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회지를 통해 본 교육철학 연구 동향: JPE, ET, KJPE를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2

        본고는 2005-2010년 사이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영국교육철학회), Educational Theory(미국교육철학회 & 미국J.Dewey학회) 및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한국교육철학회)에 게재된 55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철학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시험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철학의 자기성찰과 변혁"이라는 관점은 본 연구의 틀과 논지 형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하게 된 교육철학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즉, 교육철학은 대외적으로는 사회문제의 진단 및 해결 그리고 시대적응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고, 대내적으로는 교육철학 학문성의 현대적 재개념화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철학의 기능과 의의가 사회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으며, 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학의 모 학문이자 분과학문인 교육철학의 의의와 위상이 재확인 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교육철학은 교육사회 문제로 눈을 돌림으로써 교육철학의 외연을 확대하고,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을 통해 내적 타당성을 공고히 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고 여겨진다. This article tries to give an overview on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education. The author analyses recent journal articles in the last six years, which belong to the societies of philosophy of education -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UK), Educational Theory (USA), Th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South Korea) - and brings them to an international comparision. Focussing on the perspective "self-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a pilot test, the author shows, in what subjects the philosophers of education of these journals the most interested.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social engagement and the need for self-reflection with reorientation of this discipline"; in other word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problem through social-philosophical orientation, and need for revision and redefinition of the identity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mphasis on empirical research. Moreover this article shows specific features of each research group, which are related to th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 philosophies of education.

      • KCI등재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노상우 ( Sang Woo R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본고의 연구목적은 감성에 관한 철학적-사회과학적 담론 분석을 통해 감성의 교육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하나는 감성이 과연 교육학적 가치와 가능성의 토대가 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철학적 담론 분석을 통해 감성은 인간의 본질적인 힘이자 근원적인 생명력으로 단순히 세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의 소통과정 속에서 그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삶을 이끌어나가는 능력임을 밝혔다. 또한 사회과학적 담론 분석에서는 개인의 감성지수가 조직구성원간의 인간관계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다양한 실증연구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감성에 대한 논의는 이성중심의 전통에 새로운 교육학적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감성에 기초한 교육철학적 성격은 무엇이고 이 철학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적 원리는 어떤 것인가를 탐구하였다. 본고는 학생의 감성은 지성적 인식뿐만 아니라 창조적이고 미학적인 사유능력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감성을 함양시키는 적합한 방법적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나딩스의 배려를 위한 대화의 교육방식과 루소가 제안한 소극적 교육방식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이상의 감성에 기초한 교육철학은 특히 오늘날의 건조한 지식중심의 학교상황에서 보다 더 ‘따뜻하고 배려하는’ 교육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emotion to current educational philosophy by philosophical-social scientific discourse analysis. Two research questions is framed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emotion discourse analysis, it confirm whether the emotion can be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values and possi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philosophy of emotion, it is the substantial power and the root of the life, not only as a perception of the world objectively but also as the ability to manage one`s life by recognizing it through the communications with the world. Moreover, it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in a social scientific discourse by revealing that one`s emotional quoti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s productivity. Secondly, it inquire w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are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 and what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are in order to practice this philosophy. The paper present that learner`s emotion is an intellectual perception as well as a creative and aesthetic thinking ability; and it suggest that the care approach based on the conversation and the the negative educational approach as a probable principle of promoting the elevation of emo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warm and human culture in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 KCI등재

