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말하기 서술시점 연구 -삼인칭 인물에 대해 말하기를 중심으로-

        박성혜 ( Sung Hye Park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1 No.-

        By investigating how so-called ``telling`` point of narration in each of Park, Wan-seo`s short stories is transformed, this research tried to systemize one of traits which Park`s novels` narrative techniques have. Using ``telling`` point of narration is an universal characteristic realized in the whole of Park`s works. Park used two means to use ``telling`` point of narration, which are ``telling about first-person character`` and ``telling about third-person character``. ``Telling about third-person character`` point of narration can be systemized as narration techniques by ``representing as first-person observer`` and ``using narration by third-person character``. ``Representing as first-person observer`` can be compatible with conventional narration by first-person observer that first-person observer narrates story about third-person character. However, it is quite different with narration by first-person observer that narrator is neutral to third-person character(main character). Instead, ``representing as first-person observer`` point of narration shown in Park`s novels has a trait that authoritative narrative self(narrator) narrates story by maintaining his leading position on observing, representing and even judging main character. On top of that, ``using narration by third-person character`` can be compatible with narration by narrator`s viewpoint or character`s viewpoint in light of conventional points of narration. But, that is different with narration by narrator`s viewpoint that narrator narrates characters on omniscient viewpoint. Also, tha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 with narration by character`s viewpoint that one character narrates story on limited perspective. This means that ``using narration by third-person character`` point of narration in Park`s novels has trait that authoritative narrative self(narrator) maintains the narrative position that he observes, represents, and judges not only third-person main character but also other characters. Though it seems that character ``I`` just doesn`t be shown in her works superficially, position of character is still as same as ``representing as first-person observer``.

      • KCI등재

        실러의 『미학편지』에서 ‘제3의 품성’의 문제

        김주휘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We think that there are serious contradictions and discrepancies in Friedrich Schiller’s thoughts in Aesthetic Letters and that they are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itself and his overall ideas about aesthetics and morality. We especially think that the arguments about ‘the third character’ can be a good example of the contradictions running through Aesthetic Letters, which is the reason we choose this subject. To begin with, we show the political background of Schiller’s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citizens’ character, especially his worries about the proces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n we consider the two different arguments about the role and the status of ‘the third character’ in Aesthetic Letters. On the one hand, Schiller treats ‘the third character’ as belonging to the middle and transient stage in the way from the natural state to the moral state. On the other hand, he presents it as the ultimate goal of human history, representing the ideal of human totality which we have lost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To explain these two different conceptions of ‘the third character’, we attend to Schiller’s ideas about beauty in the letters to Augustenburg in 1793, and also in Grace and Dignity (1793). We find that Schiller was developing two different ideas about the role and the status of beauty in 1793, and that he did not make explicit the difference or the relation of them. We think it is the reason of there ultimately being two different and contradictory conceptions of beauty and of ‘the third character’ in Aesthetic Letters, which made the work itself quite mysterious and ununderstandable. It also made many commentators skeptical about Schiller’s genuine ethical ideal. However, we think that Schiller consistently pursued the ideal of human totality and that the acquisition of reason and morality by way of aesthetic education constitutes a part of fulfilling that ideal. 우리는 실러의 『미학편지』를 관통하는 모순과 불일치의 문제가 존재한다고 보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미학편지』뿐만 아니라 미와 도덕에 대한 실러의 사유 전반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이라는 판단 하에 그 문제를 직접 다룬다. 특히 『미학편지』의 초반에 등장하는 ‘제3의 품성’에 대한 논의가 저작을 관통하는 모순과 불일치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하여 이를 주제로 선택한다. 먼저 우리는 실러가 품성의 문제를 제기하는 배경과 이유를 살펴본다. 실러는 1793년 아우구스텐부르크 공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문제를 처음 제기했다. 그리고 1793년의 편지를 수정하여 출판한 『미학편지』에서 소위 ‘제3의 품성’이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즉 한편으로는 자연국가에서 도덕국가로의 이행을 위한 중간적 품성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총체적 품성으로서 인간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이어서 ‘제3의 품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1793년 편지로 돌아가 거기에서 실러가 전개했던 미의 역할에 관한 생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1793년에 실러가 미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초점이 다른 두 가지 생각을 발전시키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것이 서로 다른 미의 관념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 하지만 실러가 서로 다른 미의 관념들의 차이와 관계를 분명히 하지 않음으로써 『미학편지』에 치명적인 모순과 불일치의 문제를 초래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미학편지』에는 도덕과의 관계에서 서로 다른 지위를 갖는 미의 관념들이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병존하고 있어서 그것을 매우 이해하기 힘든 텍스트로 만들고 있다. 이는 실러의 궁극적 입장에 대해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우리는 실러가 일관되게 인간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 대한 반론의 증거로 종종 제시되는 ‘인간 발달의 3단계론’은 실러의 전체적 입장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후보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를 찾다-공감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 시론

