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원리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내러티브 접근

        김은미 ( Eunmi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원리인 가치관계 확장법의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롬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을 살펴보고, 내러티브 이론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이 가치관계 확장법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브루너의 연구는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근원적인 원리를 내러티브에서 찾는다. 우리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서 정체성이 형성되고 확장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그의 이론은 삶의 이야기로서의 내러티브가 자기 동일성 안에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내러티브와 조우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내러티브가 타인의 해석을 경유해서 변화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루너의 내러티브 접근은 삶의 이야기가 하나의 줄거리로 요약되는 흐름을 가지는 것을 넘어서서 우연성과 의외성도 지닌다는 점을 밝힌다. 이는 삶의 이야기가 규범성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구조를 가진다는 점을 함축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내러티브의 의미를 바탕으로 브루너의 내러티브 접근을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치관계 확장법의 이론적 토대로 삼고자 한다. 내러티브는 자아 정체성의 형성과 확장의 원리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가치가 내재된 삶의 이야기가 문화 내적 규범성을 지니면서도 상상력의 세계를 자극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하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enhancement based on values as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Jerome Bruner’s narrative theory, and elucidates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ar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enhancement based on values. Bruner’s research finds the fundamental principle that forms self-identity in the narrative. In other words, our identity is formed and expanded according to how we construct the story of our own life. Next, his theory emphasizes that narrative as the story of life does not repeat itself in self-identity, but rather encounters the narratives of other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narrative solidifies one’s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it chang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by others. Lastly, Bruner’s narrative approach demonstrates that not only can the story of life be summarized into a single plot, but it also has contingency and unexpectedness. This implies that the story of life not only contains normativeness, but also has an open structure to accept new values.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discussed above, this study intends to use Bruner’s narrativ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enhancement based on values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is is because narrative not only works as a principle of formation and expansion of self-identity, but is also the key to understanding how the story of life with embedded values stimulates our imagination while retaining the normativeness within a culture.

      • KCI등재

        신체활동 가치중심 교육과정의 현장 정합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탐구

        김만의(Kim, Man 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2007․2009 개정 신체활동 가치중심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실행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D광역시와 K도 초등학교 체육 전담 남교사 3명을 선정하여, 질문지, 심층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제별 약호화 및 분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가치중심 교육과정이 전인교육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기능부족에 따른 수업 부담을 해소하여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이고 즐거운 수업을 유도하고, 특히 창의·인성 교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교과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신체활동의 위축과 운동기능의 저하를 초래했다고 비판하고, 체육의 본질적 요소인 활발한 신체활동과 운동기능의 복권을 주장했다. 신체활동 가치 선정과 내용 구성에서는 가치 선정의 주관성, 신체활동 가치의 제한성 및 활동 내용의 폐쇄적 구조화를 비판하면서도 현실을 수용하고 전인교육과 인성교육에 효과적이라는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잦은 교육과정 개정 자체를 현장성이 결여된 그들만의 리그로 받아들이고, 교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개정 주기를 길게, 범위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맞추어 현장교사들이 공감하고 수업 적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연수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how the physical activity value-based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had been accepted and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fields. The subjects evaluated the value-based curriculum as motivating them to see whole person education in a new light, inducing teachers an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and pleasantly by solving the burden of class due to the lack of skills, and particular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negative recognition about subjects by making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easier. On the other hand, they criticized it for stunting physical activities and for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motor skills, and argued that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and motor skills, the essential elements of P.E., should be reinstat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ey assumed a dual attitude by criticizing subjectivity in selecting values, limitation in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exclusive structurization of activity contents, and simultaneously, by accepting the reality and considering it as effective for whole person and character education. Yet, on the whole, they understood the frequent revisions of curriculum itself as their own league wanting in on-the-spotness, and demanded that the period between amendments should become longer and the range of revision should become minim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subject. Lastly, they also ask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raining following revision of curriculum, which can help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sympathize with it and enhance their abilities to apply it to their classes.

