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연구

        김은성,김호정,남가영,박재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방법을 택하여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이를 통해 교과서 선정 기준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이란, 특정 연구 질문에 대해 최선의 가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과학적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의 숙의와 방법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개의 검색 DB를 활용하여 최종 163건의 분석 대상 문헌 자료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김은성 외(2013)에서 도출한 ‘교사가 교과서 선정 시 주목하는 지각 단위(목차, 단원, 제재, 학습활동, 학습목표, 설명, 평가, 분량, 저자, 출판사, 보조자료, 디자인)’ 별로 관련 문헌들의 논의 내용을 모두 추출한 후, 해당 내용들을 살펴 각 지각 단위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언급된 속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각 지각 단위별로 교과서 선정 시 유의미하게 살펴봐야 하는 속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한 결과, 총 12개 지각 단위와 관련하여 총 38개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이처럼 각 지각 단위별로 도출된 속성들은 차후 교과서 선정 기준의 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평가 기준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것들로서, 교과서 선정 기준 마련의 기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developing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For this purpose, we collect extensively references on selecting Korean textbooks then analyze them through ‘systematic review’. Systematic review is the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hich collect, synthesize and organize the utmost available references on some research questions. Through 8 search DB, 163 references were lastly selected, then extracted overall passages which referred to 12 perception unit(a table of contents, unit, text, activity, objectives, explanation, assessment, supplementary data, amount, author, publisher, design). We deliberated constantly on them, then drew the properties of each perception unit. These properties could be converted into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such as for example, ‘a table of contents’, ‘Is it systemic?’, ‘Is it representational? and so on. Therefore, he total number of 38 properties of 12 perception unit would be supposed to frame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significantly.

      • KCI등재후보

        단기간의 체중 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김은성,장명재,이만균,장완성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2

        김은성, 장명재, 이만균, 장완성, 단기간의 체중 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1권 제2호, 335-344, 2002. 본 연구는 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단기간 체중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건강한 남자 고등학교 태권도선수 8명(17.4±0.52세)을 피검자로 선정하였다. 체중 감량전과 단기간의 식이조절 및 사우나를 통하여 체중감량을 실시한 후 체력과 유·무산소성 능력, 그리고 혈중 총단백질량, Na^+, K^+, Glucose, Ca^(2+), P, FFA, Mg^+를 측정하였다. 최대운동검사시 Monark Ergometer와 Vmax229를 이용하였다. 체지방률은 통계적인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지방량은 감량 전 평균 53.15±5.91㎏에서 감량 후 49.38±5.10㎏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산소성 능력은 VO_2max, VCO_2max, RQ요인에서 유의하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태권도 선수들의 단기간 사우나를 통한 무리한 체중 감량은 수분손실로 인한 체지방률의 증가와 전해질의 불균형으로 유산소성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하루에 6∼8경기를 치러야 하는 선수들의 경우 경기력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Kim, E.S., Jang M.J., Lee, M.G., and Jang, W.S. Effects of short-term weight loss 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Wood variables. Exercise Science, 11(2), 335-344, 200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term weight lose 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various blood variables. Eight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 were asked to lose at least 5% of their body weight in 72 hours. Various variables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loo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weight loss, and the two result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weigh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a short-term weight loss. 2. The body fa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3. The lean body mas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4. In terms of anaerobic capacity, the peak power, lowest power, and power decrea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5. In terms of aerobic capacity, the VO_2max, VCO_2max, and RQ showed significant decrease. 6. Muscular endurance of upper body decreased significantly. 7. The result of the Wood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tein, Na^+, P^+ and FFA after the short-term weight loss program. The short-term weight loss resulted in serious decrease in the aerobic capacity of the Taekwondo play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aekwondo players must participate in 6∼8 matches a day, desirable performance might not be impossible without outstanding aerobic ability. It was conclusion that it would be more beneficial for Taekwondo players to develope a long-term weight management program rather than short-term weight loss.

      • KCI등재

        담배가루이 생태형 B와 Q가 같이 발생하는 경북 참외재배 지역 보고

        김은성,김용균,Kim, Eunsu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 매개 역할과 함께 참외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담배가루이는 기주 작물과 농약 감수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생태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동시 풍천면에 소재한 참외밭에서 성충을 채집하여 PCR 분자진단기법으로 동정하였다. 전체 11 곳의 채집 장소에서 Q 생태형 담배가루이를 진단하였고, 이 가운데 4 곳의 채집 장소에서 B 생태형도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북지역 참외 재배지에서 담배가루이가 발생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며, 특히 두 생태형이 동일한 재배지에 혼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infest the Oriental melon and give significant economic damage along with its virus-vectoring activity. Various biotypes of B. tabaci have been well known and a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crop damage and insecticide susceptibility. In this study, B. tabaci adults were collected in the melon fields located in Poongchun-myeon, Andong, Korea and diagnosed on their biotypes using PCR molecular markers. From the all the 11 greenhouses, B. tabaci biotype Q was identified. In addition, biotype B adults were also found from the 4 greenhouses. These results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B. tabaci at the Oriental melon farms in Gyeongbuk province with mixed infection by the two biotypes in the area.