        이인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1

        As the world is at the end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fossil fuels, renewable energy and Internet technology are merging to create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industrial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is giving place to the collaborative age of co-existence. It evok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empathy and solidarity between the global village people. In addition, 'collaborative interest', 'connectivity' and 'interdependence' are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I think that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is expected to seek the new human character. This study is on 'the empathy discourse-based character education' which seeks 'Homo empathicus' as the new human character. To accomplish i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as follows: The first is to examine the economic development discourse-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human character. The second is to survey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human character. The third, by introducing the features of new age and extracting the concept of empathy from the empathy discourse, and thus, exploring the empathy discourse-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human character, I suggest 'Homo empathicus' as the human character of new character education. 바야흐로 세계는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2차 산업혁명이 종언을 고하고 새로운 에너지 체계(재생에너지)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인터넷)이 결합된 3차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한경쟁의 산업시대에서 상생공존의 협업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동시대 지구촌 사람들과의 관계, 공감, 연대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협력적 이해관계’,‘연결성’, ‘상호의존’ 등이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인성교육은 공감을 중시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지향하도록 요청받고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인간상인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를 지향하는 ‘공감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 시론을 전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한경쟁의 산업시대의 개발경제사회에서 시행된 인성교육(경제개발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과 그 인간상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무한경쟁의 산업시대의 지식기반사회인 현재 행해지고 있는 인성교육(국가인적자원개발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과 그 인간상을 다룰 것이다. 셋째, 상생공존의 협업시대라는 새로운 시대 흐름을 소개하고, 새로운 시대의 중심 가치인 공감의 개념을 공감 담론에서 이끌어내며, 공감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과 그 인간상을 모색함으로써, ‘호모 엠파티쿠스’를 새로운 인성교육의 인간상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인권개념의 ‘세대’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혜령(Kwon Hye Ryou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56 No.-

