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시민대학의 평생교육적 의미

        김진경 ( Kim Jin Kyoung ),권양이 ( Kwon Yang Yi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에 주목하여 국내외 시민대학을 살펴보고 평생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지식정보화 사회는 세계적 차원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는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시민대학'은 평생교육을 실현하는 핵심 동력일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사회를 작동시키는 핵심 기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시민대학은 첫째, 시민의 지적 수준 향상과 건전한 시민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개인의 인격형성과 사회경제적 능력 향상에 기여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에 기반하여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여 개인학습과 집단학습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민대학은 다양한 학습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성인학습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시민의식 함양을 위해 열린교육과 평생학습기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운영되는 평생교육 기관이기 때문에 이에 합당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대학의 의미와 평생교육적 의미를 연결하여 살펴보고, 우리보다 앞서서 시민대학을 정착·발전시킨 다른 나라의 사례를 알아보았다. 아울러 다른 나라의 시민대학 사례를 통해 한국의 시민대학의 평생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시민대학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and overseas citizen universities and consider their lifelong educational significance taking note of the increased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of adult learners in rapidly changing and complicated modern societies. The transition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proceeding at a global level, and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cope with social changes and demand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In this context, 'citizen university' has the significance as a key mechanism for activating lifelong learning society as well as a key driving force for realizing lifelong education. First, citizen university should provide diverse education to improve the intellectual level of citizens and foster healthy citizens, and concurrently contribute to character building and socioeconomic capacity enhancement of each individual citizen. Second, citizen university should form local communities based on local society, serving as the center of both individual learning and group learning. Third, citizen universities currently run by local governments ar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that provide diverse learning with the aim of providing open education and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learners and foster their citizenship. Accordingly, they should receive appropriat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citizen universities in relation to lifelong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ma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 universities in Korea by reviewing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that have established and developed citizen universities in advance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제1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성강현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6 역사와 교육 Vol.22 No.-