        교육철학의 "실천적 전환":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중심으로

        김상섭 ( Sang Sup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교육철학의 위기에 맞서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일련의 "실천적 전환"에 주목하면서, 특히 교육철학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러한 노력을 연장하고 가능하면 보완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하는 필자의 모습 자체를 재구성하고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교육철학의 방법론적 위기를 재인식하고 재조명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철학만의 고유하고 우월한 방법론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대신에 일상적인 실천에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이해하기``에 기반을 둔 철학하기를 시도한다. 하지만 일상적인 이해하기를 보다 의식적이고 보다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해석학적 순환에 보다 충실함으로써 실천적 전환에 합당한 철학하기에 도달하고자 한다. 그런데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통해 도달하게 되는 이해나 인식은 객관적이거나 궁극적이지 않다. 그것은 다만 의미의 가능성을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올림으로써 교육실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 즉 해석의 다양성과 깊이를 덧보태고자 할 뿐이다. 다시 말하면 철학적 이해하기를 통해 도달한 인식은 새로운 실천과 해석적인 상황에 투입 가능한 자료일 뿐이다. 이렇듯이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실천에서의 유의미성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실천적이다. 그런 의미로 교육실천을 위한 철학하기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을 펴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는 결코 작지 않다. 최소한으로 인식의 상대성과 임시성 그리고 가변성을 떠맡아야 한다. 나아가 엄정하고 절대적인 의미의 비판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 희생해야 한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교육이라는 실천적 텍스트에 대한 지속적인 해석과 의미부여 및 의미발견을 확장하고 자극하는 것으로 교육철학의 실천적 전환에 나름의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actical turn`` which seems to be proposed recently as a remedy for the crisis in philosophy of education. Supposed that recent researches are inclined to discuss with the crisis of ``productiv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on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because it is assumed that a solution to the later problem can also contribute to the former one.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is discussed as an example of educational philosophy to confront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more practically.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is here exemplified as a helpful means to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because it is methodologically characterized by the ``understanding`` which it has in common with the everyday practices. Hermeneutics is however eager to make the methode of understanding better by using methodological hermeneutics more intentionally and skillfully on the one hand and by committing itself to the hermeneutical circle between text and interpret more productively and creatively on the other hand.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can therefore contribute to the practical turn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However its costs are not little, because hermeneutics can not insist on the universal knowledge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This paper has to be satisfied with the result that it can widen and enrich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and its meanings for educational practices. Moreover the result of this paper might do a better job for the practical turn in educational philosophy if there were no other way for us to accept such knowledge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as relative, moving, and variable on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ve situations and interprets. Certainly it`s too much for this paper.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철학의 적용: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를 중심으로

        심승환 ( Seung Hwan Sh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4

        교육철학은 ``교육``을 중심으로 이론과 실천이 연결된 영역인데 그간 이론적 연구와 수업현장의 적용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였다는 반성에서, ``비판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의 중학교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에 교육철학이 어떻게 연관되며 적용되어야 할지 실제적인 차원에서 논의한다. 비판적 사고는 합리적인 사고과정과 열린 탐구의 정신을 지향함으로써 좋은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와 실천 활동을 유도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중학교 국어 및 사회 교과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가지고 비판적 사고 수업 방법의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어떻게 교과 수업의 과정에서 교육철학적 성찰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연구자는 립맨의 탐구공동체의 탐구 절차와 브라운과 킬리의 핵심질문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과정을 구체적 수업전개과정에 적용하여 각 단계별 진행방식을 실제적으로 논의하였다. Philosophy of education is the area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is connected, centering on ‘education.’ However, based on self-reflection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oretical study and application at the actual class settings, this study discusses about, at the practical level, with a focus on ‘critical thinking,’ how philosophy of education is related to the Korean middle school education objectives and education curriculum,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In particula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Social Science subjects are used to suggest one of the models for critical thinking class method, and how the ref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realized by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curriculum subject level. All of the middle school education objectives, such as, learning from a wide variety of experiences and knowledge, seeking out the future career, basic academic capabilities required for learning and daily life,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power, understanding of various cultures and values, communication abilities, or attributes and attitudes as a citizen of a democratic society, are closely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in which meaning and causal relations are inquired, proper choices and judgments are pursued, and inquire different alternatives with an open mind. This is because the in-depth, philosophical inquiry and discussion on ‘What is it?’ ‘Why is it’ or ‘What are other aspects?’ is inextricably related to the process of learning and growing of a human being in terms of intellect and character. This is the essence of philosophy of education and the ideal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must realiz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ne model on how the in-depth philosophy of education reflection on what is right and good in the human life can be realistically realized in the actual class settings in which a specific text is utilized for teaching.

