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결-젤 주조 공정 기반 삼차부틸알코올을 이용한 단일방향 기공구조를 가지는 이상인산칼슘 세라믹 지지체의 제조 및 특성평가

        김경록,옥경민,김동현,박홍채,윤석영,Kim, Kyeong-Lok,Ok, Kyung-Min,Kim, Dong-Hyun,Park, Hong-Chae,Yoon, Seog-Young 한국세라믹학회 201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0 No.4

        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scaffolds were fabricated by a freeze-gel casting technique using a tertiary-butyl alcohol (TBA)-based slurry. After sintering, unidirectional macropore channels of scaffolds aligned regularly along the TBA ice growth direction were tailored simultaneously with micropores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pore channels. The crystallinity, micro structure, pore configuration, bulk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scaffolds were investigated with X-ray diffractomete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a water immersion method, and a universal test machin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intered porosity and pore size generally resulted in a high solid loading which resulted in low porosity and small pore size, which relatively increased th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fter being sintered at $1100-1300^{\circ}C$, the scaffolds showed an average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in the range 35.1-74.9% and 65.1-3.0 MP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onditions.

      • KCI등재

        조선시대 벽제관의 군사, 외교적 의미

        김경록(Kim, Kyeong-lo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8 군사 Vol.- No.106

        The Byeokjegwan(碧蹄館) was a diplomatic space where played a key role in the diplomatic activities with China of the Joseon, and was a place of King’s reign(王政) and good governance(善政). Also, It was a military space that brought the turning point of the war situation during the Imjin War(壬辰戰爭). With this historical meaning, although the Byeokjegwa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tim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hape of the present Byeokjegwan. In general, the Byeokjegwan has a function as a Kaeksa(客舍) rather than a mistake that recognizes the house as the posthouse(驛站). This i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posthouse system and Kaeksa system. The posthouse is a traffic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established to promptly report and understand the military ambitions of war, including national defense. On the contrary, the Kaeksa was lodging of the envoy of the king, and the king’s politics was a space for local society. Joseon established a Kaeksa as a key space for th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King’s reign. The Kaeksa was a space where the royal ruler symbolized the kingship, and the local governor performed important ceremonies such as the kingship, and performed a banquet in the expression of the good governance to serve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an enforcing space for selecting local talent, and it is a space wher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society are connected. The guest house, which was the core of the king’s local politics, overlapped with the posthouse system, but most of them were separated from the posthouse system. In other words, the Byeokjegwan is a key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and diplomatic space. In previous studies, the term “Byeokjegwan battle(碧蹄館戰鬪)” was used, which should be reviewed academically. Even though there was no actual battle in Byeokjegwan, it was started to be used after being emphasized by Japan. In this paper, I use the term “Byeokje battle(碧蹄戰鬪)”, which requires more rigorous research in the future. The Byeokje battle was a meaningful battle that changed the war situation in the Imjin War. The Joseon - Ming alliance(朝明聯合軍) defeated the Byeokje battles in Byeokje. The defeated Ming soldiers so that they lost their will to fight and were committed to truce negotiations. Joseon opposed the cease-fire talks between the Ming and Japan, claiming full withdrawal of Japanese troops. In other words, the Byeokje battle was a battle that greatly changed the war situation between Joseon, Ming and Japan.