        교과서는 수업을 위해 적합하도록 편집된 도서로 교수 학습의 기본이 되는 교재이다. 교과서는 그 시대의 역사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국사 교과서는 더욱 그러하다. 해방 이후 미 군정기를 벗어나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하면서 독립국가로서의 첫 발을 내딛는 교육이 제1차 교육과정기이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 공포된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 이후, 1963년 2월 15일 문교부령 제120호로 개정된 ‘교육과정령’이 공포되기까지의 교육과정을 말한다. 이 시기의 교과서는 해방 이후 미 군정기에 급작스럽게 만들어진 조잡한 교과서를 벗어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한 결과물이기도 하였다. 특히 국사 교과서는 일제에 의한 식민사관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1956년 검인정을 통과한 중학교 10종과 고등학교 4종의 교과서는 이후 확대하였다. 중등학교 교과서의 저자는 대부분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과 일본의 와세다대학, 동경제국대학 등에서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에 의해 저술되었다. 이들은 일제 식민사관으로 교육받아 이를 벗어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 교과서는 문교부의 지도목표를 바탕으로 저술되었는데 전근대사가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식민지를 벗어나 자주적 독립국가의 건설인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배 청산과 독립운동에 대한 강조가 주요한 의제였음에도 이에 대한 내용이 국사 교과서에 거의 서술되지 않아 학생들은 역사 수업을 통해 자주적 역사관을 배울 수 없었다. 이러한 측면은 교과서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제 식민사학의 주요 이론인 정체성과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주요 사건에 대한 서술 내용은 일제 식민사학의 주장을 크게 벗아나지 못했다. 단군에 관하서는 설화로 서술하여 우리 역사의 출발에 대한 자주적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타율성과 관련해 일제가 많이 강조하던 한 군현의 지배는 상세히 서술되어 우리 역사가 외래의 충격에 의해 발전했음을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었다. 우리 역사의 자주적 활동을 보여주는 나당전쟁은 간략하게 서술하였고 묘청의 서경천도운동과 동학농민운동은 반란으로 기술되었다. 또한 장보고의 해상활동과 공민왕의 개혁은 개인 역량의 부족으로 실패하였다고 그 의미를 축소하였다. 식민사관의 또 다른 이론인 당파성을 강조하던 붕당정치는 긍정적인 측면의 내용보다 부정적 측면이 강조되어 서술되었다. 일제강점기 최대의 독립운동이었던 3⋅1운동은 분량에 비해 내용이 부실하게 서술되어 있었다. 이처럼 국사 교과서의 내용은 식민사관의 극복이라는 해방 이후 한국사의 과제를 실현하지 못한 채 간행되었다.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한계는 몇 가지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교과서 간행을 주도하던 문교부가 교과서 편찬의 기준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둘째, 교과서를 저술한 학자들이 식민사관을 벗어나고자 노력하지 않았다. 셋째, 6⋅25전쟁의 여파로 이념 대결이 강화되어 민족사학의 정립이 도외시되었기 때문이었다. 넷째,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미흡하였다. 다섯째, 미군정기의 여파가 작용하고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는 이후 교과서 간행의 시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국사 교과서는 여전히 식민사관의 수혜 속에서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던 학자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주체적 역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후 국사 교과서 서술의 모범이 되지 못하였다. Textbooks are said to be books which are the basis of teaching-learning and edited to fit for a class. Textbooks, especially history textbooks, reflect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time when they are written. The first curriculum was made wh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its Liberation.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extended from Ordinance No. 3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April 20, 1954), Ordinance on Curriculum Time Allocation, to Ordinance No. 120 of the Ministry of Education(February 15, 1963). Textbooks in those times have improved a lot since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especially history textbooks needed to overcome a colonial view of history. The number of 10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4 history textbooks for highschool which got official approval in 1956 had increased since then. But, most of the author of middle school textbooks specialized in history in Waseda University and Tokyo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had limits in getting out of a colonial view of history because they were educated under it. History textbooks in those days were written based on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modern history made up about 80% of their contents. Although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an independence movement had to be emphasized, they were little written in the history text and students could not learn the independent historical view in the class. Description of historical ev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ere the basis of identity and heteronomy, inherited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e writers recognized Dangun just as a myth, not a historical fact. They described with detail Han’s rule of Gojoseon, which Japanese historians emphasized greatly. This implied that our history had developed through outside influences. They simply wrote Silla-Dang War, and described Movement of Transferring the Capital by Myocheong and Donghak-Peasant Revolution as a rebellion. In addition, they underestimated Jangbogo’s Marine Activity and King Gongmin’s reforms as a failure because of individual inability. Bungdang politics, another colonial view of history, were depicted in a very negative way.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the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were explained roughly. This poor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without overcoming colonial views of history.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the limits of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first curriculum. First of all, the Ministry of Education didn’t present the criterions for editing a history textbook. Writers of textbooks also didn’t try to overcome their colonial view of history as well. In addition, the national view point of history couldn’t establish its stand in the aftermath of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Civil War. Then, there were little research in the historical world. Lastly, the aftermath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n continuous influences on the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ubl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first curriculum was a touchstone of subsequent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s, it couldn’t be a model for history textbooks because they were written by the historians who learned a colonial view of history, not an independent view of history.