      • KCI등재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에 관한 연구

        김은성,박영우,김경애,김정연,이은숙,윤혜영,이현심,곽혜경,윤차영,주유란,최진영,유지수 병원간호사회 2007 임상간호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tress, social supports, stress coping,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mong the family member of the patients in ICU.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0 family members who were primary caregivers of the patients in medical, surgical, and neurosurgical ICU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y 3, and August 20, 2007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family stress was 4.29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tress level depending on having or not surgical operation (p=.021). The mean score of the family's coping was 3.05. The family's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ncome (p=.0001), health (p=.002), and care giver's degree of educ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s stress and coping (p=.000) and between coping and social support (p=.000). Conclusion: The stress level of the ICU patients' family was assessed high. So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for reducing their stress, improving their coping, making the best use of the social support.

      • 좌심실내 유두상 섬유 탄력종 환자의 마취 관리 - 증례 보고 -

        김은성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8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3 No.2

        We present a rare case of movable mass which attached to chordae and papillary muscle of anterior leaflet of mitral valve in left ventricle discovered preoperative echocardiography. The mass had risks of mechanical obstruction and hemodynamic instability. The patient underwent excision of mass and mitral valve replacement. The diagnosis of papillary fibroelastoma was confirmed by histologic examination. The surgery was done without any complications by safe and cautious anesthetic management without any complications.

      • KCI등재

        배추좀나방 월동 조건과 야외 월동집단의 유전적 변이

        김은성,최봉기,박영진,차욱현,정충렬,이대원,김광호,김용균,Kim, Eunseong,Choi, Bongki,Park, Youngjin,Cha, Ookhyun,Jung, Chungryel,Lee, Daeweon,Kim, Kwangh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It has been unclear whether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can overwinter in Korean field conditions. This study determined overwintering conditions of P. xylostella by conducting field exposure tests based on its cold tolerance and monitoring overwintering populations by direct examination of overwintering larval habitats and capturing adults with sex pheromone traps. In addition,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were analyzed using polymorphic genetic markers to trace their sources. When all immature stages of P. xylostella were exposed to $-5^{\circ}C$, which was the temperature much above their supercooling points, they significantly suffered with direct cold injuries, where larval stage was most tolerant to the cold injury. However, the exposure to $5^{\circ}C$ for a long period (4 weeks)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cold injury to nonfeeding stages, while this treatment gave lethality to larval stage without diet. When all developmental stages of P. xylostella were exposed to open field conditions during winter, they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of survival rates. However, some protected and indoor conditions reduced the cold injuries and the diet provision significantly increased larval survival rates. Adult monitoring with sex pheromone during winter period indicated that the first captures were observed at similar periods at different locations (${\approx}260$ Km apart). The overwintering adults were captured until early April. Genetic variation of these overwintering populations was analyzed with polymorphic molecular markers, indicating significant genetic divergences among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P. xylostella can overwinter in southern Korean fields or some protected greenhouses with host plants.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이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지 명확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배추좀나방의 내한성에 기초한 야외 노출 실험을 실시하여 월동 환경 조건을 결정하고, 동계 야외 지역의 배추좀나방 유충 서식지 관찰 및 성페로몬을 이용한 성충 모니터링을 통해 월동이 가능한 지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월동집단의 유래를 추적하기 위해 다형유전좌위를 이용한 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추좀나방의 체내빙결점 보다 높은 $-5^{\circ}C$로 처리한 결과 모든 미성숙 발육태에서 뚜렷한 생존력 저하를 보여 직접적 냉해 피해를 주었다. 여기서 유충발육태는 가장 낮은 냉해 피해를 받았다. 그러나 $5^{\circ}C$로 장기간(4 주) 처리한 결과 냉해 피해는 없었지만, 유충의 경우 먹이가 없는 상태에서 치사율이 증가했다. 모든 발육태의 배추좀나방을 대상으로 겨울 기간 동안 야외조건에 노출시킨 결과 모든 발육태에서 생존력 저하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가온 실내조건에서 저온 피해를 줄였으며 유충의 경우 먹이가 공급되면 생존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동계 성페로몬 모니터링 결과 2014년도 최초의 성충발생일은 유사한 시기에 서로 다른 지역(약 260 Km 거리)에서 나타났으며 월동집단의 성충은 4월 상순까지 포획되었다. 지역간 이들 월동집단의 유전적 거리는 다형분자마커를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이들 월동집단들 사이에 뚜렷한 유전적 분화가 있는 것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이 남쪽 지역 또는 기주 식물이 있는 시설재배지에서 가능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동적 패널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정책의 OECD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효과 분석

