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천일록(朝天日錄)』에 나타난 최현(崔晛)의 임진전쟁 기억과 서술

        김경록(Kim Kyeong-L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인재(訒齋) 최현(崔晛)은 1609년 8월에 부경사행(赴京使行)했던 인물이다. 1609년 8월부터 1610년 3월에 이르기까지 8개월의 긴 기간동안 최현의 사행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집연보에는 간략하게 최현의 행적을 강조하여 수록했다. 『조천일록』은 최현의 다양한 사행기간 중 문견한 바와 그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풍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지만, 당대 문집 간행시 최현의 사행에서 강조되었던 점은 바로 위 연보에 수록된 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대중국 사행기록은 현재도 방대하게 남아 조선의 지식인들이 인식한 중국 및 사행노정의 감상을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 사행 기록은 경과하는 지역마다 만나게 되는 산천과 이름난 장소에 대한 대체적인 설명과 함께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기억과 회상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서술했다. 사행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한 역사학계, 국문학계 등 다양한 학계에서 현재까지 방대한 연구성과를 도출하여 사행기록의 다양한 측면의 의미를 알려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사행기록의 작성과정 및 서술양태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연구는 『조천일록』을 대상으로 최현의 사행기록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대중국사행에서 남겼던 사행기록의 작성 및 서술양태를 정리하고자 한다. 방대한 내용을 감안하여 최현의 『조천일록』에 기재된 임진전쟁관련 기록을 정리함으로써 당대 지식인이었던 최현이 인식한 임진전쟁의 기억을 분석하고, 조선시대 지식인의 대중국 사행기록가 가지는 보편적인 작성과정 및 서술양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Joseon dispatched Dongjihaeng(冬至使行) to Ming in 1609. Choi Hyun(崔晛) who had envoy’s visit to Ming as a Seojangkwan(書狀官) of Dongjihaeng. Choi Hyun recorded in detail what he saw, heard, and felt during envoy in the 『Jocheonilrok(朝天日錄)』. Joseon has followed the diplomatic procedures and systems prescribed by China in the form of diplomatic relations, which will be called “sahaeng(使行)” and “receive envoy(使臣接待)". Because Joseon was a form of attaining diplomatic goals, Joseon acquired diplomatic information, communicated the culture, and solved the economic need by means of sahaeng besid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delivering diplomatic documents. The envoys of Joseon left vast records, which are very important for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Due to the significance of the sahaeng records(使行記錄), research achievements have accumulated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history, Korean literature, art history, music history, economic history, and costume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Choi Hyun’s Sahaeng records 『Jocheonilrok』 and explains how intellectuals of the Joseon remembered and recorded the Imjin War(壬辰戰爭).