      • KCI등재

        한국근대기 박은식의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과 실천

        황금중 ( Hwang Keumjo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1

        이 글은 한국 역사의 축이 유교적 패러다임에서 근대적 패러다임으로 이동하는 거대한 변혁기에 나타난, 교육 문명의 전환을 자각하고 설계하는 철학적 모색의 흔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했다. 박은식은 이 관심에서 특히 주목되었으며, 한국근대기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적 기틀을 알찬 형태로 보여주었다. 그는 문명의 전환을 준비하고 이끄는 데 필요한 사상 체계를 구축하는 과제를 일생의 책무로 자임하며, 이를 특히 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풀고자 했다. 이는 그의 전 생애에 걸친 활동과 저술에서 교육 영역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그의 교육론은 단지 계몽운동과 독립운동, 혹은 종교운동 차원에서 교육 실천의 방침을 논하는 수준을 넘어, 새 시대에 필요한 교육철학적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축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의 교육철학은 전통과 서양, 민족(주의)과 세계(주의), 지성과 덕성, 학술과 실천을 서로 연결하고 조화시키는 기저 위에, 교육의 개념, 학교의 역할, 덕육-지육-체육의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민족의 의식개조 및 혁신의 삶 등에 대한 입장을 풀어내고 있다. 특히 그는 유교적 패러다임을 자각적으로 벗어나되 유교를 버리는 방식이 아닌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교적 요소를, 다른 동서의 사상들의 그것과 함께, 새롭게 추출해서 활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유교를 비롯해 불교, 신교, 선교 등의 전통사상과 기독교, 진화론을 비롯해 서양의 제반의 사상 및 국가 사례들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교육이념과 제도를 구상해 갔다. 박은식의 사례는, 한국의 교육사상의 역사에서 근대기가 단순한 공백기나 혼란기가 아니라 교육문명 전환에 요구되는 철학적 기틀이 자각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축된 시기임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traces of philosophical search for the preparation of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civilization in the huge transformation period when the axis of Korean history moves from Confucian paradigm to modern paradigm. Park Eun-sik, as the best example found on the basis of this interest, created a philosophical framework of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civilization in the modern Korean period in a very good form. He was responsible for his life to build a philosophical system necessary to prepare and lead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and he tried to solve it especially in the education field. This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education in his activities and writings throughout his life is overwhelming. His education theory reached the stage of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philosophical paradigm necessary for the new era, beyond the level of discussing the policy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or independence movement or religious movement. Based on connecting and harmoniza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telligence and virtue, academic and practicality, his philosophy of education discussed the concept of education, the role of school, the principle of curriculum for harmonious cultivation of virtue-intelligence-health, the innovation of people’s minds and lives. In particular, he chose the way to keep an eye on the universal values in Confucianism, not to deny Confucianism while consciously breaking away the Confucian paradigm, and to extract and utilize the Confucian values with those of other thoughts of the East and the West. He has conceived his educational thoughts and system of a new era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raditional idea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Sin-gyo, Seon-gyo and other Western ideas including of Christianity, evolution theory and the successful models of the Western countries. The case of Park Eun-sik shows that the modern times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thought is not a blank period but a period when the philosophical framework required for the transition of education civilization is established conscious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듀이의 ‘학교 환경의 재설계’에 대한 철학적 고찰: 질성적 직접성과 외연 관계에 대한 개념적 분석

        최훈 ( Choi Ho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듀이는 경험의 본성을 개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철학의 방법을 발전시킨다. 듀이에 따르면 기존의 철학은 성찰의 기능적 결과를 성찰보다 시간상 선행하는 존재로 실체화하는 오류를 범한다. 듀이의 철학적 방법은 이러한 철학적 오류를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적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학교 환경의 재설계’가교육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오류에 대한 진단임과 동시에 그 오류를 교육적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시도임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절에서는 듀이 철학의 핵심적 개념인 질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직접적 존재의 지위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 근거하여 일차적 경험의 개념적 명확화를 시도한다. 3절에서는 기호적 기능의 관점에서 외연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존재적인 것과 기능적인 것의 차이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 근거하여 이차적 경험의 개념적 명확화를 시도한다. 4절에서는 ‘학교 안의 삶과 학교 밖의 삶 사이의 연속성’과 ‘일차적 경험과 이차적 경험 사이의 연속적 순환’이 논리적으로 서로 일치함을 설명한다. 이에 기초하여 ‘학교 환경의 재설계’가 철학적 오류의 해결 및 ‘일차적 경험과 이차적 경험 사이의 순환 관계’의 회복을 위해 마련된 교육적 기획임을 밝힌다. 마지막 5절에서는 ‘학교 안에서의 학습 경험’이 구체적인 삶의 맥락과 실제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학교 환경의 재설계’에 함의된 교육적 실천성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Dewey advances his philosophical method through the conceptual analysis of the nature of experience. According to Dewey, conventional philosophy commits a fallacy hypostatizing the functional results of reflexion as existence temporally antecedent to reflexion itself. Dewey’s philosophical method is a conceptual instrument devised to resolve this philosophical fall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at Dewey’s re-designing of school environment represents simultaneously a diagnosis of the philosophical fallacy that arises within the educational plane as well as an attempt to educationally resolve this fallacy. To this en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Section 2 systematically analyses the concept of ‘quality’ which is central to Dewey’s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n immediate existence conceptually clarifies primary experience. Section 3 systematically analyses ‘denotative re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nction of signs.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existence and function conceptually clarifies secondary experience. Section 4 explains how the continuity between life within school and that outside of school is logically equivalent to th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xperiences. Based on this explana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he re-designing of school environment is an educational project for resolving the philosophical fallacy and for restoring the continuous circularit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xperiences. Section 5, the last section of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earning experience in school can be conjoined with the concrete context of life, thereby elucidating the educational practicality implied in the re-designing of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의 교육철학적 해석