        김은성,허은녕 한국환경경제학회 2016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0 No.2

        To achieve the socially optimum level of renewable generation, governments should design renewable policies to induce renewable technologies competitive with conventional generation technologies. And to do that, it is needed to understand how each policy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renewables for power sector. In most of the literatures, there are two key limitations that they did not considered autocorrelation problem using the amount of generation from renew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echnology innovation which needs to be preceded technology adoption. In this study, I try to overcome these two problems by using dynamic panel model and adding an additional variable for technology inno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IT has been effective rather than RPS in promoting renewables for generation and I found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terintuitive results which commonly appeared in existing studies might be due to the two limitations mentioned above.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정책이 재생에너지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는 종속변수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사용하고 있는데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문제의 발생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정태적 모형을 쓰고 있다는 점, 기술채택에 선행되어야 하는 기술혁신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패널 모형(dynamic panel model)을 이용하고 기술혁신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위의 두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FIT가 RPS보다 재생에너지 보급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고, 재생에너지 기술혁신 또한 재생에너지 확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직관과 어긋난 결과를 도출한 데에는 위의 두 한계점이 원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국가재난안전관리 정책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김은성,정지범,안혁근,함종석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위험의 세계화, 대형화, 복잡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재난안전관리전략을 구축필요 - 기후변화 및 신종전염병 등 새로운 형태의 위험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최근 미국의 서브파라임 사태로부터 비롯된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인하여, 세계 각국은 실업, 빈곤, 자살 등 사회경제적 위험 증가 - 세계화와 함께 위험은 이제 더 이상 어느 한 지역의 국지적인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전환되어, 복잡화, 대형화됨 - 이러한 새로운 위험 특성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의 국가재난안전관리패러다임과 전략을 분석하고, 새로운 재난안전 관리전략을 마련할 필요 ○ 세계 주요국의 국가 재난안전관리정책은 관료주의, 신공공관리론, 거버넌스 등 세 가지의 행정학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추진되고 있음 - 첫째, 관료주의 접근에 기초한 “명령과 통제” 패러다임은 강력한 규제를 통하여 위험을 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시스템 구축 - 둘째, 신공공관리론적 접근에 기초한 “전사적 위험관리시스템(ERM)”은 조직내부에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체의 위험관리 추진 - 셋째, 네트워크 거버넌스(협력적 거버넌스)는 정부가 민간부문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 위험관리 추진함 ○ 정책패러다임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재난안전관리정책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재난안전관리 정책 도출 필요 - 우리나라 재난안전관리정책은 관료주의적 패러다임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실행적 차원에서 전사적 위험관리와 민관협력 거버넌스가 도입 - 하지만, 서로 다른 정책패러다임에 입각한 정책이 정책 수단 및 도구적 측면에서 효용성만 논의되고, 보다 거시적 패러다임 차원에서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분석 미흡 - 그 결과 실행되는 정책 수단과 조직의 형태 및 문화, 의사결정방식, 그리고 위험관리 리더십간의 간극을 낳음으로써 정책 집행 미흡 발생 □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재난안전관리관련 ① 정부 부처간관계 ② 민관협력, ③중앙부처의 위험관리역량을, 세 가지의 정책적 패러다임측면에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재난안전관리 전을 개발하는 것임 ○ 국가재난안전관리체계에서의 부처간 역학관계 분석 - 국가재난안전관리체계에서 부처 간의 위계구조와 권한의 작동방식 분석 -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부 부처의 역할과 기능 및 부처 간의 관계, 의사결정 추진 방식 분석 - 소방방재청과 행정안전부의 기능 및 책임의 중복 - 국가재난안전대책본부와 부처의 중앙사고수습본부, 재난책임기관간의 위계 구조 및 권력의 작동방식 분석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차원의 민관협력 분석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차원에서의 민ㆍ관 협력을 비교 분석하면서 명령과 통제 패러다임과 협력적(네트워크) 거버넌스 패러다임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 - 민간기업, 관변적 민간단체, 비정부시민 단체간의 민관협력의 정도 - 민간동원 및 민간의 자발적 참여 등 민간협력의 추진방식 분석 - 민간협력의 유형 -- ① 재난예방복구에서의 민간자원의 동원, ②정책수립단계의 민간 참여, ③정책실행단계의 민간참여-- 비교 분석 - 네트워크(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공무원과 민간단체관계자간의 접촉 수, 접촉방식, 신뢰도 평가 ○ 정부부처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 부처의 최고위험관리자의 리더십 및 조직의 인적자원 분석 - ISO9000등 국제재난관리표준의 도입 등을 포함한 부처의 위험관리전략 및 정책분석 - 부처의 위험관리에 대한 내부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및 모범사례 발굴을 통한 내부 평가 분석 - 부처위험관리와 위험관리에 대한 성과평가의 이원화를 통한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평가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재난정책패러다임 비교 및 장단점 분석 □ 해외주요국 위험관리의 특징 ○ 위험관리에 있어 정부의 역할 - 기본적으로 국가는 “재난으로부터 국가가 국민을 보호할 책무가 있으며” (헌법 제34조 제6항) 이와 함께 관련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규제자로서, 그리고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함 ○ 위험관리의 범위의 확대와 참여의 증진 - 최근 전세계적으로 국가 위험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국방 및 자연재난 중심의 위험관리 체계가 전범위로 확산되었고, 시민사회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 당사자의 참여가 증진되고 있다는 것임 - 이와 함께 신공공관리론적 특성을 반영한 ERM적 요소가 강화되고 있음 - 그러나 최근의 국제정세에 따른 테러의 위협 등으로 명령과 통제시스템이 다시 강화되고 있는 추세도 확인할 수 있음 □ 한국의 국가재난안전관리체계의 특징 ○ 예방이후의 재난관리단계(대비-대응-복구)에 초점을 두는 조직적 체계 - 우리나라 재난안전관리체계는 안전관리위원회와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구조통제단 등을 주요 주축으로 구성되어 있음 - 이 모든 조직들은 항상 운영이 되는 상설조직이 아니며, 재난발생 등 주요사안 발생 시 소집되는 임시 조직임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조직체계가 대칭적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 - 안전관리위원회,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은 중앙 및 광역, 지자체에 동일하게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서로 간의 연계가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 있음 - 이러한 조직체계의 연동성은 정부 간 신속한 지휘체계의 확립을 위해 매우 필수적임 ○ 국가재난관리체계의 조직체계에서 민ㆍ관협력은 제외되어 있음 - 국가재난안전관리에서 민관협력은 실제 많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재난관리체계는 공조직만을 소개하고 있으며, 관련 민간단체는 제외되어 있음 □ 국가재난안전관리에서의 부처간 관계 ○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 의한 정책조정 - 현재 재난 전에는 부처 및 기관 간 상호협력 및 조정보다는 주요부처중심의 위계적 운영을 통하여 주로 일어나는 반면, 재난 후에는 부처 간 상호협력 및 조정의 정도가 재난 전 보다 더 증가 - 바람직한 방향의 측면에서는 재난관리단계와 관계없이 주요 부처 중심의 위계적 운영보다는 부처 및 기관간 상호협력 및 조정이 보다 필요 ○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문제점 - 각 부처의 업무특성과 운영방식 등을 이해하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업무 운영 - 회의전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의를 통한 의사조율이 미흡하고, 신속한 기관간의 업무협조 미흡 - 재난상황 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실질적인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나, 실적 중심의 위원회의 운영으로 오히려 중앙사고수습본부(해당 부처)의 재난상황관리에 지장을 초래 ○ 부처간 협력정도 - 지방정부공무원 중앙부처간 협력이 잘 안 되는 것처럼 인식하고 있으나, 중앙공무원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 - 지방정부공무원은 여러 부처로의 이중보고로 인하여 부처간 협력이 잘 안 되는 것으로 인식 ○ 재난안전관리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재난관리책임기관간의 협력 정도 -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재난안전관리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그리고 