      • KCI등재

        조선시대 대중국 외교문서의 접수ㆍ보존체계

        김경록(Kim Kyeong-Lok) 한국사연구회 2007 한국사연구 Vol.136 No.-

        The service that receive, store and preserve the foreign documents(事大文書) hold a key post in Joseon, unlike other state documents. It was important that these documents had a democratic gravity to China. Also, They reflect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foreign policy to China. However, works on this subject have been insufficient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foreign documents proceeded step by step in production, delivery, reception, and custody. They were classified the Joseon and the China document in first stage of reception. On the subject of production, the state document was classified as the institutional and personal things in the era of Ch'ing and Ming. Also, on the object of reception, they were classified as Sanghangmun(上行文), Hahangmun(下行文), Pyeonghangmun(平行文), and especially there was Imperial thing. They had a rigorous system of implementation, and the institutional and imperial documents were important in Joseon-China ties. There was the imperial document which was issued in Joseon by the necessity of China or the demand of Joseon. While the document in relation to the enthronement of King as a rule was issued by King`s administration, It must be undertaken a thorough producing and issuing process by the demand of Joseon. The reception had four ways. the first way was that envoys transcribed the original copy, the second way was that the government dispatched an envoy, the third way was that the document was issued when envoy returned, and the fourth way was that the institution issued it in Joseon. While there was an enormous amount of transcription copy, they were ambiguous as official documents. The way which an Emperor or Chinese envoy issued had an entertainment burden. And they must have delivered the answer documents. But, it was an opportunity of democratic expansion for Joseon, when Chinese envoy visited. The document issuance procedures of china was the reception of Joseon. A prompt report was most important in the reception procedures. In order to this purpose, the role of SunRhyetongsa(先來通事) was emphasized. The entertainment for envoy was controversial because they recognised him as Emperor`s spokesman. A division in charge of storing was Sungmunwon. While in the early founding of country, there was the drawbacks. King Sejong determined the Uiju(儀注) of the storing system and it was the criteria of production and preservation. It was enacted in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The preservation was a form of registration, since it was impossible that all documents were preserved. A few forms were organized, such as 《imun(吏文)》 in the early of Joseon, 《Seungmunwon deungnok(承文院謄錄)》 in the 15~16th century, and 《Dongmunhwigo(同文彙考)》 in the late of Joseon. While these documents were the original copy, they have historical importance in terms of summarizing the foreign affairs. The storage of foreign documents made full use of the foreign affairs and policy. They often became a cause of the diplomatic quagmire. This argument based on the oriental political tradition of propriety(禮). Thus, it was necessary that Joseon organized the system of documents storage. In the result of that, 《Dongmunhwigo》 as summation of all documents was published, and publishing the continuation have continued until the fall of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事大文書의 생산과 전달체계

        김경록(Kim Kyeong-Lok)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4 N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China developed with a balance in justification and practicality,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change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tribute system was in the form of Sahaeng(使行) with a purpose of achieving diplomatic goals of national interest. Sahaeng received and delivered documents of emperors and kings. Especially, Joseon experienced a period of rapid change and therefore strengthened the tribute system to secure its relationship with other countries and made efforts on delivering diplomatic documents (Sadae documents) to clearly show its national interest. The diplomacy of the Joseon dynasty was performed through warm reception of Chinese Sahaeng and messengers and was in the form of delivering documents. The Joseon documents made by the king were delivered and showing good service to the Chinese messengers meant receiving documents made by the emperor. The Sadae documents were made when there were diplomatic issues, according to diplomatic goals. Some of the Joseon's Sadae documents in the Ming and Ching period included pyomun, jonmun, jumun, jangmun, jamun, gyemun, sinmun, jeongmun, and danja. These docum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nal recipient and not by the contents. With the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organ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eungmunwon became important as the significance and demand of Sadae documents increased due to the urgent development with Ming during the Taejo and Taejong period. The stages of developing Sadae documents were jesul, sonsa, dokjunsadae, pilsa, anbo, and bongli. During these stages, Joseon gave all efforts in trying to achieve its diplomatic goals. To avoid any kind of blame from China, Joseon provided clear references, included diplomatic demands, and even closely examined the letter forms in the documents. Despite all these efforts, Joseon faced diplomatic problems from the rule of pyojon. Contrary to the Ming period, problems regarding this rule arose many times during the Joseon perio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rule was promulgated case by case during the Ching period, whereas during the Ming period, only the representative rule was promulgated. Besides producing documents, Joseon made efforts in wrapping them aesthetically for diplomatic reasons. The documents papers, wrapping cloth were to give visual effects and help convey the meaning of the documents more efficiently. Although the document production ended with bongli,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during delivery when they were needed. The delivered docum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s of Sahaeng and there were rule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documents. The delivery of Sadae documents started from Baepyo(拜表) and ended as Bokmyeong(覆命) and could be specif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domestic, Yodong, Beijing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ing period could be seen in the delivery process. During the Ming period, the Sadae documents were sent to Yebu(禮部). There the documents were discussed, Anjeong(案呈), binded and sent to the munsebang of saregam and then pyowui(標擬) by the cabinet and finally delivered to the emperor. During the Ching period, the documents were first sent to Yebu, where the documents were discussed and copies of them made. Then they were sent to the cabinet and after being sent to different places, the opinions of Joseon were conveyed. The documents were delivered through Yebu, the cabinet, and eunuch during the Ming period, whereas during the Ching period, they were delivered through Yebu, the cabinet, and other Bang. The documentations were important since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Sadae documen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compiling history. The rules and procedures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Sadae documents were strict in order to abide by diplomatic formality, to prevent any problems that could arise from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an