        박은주 ( Park Eun-j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우리 교육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이의 실현 과정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연구자의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현대 교육은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도구적 수단으로 전락되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의미 있는 공부이고 바람직한 공부인가’라는 인간과 공부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성찰을 우리 교육 목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교육철학의 중요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연구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현대 심리학인 로고테라피의 교육철학적 해석을 통해 현대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로고테라피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빅터 프랭클(Victor E. Frankl, 1905~1997)이 창시하였으며, 실존 분석적 심리치료 이론이면서 동시에 인간을 자유와 책임이 있는 존재로 파악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깨어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의미철학이다. 로고테라피는 영적 무의식의 발견을 통하여 인간의 본질을 생리적·차원을 넘어선 영적인 차원(noological dimension)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로고테라피에서의 영적 실존은 그리스어 logs의 원형적 사고와 연관되어 존재론적 성격과 동시에 인식론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론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구체적인 삶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로고테라피에서는 인간 본질을 온전히 실현한 이상향을 ‘성인’으로 상정하며, 이에 다다르기 위해 자아초월 self-transcendence과 도전의지를 강조한다. 로고테라피에서의 자아초월이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조건에 맞서 나 자신을 넘어 다른 사람, 어떤 대상을 지향하면서 ‘창조적 가치’, ‘체험적 가치’ 및 태도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로고테라피가 ‘교육의 목표 설정’, ‘교육 목표 달성 방법’, ‘인간 의지에 대한 이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우리 교육에 필요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교육 목표’에 ‘인간의 본질’ 혹은 ‘삶의 의미’라는 영적(noological) 영역을 포함시키는 문제, 진정한 자아실현을 위하여 ‘자아초월’을 ‘교육 목표 달성 방법’으로 고려하는 문제는 앞으로 우리 교육에서 새롭게 논의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인간 본질을 자신의 삶에서 실현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즉 인간의 자유와 선택 및 책임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인간 이해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적 시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awareness that our education lacks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with the process of its realization. Modern education has been degraded into a tool for fierce competition. What we desperately need to answer at this point is the question of a fundamental reflection about human and study, such as ‘what is a human being?’ and ‘what is a meaningful and desirable study?’. It is argued that an important task of educational philosophy is to include these reflections in our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education through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logotherapy. Logotherapy, through the discovery of spiritual unconsciousness, has shown that human nature should be sought in a spiritual dimension (noological dimension) beyond a physiological dimension. The spiritual existence in logotherapy appears to have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characters derived from the circular thinking of Greek ‘logs’. The ultimate goal of this theory is to seek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to realize it in concrete life . Logotherapy posits ‘sage’ as the ideal of fully realized human nature, and emphasizes as a method self-transcendence and willingness to challenge. Self-transcendence in logotherapy means realizing one's ‘creative value’, ‘experiential value’ and ‘attitude value’ while going beyond one's self towards others, standing up to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conditions. It is shown that logotherapy offers deep insights for our education in three aspects: ‘setting the goals of education’, ‘the way to achieve the goals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 human will’. The issues of including of the spiritual dimension (noological dimension) of ‘human nature’ or ‘meaning of life’ in ‘educational goals’ and of considering ‘self-transcendence’ as a ‘method for achieving educational goals’ for true self-realization should be discussed anew in future education. Also, emphasizing human will to realize human nature in one's life - human freedom, choice and responsibility - could bring a paradigm shift view of understanding human in our society.