      • KCI등재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탐구

        신기철,차민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e and his concerns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of its educational elements, including the teacher. A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narrative inquiry from February 2011 to February 2012 with a single participant who could inform them about his concerns regarding changes in the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and document collection. The meetings with the participant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ccurred seven times, and all the conversations were recorded with the agreement of the participant.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omain analysis and the taxonomic analysis which Spradley (1979) presented, and the research text was constructed through peer briefing and re-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with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urriculum showed the patterns that follow: power struggle, which shows the deprivation of authority resulting from the induction of new curriculum; having opened mind, which shows that he has concerns on the availability of new curriculum; reviewing curriculum, which shows the teacher’s self-reflection exposed in the process of re-evaluating the curriculum; and sharing the curriculum values, which shows the expression of authority due to a new belief system. Major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teacher’s concerns were the authority and availabil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cultur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체육과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교사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교사 관심의 변화 과정을 교사를 포함한 교육 요소들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변화를 풀어낼 수 있는 연구 참여자 한 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의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7회에 걸친 만남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경험에 대해 연구참여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이를 녹취함으로써 현장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참여자가 의미 있는 경험으로 제시한 수업일지, 에세이, 저널 등의 내용을 이야기의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Spradley(1980)가 제시한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를 전문가 토의 및 연구 참여자와 다시 이야기하기는 과정을 거쳐 연구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유입에 따른 권위의 박탈감으로 대변된 교육과정과 힘겨루기, 교육과정이 주는 유용성에 기인한 교육과정에 마음열기, 교육과정의 재평가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각적 반성을 보인 교육과정 다시보기, 새로운 신념체계가 갖는 권위의 발로로 형성된 교육과정 가치 나누기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 때, 교육과정이 갖는 권위와 그 유용성, 그리고 초등학교 체육교육 문화가 각 변화의 주된 동기 요인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영역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영역형 경쟁활동 부분의 탐구경향성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학교 3~4학년군 검정 교과서 총 8종의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탐구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Romey의 교재 분석법의 본문 평가 지수,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활동 지수를 활용하였다. 결과 평균 본문 평가 지수 값은 0.17이었으며, 0.074~0.43의 범위에 있었다. 본문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G교과서(0.43)로 나타났고, F교과서(0.074)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값은 1.01이었으며, 0.411~2.166의 범위로 모두 탐구적 성향의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H교과서(2.166)로 나타났고, C교과서(0.411)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값은 3.24이었으며, 1.428~7의 범위에 있었다.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E교과서(7)로 나타났고, A교과서와 C교과서(1.428)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활동 지수 값은 0.93이었으며, 0.625~1.179의 범위로 모두 탐구적 성향의 교과서로 나타났다. 활동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E교과서(1.179)로 나타났고, H교과서(0.625)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과서의 본문 내용이 운동 기능 습득을 위한 운동 기능의 전달에 다소 편향된 점은 문제점이라고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의 가장 큰 원인은 체육교육의 목적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신체활동 가치 중심’ 교육의 내용이 다소 명확하지 못하다는 점도 연구 결과의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gitize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nquiry tendency in the invasion competition activities part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analyze the inquiry tendency, this study used the text evaluation index, picture/diagram evaluation index, question evaluation index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and activity index of Romey’s textbook analysis method. Results The mean index value of text evaluation was 0.17 in the range of 0.074-0.43.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text evaluation was Textbook G(0.43) while Textbook F(0.074) was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picture/diagram evaluation was 1.01 in the range of 0.411~2.166, so they were all shown as the textbooks with inquiry tendency.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picture/diagram evaluation was Textbook H(2.166) while Textbook C(0.411) was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question evaluation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was 3.24 in the range of 1.428~7.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question evaluation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was Textbook E(7) while Textbook A and Textbook C(1.428) were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activity was 0.93 in the range of 0.625~1.179, so they were all shown as the textbooks with inquiry tendency.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activity was Textbook E(1.179) while Textbook H(0.625) was the lowest. Conclusions The text contents of textbooks are a little biased towards the delivery of motor skills for the acquisition of motor skills, which could be a problem. And the biggest cause for this result might be the wrong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Also,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y value-based’ education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re not clear, which could be the cause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