        근대이래 인권의 역사는 동시대 인민이 강력히 요구하는 권리와 자유의 주장을 규범화·제도화하는 과정과 다름없었는바, Karel Vasak은 이 인권투쟁의 역사에서 확보된 권리를 각각 1세대, 2세대, 3세대 인권으로 분류하여 이론화·대중화시켰다. 그러나, 권리의 세대구분론은 그 이론의 은유적·수사적 성격 때문에 찬반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특히, 1960년대 이후 탈식민화과정에서 등장한 제3세계 국가들의 새로운 권리주장이 ‘3세대 인권(third generation rights)’으로 명명됨으로써 이 새로운 권리범주의 국제적 인정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간헐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3세대 인권은 인권의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의존성이라는 본질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권리유형으로서, ‘연대’의 원칙에 근거한 집단적 권리로서 “개인, 국가, 공적·사적 결사, 국제공동체 등 모든 사회적 행위자들의 협력적 노력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있는 권리”로 정의되었다. 3세대 인권에 대한 비판으로는 먼저, ‘세대’라는 ‘은유(metaphor)’를 사용하는 것이 인권의 상호의존성과 불가분성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켜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들 수 있다. 또, 1, 2세대 인권과 3세대 인권은 전자가 ‘개인적(individual)’ 권리인데 비해 후자는 대체로 ‘집단적’ 권리라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어떤 권리실현을 위해 집단적 행사방식이 필요하다는것으로부터 권리의 집단적 성격을 섣불리 추론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는 비판도 가능하다. 현대 사회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들이 국가적·국제적 공동협력 없이는 해결될 수 없다는 점에서 3세대 인권의 ‘연대’적 성격을 강조하고, 3세대 인권의 권리보유자의 하나로서 ‘people’을 강조하지만, 1, 2세대 인권의 실현을 위해서도 연대가 필요하며, people 개념의 불명확성을 근거로 한 강력한 비판도 제기된다.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세계화과정에서 발생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선진국가들의 책임을 국제적으로 인정하고, 저개발과 빈곤의 만연이라는 도전을 국제적 협력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주장을 ‘인권’이라는 윤리적·규범적 근거로 정당화시키려는 시도가 바로 ‘3세대 인권론’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강력한 동시대적 필요와 요구가 새로운 권리로 제시되어 사회적 승인을 얻어가고 마침내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되어 이행되는 과정은 항상 논란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 3세대 인권담론의 현재적 과제는, 동시대의 현실과 필요를 보여주는 하나의 유용한 설명기제로서 아직 해명되지 못한 쟁점에 대한 더 심화된 논의와 이론적 정당화를 거쳐 실행가능한 제도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Since the modern era, the history of human rights has been nothing more than a process of normalizing and institutionalizing the claims of rights and freedoms that are strongly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people. Karel Vasak categorized and popularized the rights acquired in the history of human rights struggle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respectively. However, the generational approach of rights has been subject to controversy due to the metaphorical and rhetorical nature of the theory. Particularly, the Third World countries emerged in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from the 1960s have been claiming new rights and naming them as “third generation rights”, the debate over whether to recognize this internationally is continuing intermittently.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are a type of right that can demonstrate the essence of the universality, indivisibility, and interdependence of human rights as a collective ri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solidarity’. It was defined as “the right to be realized only by the concerted efforts of all social actors, including individuals, nations, public and private associ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irst, as a criticism of the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the use of the “metaphor” of the “generation” is misleading the misunderstanding of the interdependence and indivisibility of human rights.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human rights and the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also differ in that the former are ‘individual’ rights, while the atter are generally ‘collective’ rights.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that it is necessary to avoid inferring the collective nature of rights from the fact that a collective way of exercising is needed to realize certain rights. As the new challenges facing modern society can not be solved without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solidarity’ of the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is emphasized and the ‘people’ is emphasized as one of the right-holders of the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However, there is a strong criticism based on the fact that solidarity i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first and second generation human rights and that the concept of people is unclear. In order to internationally acknowledge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ed countries for economic inequalitie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the proces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since the 1970s and to solve the challenges of underdevelopment and poverty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attempt to justify this political claim with ethical and normative grounds of ‘human rights’ is a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theory’. The process in which the strong contemporary necessity and demands of the human being are claimed as new rights and then it gets social approval and finally institutionalization is always accompanied by controversy. As a useful explanatory mechanism to show contemporary reality and needs, the present task of the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discourse is to move toward a practicable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further discussion and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issues that have yet to be clarified.

      • KCI등재

        한국 한자음을 통해 보는 중고음 3, 4등 개음의 차이

        장준익(Jang, Jun-ik)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中語中文學 Vol.- No.85

