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학력 도달 관련 심리적 특성 분석을 위한 로지스틱 모형 적용 연구

        양명희(Myonghee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평가는 대표적인 준거참조검사로, 평가 결과를 도달과 미달로 제공한다. 종속변수의 결과가 도달/미달과 같이 질적인 선택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 이를 예언하거나 설명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범주형 자료의 통계적 분석 방법이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이다. 본 연구는 기초학력의 도달과 미달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선형 함수를 추정하여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고, 두 범주 사이의 차이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로지스틱 최종모형을 탐색함으로써 초3 학생들의 기초학력과 개인의 배경적, 심리적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읽기, 쓰기, 수학의 세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효능감, 숙제 완성 정도, 성별, 도시화 등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어머니의 직장 여부, 부모와의 대화 등은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와 쓰기에서 기초학력에 도달할 확률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반면 기초수학에서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2002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basic academic skills of Korean students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utcome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Logistic regression is an increasingly popular statistical technique used to model the probability of discrete binary outcome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pass or fail in reading, writing, math. The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elf-efficacy, doing-homework, gender, location(city or rural) were strong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outcome of the Test of Basic Academic skill which the response measurement for each subject was a “success” or “failure”. The gender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ading and writing, but not in Maths. For girl, the estimated odds of passing the test in reading and writing were 2~3 times higher than boy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in the discussion section in detail.

      • KCI등재

        청소년들의 학업정서 지각 유형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양명희(Yang, Myonghee),권재기(Kwon, Jaek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4

        학습자가 지각하는 정서는 학습 과정 전반에 관련되어 있어, 어떠한 정서를 지각하느냐에 따라 이후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지각 유형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의 중?고등학교의 54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학업정서 지각에 따른 학습자 유형을 추출하기 위해 수업, 학습, 시험의 세 상황과, 긍정과 부정의 두 정서에 기반한 6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정서 지각에 있어 학교급 차이가 존재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나누어 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은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 ‘침체형’의 네 유형이, 고등학생은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의 세 유형이 추출되었다. ‘순수긍정형’, ‘일반형’, ‘부정형’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공통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침체형은 중학생에만 확인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수준과 모습을 보면 순수긍정형이 자기조절적 노력과 관련 동기적 형태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모습을 나타내었던 반면 부정형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외재적 동기가 높고 시험불안이 높은, 그러나 자기조절 노력은 저조한 유형이었다. 긍정정서에 대한 지각은 수업, 학습, 시험의 상황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부정정서는 상황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긍정정서는 수업상황에서 높고, 부정정서는 혼자서 공부하는 상황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들은 학습자가 학업상황에서 지각하는 정서의 중요성을 잘 말해준다. 수업, 학습, 시험상황에서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을 많이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기조절적 노력을 기울이면서, 우수한 학습 동기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들이 학업상황에서 지각하는 정서에 있어 서로 구분되는 유형으로 존재하므로 학습자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지각하는 학업정서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Academic emotions experienced by students in academic settings are important to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Relatively few studies exist which deal with academic emo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is study, we focus on academic emotion and study how students perceive and experience their emotions in the context of classes, studying, taking tests and exam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543 students in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ung-gi area. K-AEQ(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academic emo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 groups were extrac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e positive’, ‘average’, ‘negative’ and ‘depression’ types. For high school students, 3 groups were extracted;‘pure positive’, ‘average’, ‘negative’ types. Secondly, 3 groups, such as ‘pure positive’, ‘average’ and ‘negative’ type were seen as being common to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the pure positive type is significantly higher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type showed higher levels of test anxiety and lower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motion. The depression type exhibited lowest scores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terms of academic emoti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in academic contexts is important to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who have positive emotions in academic contexts are highly motivated and us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effectively and voluntarily.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provided.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보연(Bo-yeon Kim),양명희(Myonghee Yang),김희정(Heej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갈등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저해하여 가족만족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보고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갈등을 높게 지각하더라도 가족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면 가족응집력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가족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 간의 관계를 가족응집력이 매개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47명에게 가족갈등,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가족갈등을 높게, 남학생이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가족갈등은 가족만족도를 낮추었으며 가족응집력을 매개로 가족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 사이에서 가족의사소통은 여학생에게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이르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갈등이 높으면 가족의 응집력이 낮아지고 가족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지는데, 이때 가족이 어떤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s, family cohesion and family satisfaction in adolescents. A questionnaire o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was distributed to 747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Second, family conflicts have a negative effect on family satisfaction and negatively affect family satisfaction and lower family satisfaction through family cohesion for girls. Third,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family conflicts. Fourth,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influence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conflicts, and as a result, influence family satisfaction. In conclusion, family communications of girls hav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of family conflict and communications reaching family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even if a conflict occurs, family cohesion and satisfaction are not lowered when family members can communicate open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educators are discussed.