        전미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amilies as presented o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of middle school. To do this, I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Changing Families,’ in 11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8th grad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mily-related chapters are expand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new version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hange in families to improve the family life of adolescents. Second, in the 11 type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focusing was on the meaning of the family, the family structure, the function of the family, family roles and family values. There were also no major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Third,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family was defined as the ‘basic group of society’, ‘a group composed by blood relationships, marriage and adoption’, ‘an affective group’ and ‘cohabiting group’.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description of the family was overly romanticized. Such a description of the family does not match the individual family experience of an adolescent. Fourth, all of textbooks dealt with the diversity of the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remarriages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ith these types of families are excessively emphasized, which can result in students having stereotypical images of specific family types. Fifth,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the family was similar among textbooks.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and gender equality was also emphasized. However, such a concept is not considered as proper in a modern society. Thus, the description of a family based on the nuclear family should be sublated. In addition, the explanation of families overall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adolescents can interpret their own family experience rather than as an enlightening declaration of the family which disregards the dynamic relationships individual families actually experience.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교과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술․가정 교과의 목표 중 하나는 가족 대한 이해에 있기 때문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가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가족에 대한 이해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임과 동시에 향후 가족에 대한 바람직한 기술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해설서와 11권의 기술․가정 교과서 중 8학년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가족’ 단원의 비중이 커졌다. 또 청소년의 가족생활 능력의 함양을 위해 오늘날의 가족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강조하였다. 둘째, 11종 가정교과서에서 가족은 가족의 의미, 특성, 형태, 기능, 역할, 가치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전개 양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기술․가정교과서에서 가족은 ‘사회의 기본집단’, ‘혈연, 결혼, 입양으로 이루어진 집단’, ‘애정 집단’, ‘동거 집단’ 등으로 규정했다. 동시에 가족을 지나치게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가족에 대한 이러한 기술은 청소년의 개별적 가족 경험을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넷째, 가족 형태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 간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 모든 교과서에서 가족 형태의 다양성을 강조하였으나 핵가족 이외의 가족이 갖는 구조적 특성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가족 형태와 가족생활의 다양화를 이해하는 데 부족하였고 오히려 고정관념을 강조하는 효과를 낳았다. 다섯째, 가족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간 대동소이 했으며 건강한 가족생활을 이루기 위해 세대 간 협력과 양성평등한 가치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기술․가정 교과가 가족생활의 성공을 위한 가족원의 능력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가족에 대한 설명은 개별 가족의 역동이나 특징을 무시한 계몽적 선언과 같은 방식이 아니라 청소년이 자신의 가족 현상을 주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 다시 돌아보기

        송재익 ( Song Jaei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이 글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생겨났고, 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는지 살펴본 글이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교과 지식 중심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참다운 배움과 경험에 눈길을 돌려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이 있다. 그러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화에 기울어 있다. 또 역량을 몇 가지 목록으로 정해 놓는 것은 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역량을 기르는 것을 교육이 해야 할 일로 보고 있어 결과위주 교육관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역량은 교육의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다루어야 하며, 교육주체가 스스로 기꺼이 교육의 소재로 삼는 품위(品位, transtalent)의 성격으로 바꾸어야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created and how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help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eks to move away from the focus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it can help education by turning its focus to true learning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leaning toward socialization as it emphasizes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Furthermore, it has a list of competencies set, which is not desirable consid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And since it regards developing competencies is regarded as the function of education, it has a problem that its educational perspective focuses on results. Therefore, competence should be treated as a means of education, not as an aim.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turn competence into something of transtalent that main agents of education are willing to use as a source of education.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직업가치관, 취업준비행동 및 NCS기반 교육과정과의 인과적 관계

