherapy alone and radiation and chemotherapy respectively. Two patients refused management after diagnosis of MMMT. 5.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of the entire group was 6 months.

      • KCI등재

        부임암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 유도에 의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임상적 효용성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부인암으로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 유 도하여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받았던 42명 환자의 47회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질환별 분포는 자궁경부암 33명(76.8%), 난소암 7명(16.6%) 자궁체부암 및 대 음순암이 각각 1명의 빈도를 보였다. 2. 세침흡인세포검사의 부위별 분포는 골반 내장기가 37회 (78.8%)로 고형종 16회(34.0%) 낭 종 12회(25.6%) 림프절 9회(19.2%) 였으며 골반외 장기가 10회(21.2%)로 림프절 6회(12.7%) 간 3회(6.4%) 비문 1회의 분포를 보였다. 3. 세포학적 검사결과는 양성 17회(36.2%) 음성 23회(48.9%) 위양성 5회(10.6%) 부적합 2회 (4.3%) 의 빈도를 보였다 4. 조직학적 또는 임상결과에 따른 세포학적 검사결과는 위음성 예가 6회(26.1%)였으나 위양 성예는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민감도가 73.9% 특이도는 100%, 양성 예측도는 100%, 음성 예측도는 73.9%였고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전체적인 정확도는 85.0%를 보였다. 5.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정확도와 영향을 미치는 임상병리학적 인자로 흡인부위(p=0.005) 및 유병상태(p=0.036)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목표병소의 크기, 원발성 질환, 치료 유형, 영상유도 기법, 임상병기, 조직학적 유형, 진단시부터 세침흡인 세포검사까지의 기간등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세침흡인 세포검사를 이용한 부인암의 진단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되나, 위음성의 빈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판독 결과가 음성일 경우에는 재검사를 시행하거나 개복술에 의한 검사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47 ultrasonography(USG) or computed tomography(CT)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s (FNAs) were performed on 4 patients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The primary aspiration sites were pelvic solid mass(16), pelvic cystic mass(12), pelvic lymph node(9), paraaortic lymph node (6), lever(3), splenic hilum(1). There were 17 positive (36.2%) 23 negateive (48.9%), 5 suspicious (10.6%) and 2 inadequate (4.3%) specimens for interpretation. Excluding suspicious and inadequate specimens, the results of the evaluable aspirations were confirmed by surgical biopsy or subsequent clinical findings. As as results, USG or CT guided FNA cytology has a specificity of 100%, a sensitivity of 73.9% and a diagnostic accuracy of 85.0%. The predictive value of positive test was 100% and that of negateive test was 73.9%. The significance of clinicopathologic factors studied included the size of target lesion, the aspiration site, the primary diagnosis, the disease status, the treatment modalities, the type of radiologic guidance the initial clinical stage, the interval between diagnosis and FNAs and the histologic type. The aspiration site and the disease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se data supported that FNA is a reliable procedure in the management of gynecologic malignancies byt in negateive results , repeated FNA amy be neccessary because those results are influenced by aspiration site and disease status.

      • SCIESCOPUS
      • KCI등재

        자궁경부암 세포주들에서 리포좀을 이용한 종양억제 유전자 [pRcCMVp53/liposome]의 직접 이입법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