        중고음 각 등의 성모 배열을 보면 1등과 4등의 배열이 같고 3등과 4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학자들은 4등에 개음 ‘i’가 없었다고 봤다. 4등 모음은 일반적으로 ‘e’ 같은 전설 모음으로 훗날 개음 ‘i’가 덧나기 쉬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4등 합구호운의 상황은 다르다. 이미 합구호 개음 ‘u’가 있는 상황에서 다시 개음 ‘i’가 덧나기 쉽지 않다. 한국 한자음은 보통 3, 4등 개음 ‘i’를 다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4등 합구호운에도 개음 ‘i’가 일괄적으로 반영한 것을 보면 중고음 4등에 본디 개음 ‘i’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 3등 중뉴 A류와 4등의 개음 ‘i’를 반영한 반면, 3등 중뉴 B류와 일반 3등의 개음 ‘i’를 반영하지 못했다. 이는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를 반영한 듯 보이지만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에서 3등 중뉴 B류와 일반 3등의 합류가 곧 개음 ‘i’의 탈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는 고대 한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의 설치음은 개음 ‘i’가 있을 때 구개음화되기 쉬웠고, 비슷한 성격인 3등 개음을 반영할 수 있었다. 반면 한국어의 후아음은 개음 ‘i’가 있어도 역사적으로 구개음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 중뉴 A류 모음성 개음을 제외한 다른 3등 개음은 반영할 수 없었던 것이다. Observing the arrangement of initial consonants of each class in the dictionary Guang-Yun(廣韻),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rangements of fourth class and first class are same, but the arrangement of fourth class and third class aren’t same. Therefore it was easily accepted that there wasn’t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because the vowel of fourth class was the front vowel ‘*e’, the head vowel ‘i’ was naturally created in front of the vowel in the future. However, in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Kou-Hu(合口乎) rhyme. In this rhyme, there is also head vowel ‘u’, it is not naturally that the head vowel ‘i’ had been created in front of the head vowel ‘u’. Generally speaking,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there are all head vowel ‘i’ in the fourth and third class. Especially, He-Kou-Hu(合口乎) rhyme of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So, it is possible to think there is naturally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of Ancient Chinese. Mo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xpression of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isn’t same to othe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lthough there is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A type of third class and fourth class, there isn’t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t seems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was influenced by the sound system of the rhyme dictionary Hui-Lin-Yin-Yi(慧琳音義, 807). However, it isn’t meant that the join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n the Hui-Lin-Yin-Yi(慧琳音義, 807) was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is influenced by ancient Korean. In the historical view,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were easily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easily accepted the head vowel ‘i’ of the third class, very closely related with initial consonant. On the other hand,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weren’t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only accepted the head vowel of fourth class and Chong-Niu(重紐) A type. Because they all have strong vocality. But,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didn’t accept the head vowel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인성지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임영규(Lim Young Kyu)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적 측면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인성지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성향, 관계적 성향, 사회적 성향의 세 가지 차원의 11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 위계적 3차원 요인구조 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제안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의 잠재적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하여 확인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인성은 11개의 잠재적인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탐색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정에서 11개의 잠재요인과 3개의 성향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수용가능한 적합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exploratory research to develop of character index instrument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extracting common factors for them. It suggests that character of personal can be divided into three primary dimensions; individual temperament, relationship temperament, social temperament and each dimensions be several sub-dimensions. It also suggests a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for character based on the above dimensions and testifies i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character is composed of eleven latent factors. Second, We found that 11 latent factors and three temperaments for character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no problems wit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ird, We found that research model for character has an acceptable goodness of fit.

      • KCI등재

        제2시와 제3시 설법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인식의 특징-『해심밀경소』 티벳어역 속 신발굴자료에 대한 소개를 겸해