        김인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1 No.2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in future employability, vocational value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based curricula, with respect to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Al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fit of the hypothetical causal model between employability, vocational value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NCS-based curricula was identified as suitable. Second, occupational values(β= .692),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β= .836), and curriculum based on NCS(β= .465) have a direct impact on employ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NCS-based curricula,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0.513)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the occupational valu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 and employabilit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0.638)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직업가치관, 취업준비행동 및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기반 교육과정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인과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직업가치관, 취업준비행동 및 NCS기반 교육과정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직업가치관(β= .692), 취업준비행동(β= .836), NCS기반 교육과정(β= .465)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NCS기반 교육과정의 관계에서 취업준비행동(0.513)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직업가치관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직업가치관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취업준비행동(0.638)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22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관한 FGI 연구- 현장 도덕교사 및 전문직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박상욱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4

        This study proposes problems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matters to be reflect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2022 moral curriculu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ine moral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Interviews were conducted under the themes of personality and goal, competencies and functions, content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nd policy sup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2015 moral curriculum pointed out the poor composition of core values, confusion in moral and human beings, uncertain status of competencies and functions, problems of value relation expansion methods, and problems of overly detailed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following points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core value of each area should be deleted or the basis for selection should be clar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status and content of the subject human being.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function must be reset.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ubject-centered approach as the principle of the content system. Fifth,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the teacher's right to evaluate must be guaranteed. 본 논문은 현장 도덕교사 및 전문직 9인과의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2022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개발 시에 반영할 사항을 제안한다. 면담은 성격과 목표, 교과역량과 기능, 내용 체계,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정책지원이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은 핵심가치의 허구성, 도덕과 인간상의 혼란, 역량과 기능의 위상 불확실, 가치관계확장법의 문제, 지나치게 세세한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향의 문제 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첫째, 영역별 핵심가치를 삭제하거나 선정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교과 인간상의 위상과 내용을 재정립해야 한다. 셋째, 역량과 기능의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 넷째, 내용체계의 원리로써 주제중심접근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향을 대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의 평가권을 보장해야 한다.

      • KCI등재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및 쟁점 분석 -중학교 도덕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상욱(Park, Sang wo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8

        본 논문은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도덕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쟁점을 도출한 것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교사들은 대부분 적절한 수준이라고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비판점과 요구 사항들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표적으로 도덕함이라는 개념의 모호함, 역량과 기능에 대한 이해 미흡,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에 대한 설명 미흡, 핵심가치 및 내용 영역 구분에 대한 부적절성 등을 지적했다. 현장 교사들의 요구 사항 중에 쟁점으로 드러난 부분은 도덕과의 평가 방향, 내용의 난이도, 주제중심접근, 핵심가치 설정, 성평등 내용 추가 등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현장 교사와 연구자들 간에 심도 깊은 토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zes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moral teachers in middle school about the 2015 moral curriculum and draws on the issues. The current morals and curriculum were mostly perceived by teachers, but there were many specific criticisms and requirements. He pointed out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doing moral, lack of comprehension of competencies and skills,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inappropriateness in distinguishing core values and content areas. Among the requirements of the teachers in the field, the areas revealed as issues are the evaluation direction with morality,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the subject-centered approach, the establishment of core values, and the addition of gender equality. It seems that in-depth discussions should be conducted between field teachers and resear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미래적 생애의 시공간(時空間)을 향한 문학교육의 역할-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은 미래사회의 개인이 살아가는 생애 전체의 시간과 공간을 함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혁신을 해야 한다. 문학이 생활과 다양한 방식으로 호환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미래사회에서 문학교육은 생애 전체를 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소통``을 경험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 고도의 기술문명 속에서 학습자에게 ``심미적 도야``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애교육은 역동적이 될 수 있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술사회학이나 문화사회학의 영향 가치를 잘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교육의 문학교육``은 탈제도화를 지향하고, ``생애교육의 문학교육``은 제도화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should look into the entire life-long time and life-space of each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and a curriculum innovation is needed for interaction of those two(life-long time and life-space). It should develop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literature is compatible with life in various ways. The literature education in future society should be done through the whole life and focus on leading students to experience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ir every lifetime and life-space. Moreover,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m to pursue ``esthetic cultivation`` in high-degree technical civilization and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can become dynamic. The content and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value based on sociology of art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aim deinstitutionaliz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aim institutionalization. And it is advisable that both sides interact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