      • KCI등재

        선조초반 사인조보(私印朝報)사건을 통해 본 정치상황과 조보(朝報)정책

        김경록 ( Kim Kyeong Lok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조선시대 조보는 승정원에서 정리하여 전국에 전파함으로써 국왕의 선정 및 통치의도를 알리는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필사조보를 인쇄하여 보다 많은 부수를 보다 편리하게 전파할 수 있음에도 선조는 이를 사건화하여 정국을 경색시켰다. 그 결과 인쇄를 통해 신속하고 대량으로 전파할 수 있음에도 인쇄조보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조선은 유교국가로써 국왕을 정점으로 사대부의 지배체제가 공론정치를 지향했다. 공론정치를 지속하고 확장하기 위해 국왕의 정당한 정치를 알리고 민심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활용된 것이 조보였다. 조보는 국왕과 왕실의 동정 및 각종 예제, 인사정책, 관리의 공론정치 및 보고서와 이에 대한 국왕의 처분을 포함하였다. 조선은 건국직후 조보를 왕정의 전파수단으로 인식하여 철저히 통제하고자 하였으며, 각종 정치사건, 예제사건, 인사정책에 조보는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선조는 즉위하며 명종대에 척신정치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확립할 필요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배층의 분화 및 대립은 더욱 치열해졌으며, 유교국가의 정통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었다. 이런 정치세력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군사적 위기의식이 고조되자 선조는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고 자신의 통치기반을 확립하고자 노력했다. 즉, 선조는 왕위계승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치 상황에 대응하고자 정세를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에 의한 사인조보의 발행을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강력하게 처벌함으로써 조보를 왕권의 대외 전파수단임을 강조했다. 1577년(선조 10) 선조의 備忘記에서 시작된 사인조보사건은 유교국가에서 조보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잘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무엇보다 직계왕손으로 즉위하지 못한 선조가 초반기 왕위의 정통성과 통치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였던 시기에 발생한 사건이었다. 국왕의 정당한 통치를 전파하는 조보를 민간에서 사적 이익을 위해 인쇄하였다는 점은 선조로써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 약 3개월의 조사를 통해 30여 명의 관련자를 처벌한 선조는 향후 조보의 인쇄를 금지하고 철저한 관리를 지시하며 사건을 종료했다. 선조에 의해 제기되고 처벌된 사인조보사건은 선조초반 정치상황의 전개과정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재위 10년을 경과하며 선조는 왕위의 권위를 회복하고 갈등구도의 정치상황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자 사인조보사건을 정치사건으로 규정하고 이를 철저히 엄단하는 태도를 보였다. 실제 사인조보는 당시 명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되는 방식을 차용한 것으로 王政의 전파 및 전달단계를 원활히 함과 동시에 이의 발행을 수월하게 하여 민간에서 이익을 가지고자 했던 사회발전의 과정이었다. 그럼에도 선조는 사인조보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여 왕명출납의 한방식이라 강조하였다. 조보는 이후 매우 한정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임진전쟁의 와중에 통치질서가 붕괴되자 이를 보완하는 매체로 활용됨으로써 선조초반 사인조보사건이 선조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증명한다. The purpose of the Joseon(朝鮮) was to promote the selection and governance of the king by organizing Jobo(朝報) from the Seungjeongwon(承政院) and spreading them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convenient to print a desperate Jobo that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but King Seonjo extended this to case. This resulted in the degeneration of the printed Jobo, even though it could be quickly and massively propagated through printing. Joseon was a Confucian state, with the king at its peak,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four great masters was aimed at public opinion politics. It was an Jobo that was used to promote the king's legitimate politics and stabilize public sentiment. Jobo included the king's movements and various ritual system, personnel policy, public opinion politics, reports, and the king's disposition. Shortly after the foundation, Joseon recognized Jobo as a means of propagation to the monarchy and tried to control it thoroughly. Jobo was closely involved in various political events, ritual events, and personnel policies. King Seonjo needed to patch up the previous political turmoil shortly after his ascension and establish a new political order. Nevertheless, the conflict among the ruling class has intensified. As conflicts and military crises between political forces escalated, King Seonjo tried to establish royal authority. In other words, King Seonjo used the sit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 of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respond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e issuance of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私印朝報事件) in this process was regarded as a challenge to the throne and severely punished. In conclusion, King Seonjo emphasized that Jobo was a means of spreading the king's politics externally. In 1577,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illustrates the meaning of Jobo in Confucian countries. This is an case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kingship and the authority of King Seonjo who could not be crowned by the immediate royal family. The fact that Jobo, which propagated the king's legitimate rule, was printed for economic benefit in the private sector was an unacceptable event as King Seonjo. King Seonjo, who punished 30 people involved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for about three months, ended the case by banning the printing of Jobo in the future and ordering thorough management.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raised and punished by King Seonjo can be grasp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reign. After 10 years of reign, King Seonjo stipulated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as a political case in order to restore the throne's authority and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of conflict.

