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정서표현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서현,박나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정서표현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만 5세 유아와 담임교사이고, 설문지 439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2 버전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유아의 사회적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교사 놀이성은 교사의 긍정 정서표현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부정 정서표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교사의 긍정 정서표현성 은 유아의 사회적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 과는 유아의 사회적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가 긍정적인 정서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s teacher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ged 3 to 5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G region participated via 439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ersion 4.2,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First,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s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hile i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teac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yielde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l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fulness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for teac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there was no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teac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eachers should prioritize actively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 KCI등재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최지은 ( Choi Ji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 년도(2014) 자료 중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을 이용하는 1153명의 유아와 그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유아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 ‘주장성’ 및 ‘자기통제’에 대해 추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수효능감의 주장성과 자기통제에 대한 예측력은 유아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에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주장성에 대한 예측력은 유아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서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on these relations, applying facts from 1153 Korean children and their preschool teachers, as presented by the 7th year’s data (2014)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prob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predicted ‘assertion’ and ‘self-control’ amo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pecifically, teacher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assertion’ and ‘self-control’ amo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assertion’ amo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those with high self-esteem. This study offered the empirical support showing that th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self-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children’s self-esteem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교사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전미연 ( Jun Mi-yun ),김혜순 ( Kim Hye-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교사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U시 소재 어린이집의 만 3, 4, 5세 유아와 어머니 184쌍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이 실시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교사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 연령이 어릴수록 교사와의 친밀감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교사에 대한 의존은 만 3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유아-교사 관계 중 친밀감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어머니 양육효능감 중 효능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유아-교사 관계 중 친밀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children`s peer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84 young children with their mothers and children`s cooperating teachers aged between 3 and 5 registe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located in U c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Surveys about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were assessed by children`s cooperat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ing efficacy was assessed by children`s mother. In order to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ing using SPSS 18.0 program to perform the frequency analysi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production,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main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childre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observed depending upon children`s age. Younger aged children had higher level of intimacy with their teacher than old aged children. Group of three year old children had higher score in dependence with their teacher compared than group of four year old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er competence depending upon children`s ag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t=-3.19, p<.01) depending upon children`s gender. Girl had higher score(M=3.25, SD=.55) in peer competence than boy(M=2.99, SD=.55).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r=.15, p<.05) between total score of parenting efficacy and total score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re wa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r=.37, p<.001) between total score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but there was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conflict and dependence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fficacy score in paren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β=.18, p<.05)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lso,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β=.33, p<.001)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차혜정,송승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6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empathy ability,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thods: 180 teachers and 360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by teachers’ self-report throug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g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cond, intimacy which was a subfactor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showed a perfect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peer compet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s intimate relationships since it affects the child’s peer competence significantl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help foster the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hich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s desirable peer formation, continuous teacher education and diverse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어머니 변인과 교사 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예측력

        이인학 ( In Hak Lee ),박지은 ( Ji Eun Park ),송희원 ( Hee Won Song ),최은희 ( Eun Hee Choi ),최성열 ( Sung Y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교사 변인인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예측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D시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를 영육하고 있는 어머니 300명과 교사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 유아는 남아가 167명(55.7%), 여아가 133명(44.3%)이었으며, 연령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또한,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상대적 예측력은 양육행동,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순이었다. 셋째,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상대적 예측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순이었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relatively more predictable f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mo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at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 in precedent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mothers and teacher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criteria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iscussion which involved precedent research alo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conclusions as be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t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tenting behavior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patenting behavior was more effective tha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teacher-children intera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eacher efficacy.

