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영화 캐릭터의 이미지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영화문화의 정체성 왜곡에 대한 논의

        김수남(Kim Su Nam) 한국영화학회 2009 영화연구 Vol.0 No.42

        The invent of camera makes changed human's view from painting's image before that of camera. The photo's image also makes confuse human to watch the reality of object. Because photo's image is variously changeable and often distorted image. So the consume of linage must gurantee the linage of true character in society. Human's nature and emotions will be changed by the life style which is changable by the times. The negative image works makes traditional moral and sense of value. Specially the film industry distorted face's image to brainwash for their purpose of film industry and national profits by starsystem. Nowadays in Korean film how do they deal symbolic face especially making character's image. There are many points of problems in representing character's image. In postmoderntimes the conception of face's image is disorgnized and objected the unique of face. The signs of various the disorganizing film character presents a confused the standard value of daily Korean life. For eample we confirm that the symbolic image of teacher presents the devoted meaning to the Korean spectator but Korean film shows the negative linage of teacher's character's linage which is disorganized a various negative style and character. Korean film follows the style of Hollywood film and they create hollywood's character's image Which are not true character and brainwashes Korean audience in the drection of negative conscienceness. As the main artist of drama actor's images are emphasized. The actors choice their acting method and style to create character's image. As the total arts movie requires audience to feel complicate emotions. So modem films want total art's actor to appear. In the result of new actor appearing requires the new system of study on actor. We say, the movie is the dream. But the movie is shown the represent real life and symbolizing image for the healthy human's life. Therfore the making illusion is creates toward the value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identical character's image by the new concept of acting system. The discussion of represented character's image in movie presents how to understand the main body of film works. And also warn that distorted character's image will bring up the crisis of Korean film culture.