      • 간양록으로 본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인식

        김경록(Kim, Kyeong L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6

        역사인물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그 시대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시대별 차이를 보인다. 역사인물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현실적인 정치상황에 따라 첨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 며, 평가주체의 정치적 경향성에 따른 개인적 평가를 하지만, 평가주체와 달리 소속 집단의 집단적 평가로 나타나기도 한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에 포로로 잡혀 4년간 포로생활의 경험을 [看羊錄]으로 지은 강항은 전쟁 중 정치적 관련성에서 한 걸음 떨어져 이순신과 원균을 평가, 인식하였던 인물이었다. 「賊中封疏」, 「賊中聞見錄」, 「詣承政院啓辭」 등 객관적인 시각으로 냉철하게 사실을 기록 하였던 강항은 전쟁과 전쟁경험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순신과 원균을 극명하게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강항은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하기 위하여 냉철하게 사실 보고 중심의 기록에 집중하여 정보의 출전을 밝혀 객관적 정보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은 조선의 백성들에게 전대미문의 고통을 남겼다. 강항은 조선의 관원으로 전쟁에 참전하였지만 일본군의 포로가 됨으로써 사대부로서의 충효관에 어긋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포로생활과 송환을 경험하면서 조선과 일본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인식하는 안목을 가지게 되었다. 강항은 포로생활에 대한 죄스러움과 일본사정의 보고라는 갈등 속에서 정확한 정보의 보고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간양록]을 저술하여 선조에게 보고하였다. 강항은 조선의 미흡한 전쟁대비, 문란한 군역제도와 양병제도, 공평하지 못한 논공행상 및 변장들의 가렴주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쟁을 서술하였다. 성곽제도, 양병제도, 지휘체계 등 전쟁관련 사항을 조선과 일본을 비교하여 전쟁을 분석하고, 신속하게 전쟁을 종식시킴으로서 백성들의 안정과 일본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수군강화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전쟁을 종식시키는 3가지 방책을 제시하였다. 이순신과 원균에 대해 평가하기에 앞서 군사지휘관의 현명한 교체를 주장하고, 정유재란 초반 조선의 패배는 적절하지 못한 통제사 교체 및 통제사 원균의 패전에서 원인을 찾았다. 원균의 패전은 양병의 게으름, 준비부족, 전략의 부재로 평가하고 이후 명량해전으로 일본을 제압한 이순신에 대해서는 수군의 장성이라는 극찬을 하였다. 원균의 패전으로 일본군이 수륙합동작전을 전개하고 남원성을 공략함으로써 자신은 피난 및 일본군의 포로가 되는 신세가 되었음을 우회적으로 서술하였다.일본군과 조선군을 상호 비교하여 서술하면서 군역제도, 양병제도, 변장의 임명, 자율권의 부여, 수군강화 및 수군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자신의 개선책을 제시하였는데, 대부분이 이순신이 실천하였던 내용과 부합한다. 이는 강항이 구상한 전시 방책과 이순신이 구상한 전략이 동일한 맥락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며, 결국 강항의 이순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원균에 대한 혹독한 평가를 알 수 있다. 기존 이순신에 대한 당대의 평가는 다분히 조선 국내의 정치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점에서 강항의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평가 및 인식은 객관성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명나라, 일본 등 국내정치에서 한 발 떨어져 이순신과 원균에 대해 평가한 자료를 발굴하고 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contents of the Gan-Yang-Rok, which is composed of ChukJungBongSo(賊 中封疏) , ChukJungMoonKyunRok(賊中聞見錄) , YeSeungJeongWonGyeSa(詣承政院啓 辭) , contents focused on reporting and those on experience. In the contents focused on reports of the Gan-Yang-Rok, Kang-Hang has sustained objective and calm attitude. The reason why Kang-Hang had sustained objective attitude toward the Japanese pirates lied on his political situation and ethical Issues(忠孝) accurate information on Japanese pirates and his belief that those information would be helpful to Josen. Gang-Hang think Josen was defeated in the war because of insufficient for war in Josen, promiscuity defense obligation scheme, not fair of reward system, extortion of military commanders etc. He thought that ending the war quickly stabilize the people and will be ready for the next war.for. Gang-Hang have thought against the war and the soldiers were training and preparing strategies. Gang-hang would thought exactly as Yi Sun Sin act, was consistent. Gang-Hang have to evaluate Yi Sun Sin and Won-gyun prior to the replacement of Naval commander carefully argued. Incorrect installation of naval commander was to defeat in the war. So he was the cause of the defeat of battle of sea thought it was a bad naval commander. Won-gyun s navy to the Japanese defeat in the battle of sea, Japanese began land and sea s attack. Target of attack was in Nam-won(남 원) and Jeolla province. His evalution had been greatly expressed from the defeat at the battle of sea. Gang-Hang was admired Yi Sun Sin, but Sun-jo and many government officials were castigated him. Gang-Hang was able to accurately evaluted Yi Sun Sin because he was in Japan. His evaluation of Yi Sun Sin was a very objective point of vie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7세기초 명·청교체와 대중국 사행의 변화