      • KCI등재

        식민지 제국대학의 예비교육과정과 대학교육의 성격

        박형준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23 역사와 교육 Vol.36 No.-

        19세기 일본은 유럽의 대학제도를 수용한 뒤 근대화를 추구하던 일본 의 실정에 맞게 구조화하여 일본식 국가주의 대학제도를 수립했다. 효율 적 통치와 개발을 위해 식민지에 비교적 낮은 수준의 대학을 세웠던 다른 제국주의 국가들과 달리 일본은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 일본 최고의 대학 제도인 제국대학의 원형을 이식했다. 일본은 식민지의 교육전통을 고려 하기보다는 그간의 교육제도를 새롭게 고쳐 일본의 교육체계 아래에서 대학이 운영될 수 있는 형식을 취했다. 이는 일본의 동아시아 침탈 의도 아래 일본과의 물리적 거리와 지정학적 조건을 고려한 결과였다. 학생의 일본어 상용에 따라 학교의 명칭을 구분하여 교육했던 조선에 는 대학 예비교육기관으로 경성제국대학으로만 진학이 가능한 경성제국 대학 예과가 설치됐고, 중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일본어 상용을 규정했 던 대만에는 타이베이고등학교가 설립됐다. 예과와 고등학교의 학제적 차이는 조선과 대만에 대한 식민지 교육정책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된 다. 식민지 제국대학도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처럼 분과대학이 설치되고 목적에 따라 세분화된 학문이 전공으로 개설됐는데, 예과와 고등학교부 터 계열을 구분하여 교육했던 것과 맞물려 국가정책에 따라 지식을 응용 하는 능력과 국가확장의 연구 기반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 이렇 듯 대학이 국가의 정치적 행위의 정당성을 학문 속에서 구현했던 것은 근 대 일본이라는 특수한 조건에 의해 설립된 식민지 대학의 교육 방향이 국 가팽창의 논리에 맞닿아 있었기 때문이다. In the 19th century, Japan accepted the modern European university system and established a Japanese-style university system by structuring it to fit the situation of Japan pursuing modernization. Unlike other Imperial States that established relatively low-level universities in their colonies for efficient governance and development, Japan transplanted the prototype of Japan's best university system, the Imperial University, to its colonies, Joseon and Taiwan. Rather than considering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the colonies, Japan took a form in which universities could be operated under the Japanese educational system by renewing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meantime. This wa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physical distance and geopolitical environment with Japan under Japan's intention to invade East Asia. In Joseon,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Preliminary School was established as a pre-university education institution, and Taipei Higher School was established in Taiwan. The institutional difference between a preparatory course of Imperial University and Higher School is the criterion for confirming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for Joseon and Taiwan. In the pre-university education course,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to be learned at university was educated, and in the Imperial University, education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ability to apply knowledge according to national policy an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expansion of imperialism. The reason why universities educate various majors with political intentions is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colonial universities established under the special conditions of modern Japan was in line with the logic of national expansion.

      • KCI등재

        중국 역사교육체계와 중국학계의 임진전쟁, 병자호란 연구경향

        김경록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8 역사와 교육 Vol.26 No.-

        격변하는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에서 역사문제를 둘러싼 국가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이를 반영하여 중국은 현실적인 국가이념을 구체화한 역사교육체계를 갖추고 역사교과서를 편찬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 국가에서 교과서를 국가지도지침에 의거하여 교육체계를 설정한다. 유치원교육에서 대학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교육체계를 갖춘 중국에서 역사교과서가 사용되는 것은 대학교육체계에 입학하기 이전까지이다. 중국은 교육을 통해 인민을 중국 공산당의 지도이념에 적합하도록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교육체계를 특히 중시한다. 이는 철저하게 교과서를 중국 당국에서 통제하여 중국 공산당의 지도이념을 구현한 내용으로 작성하고 이를 한정된 교과서 분량에 압축적으로 서술한다. 방대한 인구와 영토에서 교육체계는 상급학교로 가면서 치열한 입시경쟁으로 이어지며, 실제 한국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高中의 경우, 3학년에 올라가면서 모든 과정이 입시체제로 전환된다. 방대한 교육분량을 시험을 통해 분별하기 위해서는 입시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실제 중국 당국이 의도하는 교육목적이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교육되는가에 대해서는 차후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중국의 교육체계는 중국의 국가지도이념에 의해 결정되는데, 현행 중국의 교육체계가 중국공산당 대표대회에서 채택되는 정신을 실현한 것이므로 중국의 문화정책 변화과정은 교육체계의 변화과정이라 할 것이다. 중국의 교육정책 내지 교육지침은 중국 당국의 문화전략 일환으로 시행되는데, 개혁개방이 본격화된 1980년대 경제발전을 토대로 변화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 ‘문화진흥’이 국가사업으로 부상했다. 현대화는 이후 중국의 자부심을 바탕으로 ‘大國化’로 표현되어 ‘정치대국’, ‘경제대국’, ‘과학기술대국’, ‘문화대국’이 되었다. 경제발전은 문화강국으로 이어지며,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그러나 중국 역사교과서에서 왜란과 호란은 『세계근대현대사』에서 매우 소략하게 서술하였다. 그러나 중국 역사교과서를 편찬하는 기반이 되는 중국학계는 임진전쟁과 병자호란을 중화주의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과를 축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학계의 임진전쟁과 병자호란에 대한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로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소개된다. 중국에서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역사교육은 역사교과서보다 오히려 역사물이 보다 효과적일지 모른다. 중국 당국의 문화대국 건설에 역사물은 큰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드라마, 영화로 소개되는 역사물은 중국인의 역사의식을 고취시키는 매개체이다. 중국 역사교과서에 대한 세밀한 분석에 중국 국가이념 및 교육체계, 입시체계, 역사물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이유이다. There is a conflict between nations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in the upheaval of the history issue. Reflecting this, China has compiled a history textbook with a history education system that embodies realistic national ideals. China is a socialist state, and it establishes its educational system in accordance with national guidelines for textbooks in countries. In China, which has a multi layered educational system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are used until they enter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China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education system in that it fosters people to conform to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rough education. This i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by controlling the textbooks thoroughly by the Chinese authorities and compressively describes them in a limited amount of textbooks. In an enormous population and territory, the education system leads to a fierc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as they go to higher grade schools.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ctually Korean high schools, all courses are converted into entrance examinations as they move up to the third grad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ast amount of education through examinations, examination-centered learning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more carefully whether the actual educational purpose of Chinese authorities is effectively educated to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of China is determined by the national guiding ideology of China,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cultural policy in China is a process of change of education system, since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f China is realized in the spirit of being adopted at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hina's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guidelines are implemented as a cultural strategy of Chinese authorities. It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1980s, when reform and opening up began. In the 1990s, 'cultural promotion' emerged as a national project in China. Modernization has since been expressed as Great Country on the basis of China's pride, becoming the Great Politics, Great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Grand Challenge, and Great Cultural Power. Economic development leads to a cultural power, and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that supports it is also emphasized.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it is very roughly describing Imjin War(壬辰戰爭),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However, the Chinese academic world, which is the basis for compiling the Chinese history textbooks, has accumulated the achievements by studying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Imjin War and the the Manchu war of 1636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is introduced as a historical background, not only to students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Historical education for the public in China may be more effective than historical textbooks. History is a large area in the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power of the Chinese authorities. Dramas and movies are the mediums that inspire Chinese people's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is why Chinese history textbooks need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Chinese national ideology and education system,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history media.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근ㆍ현대사’의 출제 경향과 문항 분석-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성운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1 역사와 교육 Vol.12 No.-