      • 임진전쟁시기 청주성전투와 조선의 통치에 대한 민의 상황

        김경록(Kim, Kyeong-L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4

        임진전쟁은 한국사와 동아시아사에서 16세기말 국제질서와 정세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역사사건이다. 임진전쟁은 국제전쟁으로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문화, 사상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초래했다. 이런 임진전쟁의 역사성으로 많은 연구가 있었음에도 임진전쟁의 당사자로써 국왕 선조의 전쟁인식과 전쟁지도에 접근이 없어 본 연구는 조선의 통치차원에서 청주성 전투와 청주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전쟁기간이란 특수성 아래에서 청주지역과 백성들의 상황을 전황과 조선의 통치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임진전쟁 시기에 청주는 일본군의 주요 진격로에 포함되어 일본군에 의해 일찍 점령되었다. 특히 청주는 일본군이 한성(서울)으로 진출하는 요충지에 위치했다. 조선은 전쟁이전 나름대로 군사동원체제, 군사통신체계, 군사교통체계를 갖추었다. 그러나 임진전쟁시기 이러한 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청주의 군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선군 지휘관들의 무능과 낮은 전투의지로 전쟁에 대응하지 못했다. 전쟁초기에 청주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어 일본의 전쟁지도에 입각하여 군수물자수송 및 병력조달의 요충지로 기능했다. 이러한 청주의 군사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한 의병은 청주성을 탈환하고자 계획했다. 비록 병력은 많지 않더라도 정규군이었던 일본군이 수성하는 청주성을 탈환하기 위한 의병의 청주성전투는 매우 열악한 조건에서 시도되었다. 지형지세를 활용하고, 충주로 탈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의병의 청주성전투는 매우 효율적으로 전개되어 의병중심의 조선은 청주성을 탈환하게 되었다. 의병에 의한 청주성전투 승리는 조선의 전쟁지도에 큰 힘이 되었다. 무엇보다 청주성탈환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임진전쟁 시기 의병의 전투활동은 재평가 받게 되었다. 이후 조선은 일본군이 점진적으로 남해안으로 물러나자 청주를 비롯한 충청도 각지에서 모병 및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쟁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 핵심은 유성룡의 진관체제 부활로 나타났다. 모병과 군량조달, 엄격한 훈련의 시행은 충청도와 청주 백성들의 삶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전쟁기간 중에 청주 백성들은 일본군에 의한 전쟁의 위험을 경험하고, 모병·군량조달 등 조선의 전쟁기 통치를 통해 이중의 고충을 겪었다. 이러한 백성들의 고난은 전쟁시기 발생한 민란에 동조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민란에 대한 동조는 민란진압이후 조선의 가혹한 통치로 이어지는 악순환이었다. The Imjin War(壬辰戰爭) was a historical event that changed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late 16th century. The Imjin War was an international war in East Asia that marked a major change in the tim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diplomacy, military, economy, culture, and ide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mjin War,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ar (戰爭認識) and War command(戰爭指導) of the King Seonjo of the Joseon. During the war period, the government forces in Cheongju should study the war response and people s war experiences and lives. During the Imjin War, the Cheongju area was located on the main route of the Japanese army. Cheongju area is a major military defense against Seoul. Joseon had a very detailed transport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at that time. But despite the military importance of Cheongju, the military commander who commanded the government forces in Cheongju had no strong will to defend himself.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Cheongju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army and used as a military supply and key point by the Japanese army. The righteous army(義兵) formed a coalition force and planned to recapture Cheongju. The righteous army s attack on Cheongju was a very difficult military operation to attack the fortress. The righteous army carried out a very efficient military operation that paved the way for the Japanese army to retreat. The recapture of Cheongju area achieved by the righteous army greatly helped the Joseon war process. The recapture of the Cheongju area is significant as a successful military operation by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The people of Cheongju experienced great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efense system of the Joseon. During the war, the people of Cheongju experienced looting by the Japanese army and suffered from many taxes imposed by Joseon. In response to this pain, the people of Cheongju sympathized with the rebellion, and after the rebellion, they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by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제문으로 본 죽음의 정치외교적 의미