        장규언(JANG, Gyu-eon)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은『 해심밀경(解深密經)』의 이른바‘삼시교판(三時敎判)’에 등장하는 제2시『반야경(般若經)』과 제3시『해심밀경(解深密經)』간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613-696) 인식의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근래에『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서품(序品)」 교체론의 티벳어역(대응하는 한문이 생략된 부분) 속에서 새로 발굴한 자료들과 원측 저작 속에 산재하는 관련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원측 교판론(敎判論)의 해석학적 전제, 료의(了義)와 불료의(不了義) 판단의 기준, 그 이면의 불교사에 대한 인식 등을 차례대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주제와 관련하여, 󰡔해심밀경󰡕의 주석가 원측은 「무자성상품」의 삼시 교판의 해석학적 전제에 따라 (1)무상과 료의는 공이라는 설법 주제를 공유하지만, (2)상이한 청중의 수행적 지향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설해진 가르침이며, 또 (3)논쟁과 야기와 종식이라는 관점에서 양자 간에는 ‘결과적으로’ 우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했음을 밝혔다. 둘째 주제와 관련하여, 원측에게 있어 제2시 불료의와 제3시 료의의 차이는 ‘설법 주제[所詮]’ 자체의 차이가 아니며 설법 주체 측면의 중생의 근기에 따른 설법 방식의 차이와 함께 설법 수용 측면의 ‘설법 효과의 차이’(=부정적 유산의 유무)를 의미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주제와 관련하여, 신발굴자료를 중심으로 양자의 차이와 동일성에 대한 앞선 원측 인식이 기반하고 있는 교리적 또는 불교사관적 근거를 조명하여 원측이 스스로 공(空)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유식(唯識)의 료의의 입장에 서서 제2시 ‘무상(無相)’을 제3시 ‘삼성(三性)’과의 관계 속에서 ‘료의’로 재해석함으로써 양자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려 했음을 지적하였다. 또 위의 연장선상에서 제2시 ‘『반야경』이 삼성을 설하고 있기 때문에 료의’라는 원측의 일면 파격적인 주장도 ‘궁극적 진리[勝義]의 관점’에서 무상은 삼성을 설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함을 밝혔다. 이상 양자의 관계에 대한 원측 인식은 제3시의 관점에서 제2시를 포괄함으로써 양자 간의 연속성과 궁극적 동일성을 강조하려는 경향이 우선 두드러진다. 하지만 동시에 원측의 마음속에는 제3시 료의가 제1시 설법이 유발하게 되는 유집의 극단과 제2시 설법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무집의 극단을 모두 변증법적으로 지양(止揚)했다는 점에서 제2시 무상보다 더 높은 가르침이라는 우열 의식이 여전히 존재하는 듯하다. 이것은 어쩌면 논쟁의 종식이라는 관점에서 완전한 가르침으로 인식된『해심밀경』을 최고 권위로 인정하는 ‘유가행(瑜伽行) 사상가’ 원측의 운명에 기인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In this paper, I illuminate some characteristics of Woncheuk'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presented in Sa.dhinirmocana-s.tra. For this, based on some newly identified materials (parts of the section Discourse on Essence of Buddha's Teaching (教體論) of "Seo pum" (序品; Ch. Xu pin, Introductory Chapter); omitted in classical Chinese) in Ḥphags pa dgoṅ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the Tibetan version of Haesimmilgyeong so (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 shu,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圓測 613-696; Ch. Yuance), and related materials in his works, I present some hermeneutical premises of his view on the Three Buddha-cakras, his interpretation of the criteria of discrimination between nītārtha and neyārtha, and his views o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First, as a commentator on Saṃdhinirmocana-sūtra, Woncheuk, according to the hermerneutical premises of Three Buddha-cakras, presents that (1) the common theme of both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are Emptiness (空), so there is neither superiority nor inferiority between them, but (2) from the viewpoint of either ending or creating disputes, the Third is actually superior to the Second Budda-cakra. Second, he further interprets that the criteria of discrimination between nītārtha and neyārtha is not the theme of Buddha-cakra itself, but both the differences of the speaker's pr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hearer's abilities, and the effects of preaching on the part of the hearer. Thir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ewly identified materials mentioned above, I illuminate that Woncheuk, from the standpoint of a Yogacāra thinker who thinks that only his school really understands Emptiness, reinterprets Emptiness as nītārtha based on his own hermeneutical horizon that Emptiness itself, in fact, penetrates through Three Characters (三性), therefore integrating both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as one. Futhermore, extending the line of thought above, I reveal that his sensational opinion that the Second Buddha-cakra,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s are also nītārtha is understandable in that from the viewpoint of Ultimate Truth (勝義諦), Emptiness is conceived to be Three Characters. In conclusion, Woncheuk's view, first of all, is characterized by the emphasis on the continuity and ultimate sameness between the two Buddha-cakras in terms of including the Seco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Third Buddha-cakra. But at the same time, the status of the Third Buddha-cakra is actually higher in his mind than the Second since the former is a perfect teaching that overcomes the negative extremes of the latter. I believe that this derives from his fate as a Yogacāra commentator who regarded Saṃdhinirmocana-sūtra as one of the supreme canonical authorities.

      • KCI등재

        고대국어(古代國語) 한자음(漢字音)에서 3등갑을(等甲乙)(지(止)·심섭(深攝))

        김무림(Moo Rim Kim)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0 No.-

        This thesis aims at phonological study on the sounds of ancient sino-Korean character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Generally the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of the middle age Korean based on the ancient Chinese. So the sound of the third A-class and B-clas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are not same sound in middle sino-Korean. But some of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in the ancient sino-Korean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ino-Korean. In this thesis I compared the reconstructed sounds of ancient sino-Korean to the sounds of sino-korean focused o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character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third A-class and B-clas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are same sound in ancient sino-Korean.