        김승조,이헌영,남궁성은,김수평,이준모,안웅식,김종국,박순희,박용석,김진철,한유진,양재명,신봉영,서상용,김동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자궁경부암 유전자 치료를 위하여 자궁경부암 세포주들에 리포좀을 이용한 종양억제 유전자[wild-type p53 gene]의 직접 이입을 통하여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궁암세포주들 [CaSki, SiHa, HeLa, HeLaS3, C33A, HT3]을 12 well에 104, 96 well에 5×103의 수로 triplicate를 형성한 뒤 대조군, pRcCMVp53, lipofectin, pRcCMV/lipofectin, pRcCMVp53/lipofetin이 함유되있는 것 을 각기 12 well에 20 ㎕씩 96 well에는 10 ㎕씩을 투여한 다음 7일간 배양하였다. 세포수 측정, ELISA [neutral red] assay, MTT등을 이용하여 세포성장과 cell viability를 측정하고 이를 one-way ANOVA F-test, multiple comparison Tukey method에 의해 날짜별 서로 군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결과: p53 유전자에 의한 자궁경부암 세포주의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수 측정, ELISA assay, MTT assay를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assay에 대한 측정 마지막날인 6일째를 기준으로 정상대조군 세포와 비교한 결과 세 포수 측정에서는 CaSki[89%], SiHa[59.2%], HeLa[86%], HeLaS3[78%], C33A[91%] 그리고 HT3[74%] 성장억제를 나타냈다. 또한 Neutral red를 이용한 세포 viability assay 에서는 CaSki[70%], SiHa[93%], HeLa[73%], HeLaS3[50%], C33A[67%] 그리고 HT3[52%]에서 는 52%의 세포감소를 보여주었다. MTT assay를 통한 각각의 자궁경부암 세포주의 세포성장억제 결과는 CaSki[38%], SiHa[72%], HeLa[53%], HeLaS3[28%], C33A[33%]그리고 HT3[53%]였다. 결론: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직접 이입법을 통한 유전자 전달 후 세포성장 억제는 매우 유익하게 감소되었으며 이와같은 결과는 향후 유전자 직접 이입법에 의한 자궁경부암 환자에 있어서 유전자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새로운 장으 로 생각이 되어진다. Purpose: We investigated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wild type p53 gene into the cervical cancer cells via the recombinant p53 plasmid, pRcCMVp53 with lipofectin. Method: Inhibition of the growth of cervical cells as determined by a cell count assay. The cells were inoculated at density of 104 cells/well in each 12 well plate, 24 hrs before infection. At each indicated point, cells in three wells on each well plate were trypsinized and counted. The mean cell counts of triplicated well after transfection at day 1~6 was checked. Inhibition of the growth of cervical cells were checked by ELISA assay, MTT assay. The cells inoculated at densities of 5×103/well in each 96 plate 24 hrs before infection. At each indicated point cells of three wells were transfected for 6 days, harvested and counted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he mean cpm per triplicate wells were plated for ELISA and MTT assay. One-way ANOVA F-test and multiple comparison Tukey method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 Inhibition of the growth of cervical cells in cell count showed CaSki[89%], SiHa[59.2%], HeLa[86%], HeLaS3[78%], C33A[91%] and HT3[74%]. ELISA assay showed CaSki[70%], SiHa[53%], HeLa[73%], HeLaS3[50%], C33A[67%] and HT3[73%]. MTT assay showed HeLa[33%], HeLaS3[28%], SiHa[75%], CaSki[38%], C33A[33%] and HT3[53%].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ansfection of cervical cancer cells with the wild type p53 gene via pRcCMVp53 with lipofectin is a potential novel approach to the gene therapy of cervical cancer.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이차 추시개복술 후 생존율분석을 통한 예후인자의 평가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본 연구의 대상환자는 1986년 5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암으로 치료를 받고, 이차 추시개복술을 시행한 환자 42명중 의무기록이 검토된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최종경과 관찰일과 서신, 전화를 이용한 생존유무 확인 을 근거로하여 생존율을 구하고 이를 이차 추시개복술 시행전 각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 및 이차 추시개복술 소견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차 추시개복술 시행 결과 병리학적 양성군이 21.1% 음성군이 78.9%이었다. 병리학적 양성군과 음성군의 평균 연령, 병리조직학적 유형, 일차 수술후 잔류종양, 일차 수술후 이차 추시개복술까지의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양세포의 분화도와 이차 추 시개복술 시행전 혈청 CA-125 상승여부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01). 2. 대상환자의 중앙 경과관찰 기간은 39개월이었고 3년 생존율은 86.7%이었다. 상기 각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은 변수로 생존곡선을 비교한 결과 FIGO 수술적 병기(p=01.0253)와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p=0.001),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상승(p=0.0083). 이차 추시개복술 후 잔류종양(p=0.0404)가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었다. 3. 이들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 따른 상대 위험도는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이 9.3배로 가장 높았으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상승이 7.4배, FIGO 수술적병기가 6.3배,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이 4.7배의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 인자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이 7.6배, FIGo 수술적 병기가 6.6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 125 상승이 3.7베로 나타났고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은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평가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은 다변량 분석에서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 FIGO 수술적 병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역가만이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의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lthough second-look laparotomy(SLL) remains the hallmark method for determinig desease status and reduction of tumor volume after adjuvant chemotherapy, the inclusion of reassessment surgery and repeated cytoreductive surgery in the treatment schedule of ovarian carcinoma has been challenged. Especially the role of SLL for the benefits of survival is controversal. So we analyzed variable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FIGO stage, cell type, tumor grade and residual tumor after SLL, between May 1986 and December 1992, 28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identified as clinical remission after initial surgery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underwent second-look laparotomy at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in Korea. Thirty patients(78.9%) had no evidence of residual tumor and 8 patients (21.1%) had residual tumor. With a mean follow-up 39 months, the 3 year survival rate of these patients was 86.7%. Univariate revealed four covariates that were s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continued disease free status. There factors were FIGO stage (p=0.00253), residual mass after primary laparotomy(p=0.0010), preoperative serum CA-125 elevation before SLL(p=00093) and residual mass after SLL(p=0.0404). But in multivariate analysis, residual tumor after SLL was no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The relative risks of other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ere 7.6 in residual tumor after primary surgery, 6.6 in FIGO stage, 3.7 in preoperative elevated serum CA-125 before SLL. We concluded that residual mass after SLL is no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And SLL cannot be considered a valuable routine procedure. But SLL may have a role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postoperative second line treatment .

      • Cryoprotectant Effect of Pentoxifylline on Boar Spermatozoa Cryopreserved by the Liquid Nitrogen Vapor Method

        Baek SY,Chung HJ,Kim YG,Park CY,Ahn HW,Kim HS,Choi TJ,Kim YM,Cho ES,Kim YS,Cho KH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8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8 No.0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cryoprotectants to freezing extenders before semen cryopreservation on boar sperm quality as well as investigate their optimum concentration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ntoxifylline (0, 5, 10, 20 mM) added in egg yolk extender freezing medium on motion characteristics,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al morphology of spermatozoa at post thawing of cryopreservation. Semen were collected from 12 boars and frozen on the same day. Qualified semen samples (motility>80%) from each boar were subdivided four groups, 0 (control), 5 mM (T1), 10 mM (T2) and 20 mM (T3). Motility was assessed for % motile cell characteristics using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 SAIS SI-100, Medical supply, Korea). Frozen sperms were thaw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then incubated at 38℃ for 20 minutes. Progressive motility, average path velocity, straight line velocity, curvilinear velocity and total motility were higher (p<0.05) in 0 mM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pentoxifylline treated group. Moreover, pentoxifylline addition did not damage acrosomal morphogenic effect of spermatozoa. Nevertheless, pentoxifylline concentration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the spermatozoa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data showed that pentoxifylline as an additive cryoprotectant was not able to improve sperm motility but also quality in cryopre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