        김경록 ( Kim Kyeong Lo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0

        조선시대 대외관계는 對중국관계와 對일관계가 중시되었으며, 중국과 封典을 전제로 한 조공과 책봉의 관계였다. 몽골의 원 중심 국제질서가 한족의 명 중심 국제질서로 전환되는 시점에 건국된 조선은 명으로부터 봉전체제를 형성하여 역성혁명의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왕위의 명분을 확보하고자 했다. 봉전은 조선 국왕이 황제의 권위를 빌려 책봉 받음으로써 유학적 명분을 굳건히 하고, 국내의 통치에 절대성을 가질 수 있는 정치·외교적 필수조건이었다. 조선시대 봉전은 명 홍무제가 황제 중심의 일원적인 통치를 정립하고 안정적인 황실의 승계를 위해 마련한 책봉, 추숭, 승습 등 제도에서 출발하였다. 홍무제는 봉전제도를 대외적으로 확장하여 명 중심 국제질서를 형성하고자 조선 등 조공국에 강제하였다. 건국이후 원활한 조명관계를 국가 안보의 기반으로 인식한 조선은 명대 봉전체제를 준행하였다. 봉전체제에서 책봉받은 왕실의 인물이 죽음을 맞이하면 이를 책봉국에 통보하고 喪祭를 준행함과 동시에 기존 봉전관계의 계승을 건의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이에 조선은 국왕, 왕비, 왕세자의 죽음이나 조선인으로 명 황실의 일원이었던 인물의 죽음을 명에 통보하는 告訃사행, 죽은이의 시호를 청하는 請諡號사행, 새로운 후계 인물이 죽은 인물의 爵位와 品級을 계승하기를 청하는 請承襲사행 등 죽음관련 사행을 파견했다. 조선의 죽음관련 사행에 대해 명은 제문과 제물 등 제사관련 물품과 제사 자체를 하사하는 賜祭사행, 새로운 국왕을 책봉하는 冊封(誥命)사행등을 파견했다. 조선 왕실의 죽음 이외에 조선인으로 명 황실의 일원이된 인물의 죽음도 명의 사행이 출래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또한, 중국(명·청) 황실의 죽음에 대해 조선은 陳慰, 進香사행을 파견하여 애도와 슬픔을 표했다. 조·중관계에서 죽음관련 사행은 죽음의 사적 영역보다 죽음의 공적 영역에 해당되어 의례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가장 정치적인 성격을 가졌다. 대외관계에서 죽음은 첨예한 외교적 충돌을 해결하는 명분을 제공하여 긴장국면을 전환시켜 새로운 타협과 화해의 국면을 초래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홍무제의 강압적인 대조선정책으로 긴장관계로 진행되던 시점에 태조의 죽음은 조선에 대한 명의 새로운 인식 및 정책으로 전환을 반영하기도 했다. 대외관계에서 죽음은 외교의 명분 역할을 보여주는 데 조·일관계에서 일본 관백의 죽음과 새로운 관백의 등장은 조·일간 사행의 중요 매개체가 되었다. 죽음관련 외교행위에서 필수적인 사항이 제문이며, 제문은 국제질서에서 관계를 반영하여 책봉국과 조공국, 통보관계가 명시적으로 표현되었다. 조선에서 중국(명·청)에 전달된 명·청 중심의 국제질서에서 책봉국으로 명·청을 인정하고 안정적으로 국제질서의 유지에 기여할 것을 언급하였다. 중국에서 조선에 전달된 제문은 책봉국으로서 권위를 천명하고 죽음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였다. 제문은 기본적으로 외교문서의 한 종류였기 때문에 조선에서 제문을 작성할 때는 당대의 문형이 엄격한 문서식에 입각하여 작성했다. 조선시대 죽음은 당사자의 신분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인식이 존재했다. 왕실의 죽음은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았음으로 인해 엄숙한 의례적성격뿐만 아니라 가장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었다. 죽음의 슬픔을 표현하는 제문 역시 엄격한 문서식을 준수하며 애도하는 내용을 극대화하여 표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성, 문학성이 공유되었다. The Joseon Dynasty period`s foreign relations make more of China relationship and Japan relationship, was the tribute and installation to Bongjeon(封典) relations with China. Founded at a time when the Yuan dynasty world order(元 中心國際秩序) of Mongol was converted the Ming world order(明中心國際 秩序) of Han Chinese(漢族), Joseon as well as enter into diplomatic relations with Ming to secure legitimacy of founding and royal authority. Bongjeon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s and diplomacy, is the creation of a Confucian cause by the emperor`s authority and legitimacy of domestic rule by the king of Joseon from the Ming emperor. The Joseon Dynasty period`s Bongjeon system starts with the system that early Ming, Hongwu emperor(洪武帝) established to establish the unified rule of the emperor center and to stabilize the succession of the imperial family(皇室), for instance, installation(冊封), honoring(追崇), inherit(承襲) etc. Hongwu emperor forced Bongjeon system into tribute country, etc Joseon, to establish Ming world order. Joseon has followed the Bongjeon system to secure national security. Under the Bongjeon system, when the royal family`s people were to die, the royal family informed the emperor and conducted funeral procedures in Joseon. Death-related The Sahaeng(使行) that reported death were a `Gobusahaeng`(告訃使行) that informs Ming of the death of a person who has been installated over from the emperor, a `Chengsihosahaeng`(請諡號使行) that asking for the posthumous name of death person, a `Chengseungseubsahaeng`(請 承襲使行) that to demand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of the death person. A critical requirement in diplomatic activities related to death was a funeral oration(祭文), and that was showing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order. A funeral oration was said that sent from Joseon to China will fulfill its role as a tribute country under the Ming(Qing) world order and, from China to Joseon will show authority as an emperor and show condolences to death. A funeral oration was basically a kind of diplomatic document, so it was written to fit strict formalities. Death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ad various meanings and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dead person. Since the death of the royal family was installation from the emperor, it had the most political character as well as a solemn ritual character. A funeral oration expressing the sadness of death was also shared with politics and literacy in that it should abide by strict documentary form and maximize mourning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홍무연간(洪武年間) 명(明)의 요동경략(遼東經略)과 조 · 명(朝明)관계