      • KCI등재

        실러의 『미학편지』에서 ‘제3의 품성’의 문제

        김주휘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We think that there are serious contradictions and discrepancies in Friedrich Schiller’s thoughts in Aesthetic Letters and that they are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itself and his overall ideas about aesthetics and morality. We especially think that the arguments about ‘the third character’ can be a good example of the contradictions running through Aesthetic Letters, which is the reason we choose this subject. To begin with, we show the political background of Schiller’s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citizens’ character, especially his worries about the proces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n we consider the two different arguments about the role and the status of ‘the third character’ in Aesthetic Letters. On the one hand, Schiller treats ‘the third character’ as belonging to the middle and transient stage in the way from the natural state to the moral state. On the other hand, he presents it as the ultimate goal of human history, representing the ideal of human totality which we have lost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To explain these two different conceptions of ‘the third character’, we attend to Schiller’s ideas about beauty in the letters to Augustenburg in 1793, and also in Grace and Dignity (1793). We find that Schiller was developing two different ideas about the role and the status of beauty in 1793, and that he did not make explicit the difference or the relation of them. We think it is the reason of there ultimately being two different and contradictory conceptions of beauty and of ‘the third character’ in Aesthetic Letters, which made the work itself quite mysterious and ununderstandable. It also made many commentators skeptical about Schiller’s genuine ethical ideal. However, we think that Schiller consistently pursued the ideal of human totality and that the acquisition of reason and morality by way of aesthetic education constitutes a part of fulfilling that ideal. 우리는 실러의 『미학편지』를 관통하는 모순과 불일치의 문제가 존재한다고 보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미학편지』뿐만 아니라 미와 도덕에 대한 실러의 사유 전반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이라는 판단 하에 그 문제를 직접 다룬다. 특히 『미학편지』의 초반에 등장하는 ‘제3의 품성’에 대한 논의가 저작을 관통하는 모순과 불일치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하여 이를 주제로 선택한다. 먼저 우리는 실러가 품성의 문제를 제기하는 배경과 이유를 살펴본다. 실러는 1793년 아우구스텐부르크 공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문제를 처음 제기했다. 그리고 1793년의 편지를 수정하여 출판한 『미학편지』에서 소위 ‘제3의 품성’이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즉 한편으로는 자연국가에서 도덕국가로의 이행을 위한 중간적 품성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총체적 품성으로서 인간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이어서 ‘제3의 품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1793년 편지로 돌아가 거기에서 실러가 전개했던 미의 역할에 관한 생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1793년에 실러가 미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초점이 다른 두 가지 생각을 발전시키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것이 서로 다른 미의 관념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 하지만 실러가 서로 다른 미의 관념들의 차이와 관계를 분명히 하지 않음으로써 『미학편지』에 치명적인 모순과 불일치의 문제를 초래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미학편지』에는 도덕과의 관계에서 서로 다른 지위를 갖는 미의 관념들이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병존하고 있어서 그것을 매우 이해하기 힘든 텍스트로 만들고 있다. 이는 실러의 궁극적 입장에 대해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우리는 실러가 일관되게 인간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 대한 반론의 증거로 종종 제시되는 ‘인간 발달의 3단계론’은 실러의 전체적 입장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안재성의 『파업』 연구 -내포적 총체성의 결핍과 인물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박규준 ( Gyu Jun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6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의 대표적 작품인 안재성의 『파업』에 형상화 된 총체성의 결핍과 인물의 의미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파업』의 총체성의 미약함은 작가의 개입으로 텍스트에 작가의 목소리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그 방식은 텍스트에서 사건 상황에 대한 작가의 직접적 설명, 지식인 활동가에 대한 관념적 묘사, 서사 결합의 도식성으로 나타났다. 『파업』 의 상징질서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인물의 의미 관계는 장상대, 김진영, 김동연을 통해 형상화되었다. 상징질서를 절대화한 자본가 계급인 장상대는 지배이데올로기의 과잉적 억압과 법질서 파괴로 형상화되었고 상징질서에 상징화되지 않고 상상적으로 초월하는 노동자 계급인 김진영은 윤리적 행위인 죽음으로 윤리적 주체가 되었다. 그리고 상징질서를 현실적으로 전복하는 노동자 계급인 김동연은 윤리적 행위를 반복하는 파업투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와 같은 『파업』의 인물의 의미 관계는 당대 사회현실의 대립적 계급관계와 새로운 유토피아를 지향했던 노동현실을 총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lack of intensive totality and the meaning of character`s relationship described in An Jae-Seong`s A Strike which is one of the major labor novels in the late 1980s. The work is absent or lack of the totality because the author`s voice is directly expressed by the writer`s intervention in the text. In the work his voice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his direct explanation for the incident, the abstract description of the intellectual activist and the schematic narrative composition. Characters such as Chang Sang-Dae, Kim Jean-Young and Kim Dong -Yeon represent the meaning of character`s relationship made by the symbolic order of the work. Chang Sang-Dae who is the capitalist class absolutizing symbolic order is described as excessive oppression of the dominant ideology and destruction of law system. Kim Jean-Young who is the labor class not included in the symbolic order but imaginarily transcending it becomes an ethnical subject through the death of the ethnic behavior. Finally, Kim Dong-Yeon who is the labor class subverting the symbolic order leads the strike repeating ethnical actions to victory. The meaning of character`s relationship in A Strike depicted the hostile class relationship in those days and the reality of labor heading toward a new utopia.