      • 중학교 기초학력미달 학생의 학습실태와 요구 조사

        전명남 ( Myongnam Jun ),양명희 ( Myonghee Yang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5 교육학논총 Vol.36 No.2

        중학교 기초학력미달 학생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이들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로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수준을 측정해내고 있다. 여기에 근거하여 기초학력의 개념은 ‘평가 대상 학년급 학생들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기본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수준’이다. 기초학력미달은 ‘평가 대상 학년급 학생들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기본 내용에 대한 부분적 이해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실태를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검사지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도시, 읍면지역 총63명의 중학생들이 설문조사와 검사에 응답하였다. 결과 중학교 생활 중 가장 열심히 하고 싶은 일로 공부 및 학업(29%), 동아리 활동(20%), 친구 사귀기(12%) 순으로 나왔으며, 중학교 입학 후가장 큰 걱정거리가 학교공부(56%), 인간관계(14%)로 나타났다. 검사를 통해 직업가치, 진로성숙도, 성격검사(책임감, 성실성, 유능감, 성취동기 중심) 결과를 살펴본 결과는 평균 수준으로 나왔다. 따라서 이들 학생들이 하고 싶어하는 일과 큰 걱정거리를 다룰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자기보고형 검사와 표본 선정의 한계는 있었지만 검사 결과를 통해 적절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이 보였다.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은 일반 중학생들에 비해, 자기조절 학습전략(학습동기, 인지, 행동)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학업정서에서 긍정정서가 낮고 부정정서가 높으며, 시험불안이 높고, 무기력 점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들 학생들에게 사회정서학습이론에 근거한 접근과 학습전략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view the condi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Thereupon, survey and needs analysis were done to provide education.for them using questionnaire and test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ere used for screen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at they want to do best during middle school were working hard(29%), extracurricular activities (20%), or making friends(12 percent) etc. The biggest concern in school were in studying(56%), relationships(14%) etc. Vocational value, career maturity, personality(for example accountability, integrity, competence, achievement motivation centered) through tests, emerged averag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deal with the needs and wants and great concern were needed.. Also,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although the test has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ed type. Their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lower than common students’. Their positive emotion were low and negative emotion, test anxiety, helplessness were high in academic situation. They required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supports.

      • KCI등재

        완벽주의와 낙관주의 성향에 따른 학습자 유형 탐색

        정윤선,양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2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at specific types of personality adolescents have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use of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each type. To achieve this, data from 59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gather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sed. Three perfectionism (self-oriented, other-oriented, socially prescribed) and 2 optimism variables (optimism, pessimism) were selected and LPA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s there are 3 different types such as “Average-Perfectionism/Hi-Optimism (Avg.-P/Hi-O) type”, “Low-Perfectionism/Low-Optimism (Lo-P/Lo-O) type”, and “Hi-Perfectionism/Hi-Pessimism (Hi-P/Hi-P) type”. Secondly, the analysi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se 3 types of students shows different features. “Avg.-P/Hi-O type” is most adaptive than any other type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s such as academic efficacy, control belief and task value. They also reported highest degree of intrinsic goal-oriented motivation and low test anxiety. On the other hand, “Lo-P/Lo-O types” scored lowest 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motivation. Those of the “Lo-P/Lo-O type” used adaptive learning strategies but they are high in pessimism and test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