        김경록(Kim, Kyeong-Lo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군사 Vol.- No.102

        The Ming Dynasty is the history of Chinese lasted by Han established unified dynasty, in its founding to destruction in more than 200 years, the edge of the Liaodong army has always being a special group to defend the borders of the existence. During the political rapid changes period when Yuan(元) was replace by Ming(明), the Liadong(遼東) was transformed from the Yuan world order(元 中心 國際秩序) to the Ming world order(明中心 國際秩序). In this process, various political forces on the Liadong showed strong differentiation of the centrifugal forces of the individual forces rather than the gathering of the forces centered on North-Yuan(北元). In the end of Yuan era, Emperor Hong-wu(洪武帝), who had solved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pursued a central centralized system of emperors, failed to concentrate on the Liadong despite its strategic importance due to various issues at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The Liadong was dominated by Liao-yang Branch Secretariats(遼陽行省) during the Yuan Dynasty, but in reality it was a region where various forces such as Mongolia(蒙古), Jurchen(女眞), Khitan(契丹), Goryo(高麗) and Han(漢族) were present. In particular, the proximity to Goryo and the large number of Goryo dynasties emigrated from the Liadong were closely related to Goryo. This close relationship was also the cause of Koryo’s relationship with Yua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replacing Yuan with Ming. Emperor Hong-wu, who established certain achievements of the Yuan Dynasty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emperor internally, promoted the full-scale governing Liadong from the 20th year of Hong-wu. He suppressed the Yuan Dynasty and continued to pursue a policy of conciliation against the Jurchen living in the east of the Liadong. However,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governing Liadong was that rule of military government center of Lia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遼東都司) was deceitful, such as conciliating the Jurchen and awarding office. This was not direct control, but indirect control, which made it im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government. The reason for the limited governance centered on the Lia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 of emperor Hong-wu originated from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emperor Hong-wu. In the meantime, he took a jurisdiction over the Liadong and the Jurchen and pushed for a coercive policy of diplomatic pressure on Joseon by causing a conflict with newly established Joseon.