        이 글은 2005학년도부터 2010학년도까지의 수학능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의 문항을 분석한 글이다. 이를 통해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의 출제 경향과 향후 전망이 가능하기를 바란다. 이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은 정치사와 사회사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는 점, 해방 이전 시기에 대한 출제가 해방 이후 시기에 대한 출제에 비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문항 소재는 일제의 침략과 그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저항이나 독재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저항 등 주로 정치사와 사회사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근ㆍ현대사과목이 지향하고 있는 가치를 잘 보여준다는 점 등의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이 상당히 민족주의적 편향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이 민족주의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격은 이른바 ‘세계화시대’의 역사교육의 지향성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이나 세계사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곧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에서만이 아니라 역사교육 전반에서 이루어져야 할 일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question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rom 2005 through 2010. It is our hope that our study will contribute to drawing the future prospect of the trend of examination question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Our finding show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end to give too much importance to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and questions regarding history before liberation from Japan overwelmingly outnumber those concern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Further, subject matters of the questions mostly concern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Korea people’s resistance and Korean people’s resistance against dictatorship, reflecting the value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intends to aim for. This mean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exhibits nationalistic inclination to a great extent, suggesting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has strong nationalistic character. This seems to be a move somewhat distant from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global age’. In light of this, we suggest that future Korean modern and comtemporar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Japan’s colonial policy or context of world history. In fact, this should be done in the entire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not just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 古典詩歌敎育 이대로 좋은가 : 특히 詩調文學敎育과 관련하여

        金東俊 동국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5 교육문제연구 Vol.3 No.-

        오늘 본인에게 주어진 제목은 "고전문학교육의 문제점" 중에서 "시가교육의 문제점"이다. 교육의 과제란 근본적으로 만족이라든가 완전이라든가를 기할 수 없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이야기이지만 문제는 교육의 본질문제가 아니라, 그 효율성을 추구하는 문제로 이야기 될 때 이 방면의 종사자들은 늘 책임이라는 문제를 면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책임문제와 관련하여 고전시가교육에 대한 표면적인 문제는 정책적 차원에서의 교과과정상의 문제와 교재상의 문제를 지적하게 되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교과지도상의 문제라 하겠다. 교육ㆍ 고전시가의 체계에서 파악되어지는 고전시가교육이 한낱 관념적인 우리 선인들의 문학유산이라는 단계를 넘어서 고전이 우리 현실앞에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 현대문학에 접합되어져야 한다는 명제를 안고 있다