재난관리책임기관의 협력이 보통 이상으로 비교적 잘 일어나는 것으로 평가 - 조직간 협력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1)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재난안전대책본부간의 기능혼선, 2) 소방방재청과 행정안전부 안부의 지휘체계의 이원화임 ○ 미래의 바람직한 위험관리에서의 부처간 관계 -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부처간 상호협력 및 조정에 의한 위험관리를 미래의 바람직한 위험관리양식으로 가장 선호 - 행정안전부는 총괄부처의 통합관리를 선호하지만, 여타 부처 및 관계기관은 한 부처의 통합적인 명령과 지휘체계보다는 부처간의 협력이 보다 바람직하게 평가 ○ 시사점 - 국가재난안전관리에서의 부처간 관계는 관료주의적 명령과 통제패러다임에 의해 주요 부처중심으로 위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부처 간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증가됨 - 재난관리단계별 작동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재난발생 후 단계에서 총괄부처의 위계적 운영보다는 주요부처간의 정책 및 조정이 보다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평가 ㆍ 재난이 발생 전에는 주요 정책관련 심의가 주로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서 얼어나는데, 이는 총괄부처 및 정책을 만든 주요 부처 중심으로 정책이 만들어지고, 향후 최종 조정 및 승인과정에서 타 부처가 참여하는 형태로 추진됨 ㆍ 재난이 발생한 후에는 관련부처가 모두 동시에 재난복구에 참여함으로써 협력과 조정의 필요성이 보다 더 증가된 것으로 판단됨 - 정부 부처들은 부처간 상호 협력관리> 총괄부처 통합관리> 부처 자율 분산관리순으로 국가재난안전관리를 선호 ㆍ 이러한 부처 간 협력관계를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서 신속한 부처 간 의견조율이 필요하고, 타 부처의 현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 ㆍ 재난 발생 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간의 업무조정 및 기능 분담이 잘 이루어져야 함 ㆍ 소방방재청과 행정안전부간의 지휘체계에 대한 혼선이 앞으로 개선 필요 □ 국내 재난안전관리관련 민ㆍ관 협력 인식 현황 ○ 민ㆍ관 협력의 필요성과 현재의 정도 - 우리나라 민관협력은 보통수준은 넘지만, 기대치에는 부족하다고 공무원들은 판단하고 있음 - 민ㆍ관 협력의 필요성에 비해 현재의 민관협력의 정도는 부족 ○ 민ㆍ관협력 대상 비교 평가:관변적 민간단체, 민간기업, 비정부시민단체 - 민간부문은 관변적 민간단체, 민간기업, 비정부시민단체, 자원봉사자 구성 - 민관협력이 많이 일어나는 협력대상은 공무원들은 관변적 민간단체>비정부시민단체>민간기업의 순으로 나타남 ○ 앞으로 필요한 민관협력대상 - 지방정부 공무원은 비정부시민단체>관변단체>민간기업 순으로 답했으며, 중앙정부 공무원은 민간기업>비정부시민단체>관변 민간단체로 답하였음 ○ 민ㆍ관협력의 추진 방식 - 민관협력의 추진방식에는 민간단체를 동원하는 방식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기초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 있음 - 지방정부 공무원은 동원위주의 민관협력 방식을 추진하며, 중앙정부 공무원은 자발적 참여위주의 방식 선호 - 지방정부의 경우는 비정부시민단체>관변민간단체>민간기업 순으로 동원보다는 자발적 참여 선호 - 중앙정부의 경우는 비정부시민단체>민간기업>관변민간단체 순으로 자발적 참여 선호 ○ 민관협력의 유형 - ① 재난예방 및 복구 시 민간동원, ② 정책수립단계에서의 민간참여, ③ 정책실행단계에서의 민간참여 등 세 가지 민관협력 유형 존재 - 중앙정부공무원들은 재난예방 및 복구 시 민간동원>정책수립단계에서의 민간참여>정책실행단계에서의 민간참여 순으로 현재의 민관협력 평가 - 미래의 민관협력의 방향은 정책수립단계에서의 민관 협력>재난예방/복구시 민간자원의 동원>정책실행단계에서의 민간 참여 순임 ○ 민ㆍ관 협력 신뢰도 평가 - 개념 ㆍ 협력적(네트워크)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분석요소는 미시사회적 차원에서의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의 개인적인 신뢰임 ㆍ 협력적 거버넌스는 법적, 제도적 관계를 넘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신뢰가 없다면 네트워크는 존재할 수 없음 ㆍ 예컨대, 공무원조직이나, 기업내부조직의 경우는 직급에 따라 권한이 부여되기 때문에, 직급과 직위에 따라 구성원들 간의 역할이 부여되나, 그러한 공식적 관계를 벗어난 이질적 조직들 간의 협력은 관료주의적 권한관계를 통하여 제대로 작동되지 않음 ㆍ 이러한 권력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조직간들 간의 협력은 사회적 자본 즉 신뢰를 통해서만 형성 ㆍ 본 연구는 공무원과 민간단체관계자간 1) 지인 수, 2)접촉방식, 3)신뢰도 평가를 수행 - 민간단체관계자 지인 수 ㆍ 중앙정부공무원과 지방정부공무원들이 상호간 서로 아는 민간단체관계자의 수는 1~5명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음 ㆍ 공무원들이 본인들의 업무와 관련하여 민간단체관계자를 개인적으로 아는 경우가 적은 이유는 순환보직과 관련됨 ㆍ 보통 재난관리조직의 경우 일반조직과의 순환보직이 2년 이내에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민간단체관계자와 업무적으로 개인적인 접촉을 할 수 있는 기회 미흡 - 민간단체관계자 접촉 방식 및 접촉 수 ㆍ 민간단체관계자와의 접촉방식을 1)대면접촉, 2)공문, 3) 유무선 연락의 세가지 방식으로 분석 ㆍ 신뢰에 가장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민간관계자 접촉 방식은 대면접촉>유무선연락>공문으로 평가됨 ㆍ 지방정부의 경우는 재난관리단계에 상관없이 유무선연락>대면>공문 순임 ㆍ 중앙정부의 경우는 재난 전에는 유무선연락>대면>공문 순이나, 재난 후에는 유무선 연락>공문>대면 순이다. 