      • KCI등재

        <기획논문>: 조선시대 사행(使行)과 사행 문화 : 조선시대 대중국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사행(使行)을 중심으로-

        김경록 ( Kyeong Lok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방대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행이 무엇을 의미하지는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구자는 매우 드물고, 그래서 그들은 사행의 정치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 결과 많은 연구자들은 아직도 사행의 근본적인 명칭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조선시대대중국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를 밝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함에 목적이 있다. 조선은 명, 청 중심의 국제질서에 속해 있어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국내 정치와 형식에 영향을 받았다. 조선시대 국제질서는 현대적 의미의 국제질서와 달리 도덕적 개념과 이상적 개념이 중요했다.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는 사행이라는 외교형식에 의해 정형화됐다. 외교상 외교문제가 발생하면, 조선은 외교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합당한 사행명칭을 부여했으며, 발행시기, 사행의 규모 등을 정했다. 조선은 명청과의 국제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행에 대해 주목했다. 이를 통해 조선의 국가안위를 확보하고 왕실의 권위를 강화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대중국사행의 핵심은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라고 할 것이다. 특히, 중국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공문에 기반하여 확립된 명대이후 사행의 기본 임무는 조선의 국가이익을 표현한 외교문서의 전달이었다. 반면에 사행원의 개인적인 활동은 상대적으로 제한되었다. 사행의 중요한 임무가 외교문서의 전달이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외교목적을 달성하고 의례적인 공식행사에 참여했다. 사행의 외교역할이 확대되면서 사신과 다른 사행원들은 사행기간 동안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사행기록으로 남겼다. 외교에 관련한 문서는 외교문서, 사행문서, 사행기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행기록은 공적 사행기록과 사적 사행기록으로 세분할 수 있다. 사행의 정치외교적 의미는 인평대군의 대중국사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평대군이 활동했던 시대는 조선중기에 해당되며, 국내적으로 국제적으로 변혁기였다. 17세기는 중국에서 명·청교체의 시기로 조선은 새로운 외교관계를 정립했다. 인평대군은 왕자의 신분으로 대청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왕실의 일원이란 신분은 조청관계에서 발생하는 많은 외교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향후 조선시대 사행관련 학술연구는 다음의 참조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사행연구는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다. 둘째, 사행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전제가 있어야 한다. 셋째, 학술용어로서 사행명, 사행기록, 사신명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사행기록의 작성과정에 대한 검토가 전제된 뒤 여러 학문 분야별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행연구에 사적 사행기록 뿐만 아니라 사적 사행기록의 기초가 되는 공적 사행기록, 외교문서, 사행문서 등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확대되어야 제반 학문분야별 높은 사행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In spite of a great reservoir of very much a work, very few researchers know what a Sahaeng(使行) means, so there are not understand that Sahaeng``s political meaning. As a result, there are many researchers who do not concerned about yet what a fundamental name of Sahae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hat the Korean history academic circles don``t have interest in its politic-diplomatic meaning, in the face of which Joseon had dispatched envoys to the Chines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East-Asia international situation``s of Joseon period and to find out its politic-diplomatic historical meaning. And I relieve the concluding remarks through simple arrangement and opinion about the Sahaeng. Joseon belonged to an international order of Ming(明), Ching(淸) center and it was a time to propel a domestic politics reform because of the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The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Joseon acted unlike modern meaning so that a moral concept and an idea concept was important.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traditional East Asia was performed through a diplomatic form of Sahaeng. The development of an issue, setting diplomatic goals, granting a name of sahaeng, and deciding the right time and size comprised the procedures of Sahaeng. So Joseon reserved international safety and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Joseon attention Sahaeng to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Ming(明)·Ching(淸). The key point of Sahaeng toward China in the Joseon period was politic-diplomatic meaning. Especially, as the governing system of China, after the Ming, was strictly based on documentation, the justification of Sahaeng for delivering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King was emphasized, while individual diplomatic activities of Sahaeng``s members were restricted. Sahaeng``s importance mission was the transmit of the diplomacy document and was the achievement of an involvement diplomacy purpose, of the formality courtesy at the except. While the diplomatic role of Sahaeng increased, messengers and other staffs had to experience various cultures during the period of Sahaeng, and kept these accounts for the Sahaeng``s record(使行記錄). The document about the diplomacy was the diplomacy document(外交文書), Sahaeng``s document(使行 文書), Sahaeng``s record. The Sahaeng``s record can distinguish detailly to an official Sahaeng``s record(公的 使行記錄) and an unofficial Sahaeng``s record(私的 使行記錄). In this regard are found throughout studying Inpyeong infante(麟坪大君)``s Sahaeng toward Ching. This era falls on the middle of the Joseon period, which is regarded as a turning point both in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17th century, it is happened the change of dynasty from Ming Dynasty to Ching Dynasty in china. The change of Joseon is accompanied by the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 He have had many dispatched Sahaeng toward Ching was accounted for he was infante. The identity of royal family was help in solving many diplomatic issues in Joseon-Ching relations. Future studies need to refer to the following matters. First, Sahaeng research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ssential. Second, There shall be a premise about the Sahaeng``s political character. Third, As a academic term, a review is needed of Sahaeng``s name, Sahaeng``s record, envoy``s name, etc. Fourth, There need to examine the creation of a process for the record in many fields. Fifth, Sahaeng research should extend not only the study of an unofficial Sahaeng``s record but the study of an official Sahaeng``s record, diplomacy document, Sahaeng``s document that will be successful in many field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과 중국(명 · 청)의 사행외교

