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성폭력 상담자의 직무수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김예영(Kim, Ye-young),김희정(Kim, Heej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 성폭력 상담자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담아내고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4년 이상 경력을 갖고 있는 대학 성폭력 상담자 9명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되었고 연구자의 노트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대학 성폭력 상담자들이 직무수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여섯 개의 범주로, 전문성에 대한 고민, 열악한 업무환경, 낮은 지위와 권한으로 인한 업무의 한계, 외부의 위협과 적대적 태도, 민감한 성 문제를 다루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 사회적․제도적 지원체계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효율적인 대학 성폭력 상담 환경 조성 및 상담자 교육, 치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연구의 마지막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pture and understand in dept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their job performance. Method: For the study, nine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o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researcher s notes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s revealed 6 categories of counselors’ difficulties: Concerns over professionalism, Poor work environment, Limitations of work due to low status and authority, External threats and hostile attitude, Stress of dealing with sensitive sexual issues, and Problems with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fficient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ing environment and educating and healing counselors.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과 상담에 대한 기대에 관한 질적 연구

        김희정 ( Kim Heejoung ),박은정 ( Park Eunjeong ),김현정 ( Kim Hyeonje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들이 어떤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며 피해교사 상담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경험의 공통적이고 중요한 특성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 9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에 기초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피해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은 5개의 주제 ‘남의 일 같던 일이 나에게 일어남’, ‘교사로서 쌓아온 정체성이 한꺼번에 무너져 내림’, ‘학교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2차 피해’, ‘동료와 학생들이 버팀목이 되어줌’, ‘상처는 입었지만 다시 교단으로’, 상담에 대한 기대는 3개의 주제 ‘상담을 막는 장애물의 해소’, ‘치유적 경험을 주는 상담’, ‘피해교사를 위한 맞춤 상담’이 도출되었다. 각 주제 아래에 각각 14개, 10개의 하위주제가 포함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교사 교육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and parents and their expectations for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common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esented by Colaizzi.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nine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or parents. Five themes emerged related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victimized teachers: (1) something that seemed like someone else's sufferings happened to me, (2) my identity as a teacher collapsed all at once, (3) secondary damage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school, (4) colleagues and students provided support, (5) I got hurt and went back to the classroom. Three themes emerged related to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1) resolving barriers to counseling, (2) counseling as a healing experience, (3) customized counseling for teachers. Fourteen subthemes under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en subthemes under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were included and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김민정 ( Kim Minjung ),김희정 ( Kim Heej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도 중소 규모 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심리적 안녕감, 자기격려,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최종 301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과 AMOS 22.0를 통한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격려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둘째,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으며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감이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경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eadolescent children.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sca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preadolescent children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a med-size city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ncouragement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정(Kim Heejoung),하양명(Ha Yang-Myong),정윤희(Jung Yu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경력 5년 이상의 학교 위기 개입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교 위기 개입의 개선 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와 연구자의 현장노트 및 연구노트를 기본적 질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의 결과, 8개의 주제 묶음과 22개의 주제가 나타났으며, 전문상담교사들이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 개선방안의 주제 묶음은 (1) 자문단 활용, (2) 학교 위기 지원기관의 기능 강화, (3) 매뉴얼 제작 활용, (4) 담당자 역할 규정과 지원, (5)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확보, (6) 학교 위기 예방환경 조성, (7) 실제 학교 현장에 효과적인 개입방법의 실행, (8) 사회 전반의 인식 제고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들의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교 위기 개입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erspectives on how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Metho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s. Interview transcripts, field notes, and research notes were analyzed using a bas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Data analysis resulted in 8 main themes and 22 sub-themes. Eight main themes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were as followings: (1) Work with a consultant team, (2) Improve the function of school crisis support agencies, (3) Develop and utilize school crisis management manuals, (4) Identify and support the role of school crisis response team, (5) Promot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6) Create a preventive environment, (7) Implement effective and realistic crisis interventions, and (8) Raise the awareness of the whole soci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issues and the changes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based on the professional counselors’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보연(Bo-yeon Kim),양명희(Myonghee Yang),김희정(Heej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갈등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저해하여 가족만족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보고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갈등을 높게 지각하더라도 가족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면 가족응집력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가족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 간의 관계를 가족응집력이 매개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47명에게 가족갈등,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가족갈등을 높게, 남학생이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가족갈등은 가족만족도를 낮추었으며 가족응집력을 매개로 가족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 사이에서 가족의사소통은 여학생에게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이르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갈등이 높으면 가족의 응집력이 낮아지고 가족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지는데, 이때 가족이 어떤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s, family cohesion and family satisfaction in adolescents. A questionnaire o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was distributed to 747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Second, family conflicts have a negative effect on family satisfaction and negatively affect family satisfaction and lower family satisfaction through family cohesion for girls. Third,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family conflicts. Fourth,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influence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conflicts, and as a result, influence family satisfaction. In conclusion, family communications of girls hav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of family conflict and communications reaching family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even if a conflict occurs, family cohesion and satisfaction are not lowered when family members can communicate open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educators are discussed.

      • 악취측정과 관련된 학교 실내공기 오염도

        김미경,김희정 경인여자대학 2002 경인논집 Vol.- No.9

        The 21st century is concentrated on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to the extent of environmental century. The odorant to a form of air pollutants is expressed in odor to be felt displeasure and dislike through the sense of smell to hydrogen sulfur, mercaptanes, amines, and stimulative gases. The odorant is not only various species but combined interac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ense of smell, we are having difficulty in expressing displeasure of the odor in fixed technique or mechanical method of measurement. So, now offensive odor are in complex and difficult question of air pollution. This study is comparatively speaking ∑ value in KALMORE products and odor strength of the sensuous method.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황경자,김희정,손현동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들어 심각해져가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하여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안 방향을 설정하였고,중등교사 147명과 중고등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에게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교사의 정서적 지지 기술·평가적 지지 기술·정보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으로 하여 예비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기들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이렇게 최종 구안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D시에 근무하는 중등교사 10명을 실험집단으로,4주에 걸쳐 주 2회기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은 동수의 중등교사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사전-사후 점수를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ncrease their social support skill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147 teachers' and 215 students' needs, a pilot program was created. It consisted of the activities to increase the level of teachers' social suppor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school counseling related expert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o achieve the following goals: (a)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social suppor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b) developing teachers' emotional appraisal and informational support skills. 1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experiment group of this study, participated in a 8 session program, while another 10 volunteered for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and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Mixed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eriment group regarding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skills, which implies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effective. Mo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