      • KCI등재

        약관규제법상 일부무효의 특칙에 관한 연구

        최병규 한국경제법학회 2011 경제법연구 Vol.10 No.2

        Transaction per standard contract terms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everyday life of the people. The current society is mass consumption society. Therefore, standard contract terms play very important role in modern consumer society. In other words, standard contract terms has important roles in modern, mass product society,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surance and banking business. But the interest of the clients can be neglected by the unfair standard contract terms. According to civil law(§ 137 Korean Civil Code) partial invalidity leads to total invalidity. But the interest of the consumer can be neglected, when we adopt it in its integrity in the field of standard contract terms. Therefore § 16 korean unfair contract terms act regulates its exception. That is, partial invalidity leads not to total invalidity, but the contract itself is valid. When it is too severe, then the contract totally invalid. Through it korean unfair contract terms act protect the consumer. It happens very often that people confront problems with the use of inadequate standard contract terms. One of the rule about regulating standard contract terms is the special rule of partial invalidity. The special rule of partial invalidity is regulated in § 16 korean unfair contract terms act. It is also regulated in § 306 German Civil Code. The rule is therefore a kind of global standard. The court decisions in korea have some problems in the field of the application of this rule. It should apply the rule more clearly and definitely. Of course, the special rule of partial invalidity should be also applied in insurance contracts. Insurance contracts have some special character. Nevertheless, the standard contract terms of insurance is also a kind of standard contract terms. The special character of insurance contracts should not be pointed out so severely in modern society. This is also international trend. We can not adopt the rule of maintaining reduction that is discussed in germany. It can arrogate the purpose of the korean unfair contract terms act. The exception of § 16 korean unfair contract terms act should be bowed to with discretion and very strictly. 우리 약관규제법 제16조는 약관의 일부조항이 무효인 경우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반면 법률행위의 일부가 무효인 경우에 관하여 민법 제137조는 약관규제법과는 원칙과 예외를 반대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약관규제법 제16조를 민법상의 일부 무효의 법리에 대비하여 일부무효의 특칙이라고 한다. 약관규제법 제16조는 사법적 법률관계의 일반법인 민법 제137조의 내용과는 달리 어떠한 약관조항이 무효로 되는 경우 나머지 부분만으로 계약의 내용이 원칙적으로 유효하다고 정하고 있다. 계약의 내용에 흠결이 생긴 부분은 계약내용의 완전성을 위하여 보충이 필수적이다. 그 경우에 보충의 방법으로 고려되는 것이 임의규정․사실인 관습 등에 의한 보충방법이우선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학설의 일반적인 견해이며 이는 타당하다. 나아가 이러한 보충규정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고려되는 것이 법률행위의 보충해석방법인데, 계약당시 당사자의의도․신의성실의 원칙․임의규정 등이 보충해석의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대법원이 인정하는 수정해석의 방법이나 과거 독일에서 논의가 시작된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의 방법도 위와 같은 흠결보충의 한 가지 방법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의 논란이 있다. 생각건대 이를 인정하는 경우 약관규제법의 명문에도 불구하고 약관작성당시부터 약관의 명백성 내지 투명성의 원칙을 준수하여야 하는 사업자로 하여금 그 의무를 면제하여 주는 형국이 되어 우리 약관규제법이의도하는 기본적인 목적으로서 현대의 대량거래 시스템에서 사업자에 비하여 열위의 지위에 있을 수밖에 없는 고객의 이익을 보호하여야 하는 것에 반하는 결과가 되어 부당하기 때문에 이는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우리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재고해야 한다. 앞으로 약관규제법이 더욱 적극적으로 적용되어 활발한 내용통제를 이루게 되면 많은 약관조항들이 약관규제법 제3조에 의한 약관의 계약내용으로의 편입관계나 또는 약관규제법 제6조 내지 제14조의 규정에 의한 무효 등으로 약관에서 제외될 것이고 이에 더욱 약관의 일부무효의 법리가 중요성을 갖게 된다. 약관의 경우 민법의 일반원칙과는 달리 일방적으로 사전 작성되는 약관의 특성상 잔존부분만의 유효한 존속이 원칙적으로 인정된다는 데는 큰 문제는 없다. 다만 동 단서조항의 운용에는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특히 사업자 측에서 이를 남용하는 경우를 막아야 한다. 무효부분의 보충에 있어서는 임의법규에 의한 보충의 대원칙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오늘날 각종 새로운 유형의 계약(리스계약, 자동판매기계약 등)이 출현함에 따라 민법상의 전형계약의 임의법규들이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 해석론 상으로 등장한이론들이 보충적 계약해석과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의 문제이다.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보충적 계약해석, 즉 법원에 의한 계약의 보충은 점점 더 그 범위를 넓혀갈 것이다. 그런데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은 약관규제법의 취지를 일탈할 위험이 있어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계약의보충은 사적자치의 원칙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미국의 1973년 총체전력정책 형성에 대한 연구

        안기현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09 한국군사학논집 Vol.65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ausal factors of Total Force Policy(TFP) in military dimension. Generally, the origin of American reserve forces was known as the citizen soldiers concepts but the basic framework of the current system came from TFP in 1973. TFP is the plan to enlarge the size of US Army shrunk after the Vietnam war. To achieve this goal, the composition of reserve and active forces was considered. Through TFP, the reserve forces was changed from the second rate military resource to the primary means of augmenting the active forces. After the Vietnam war, the size of US Army and military budget were shrunk because of the military failure in the Vietnam war and the change of national policy priorities. But the growing Soviet conventional threat gave US Army a chance to enlarge its size. At that time, Reserve Forces was considered as a primary source due to its economic benefits. Total Force Policy is the Plan. But the upgraded military effectiveness and the political character of Reserve Forces are crucial factors for drafting TFP. After the critical weakness of US reserve forces system found in Berlin Crisis in 1961, the Department of Defense had kept trying to renovate this system. Also after the Vietnam War, US Army itself tried to reform its entire system and especially upgrade its reserve forces. At that time, the linkage role of reserve forces between the military and citizens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set for US Army to recover the trust and support from citizen. Besides, traditional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ongress and reserve forces interest groups did catalytic role in shaping Total Force Policy.

