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KCI등재

        학령전기 부모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방안 연구

        김현정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needs and tasks to be solved by life cycle of parents of preschooler, and followed up with the customized policy support suggestion. To perform this study FGI was conducted for parents of preschool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in pregnancy and childbirth demands healthy and safe childbirth, health care after childbirth, selection of market information, and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using facilities according to economic ability. Preparing a forum on public discussion to recognize pregnancy and childbirth as a social responsibility, to provide credible information and to enhance various accessibilities, and to solve problem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was proposed. Second, parents of infants want to deal with their children’s emergencies and avoid social isolation. Accordingly, they suggested providing information for infant health, preparing a government-level infant care manpower training program, and supporting the growth of parents. Third, early childhood parents are required to form a lifestyle for their children,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and to provide practical parental educatio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parent education system linked with social support and to support the growth of parents using the parent community. 이 연구는 학령전기 부모들이 그들의 일상적인 삶 안에서 생애주기별로 마주하는 자녀 관련 혹은 자녀 이외의 과제와 필요를 생생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정책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학령전기 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진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출산기 부모는 건강하고 안전한 출산과 출산 후 건강관리, 시장화 된 정보 선별, 경제적 능력에 따른 시설 이용 편차 극복을 요구하였다. 이를 위해 임신과 출산을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하고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과 다양한 접근성을 제고하며 임신·출산과 보육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의 장 마련을 제안하였다. 둘째, 영아기 부모는 자녀의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것과 부모의 사회적 고립 방지를 원하였고 이에 따라 영아 건강을 위한 정보 제공, 정부차원의 영아 보육인력 양성과정 마련, 영아 부모의 인간적인 성장 지원을 제안하였다. 셋째, 유아기 부모의 경우 자녀의 생활 습관 형성과 안전한 환경 조성, 일상에서 적용 및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사회적 지원과 연동한 부모교육 시스템 구축, 부모 커뮤니티를 활용한 부모의 성장 지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금미(Choi Keum Mi),류정희(Lyu Jeong Hee)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총 256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 조화 하위요인 중 조화행동, 조화정서, 조화신체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역할수행 하위요인 중 훈육, 보호, 애정, 학업진로, 정서지도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양육지식 중 자녀와의 갈등 원인을 알기 위한 대화 기술, 자녀의 학교생활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식, 부모 자신 스스로의 자아 탐색, 자녀가 가족들과 관계를 원만히 하는데 필요한 지식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 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sub factor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harmony,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parent, and parenting knowledge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 is a total of 256 mothers with children aged 11~19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ing efficacy shows that harmonic emotion, harmonic behavior, and harmonious body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parent and the parenting efficacy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the parent related to discipline, protection, emotional guidance, affection, and academic career would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effectiveness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skill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conflict with children, the knowledge needed to improve children s school life, their own self-discovery, and the knowledge that children need to make family relationship better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

        쉬슈오,임성택,홍송이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 comprised of 200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by gender and grade, but only by the type of paren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raditional families (with biological mother and fath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of their parents' emotional warmth in parenting style than those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cor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and family reg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radition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 single-parent families. When types of parents were controlled, the perceived rejective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process,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gration of self,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predicted only family regression which is a component of self-differenti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for Chinese parents,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성별, 학년,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를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요녕성 중학생 200명이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활용하여 학년과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부모 형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차이는 없었고, 부모 형태에 따른 점수 차이만 나타났다. 양친부모 가정의 중학생은 한부모 가정의 중학생보다 부모의 애정적 양육방식을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자기분화의 경우, 양친부모 가정 중학생들의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 퇴행 영역 점수가 한부모 가정 중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부모 형태를 통제하였을 때 지각된 거부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을 모두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애정적 양육방식은 자아통합과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과보호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 퇴행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학생의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형태와 부모 양육방식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의 ‘부모 되어가기’