        김경록(Kim, Kyeong-Lok)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5 No.-

        조선시대 대중국(명 · 청) 사행은 조선의 대중국 관계에서 필수적으로 추진해야 했던 외교활동으로 조선과 중국의 치열한 갈등과 조화 속에서 정립, 변화되었다. 조선시대 대중국 사행은 당면 외교사건의 해결을 위한 외교목적의 달성에 중점이 있었기 때문에 사행의 가장 큰 의미는 정치 외교적 의미였다. 대중국 사행의 전형은 홍무연간에 제정되어 명 중심 국제질서에 편입된 조선이 이를 준용하면서 시작되었다. 조 중관계에서 발생하는 외교문제를 해결을 위한 외교활동은 사행과 사신접대이며, 사행은 외교문제 발생, 외교목적 설정, 외교문서 작성, 사신선정, 발행, 사행, 문서전달 및 접수, 귀국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지참하는 외교문서에 의해 사행명칭, 사행규모 등이 결정되며, 목적지에 따라 부경사행과 요동사행으로 구분된다. 삼사와 통사를 주축으로 한 종사원 등으로 구성되며, 홍무연간까지는 해로와 육로를 병행하였다가 영락제 이후 육로로 일원화되었다. 대명사행은 15세기 초 조명관계의 긴장으로 사행은 긴밀하게 파견되었으며,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책봉을 통해 왕실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封典사안이 최대 사행목적이었다. 특히, 태조, 세조, 중종 등의 봉전은 조명간 외교적 입장이 충돌되었던 사례였다. 기타 사행을 통해 종계와 흔단 등의 변무, 우마를 포함한 교역, 의례와 서적 등의 문물전례, 궁각수입과 범월인의 쇄환 등 다양한 외교사안을 해결하였으며, 출래한 명사의 접대를 통해 조선의 외교적 입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16세기말~17세기의 임진왜란과 명청교체 시기에 임진왜란시 명군파견을 위한 주청사행, 광해군대의 봉전사행, 대명사행과 대후금사행의 병행, 병자호란이후 청 중심 국제질서에서 대청사행의 본격화 등 사행의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큰 틀에서 대중국 사행의 전형은 홍무연간에 규정된 사행제도가 준행되었으며, 명의 제도를 계승하였던 청대까지 시행되었다. 조선후기 대청사행은 보다 외교사안이 복잡하게 분화되었는데, 이는 활발한 조청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조선의 대청인식은 외교문서, 사행기록 등을 통해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조선은 보다 체계적으로 대청관계에 대응하기 위해 종합 외교문서집인『동문휘고』를 편찬하였다. 개항이후 서구와의 접촉은 청 중심 국제질서에서 변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세기 후반 근대적인 외교관계가 설정되면서 사행제도는 폐지되었다. 조선시대 대중국 사행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행과 사행기록에 대한 명칭문제이다. 둘째, 정치외교사 뿐만 아니라 사상사, 문화사, 경제사 등 제반 사행관련 연구분야에서 사행의 구체적인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외교문서와 사행기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 사행기록 작성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행연구는 국내외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다.

