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과 상담에 대한 기대에 관한 질적 연구

        김희정 ( Kim Heejoung ),박은정 ( Park Eunjeong ),김현정 ( Kim Hyeonje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들이 어떤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며 피해교사 상담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경험의 공통적이고 중요한 특성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 9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에 기초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피해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은 5개의 주제 ‘남의 일 같던 일이 나에게 일어남’, ‘교사로서 쌓아온 정체성이 한꺼번에 무너져 내림’, ‘학교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2차 피해’, ‘동료와 학생들이 버팀목이 되어줌’, ‘상처는 입었지만 다시 교단으로’, 상담에 대한 기대는 3개의 주제 ‘상담을 막는 장애물의 해소’, ‘치유적 경험을 주는 상담’, ‘피해교사를 위한 맞춤 상담’이 도출되었다. 각 주제 아래에 각각 14개, 10개의 하위주제가 포함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교사 교육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and parents and their expectations for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common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esented by Colaizzi.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nine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or parents. Five themes emerged related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victimized teachers: (1) something that seemed like someone else's sufferings happened to me, (2) my identity as a teacher collapsed all at once, (3) secondary damage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school, (4) colleagues and students provided support, (5) I got hurt and went back to the classroom. Three themes emerged related to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1) resolving barriers to counseling, (2) counseling as a healing experience, (3) customized counseling for teachers. Fourteen subthemes under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en subthemes under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were included and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정(Kim Heejoung),하양명(Ha Yang-Myong),정윤희(Jung Yu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경력 5년 이상의 학교 위기 개입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교 위기 개입의 개선 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와 연구자의 현장노트 및 연구노트를 기본적 질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의 결과, 8개의 주제 묶음과 22개의 주제가 나타났으며, 전문상담교사들이 인식한 학교 위기 개입 개선방안의 주제 묶음은 (1) 자문단 활용, (2) 학교 위기 지원기관의 기능 강화, (3) 매뉴얼 제작 활용, (4) 담당자 역할 규정과 지원, (5)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확보, (6) 학교 위기 예방환경 조성, (7) 실제 학교 현장에 효과적인 개입방법의 실행, (8) 사회 전반의 인식 제고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들의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교 위기 개입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erspectives on how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Metho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s. Interview transcripts, field notes, and research notes were analyzed using a bas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Data analysis resulted in 8 main themes and 22 sub-themes. Eight main themes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were as followings: (1) Work with a consultant team, (2) Improve the function of school crisis support agencies, (3) Develop and utilize school crisis management manuals, (4) Identify and support the role of school crisis response team, (5) Promot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6) Create a preventive environment, (7) Implement effective and realistic crisis interventions, and (8) Raise the awareness of the whole soci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issues and the changes to improve school crisis management based on the professional counselors’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성폭력 상담자의 직무수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김예영(Kim, Ye-young),김희정(Kim, Heej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 성폭력 상담자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담아내고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4년 이상 경력을 갖고 있는 대학 성폭력 상담자 9명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되었고 연구자의 노트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대학 성폭력 상담자들이 직무수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여섯 개의 범주로, 전문성에 대한 고민, 열악한 업무환경, 낮은 지위와 권한으로 인한 업무의 한계, 외부의 위협과 적대적 태도, 민감한 성 문제를 다루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 사회적․제도적 지원체계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효율적인 대학 성폭력 상담 환경 조성 및 상담자 교육, 치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연구의 마지막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pture and understand in dept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their job performance. Method: For the study, nine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o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researcher s notes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s revealed 6 categories of counselors’ difficulties: Concerns over professionalism, Poor work environment, Limitations of work due to low status and authority, External threats and hostile attitude, Stress of dealing with sensitive sexual issues, and Problems with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fficient college sexual violence counseling environment and educating and healing counselors.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김민정 ( Kim Minjung ),김희정 ( Kim Heej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도 중소 규모 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심리적 안녕감, 자기격려,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최종 301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과 AMOS 22.0를 통한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격려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둘째,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으며 자기격려와 대인관계 유능감이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경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eadolescent children.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sca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preadolescent children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a med-size city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ncouragement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en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신애(Lee, ShinAe),김희정(Kim, Heej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예방 및 개입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관자 집단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인식 및 집단따돌림 해결방안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집단따돌림은 중학생 및 여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학교폭력이라는 점에서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 및 집단따돌림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따돌림을 방관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여중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한 후 지속적 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와 주제모음,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또래관계 갈등을 통한 타인과 나 돌아보기’로 명명되었으며, 이 핵심범주를 설명하는 3개의 주제모음( 관련자에 대한 복합적 감정, 자신의 대처에 대한 내적갈등, 대인관계에 대한 회의감) 및 7개의 주제가 추가되었다.