      • KCI등재

        제3자의 게시물로 인한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의 불법행위책임 -대법원 2009. 4. 16. 선고 2008다53812 전원합의체 판결-

        추신영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09

        Many of netizens are write on the cyber space, which is made in Internet Total Information Providers. Therefore, Internet Total Information Providers be responsible for tort liability from defamation of character by netizens. The Supreme Court, in this case is propose legal ground and limit of the tort liability from violation of Internet Total Information Providers. It was the first Supreme Court ruling. The original ruling is application in the Article 3, Section 760 Civil Code in the joint tort. It is demand the deliberate or negligence, illegality, responsibility, a causal relationship. However, this construction is not appropriateto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 ground of legislation in Article3, Section 760 Civil Code. This regulation in not be careful provision but special provision in the Korea Civil Code. For that reason, a joint tort by aid and abet need not relations Korea Civil Code. For that reason, a joint tort by aid and abet need not relations joint.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ruling be resolved about the tort liability of Internet Total Information Providers by illegality writing of the third party. This construction is not appropriate to the privacy protection. another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ruling insist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constitutional right. This opinion is propose a new standard of the construction of law, which is obvious existenced anger. But, I think this opinionis wrong in construction of law.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가 제공한 인터넷 공간에서는 익명의 다수의 네티즌들에 의해 개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도 자신이 제공한 인터넷 공간에서 불법행위가 자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직접 불법게시물을 올린 네티즌의 불법행위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방관하는 제3자가 될 수 없다. 본 대상판결은 제3자의 게시물에 의한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의 불법행위책임에 대한 근거와 한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최초의 판결이라고 볼 수 있다. 원심판결은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의 책임을 민법 제760조 제3항의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책임으로 인정하면서, 위 사업자에게도 고의 및 과실, 위법성, 책임능력, 인과관계 등 일반불법행위법상의 요건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는데, 민법 제760조 제3항의 입법취지나 배경에 비춰볼 때, 이와 같은 해석은 맞지 않다. 왜냐하면, 민법 제760조 제3항은 제1항의 주의규정이 아니라 특별규정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책임에서는 제1항에서 의미하는 고유한 의미의 관련공동성이 유지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제3자의 게시물로 인한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의 불법행위책임을 단독불법행위책임의 법리로 해결하고 있는데, 개인의 인격적 법익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면 이도 타당한 해결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대상판결의 별개의견도 헌법상 보장된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킬 위험이 있다는 점을 들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헌법상 보장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을 해석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자칫 인터넷 종합정보제공사업자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이유로, 개인의 인격적 법익을 소홀히 다룰 위험이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사회성격 논쟁과 마르크스주의-역사적 사회과학과 박현채-

        서동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7 사이 Vol.23 No.-

        In this article, we divide the discourses applied in the social character debate into Marxism and critical social science, and tried to analyze Park Hyun-chae’s theoretical intervention as a case of Marxism’s singular theoretical practice in South Korea. It also aims to reveal that social character debates was the terrain to stage marxist theoretical praxis in South Korea. Unfortunately, it was suspended or ignored with the fall of Soviet bloc to appraise the relevance of Marxism as critical discursive project. Social character debates could be thought as the first and only moment, in which Marxist intervention rushed in social sciences in South Korea since Korean war. In this article, we will find a distinguished Marxist named as Park Hyun-chae, who was elaborating locally specific Marxist theoretical endeavor to present the theoretical body to consist of two components as historical periodization and social formation from historical materialism. Moreover, through this we could step into imagining the history of Marxism embodied with its theoretical bodies, authors, vocabulary, concepts, texts, and arguments, rather than faceless Marxism.