        김경록(Kim, Kyeong-L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5 No.-

        명·청교체는 한국사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주제이며, 특히 한·중관계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조선은 명 중심 국제질서 속에서 국가의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대중국 관계를 중시했다. 17세기 명청교체의 정세변화는 조선의 대중국 외교관계를 변화시켰으며, 조선은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청 중심국제질서로 전환됐다. 17세기 전반기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와 조·중관계를 정리·분석하기 위해 세부적인 시대구분으로 선조말엽(10년), 광해군대(14년), 인조대(27년) 등이 유용하다. 선조말엽 조선은 임진왜란의 결과를 시대적으로 정리하는 과제가 중시되었는데, 전후복구의 국내상황과 명 · 후금사이의 전쟁으로 인해 서둘러 일본과 화친을 맺게 됐다. 광해군대 조선은 기유약조를 통해 일본과의 화친을 마무리하고, 명과 후금의 대립에 중립적인 외교정책을 시행했지만, 명 중심 국제질서에 편입된 상황에서 군대파견을 피할 수 없었다. 광해군의 명과 후금사이의 양단외교는 적지 않은성과를 거두었지만, 폐모살제와 더불어 인조반정의 빌미를 제공했다. 본 논문은 정묘호란의 발발과 그 이후 조선과 후금 사이의 외교관계에 대해 주목한다. 정묘호란으로 평양약조가 체결되자 조선의 대후금 정책은 강경한 입장에서 타협적인 입장으로 변화됐다. 이러한 변화는 인조의 외교노선이 광해군의 실리적인 노선으로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정묘호란으로 조선은 후금과 형식상으로 형제지맹을 맺었지만, 실질적으로 후금의 외교적 강압에 시달렸다. 조선은 명 중심 국제질서를 유지하면서 후금과 사행관계를 맺어 대명·대후금사행을 병행했지만, 병자호란으로 청 중심 국제질서로 편입됐다. 정묘호란의 결과로 조선은 후금에 예물을 진헌하고, 사신을 파견했으며, 각종 경제적 압력을 받았다. 전통적인 대명사행과 달리 정묘호란에서 병자호란시기 까지는 변형된 형태의 사행관계가 맺어졌다. 첫째, 조선의 대중국사행의 변화양상이며, 둘째, 시기별로 조선은 요동, 중국대륙의 정세에 따라 사행을 파견했고, 셋째, 정묘호란에서 병자호란까지 10여년 동안 대명사행과 대후금사행이 병행되었지만, 실제 내용에 있어 대후금사행이 주류를, 대명사행은 지속이라는 점만 존재하는 제한된 사행이었다. 넷째, 대명사행에 비해 대청사행의 우세경향이며, 다섯째, 병자호란이후 年貢사행의 파견이 시작됐고, 여섯째, 조·후금사행에서 교린관계에서 적용되는 춘신사와 추신사가 파견됐다. 대후금 사행은 춘신사, 추신사의 명칭으로 불렸으며, 1년에 2차례 파견됐다. 외교문서로 국서를 사용했고, 대후금관계에 익숙한 인물을 계속해서 사신으로 파견했다. 대후금 사행은 공세적인 후금의 외교적·군사적·경제적 압박에 대해 조선의 입장을 최대한 전달하고 조율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특히, 의주개시를 비롯한 교류문제, 쇄환인문제, 세폐문제, 사행에 대한 예우문제 등이 대후금 사행의 외교사안이었다. 대후금 사행은 병자호란이후 조선이 청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되면서 책봉국과 조공국의 관계가 성립되어 정식 조공제도에 입각한 사행이 시행되면서 종료됐다. 조선의 대후금 사행경험과 절차는 향후 대청사행의 제도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홍무연간(洪武年間) 명(明)의 요동경략(遼東經略)과 조 · 명(朝明)관계

        김경록(Kim, Kyeong-Lo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군사 Vol.- No.102