이와 같이 민간단체와의 연락은 유무선을 통하여 주로 이루어지고, 공문은 선호하는 방식이 아님 - 접촉횟수 ㆍ 지방정부의 경우는 접촉방식과 재난관리단계에 상관없이 한달 한번>반년한번>일년 한번>일주일 한번이상 순임 ㆍ 중앙정부의 경우는 접촉방식과 재난관리단계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 * 대면접촉의 경우는 재난 전에는 일 년 혹은 반년에 한번 주로 만나며, 재난 후에는 일 년에 한번 또는 한 달 한 번에 주로 만남 * 공문연락의 경우에는 재난 전에는 반년 한번 또는 한 달 한 번의 접촉이 가장 높고, 재난 후에는 반년 한번 접촉이 많음 * 유무선연락의 경우는 재난 전, 재난 후 모두 한 달에 한번 접촉이 많음 ㆍ 따라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접촉 횟수를 기준으로 평가할 때, 지방정부가 중앙정부보다 민간단체를 더 많이 접촉하고 있음 - 종합적으로 보면 접촉방식의 측면에서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가 민간단체와 접촉할 때 공문보다는 유무선 연락과 대면접촉을 더 사용하고, 가장 많이 접촉하는 접촉횟수의 분포의 측면에서도 지방정부가 한 달 한번 접촉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이는 지방정부 공무원이 아는 민간단체의 지인수가 중앙정부의 경우보다 많은 것과 연관이 되나, 지인수가 많은 것과 신뢰도가 높은 것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 - 단순신뢰도 평가 ㆍ 민간단체에 대한 단순신뢰도 평가에서는 지방정부/중앙정부 모두 보통수준이상으로 평가 - 질적신뢰도 평가 ㆍ 지방정부의 공무원들이 민간관계자들을 불신하는 원인은 진실성>능력>객관성>공평함>일관성 순임 ㆍ 중앙정부 공무원의 경우는 능력=진실성>객관성 순임 ○ 재난유형별 민관협력 분석 - 수해와 산불의 사례에서는 민ㆍ관협력을 통해 재난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 조류독감의 경우 인수공통전염병이기 때문에 민ㆍ관협력이 불가능 하며, 명령과 통제패러다임 하에서 공무원조직 위주로 재난복구가 되고 있음 ○ 재난관리단계별 민관협력의 변화 - 재난관리단계별로는 거버넌스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음 ㆍ 수해나 산불은 재난 복구과정뿐만 아니라, 재난 예방과정에 의용소방대와 지역 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민간이 참여함 ㆍ 하지만 조류독감의 경우 복구도 공무원 위주로 진행이 될 뿐만 아니라, 예찰활동의 경우 검역원 등 전문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재난규모별 거버넌스 변화 - 명령과 통제는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관료조직의 규모와 역량이 충분할 때 효과적이나, 재난에 비해 대응조직의 규모가 작을 경우 공조직 외 다른 자원을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협력적 거버넌스가 필요함 ○ 부처간, 정부간, 민관간 협력적 거버넌스의 비교 -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경우 협력적 거버넌스는 민관협력>정부간협력>정부부처간 협력순으로 잘 되는 것으로 평가 - 중앙공무원의 경우는 반대로 정부부처간 협력>정부간협력>민관협력순으로 잘되는 것으로 평가 ○ 시사점 - 중앙정부 주도의 민ㆍ관협력 ㆍ 중앙정부차원에서 민관협력의 조직적 체계는 “재난안전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체계화되어 있으나, 지방정부의 경우는 아직 체계화 미흡 ㆍ 지방정부의 경우도 지역의 의용소방대, 자율방재단를 중심으로 민ㆍ관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발적으로 만들어졌다기보다는 중앙정부의 주도에 의해 형성 ㆍ 안전도시사업도 서구의 경우는 지역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앙정부 주도로 만들어 지고 있음 ㆍ 중앙정부 주도 민관협력 프로그램은 풍부한 자원으로 추진동력에 있어서는 좋으나, 지속성과 연속성이 부족할 수 있음. - 관변민간단체 중심의 민ㆍ관협력 ㆍ 민ㆍ관협력은 정부의 지원을 받는 관변 민간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정부시민단체와 민간기업의 참여는 매우 적은 편임 ㆍ 다양한 이질적 조직들 간의 협력과 조정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료주의적 통제방식으로는 쉽지 않을 수 있으며, 민간조직간 갈등 야기 가능 ㆍ 따라서 민ㆍ관협력의 유형을 다양화시키고, 그 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방공무원들이 갈등을 조정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협력적 재난관리 전문성 필요 - 민간자원 동원중심의 민ㆍ관 협력 ㆍ 우리나라의 민관협력은 재난복구과정에 민간자원을 동원하는 활용하는 부문에 가장 중점을 두었음 ㆍ 정책 수립과정에의 민간참여 및 정부주도민관협력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 민간이 참여는 상대적으로 미흡 ㆍ 공청회를 통한 민간의견의 수렴을 넘어 재난안전관리정책관련 정부위원회에 민간이 직접 참여하여 정책의 수립 및 심의과정에서 민간 참여 부족 ㆍ 중앙안전관리위원회는 정부관료 위주로 만들어져 있으며, 지역안전관리위원회에 민간부문의 참여가 있으나, 그 참여 비중이 매우 낮음 ㆍ 현재, 정부공무원들은 민ㆍ관협력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개선하려고 하고 있지만, 여전히 민관협력의 추진 방식은 동원위주의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 ㆍ 민관협력의 대상을 다양화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을 잘 활용해야 하는데, 기존방식대로 전통적 관료주의로 추진한다면, 기대했던 성과를 얻을 수 없을 것임 □ 정부부처 위험관리 역량분석 ○ 신공공관리론 (ERM) 관점의 중앙부처 역량 평가의 틀 - 영국 부처의 위험관리 역량 분석을 위해 활용한 위험관리 분석 프레임웍 (The Risk Management Assessment Framework)을 변형하여 아래의 5개 요소를 제시 - 리더십, 위험관리 전략과 정책, 인적자원, 위험관리 절차, 위기관리 성과의 관리 및 개선 ○ 이에 따른 평가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다른 