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인식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배려와 실천을 통한 변화를 추구하기’로, 이 핵심범주는 2개의 주제모음(타인에 대한 바람, 자신의 결심)과 8개 주제로 설명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as bystanders and their perceptions of solutions for school bullying. The role of bystanders are most important to stop school bullying and social exclusion one of a variety types of school bullying is most common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 female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They were interviewed 2 or 3 times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or 50~60 minutes each time.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voice-recorded with each participant. The interview and observational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organize and classify participants experience as bystanders of school bullying and their perceptions of solutions. Data analysis revealed two core categories. One category was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experience as bystanders and labeled as Reflection of others and themselves through peer conflict. It includes three clusters of themes and 7 themes. The other core category was associated with their perceptions of solutions for school bullying and labeled as Making change by taking care of others and intervening. It includes two clusters of themes and eight theme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부모 공동양육가정 초등학생 아동의 조부모와의 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윤희(Yunhee Jung),김희정(Heej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hildren in grandparents co-parenting families, especially their relationships with grandpare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nine upper-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interviews based on those questions took place twice per participant.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alysis produced a main theme Growing further on the basis of grandparent’s love.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1) obtaining positive psychological support, (2) ambivalent feelings and expectations, (3) understanding of conflicts inevitable among two generations, and (4) learning the lessons from the wisdom inspired by grandparen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education, and future studies are proposed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보연(Bo-yeon Kim),양명희(Myonghee Yang),김희정(Heej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갈등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저해하여 가족만족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보고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갈등을 높게 지각하더라도 가족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면 가족응집력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가족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 간의 관계를 가족응집력이 매개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47명에게 가족갈등,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가족갈등을 높게, 남학생이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가족갈등은 가족만족도를 낮추었으며 가족응집력을 매개로 가족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 사이에서 가족의사소통은 여학생에게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이르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갈등이 높으면 가족의 응집력이 낮아지고 가족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지는데, 이때 가족이 어떤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s, family cohesion and family satisfaction in adolescents. A questionnaire o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was distributed to 747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Second, family conflicts have a negative effect on family satisfaction and negatively affect family satisfaction and lower family satisfaction through family cohesion for girls. Third,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family conflicts. Fourth,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influence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conflicts, and as a result, influence family satisfaction. In conclusion, family communications of girls hav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of family conflict and communications reaching family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even if a conflict occurs, family cohesion and satisfaction are not lowered when family members can communicate open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educator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과 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구정하 ( Jeongha Gu ),김희정 ( Heejoung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人間理解 Vol.37 No.2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에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과 그 경험이 피해자들의 삶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기에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대학생 참여자 9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Glaser, 1992/2014)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20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 전체를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따돌림으로 인한 상처를 통해 진정한 나를 찾아가기`로 나타났으며, 하위 범주는 `이유는 내가 그 애들과 달랐기 때문`, `내 인생의 밑바닥을 봄`, `상처를 인정하고 한발 내딛기`, `디딤돌로 삼아 더 멀리 바라보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에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집단 따돌림 피해 경험을 어떻게 자신의 삶 안에 통합하여 살아가고 있는지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었다는 점,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기 집단따돌림 피해를 경험한 대학생들에 대한 상담이나 교육적 접근에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 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은 마지막에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the victims of relational bullying during their child-adolescence year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9 college students.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rom Glaser(1992/2014). As a result, 20 comparative concepts, 10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were elicited. The core category was `finding one`s real self beyond the hurt caused by bullying.` Categories were as followings: (1) being different from them, (2) experiencing the bottom of my life, (3) being hurt, but moving forward, and (4) looking ahead by making it a stepping stone. This study shows how victimized college students survived and w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need to focus 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