      • KCI등재

        교육 시장화 시대의 교사 전문성

        정훈 ( Hoon J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의 교육 시장화 정책이 교사 전문성 논의를 어디로 이끌어 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의 이끎이 우리 교사 존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우리보다 먼저 시장화 정책을 도입한 나라들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토대로 검토해보는 데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시장화 정책이 교사 전문성을 성취결과 향상과 연관된 교수역량으로 표준화하고, 그에 따라 수량화하거나 측정하기 어려운 교사 전문성의 다양한 요소들을 교사 전문성 논의에서 배제하고, 교육목적에 대한 사고 등과 관련된 교사의 지성 대신 도구적 이성에 집중하게 하고, 학생들과 교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치적 조건에 대해 둔감하게 만들고, 교사들 간의 협력과 대화를 위축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에 우리는 교사 전문성 담론을 성취도 향상을 위한 수업기술의 측면으로 조건화하고 표준화시키는 현 교육 시장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결론과 함께, 시장화 정책에 의해 주로 훼손되는 교사 존재의 다양성, 교사의 비판적 지성, 협력 능력 등이 갖는 중요한 의미들을 재강조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se days, the application of market principles to education(marketization of education) is a leading education policy in countries worldwide. The application of market principles to education leads to standards-based tests, academic achievement-based school climate, and ethics of audit and accountability based on that. Regrettably, it has influence on discuss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drives teacher`s professionalism toward ``technical rationality``. In this circumstance, I hope to show what are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at are affected by market-based education policy. Also I hope to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jor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respect to multiple aspects of teacher competences, teacher`s intelligence, social and political literacy, cooperation.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market principles to education emphasizes the ethics of audit and accountability based on standards-based tests. Regrettably, it forces to turn our teacher`s professionalism only to technique-based professionalism(or ``technical rationality``). Second, the competence-based teacher`s professionalism to be emphasized under the condition of marketization of education leads to exclude the major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o be unable to quantify and measure. Third, marketization of education has led to undermine teacher`s intelligence in relation to contemplating of educational purposes, curriculum and tests suitable for students. Fourth, under the condition of marketization of education teacher`s social and political literacy is likely to weaken. Fifth, under the technique-based teacher`s professionalism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re likely to weaken.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김경희(Kyunghee Kim),김신영(Shinyoung Kim),김성숙(Sungsook KIM),지은림(Eunlim Chi),반재천(Jae-Chun Ban),김수동(SooDo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학교교육의 내실화와 교실에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평가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평가와 관련된 교사의 업무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으며 더불어 신뢰롭고 타당한 학생평가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을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 즉, “평가방법의 선정”, “평가도구의 개발”,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ㆍ의사소통”, “평가의 윤리성”에 따라 11개의 기준과 각 기준을 설명하는 구체화된 세부적인 55개의 평가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였다.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plan for practical use of these standards took a concrete form.<BR>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is competence is the assessment literacy that should be required before actually assessing the students.<BR>  Secon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by examining and revising year 2004 TPCSE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are 1)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2)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3)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4)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5) Completion of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that are required to do the student assessment.

      • KCI등재

        경력기간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구본용(Khu Bon Young),임애자(Lim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을 선정하여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상담자 268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소진은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상관없이 전문상담교사 역량과는 부(-)적 상관을,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5년 미만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직무역량이 직접적으로 상담자 소진을 감소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은 상담자 소진을 증가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간접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5년 이상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아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on counselor burnout are dependent on the length of career. Method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ole confli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was selected as a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 length of career, and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ole conflict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which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caree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conflict of the counselor was confi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role conflict showed a dependency on the length of professional counselor career.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directly reduced the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y, deriv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the less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Furthermore,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increased the counselor burnout, and the role conflict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the counselor burnout. On the other hand, for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wa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e role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onsul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민아,황혜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13 3-years-old, 4-years-old, and 5-years-old children and 40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Th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ols were evaluated by the child's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Result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comprehension competency mediat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bservation and analysis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per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or partia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respon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order to improve childhood's self-efficac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천안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413명과 유아의 담임교사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도구를 유아의 담임 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이해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놀이관찰⋅분석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놀이운영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또는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놀이반응⋅소통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서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개발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이 중요함을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분석

        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또래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교사들 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치원 적응을 평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C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90명이다. 유아들을 관찰하고 평정한 연구기간은 2018년 3월~8월까지이다. 측정도구는 기존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이를 근거로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 s α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상관계수, 매개효과 검증절차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치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유치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와 유치원 적응관계에서 교사-유아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유치원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각각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 adapt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kindergarten teacher measured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kindergarten adaptation. the subject were 5years old 290 preschooler whild in kindergarten in C city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kindergarten adapta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frequnency analysis, Cronbach 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effected on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positively. Second,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effected on preschooler s kindergarten adaptation positively. Third, positive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effected on preschooler s kindergarten adaptation positively. Forth, teacher-preschooler s emotional,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 adaptation.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emotional,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s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