분야에 비하여 위험관리의 프로세스의 측면 (3.27)과 위험관리 성과평가(2.87)가 특히 낮은 평가를 받았음 ○ 위험관리 프로세스의 체계와 공식화 부족 - 대부분의 부처 공무원들이 아직까지 위험관리의 일반절차로서의 위험 확인 (risk identification),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대응 방안 마련(risk treatment)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위험관리 절차에 대하여 무지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위험관리의 방법을 영국에서와 같이 공식화하는 경우는 전무하였음 -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ERM의 가장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인 위험관리 절차의 공식화가 진행이 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 ○ 위험관리의 성과평가 시스템의 문제점 -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ERM의 관점에서의 내부통제(Internal Control), 외부 감사, 평가, 명성(reputation)의 관리 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임 - 이러한 결과는 현 정권을 포함하여 이전 정권에서 수행해 온 정부개혁과 업무 평가의 노력이 아직까지는 재난안전관리 분야에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 - 다른 한편으로는 정량적 지표의 제시가 용이하여 성과관리가 쉬운 다른 분야의 업무와는 달리 재난안전관리에 있어서는 성과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음 □ 연구요약:재난안전관리패러다임별 국가재난안전관리 분석 ○ 명령과 통제 패러다임에서의 국가재난안전관리 - 우리나라 국가재난안전관리의 부처간 관계, 정부간 관계, 민관간 관계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중앙정부의 명령과 통제에 의한 관료주의적 패러다임에 의해 지배적으로 작동 - 중앙정부의 명령과 통제에 의해 국가재난안전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방의 특성을 고려한 자치적 재난안전관리 역량은 미흡 - 민ㆍ관협력도 중앙정부의 명령과 통제에 의해 관료주의적 방식으로 진행되며, 중앙정부주도의 민ㆍ관협력, 관변민간단체중심의 민관협력, 자발적 참여보다는 동원위주의 민ㆍ관협력의 성격 가짐 - 명령과 통제 관점에서 볼 때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의 명령과 통제 시스템의 이원화 시스템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임 ○ 협력적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의 국가재난안전관리 - 협력적(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재난안전관리정책의 미래 이상향임 - 공무원들은 미래의 국가재난안전관리가 명령과 통제보다는 보다 협력적 거버넌스로 전환되기를 바라고 있으나, 현 정책의 작동방식은 관료주의 방식 답습 - 많은 공무원들(특히 지방공무원)들은 민간부문을 하나의 재난관리의 자원으로 동원위주의 정책을 선호하고 있으며, 민간이 재난관리의 “참여 주체”가 아니라 하나의 “자원”이 될 때, 민관협력은 관료주의의 확장임 - 협력적 거버넌스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만드는데 정부의 역할은 매우 크며, “통제자”(controller)가 아니라 조정자(coordinator)로써 새로운 역할이 필요 ○ ERM(전사적 위험관리)관점에서의 국가재난안전관리 - 우리나라 정부 부처는 ERM에 기반한 다양한 정책(표준, BCP 계획)등은 만들고 있음 - 그러나 ERM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감사부 혹은 성과관리부서에 의한 조직의 재난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이차적 위험관리”(secondary risk management)는 제대로 추진하지 않고 있음 - 각종 재난관리표준 및 품질인증체계를 갖추고 있더라도 내부 통제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다면, ERM 방식의 국가재난안전관리를 추진한다고 할 수 없음 ㆍ 내부통제시스템의 하나의 핵심적 요소는 위험관리활동부서와 위험관리평가부서의 철저한 분리임 - 현재 우리나라 중앙부처조직은 내부 감사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조직행위에 대한 감사만을 수행하지, 재난관리에 대한 성과관리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음 ㆍ 감사시스템과 재난안전관리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중앙부처의 재난 및 안전관리는 재난관리부서내에서 일어나거나, 아님 재난안전안전관리기본계획의 총괄부처인 국무총무실이나,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짐 - 중앙부처의 정책 중에 ERM에 기초한 정책 및 전략들은 존재하지만 그것의 추진방식은 조직의 내부의 통제방식이 아닌 전통적 관료주의에 의한 총괄부처의 통제에 기초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ERM적 입장에서의 체계화된 위험관리의 과정이 없는 상태이며, 이에 대한 필요성조차도 공유되고 있지 않은 실정임 Ⅲ. 