      • KCI등재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정영근 ( Young Kun Tsc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오늘날 영상은 모든 분야에서 막강한 지배력을 발휘하고, 인간의 삶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며, 또한 물질문명 속에서 상업적으로 대단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교육학에서도 영상 및 영상매체는 마치 교육방법을 개혁할 핵심 분야인 양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그림과 영상이 인간에 대해 지니는 의미와 작용력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인간학·인식론적 본질에 대해 탐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상생활과 배움에서 그림과 이미지가 홍수를 이루는 영상시대의 교육학이 그림과 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철학의 관점에서 그림을 인류의 문명사적 발달단계와 연관하여 분석한 V. Flusser의 논의를 살펴볼 것이며, 교육학의 주요관심사가 될 글과 그림의 관계를 그간 기호학자 및 미술사학자 그리고 그림이론가들이 어떻게 규정지으려 했는지를 간략하게 서술할 것이다. 또한 그림이 교육의 역사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언급하고, 그림이 인간의 지식구성에 지니는 교육학적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의 교육학 연구에서도 그림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Ein Großteil dessen, was heute als Interaktivitat bezeichnet wird, vollzieht sich primar uber die sinnliche Vermittlung der Augen, seien es Bilder, seien es Worte auf dem Bildschirm. Bilder haben unbestreitbar einen enormen Einfluss auf Identitat und Verhalten des Menschen und auf die Vorstellungen von Realitat. Bilder stehen fur die leichte Unterhaltung und unreflektierte Sinnlichkeit. Sie konnen aber auch schnell Information und Orientierung bieten und Sachverhalte auf einen Blick vermitteln, die nur umstandlich mit Sprache auszudrucken sind. Vilem Flussers Theorie nach ist eine Kultur- und Geistesgeschichte zwangslaufig auch eine Mediengeschichte. Das Denken wird also durch die Medien beeinflusst, in denen es sich ausdruckt. Wissen und Kultur werden auf Medientechnik zuruckgefuhrt. Als zentraler Bestandteil alltaglichen Lebens beeinflussen Bilder Bildungs-, Erziehungs- und Lernprozesse, ob es nun im Sinne von didaktischer Instrumentalisierung, Aufarbeitung, Reflexion oder Nutzung in padagogischen Zusammenhangen. Der Blick auf Bilder und Bildlichkeit eroffnet vielfaltige Perspektiven und Forschungshorizonte in der Erziehungswissenschaft, etwa in Bezug auf Funktionen, die Bilder in Zusammenhangen von Bildung und Erziehung haben sollen und haben konnen. Die asthetische Dimension von Bildung wurde durch den auf eine verkuerzte Rationalitaet fixierten padagogischen Diskurs verdrangt oder instrumentalisiert und damit auch das Potential der sinnvermittelnden Sinnlichkeit von Bildern in deren Bedeutung fur ein kreatives und kritisches Selbst- und Weltverstandnis verkannt. Nunmehr wird allerdings der Zusammenhang von Bild und Bildung allmahlich in einem sich wandelnden padagogischen Diskurs zu einem spannenden Thema der Erziehungs- und Bildungswissenschaft. Eine padagogische Bildwissenschaft, die dem Zusammenhang von Bild und Bildung auf der Spur ist, gibt es jedoch erst in Ansatzen.