      • 임진왜란시 조명연합군 지휘체계와 수군파병 과정

        김경록(Kim, Kyeong-L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9

        기존 연구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파병된 명군의 지휘체계 및 조명연합군의 지휘체계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명대 군사지휘체계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가 미흡한 점과 조공체제에서 명군의 조선군 지휘는 당연하다고 인식하는 점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명대 군사지휘체계 및 임진왜란시 조명연합군의 지휘체계를 살펴보고, 수군파병의 논의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명나라는 만력연간에 왜구의 침입과 많은 변란으로 여러 지역에 변진을 운영하였다. 변진의 군사지휘체계는 실제 무신들에 의해 군사작전이 시행되었지만, 문관에 의한 통제를 받았다. 문관에 의한 군사력 통제는 황제중심의 국가운영에서 군사적 반란을 제어하기 위한 기재로 필요하였다. 이는 총병관, 경략, 총독, 도독 등의 군사 지휘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명은 파병하면서 문관에 의한 경략을 상위에 두어 군사지휘체계를 구성하였다. 임진왜란 시기에는 황제의 명령을 근거로 명군은 왕명을 받은 조선군을 지휘하였지만, 실제 명군과 조선군의 작전지역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지배적인 군사지휘체계가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조선군은 연합작전에 한정하여 명군의 지휘를 받고, 일반 군사지휘체계는 조선군 도체찰사와 도원수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전통적인 해금정책의 영향과 오랜 기간동안 왜구의 침입으로 명나라의 수군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운영되었다. 실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 조선국왕이 피난하고 일본군의 진군이 급박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조선 수군이 해상권을 장악하자 명나라는 파병에서 수군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다만 유사시 일본군의 본토 침입에 대비하여 해안지역의 방비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정유재란시 조선 수군이 패전하여 일본군의 서해 진입이 가능해지자 명은 수군 파병을 본격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본토의 해안방어를 위해 수군을 강화하고, 조선에 수군을 파병하여 일본군의 본토침입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였다. 진린 이 지휘하는 명 수군은 조선에 파병되어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연합하여 일본 수군과 전투를 벌였다. 조명연합수군은 지상에서의 조명연합군보다 연합작전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전략적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노량해전에서 승리하였다. Despite the strategic and historical importance, the command system of Ming s military force and the command system of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was not fully highlighted in previous studies. Ming runs the military camp many areas because of protect his country from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and to suppress a revolt in period of the Emperor Wànlì. In reality, the Command system was enforced by military service, but controlled by civil service. It was express that the superiority of civil service to military service. The command system controlled by civil service successfully and forcefully over powered military revolt, in the state operations always centred around the Emperor. This can be confirmed a military commander like, Chongbeunghwan(總兵官), Kyeounglyak(經略), Chongdok(總督), Dodok(都督) and so on. Mind force s commander took the command of the Joseon forces on the ground of emperor s order during the Imjinwaeran(壬辰倭亂). But, in reality, the predominant military command system was not established because operation area of Joseon and Ming s force are far away. Josen forces take orders from Ming s commander only combined operations, the rest of the military command system was operated around Joseon s Dochechalsa(都體察使) and Dowonsu(都元帥). The Ming s navies was very weak because traditional influence of prohibition forward the ocean and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for long periods of time. The Ming government was promoted to make Joseon to keep stand up to Japan is the way to conserve Ming dynasty. The background of Ming forces participation to the war is based on strategical consideration for the self-protecting policy. But, As fears of likelihood of Japan navies invading mainland Ming rise when the war was broke out again in the year Jungyu(1597). Ming government intensified to coastal defend mainland and discussing send navies. The naval forces of the Ming dynasty, under command of admiral Jin-Rin(陳璘) participated in the effort, and the battle was engaged between the Japanese forces, and the allied fleet of the Joseon and Ming navies. Jin-Rin s Ming navy join Yi Sun-sin(李舜臣)‘s Joseon navy in July 1598, combined Joseon-Ming navies operation was progressed and Yi Sun-sin did great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