정책대안 I. Background and Purpose □Background ○National policy paradigms for risk management are based on three policy theories: ① bureaucracy, ② new public management, ③ governance - The command- control paradigm is based on bureaucracy within a hierarchical system -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is based on new public management theories. ERM seeks to establish an internal control system within organizations for risk management - Network governance seeks collaborative networks amo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nalyze Korean risk policies from a policy paradigm perspective and then develop new risk policies for Korea - Korean risk policies are mainly influenced by bureaucracy but recently have used various policy tools of ERM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 Lack of in- depth analysis on the hiatus between policy paradigms and policy practices □Purpose ○To analyze inter- ministerial relationships in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analyze public- private collaborations at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To analyze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of governmental ministries II. Results ○Comparison of Policy Paradigm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nalysis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perspective - Inter- ministerial, intergovernmental, and public- private relationships i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re mainly dominated by the command and control of central government -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gives rise to a lack of autonomous disaster management at the local level - public- private collaborations are led by central government relationships and focus on legally-organized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form of public mobilization rather than of public participation - require role coordin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PAS) and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Analysis from collaborative governance - Collaborative governance is still an ideal for Korean disaster management - public servants seek transformatio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from a command- control system to collaborative governance but still operate public- private collaborations in a bureaucratic way - Many public servants (especially in local governments) treat private organizations as an object for mobilization rather than as a subject of participation - Public- private collaboration in Korea is still an extension of bureaucracy - Governments should be less a controller than a coordinator and facilitator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alysis from enterprise-wide risk management - The Korean government is using various ERM policies such as safety standards and BCP, etc. - However, the “secondary risk management” of audit offices, central to ERM, is not working well - A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without an internal control system in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s not ERM ㆍA key element of internal control is to separate the department of risk management from the department (generally audit offices)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 Due to the absent connection between audit system and risk management system, audit offices within the Korean government do not evaluate the risk management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beyond the assessment of gener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 Even 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practical tools from ERM, it operates it in the form of traditional bureaucracy - The Korean government has no systematic risk management process from an ERM perspective III. Policy Recommend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