        마유미,정선아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tological aspect of becoming-parent of a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see parents opening up a world of ignorance, unknown, and oblivion, parents as ainfinite possibilities's diversities instead of 1/N, parents who experience daycare like mutants, and parents who connect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is,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be seen as emergence multiplicity, suggesting that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check the striated spaces and be present in smooth spaces.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의 ‘되어가기’ 과정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끊임없이 되어가는 존재로서 무지, 미지, 망각의 세계를 열어가는 부모, 1/N이 아닌 무한의 가능성을 지닌 다양체로서의 부모, 돌연변이 생물 같은 어린이집을 체험하는 부모, 앎과 삶을 연결하며 부단히 ‘되어가는’ 부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는 발현적 다양체이며, 명시적 규칙들이 만들어진 홈 패인 공간을 견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합의의 과정을 지속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지닌 매끈한 공간에서 되어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효정,이성아,김민정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how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lives, family lives, and eve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mpact. To this end,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22 people who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to derive exploratory results.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felt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terms of mental and spiritual health, physical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munity, community, hobbies, careers, and financial statu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rais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parents, while lowering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healthy lifestyles such as support, sharing, listening, and explaining appeared more naturally in the home. Furthermor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helped to make parents' lives and families health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community well-being by building trust in society and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개인의 삶, 가족의 삶, 나아가 사회 안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참여자들의 인식을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탐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적·영적 건강, 신체적 건강, 타인과의 관계, 커뮤니티, 공동체, 취미생활, 커리어(진로), 재정상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느꼈다. 참여자들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로서의 자신감, 만족감을 높이는데 기여한 반면, 양육 스트레스는 낮추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지지하기, 함께하기, 경청하기, 설명하기와 같은 건강한 삶의 모습이 가정 안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나아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은 부모의 삶과 가정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 사회와 공동체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이혼가정에서 성장한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은정,김희정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grew up in a divorced famil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life stories of two participants who have infant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7). Participants’ experiences in divorced family and parenting experiences of their children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telling and retelling of their life stories. The mean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opics, ‘I won't give the past wound,’ ‘To do comparative objectification as a child and parent,’ ‘Have a multilayered understanding of my parents,’ ‘I don't want to show my children a contorted three-legged race with my husband’, and ‘Face again my parents’ divorce in front of my children.’ Findings of this study describe the flow of three generations through the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who grew up in a divorced family from the original family's parents, to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Additio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parents were discussed and follow 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이혼가정에서 성장한 어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원가정에서의 성장경험과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이혼을 경험하였고, 현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두 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Clandinin과 Connelly(2007)의 시간성, 사회성, 장소로 이루어진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을 따라 참여자들의 이혼가정에서의 성장경험과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혼가정에서 성장한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는 ‘내가 겪은 상처는 절대 주지 말아야지’, ‘부모 및 자녀로서 자신을 비교대상화하다’, ‘부모를 중층적으로 이해하다’, ‘엇갈린 이인삼각은 보이고 싶지 않아’, ‘자녀 앞에서 부모의 이혼을 다시 직면하다’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자녀양육 경험을 통해 원가족 부모, 부모의 이혼을 겪은 어머니, 그리고 다음 세대인 자녀로 이어지는 3세대의 흐름을 통해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성장과 그 자녀의 부모 되는 경험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마지막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정부부처 (학)부모교육 자료 현황 및 내용 분석: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영(Eunyoung Kim),권순범(Soonbum Kw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materials led by government. After collecting the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by the two ministries since 2010, 359 kinds of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63 kinds of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ere analyzed. As a result, both ministries developed more materials on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as they come recently, which can be evaluated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as related ministries. The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by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education contents and targets, subjects of materi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material types, and accessibility levels, and this is interpret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unique work of the two ministr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raw that development of parents and school parents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in the process, the two ministries need cooperation and linkage at government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의 현황 및 내용 분석을 통해 향후 정부 주도의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보급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 이후 두 부처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육부 자료 359종, 여성가족부 자료 163종을 수집하여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시기, 교육내용, 교육대상, 자료보급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부처 모두 최근으로 올수록 (학)부모교육 자료를 많이 개발하였으며, 이는 관련 부처로서 (학)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두 부처가 개발한 (학)부모교육 자료는 교육내용, 교육대상, 자료 개발 및 보급 주체, 자료형태, 접근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두 부처의 조직 체계, 교육과 보육 및 여성정책이라는 업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학)부모교육 자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두 부처가 범정부 차원의 협력과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이 인지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정,이효정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djust to schools when their fathers engaged in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Regarding the mediation effect, there was partial/fully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school adjustments among adolescent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mediation effect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styles on school adjustments among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of enhancing self-efficacy in relation to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for adolescents’ positive school adjustment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이 인지하는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중·고등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학교생활 적응,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개방형일 때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부분매개하여 학교생활 적응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부모- 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문제형일 경우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을 완전매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자녀 성별조합을 중심으로 한한부모 가정의 사회적 자본 연구

        임혜정 한국학부모학회 2014 학부모연구 Vol.1 No.1

        한부모 가정은 2010년 기준 국내 전체 가구형태의 약 9%를 차지하고 있으며(통계청, 2010) 이런 가정배경이 자녀의 교육적 결과에 부정적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교육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가정 내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한부모 가정의 사회적 자본을 결손된 가족구조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부모 가정은 양육자의 한 성이 부재함으로 인해 사회적 자본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다. 그리고 주양육자의 성별 뿐 아니라 부모-자녀 성별조합에 따라서도 사회적 자본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부모 가정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교육적 개입 및 정책적 지원 시 부모-자녀 성별조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