        The Ming Dynasty is the history of Chinese lasted by Han established unified dynasty, in its founding to destruction in more than 200 years, the edge of the Liaodong army has always being a special group to defend the borders of the existence. During the political rapid changes period when Yuan(元) was replace by Ming(明), the Liadong(遼東) was transformed from the Yuan world order(元 中心 國際秩序) to the Ming world order(明中心 國際秩序). In this process, various political forces on the Liadong showed strong differentiation of the centrifugal forces of the individual forces rather than the gathering of the forces centered on North-Yuan(北元). In the end of Yuan era, Emperor Hong-wu(洪武帝), who had solved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pursued a central centralized system of emperors, failed to concentrate on the Liadong despite its strategic importance due to various issues at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The Liadong was dominated by Liao-yang Branch Secretariats(遼陽行省) during the Yuan Dynasty, but in reality it was a region where various forces such as Mongolia(蒙古), Jurchen(女眞), Khitan(契丹), Goryo(高麗) and Han(漢族) were present. In particular, the proximity to Goryo and the large number of Goryo dynasties emigrated from the Liadong were closely related to Goryo. This close relationship was also the cause of Koryo’s relationship with Yua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replacing Yuan with Ming. Emperor Hong-wu, who established certain achievements of the Yuan Dynasty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emperor internally, promoted the full-scale governing Liadong from the 20th year of Hong-wu. He suppressed the Yuan Dynasty and continued to pursue a policy of conciliation against the Jurchen living in the east of the Liadong. However,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governing Liadong was that rule of military government center of Lia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遼東都司) was deceitful, such as conciliating the Jurchen and awarding office. This was not direct control, but indirect control, which made it im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government. The reason for the limited governance centered on the Lia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 of emperor Hong-wu originated from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emperor Hong-wu. In the meantime, he took a jurisdiction over the Liadong and the Jurchen and pushed for a coercive policy of diplomatic pressure on Joseon by causing a conflict with newly established Jose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