      • 産業社會에 적응하는 人間養成을 위한 家政科敎育의 方向

        李春규,劉永祥,李貞德,朴明姬 동국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3 교육문제연구 Vol.2 No.-

        ABSTRACT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she documents-study and curricula analysis to grasp the changing functions of family in the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identy the ways of improving Home Economics Education.1. Aspects of family functionsFirst,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of a society,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family, the ecoBlomic function, Ivhich is the basic one, underwent the most remarIEable change. Externally, the functons of providing labour and enhancing its quality are strenghthene4 while internally the consumer functions of family members are expanded. And to hee拏 uP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ic technology, more emphasis shou14 be put on the home management techniqnes. Secondly, the more industrialiged a society is, the more on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function of affection which is one of the fundermental functions of family to restore the humanity of the family members. Regarding the sexual (unctions, the aspect of sex control and the population control should be strengthened.Thirdly, among other additional (unctions of family, the important function that a modern society requires most is the eAucational function within home, particularly, the education (or culture transfer a social life.In addition, it seems that more industrialiged a society becomes, the more required are, externally, the function of the social stabilization, and internally, the functions of providing rest and recreation for mental and Physical refreshment of family memders. 2. Protaems in Home Economics educationTte first problem is the nature of the subjects themselv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c curriculum of the Comprehehensive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education in a socity under its industrialization is made up of Vocational-Home Economics subject on the basis of the past vocational education, but this should be included in the general subjects needed for everybody in a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 Second, the present curriculum which applies separate subjects for male and female education, does not fit the trend of modern industrialised society, in which the sex role has been weakened considerably. In other words, current system is not desirable, because male students need more learning in Comprehensive Hon)e Economics, while girl students need more Vocational education.The third problem is the natur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If above-mentiontioned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ecucation is accepted as one of the general subjects, then,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to provide specialize4 vocational education to keep up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fed society. Although the goals of the current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to achieve the betterment of home life as well as social life, and the goals themselves are directed to achieve the specialization, the actual curriculum doesn't suffice the goals.Therefore, the general education for family life and social life should be done through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subject, and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career should be specialized through Vocati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typical Voc- ational education subject.3.'1'entative 誠路99estions of 뇌one 路conomicg 刻럽脚c亂銘킬n for Industrialized Soclty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nges of family and the problems of present Houle Economics education, the following tentative suggestions are made to train students to adapt the.nselves better to the industrlaliBation of the society,1) In middle schools as well as in high schools, the subjects lille Technology and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which now belon壽 to the Vocational-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general subjects.2) Girls Comprehensive Home Economics subject and boys Technology subject should be combined in a new course for both male and (emale students. The genEral goals of this new suggested are as follows :a)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amily formation and its developmentb) T㉠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ecess of industrialized society.c) To learn how to utilige a,14 conserve resources, and to foster the caP亂bilities of efficient management.d) To learn how to use and manage simple tools and machines as well as the value and pleasure of working.e) To foster the attitude of wise consumer.f) To understand the need of humall clothing, huslan nlltl·ition & food, and housing environmentg) To let each individual plan and make decision for one's tut·Ire.ThoEe goals are to teach the basic and essential attitude and knowledge that human beings must have to lead happy and comfortable life,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basic concepts ㉡』 Home Economics which enables them utilize family environm- ents, technology, and resoul'roes.1 mils TenTaTive s'uggesTlons TaemEeLves 211署嵐르 hi-111諸 Problems me叢tioned above, such as, textbook revision, composition of contents to implement ttlose goals,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But the contents and quality of education should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hanging society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ir society better. Especially, the subjects related to daily living, like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should be focused to (oster the ability of social adjustment. To that effect, chang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oward a new direction are necessary.It is regrettable that the boca淋onal aspec能 of Voca沐onal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not fully dealt in this study. Authors hope the subject will to further atudied with more concern in the times ahead.

      • KCI등재

        역사 교과서, 현대사를 어디까지 서술할 것인가?