      • KCI등재

        바디우 철학의 교육학적 함의 -구성주의와 다문화주의 교육설의 보완을 중심으로-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현대 철학은 급진적 상대주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반면, 신자유주의는 보편성을 획득했다. 바디우는 이러한 상대주의화 경향에 맞서 보편적 진리론에 기반을 두는 정통적 철학의 재건을 시도하는 철학자이다. 철학계와 마찬가지로, 이론에 있어서는 구성주의 교육론과 다문화교육론으로 대표되는 상대주의화, 실제에 있어서는 신자유주의의 보편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교육학에 있어서 바디우의 철학은 큰 의미를 가진다. 즉 바디우 철학에 의하면, 구성주의 교육론에 있어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사고 및 행동 방식, 더 나아가 존재방식까지도 바꾸는 경지에 이르도록 학습자를 자극하고 격려한다는 점, 다문화 교육은 다른 점보다는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추어 강조 한다는 점을 보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oughts of Alain Badiou who is a living French influential philosopher, and to ge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have come into relativism, and have lost out it`s universality. And neo-liberalism which based on money-value have taken the universality which the authentic philosophy has lost out. And education society have been on the same way. People finds that quality of their life have gotten down due to relativism. Badiou is against the philosophical circumstance like this, and have been trying to rebuild a authentic philosophy which based on the true theory which guarantees the universality. For Badiou, the procedure of the true making is ``situation`` - ``involvement(naming)`` - ``event`` - ``fidelity(inquiring)`` - ``true``. The ``situation`` refers to a world filled with multiple elements which include formal elements and informal elements like void. The ``involvement`` refers to giving a name to informal elements like void, and binding together the elements under the name. The ``event`` is a finding of/with the involvement. the ``fidelity`` is to unremittedly, sincerely inquire the event, and the ``inquire`` refers to compare the elements on the event with the old elements in the situation. The ``true`` refers to a result of/through the fidelity. According to Badiou`s true theory, a constructive education theory need to get supplemented with the fidelity to get grade up.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have not to focus difference between cultures but to focus sameness between them.

      • KCI등재

        노엄 촘스키(Noam Chomsky)의 비판적 교육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김운종 ( Uhn J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4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세계적인 언어학자이자 철학 및 심리학 등의 다방면에서 심성주의와 합리주의를 가장 설득력 있게 주창한 사상가이다. 그는 미국 정부의 대외정책뿐만 아니라 기업과 언론에 의한 통제와 억압에 대하여 정면으로 도전하는 정치평론가이자, 실천적 지식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지배 이데올로기의 압력에 의해 왜곡되고 있는 미국의 교육현실에 대하여 냉철하게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과 학교의 본래적 역할의 회복할 것을 주장한다. 국가는 학교를 ``순종을 강요하고 독립적 사고의 가능성을 저해하기 위한 교화기관``으로 전락시켰고, 교사는 문화의 중간전달자로서 진실을 말하는 대신 소수집단에 의하여 결정된 지식을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학생에게 충실히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학교는 사회에 순응하는 학생으로 길러낸다고 비판하면서, 학생을 ``방관자``가 아닌 ``행동하는 참여자``로 이끌어야 한다는 비판적 교육론을 주장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타고난 본성인 정신(mind)을 계발하는 데 두고, 실천적 측면에서는 학생의 자유와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발견학습과 학습자 중심의 민주주의 교육을 강조한다. 이러한 촘스키의교육적 신념은 플라톤으로부터 데카르트를 거쳐 칸트, 그리고 훔볼트 등으로 계승된 합리주의와 고전적 자유주의의 전통을 이어 받아 인간의 타고난 본성인 정신(mind) 능력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며, 방법론적으로는 러셀의 인간 중심 교육과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을 지지한다. 촘스키의 비판적 교육론은 입시위주의 교육, 성적 제일주의, 무한 경쟁의 조장으로 얼룩진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이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준다. Noam Chomsky is a world famous linguist and thinker who advocated rationalism and mentalism most persuasively in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etc. However, he has been evaluated as a practical intellectual as well as political commentator that challenged against not only the foreign policy of the America government but the control and oppression by corporations and the media. In particular, recently he criticized the education reality of the America that had been distorted by the pressure of the dominating ideology and claimed for recov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 inherent role of schools. According to him, the government enforced obedience and degenerated schools to enlightened institutions to enforce obedience and inhibit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thought; and teachers serve sincerely to pass over knowledge decided by a small group in a way of civilization rather than tell truth as middle deliverers of culture. He criticized that schools raised students who conform to society accordingly and suggested the practice of democratic education. His beliefs are based on rationalistic tradition, which were inherited by Kant and Humboldt from Plato through Descartes, and the trust on human nature, which was formed influenced by classic liberalism. Accordingly, He strongly argue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mind as innate nature, and raise students as active participants rather than bystanders by encouraging creativity and criticism in a way of democratic education. He especially emphasizes Russell`s human-centered education and Dewey`s practice of democratic education. Chomsky`s suggestion may provide many implications in reestablish the genuin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that is stained with college entrance focus, achievement priority, and limitless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