      • KCI등재

        익재 이제현 묘지명의 서술자 변이 양상

        윤상림 동양고전학회 2006 東洋古典硏究 Vol.24 No.-

        묘지명은 문학적 의식보다는 고인의 행적을 기록하고 기리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문장인데, 행적과 논평이라는 서사 대상과 그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서사 행위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충분히 하나의 문학양식으로 성립될 수 있다. 묘지명의 인물평은 공정해야만 독자의 신뢰감을 얻을 수 있으나, 서술자의 태도가 기본적으로 고인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사실을 과장할 가능성은 늘 있게 마련이다. 익재 이제현은 이러한 묘지명의 인물평에 신뢰감을 주기 위해 서술자 양상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익재는 고인과 특정한 정황에 참여하였던 사실을 서술할 때 ‘나’라는 1인칭을 사용하지 않고 ‘이제현(李齊賢)’이라 3인칭화 하여, 고인에게 지나치게 밀착하거나 동화되는 것을 통제하면서 지극히 객관적으로 정황을 서술하여 자신의 인물평에 독자가 동조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독자의 추리, 상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인과 관련된 자신의 직접 경험을 서술하여 관련 정황을 통해 고인의 성격과 충성심을 보여주는 1인칭 경험 서술자를 등장시킨다. He uses the third personification as Jehyeon-Lee without using the first person 'I' when he describes the fact that participated in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with the departed saint, then he derives so that the reader may sympathize with his personal criticism by describing the circumstances objectively while he controls to be stuck or assimilated to the dead person overly. In order to heighten the effect of reader's reasoning and imagination, he not only describes the personal experiences of narrator himself connected with the departed saint, but also he hints the dead person's personality and loyalty through connected circumstances. Also, Ikjae converts the subject into the incident by interposing the fiction of question and answer, debate, speech, and etc. that happens in the limited space for short time and by appearing the fictitious character. Through this dramatic description, he brings the subject person's shape into relief clearly, whence he raises the literary value of memorial inscription and acquires the confidence of criticism.

      • KCI등재

        Dramatic Plotting by Characterization

        Eunhee Huh(허은희)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플롯과 캐릭터, 주제(사상)는 극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드라마의 구조가 공고할수록 이 세 가지 요소들은 서로 긴밀하게 작용해 내러티브를 형성한다. 이 중에서 플롯은 사건과 캐릭터를 연결시키며 주제를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여겨진다. 그러나 시나리오 창작 단계에서 작가들은 이러한 플롯의 역학을 조절하는데 흥미를 잃을 때가 많다. 관객들이 플롯에 비해 영화의 인상적인 장면이나 사건, 그리고 캐릭터들에 더 집중하고 매력을 느낀다는 판단 때문이다.그러므로 짜임새 있는 드라마 플롯 구축을 위한 워크숍은 캐릭터의 생각과 목소리를 읽어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영화 시작 전의 이야기를 고안해 보고,안타고니스트(antagonist)의 시점으로 스토리의 아우트라인(outline)을 꼼꼼히 재점검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훈련들을 통해 작가와 감독들은 어느 인물을 주인공(protagonist)으로 선택해야 관객들의 호기심을 효율적으로 자극하고 인상적인 절정과 결말에 이를 수 있는지 확신을 얻게 되고, 영화의 실제 장면에 드러나지 않은 캐릭터 행동의 동기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인지해 사건의 개연성과 그럴듯함(plausibility)을 획득할 수 있다. In strong dramas, pot, character, and theme, three basic elements in dramatic structure, are effectively integrated forwards the same dramatic idea. Plot might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combine events and character. However, at some point of the script, the writer becomes less interested in the mechanics of the plot, and the characters take over, because audiences remember the characters or the situations more clearly than the plot. Therefore, the workshop of dramatic structure would be successful when it starts from excogitating the character and the situation, by improvising ‘voices’of characters, building ‘back story’, and reconstructing ‘outline from the antagonist’s view’. With these exercises, the writer and the director understand the mechanics of dramatic plotting by characterization, which include the choice of the protagonist, and the description of plausible actions and the theme, and they consequentially find the way to obtain solidity and plausibility in the sc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