        방대광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4 역사와 교육 Vol.18 No.-

        본인은 고등학교 현장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로서 교과 서 서술에서 현대사의 범위를 어디까지 포함시키는 것이 좋을지, 또한 수능 시험에서 현대사를 어디까지 출제하는 것을 바람직한지 에 대해 의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 집필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교과서 서술 내용, 수능 시험에 출제된 현대사 문제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역사 교과서 서술 범위와 출제 범위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학생들은 한국 현대사를 배움으로써 역사적 존재로서의 개인의 배경과 토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삶에 대한 성찰도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현대사의 많은 논쟁도 역설적으로 보자면, 학생들 이 자신만의 역사인식을 형성하고 역사인식의 주체로 서나가는 과 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현대사의 하한을 집필 당시를 기준 으로 하고 있는 교과서와 바로 전 정부까지 다루고 있는 교과서가 있으며, 통일 노력은 8종 모두 바로 전 정부까지 다루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최근 3년간 수능 시험에서 한국 근ㆍ현대사와 한국사 과목에서 정치사는 6월 민주 항쟁, 경제사는 김영삼 정부의 경제 정책, 통일 노력은 노무현 정부의 통일 정책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교과서 서술과 수능 시험 출제와 관련하여 현대사의 범위 를 어디까지 해야 할지에 대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역사 교과서 서술과 현대사의 하한, 즉 현대사의 범위를 정하기에 앞서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특히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대사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편, 역사 교과서 집필, 학교 현 장의 현대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구체적 으로 제안하자면 교과서 서술과 수능 시험에서 현대사의 하한을 전 정부까지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2013년 많은 사회적 논란 끝에 검정 통과된 한국사교과서는 2014년 입학한 고등학생들부터 필수 과목으로 배우게 됐다. 또한 한국사 과목은 금년 신입생들에게 적용될 2017학년도 수능 시험에 서 필수 과목이 되었기 때문에 그만큼 이전에 비해 역사교육에 대 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 의 역사 교사들은 더욱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도록 하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통해 제대로 된 가 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올바른 역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더 큰 관심을 가지고 도와주도록 해야 할 것이며, 향후 교육과정 개 편과 교과서 집필에 있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전개되어야 한다 고 간곡히 당부 드리고 싶다. Students lear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existence as an individual, you can check is that you can reflect on life can be. Paradoxically,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s much debate term, students are aware of their own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recognition of the subject can be seen as standing ou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at the time of writing contemporary history based on the lower limit of the government to deal with textbooks and textbooks just before and just before the reunification efforts are eight kinds of government to deal with all that can be seen. Korean SAT in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Korean history roots politics in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course, the economic lives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 economic policy, the Roh government's efforts to unify unified policy can be seen to include. Korean SAT described in history books and a range of questions in relation to modern history, you should know a few things about how far you want to offer. First, the history of modern history textbooks describe and lower, that is, to determine the scope of modern history, and writing curriculum standards prior to be cautious, especially you. Second, in relation to education and curriculum reform in modern history, a history textbook writing, th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in schools is needed systematic review. Third, the specific proposals in the gritty modern history textbooks describe the lower limit of the SAT exam and I think it is up to the government. Many social controversy at the end of 2013 black Korean history textbooks in 2014 passed a year for admission int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quired courses of study. Korean history course can also be applied to the 2017 academic year freshmen SAT subject tests required much earlier than this because the social interest in history education will increase. From this viewpoint, the history of schools and teachers have more heavy responsibility uisikreul history students have the right to form a proper alignment will try. In addition, schools can be made so that the correct history of the academic education, as well as have a greater interest in the government need to help them and, in the future curriculum reform and textbook writing got more attention and effort should be deployed'd like to earnestly urge.

      •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 인식과 교사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정금연 ( Jeong Geum Yeon ),김혜순 ( Kim Hye 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인식과 교사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 P시와 G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93명이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안전교육인식, 교사효능감, 안전실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 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각각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인식과 안전실천은 매우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도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에 따른 안전교육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기관규모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가 유의하였다. 교사학력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안전실천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담당학급연령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안전실천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안전실천에는 교사효능감 중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안전교육인식 중 안전교육 필요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실천에는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안전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교육 및 보육환경의 조성은 무엇보다 중요하고, 일차적으로 현장 교사들의 관심과 노력은 물론 범사회적인 안전인식의 제고 및 사회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질 때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과 사회와 연계한 안전교육지도, 안전실천이 이루어져야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years teachers'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efficacy on their safety practic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arly years teachers in G-city and P-city of Gyeoungsangbook-do. For this study,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about safety education, scale for safety practice and scale for teacher efficacy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eachers' perception about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 efficacy and safety practice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necessity about safety education and general efficacy of teacher on safet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