      • KCI등재

        채만식 「낙조」의 서사 양상 고찰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7

        본고는 한국의 근대를 그 자신의 문학적 시선으로 포착하고, 이를 생생한 진실의 한 대목으로 남기고자 한 채만식의 작품인 「낙조」를 살핀다. 이 작품은 채만식이 자기 자신을 풍자의 대상으로 두는 것에 개의치 않으며 그의 작가적 역량이 정점에 달하던 시기에 발표된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여타의 채만식 작품에 비해 뚜렷한 연구 대상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낙조」에 나타나는 인물의 대립을 중심으로 하여 여기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서사적 의미를 보다 면밀하고 적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서 인물 사이의 대립은 평면적이지 않다. 그 대립의 양상은 중첩되어 나타나는 동시에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인물 사이의 대립은 「낙조」의 서사를 진행시키며 그 의미를 구성한다. 그 가운데 함축된 작가의 비판적 목소리가 나타난다. 그리고 다성적인 목소리를 통해 세계와 진리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인식을 유발한다. 각 장에서 중첩되어 나타나는 인물의 대립은 작자의 지양 및 지향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며 서사를 진행시킨다. 「낙조」에서 작자는 후속 세대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전망 의식과 함께 드러낸다. 그리고 그는 황주 아주머니란 인물의 외적 풍자와 함께 내적 풍자를 동시에 시도한다. 이것은 이 땅의 친일파 세력이 어떻게 반공주의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자칭 보수 세력으로 탈바꿈 했는가에 대한 인과적인 맥락을 제시하며 이를 비판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나’와 춘자의 대립을 통해 서술자 ‘나’에 대한 비판, 작가 본인에 대한 비판, 나아가 위선적인 당대 지식인 계층에 대해 다층적으로 비판을 시도하며 서사를 구성한다.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Nakjo” by Chae, Man-shik who tried to understand the modern times of Korea in his own literary viewpoint and wrote about it sincerely. When his authorial capacity reached its peak, he published this work for which he sacrificed himself as the subject of satire. Nevertheless, this work did not gain as much attention as his other works. In this respect, I try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this work more in detail and accurately, focusing on the confront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In the work, the conflict among the characters is not simple and flat. It seems overlapping and complex. such conflict composes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Nakjo” as it flows. That is, his voice implies in it. And at the same time, his multi-natured voices make it possible to attain the holistic awareness of the world and truth. The characters conflict that unfolds and overlaps in each chapter reveals the writer"s direction to go and those he orientates to, leading a narrative effectively. In “Nakjo” the author exposes his own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subsequent generations with his own perspective. And Chae, Man-shik attempts to satire both inner and outer of madam Whangju. He did so to criticize the pro-Japanese groups for disguising themselves from anti-communists to self-proclaimed conservatives through a casual context. In addition, he composes the narrative, trying to criticize the speaker "l" and himself as a writer, and further hypocritically intellectuals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I" and Chun-ja.

      • 드라마틱 발레의 형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종훈,이진숙 東亞大學校附設스포츠科學硏究所 2004 스포츠科學硏究論文集 Vol.22 No.-

        The ballet, as a representative genre of theatrical art, has developed with constant opposition between dramatic ballet laying emphasis upon its dramatic characteristics and plotless ballet putting stress on integrity of dan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ome types of ballet with its brief historical survey. Jean George Noverre(1727-1810), a historical father of dramatic ballet, insisted union of dancing and drama on the basis of his theory "ballet diction". Mikhail Fokin(1880-1942) in the early 20th century, experiments a possibility of "new ballet" with a stress upon synthesis of ballet, completing its "five principles" and he values human's inner emotion and its expression above everything else. In the mid 20th century, Antony Tudor(1908-1987), a successor of M. Fokine's spirit, raised up the level of formal characteristics of dramatic ballet, creating a genre called "psychological ballet". In addition, Kurt Joose(1901-1979) and John Granko(1927-1973) created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dramatic ballet.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 First, plot, a composition of story required to dramatic balle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providing the inner order of work. Second, persons or characters are the main element developing story, Third, action is only direct means to understand persons, and prior to others. Fourth, uniting all expressive elements of theatrical art make sure the synthetic feature which dramatic ballet is pursing as a total art. In conclusion, it can be expected in this study that the formal features of dramatic ballet and its types according to the times would be recognized and received more seriusly and deeply i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ballet.

      • Return to Japan: The Public/Private in Watsuji Tetsuro`s Ethics

        ( Bong Jin Kim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3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3 No.2

        During the 1930s and the early 1940s, ``overcoming modernity`` was the prevailing concern among the Japanese modernist intellectuals. Watsuji Tetsuro (1889-1960) was one of those who looked to past traditions, as the place of community or culture. He tried to set up an ethics of the non-modern human being, yet for the state of Japanese eth-nos. In his Ethics, the public, as the negation of the private or individual, was subject to absolute ``totality`` none other than the state. ``Return to Japan`` was his resolution to ``overcoming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