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8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김동선 해방이후 진주한 미군정에게는 남한에서 친미세력을 키우고, 민주주의를 이식시킬 도구가 필요했다. 이런 까닭으로 그들은 교과교육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어 전면적인 교과과정 개혁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로써 등장한 교과목이 통합교과의 성격을 갖는 사회생활과였다. 중등교육의 공민과는 사회생활과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수요목기에 사용되던 공민과 교수요목은 1948년 12월에 발간된 것이지만, 미군정기에 이미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시기의 교수요목은 대체로 콜로라도 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받았지만, 개인보다는 公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일제강점기 공민과 교수요목의 영향도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미군정기 작성된 교수요목은 보건과 장애, 노동과 소작의 문제 등에서 콜로라도 교수요목과 다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보건과 장애항목에서 콜로라도 교수요목은 공동체와 국가의 역할과 임무를 강조하고, 장애인에 대한 복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미군정의 교수요목에는 국가의 책임이나 임무로 다루기보다 개인의 역할을 가르치는데 치우쳤다. 일제강점기의 연장선상으로 마약의 해악과 치료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콜로라도 교수요목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노동조합과 노동자의 권리, 소작의 폐해와 해결방안, 농민의 생산물에 대한 대가에 관한 내용들은 미군정의 그것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미군정의 입장과 공민과 교수요목의 내용이 완전히 부합하지 않았던 것에는 몇 가지 까닭이 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미군정과 미국인 교육고문관들의 공산주의에 대한 시각문제였다. 조선 교육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미국인 고문들 중에는 선교사나 그 2세가 상당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공산주의에 강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 내 기독교 세력들과 가까웠으며,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이었다. 미국인 교육고문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던 언더우드 역시 공산주의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미군정이 교육 관료로 삼은 조선인들은 국내에 기반을 가진 지주계층에 속한 기독교인들이 많았다. 조선인 관료들은 조선의 민족주의를 강조했고, 국가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소작 및 노동문제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노동운동 및 농민운동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미군정은 조선인의 민족주의 강화나 국가주의를 경계하였지만, 좌익세력을 막고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의 협조가 필요했다. 미군정은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 확산과 공산주의 배제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들의 의견을 수용하였다. 교수요목기 공민과 교수요목은 개인의 삶을 다루었지만, 개인은 公에 우선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기 공민교과에서 기르고자 했던 공민은 민주주의 국가의 개개의 ‘시민’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새로 세울 국가와 민족에 충성을 다하고, 발전시킬 ‘국민’이라고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during Syllabus Period Kim, Dong-su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had stationed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needed a tool to promote U.S.-friendly power group and transplant democracy in South Korea. For these reasons, the Government become interested in subject education and attempted full-scale curriculum reform. As a result, the subject that had emerged during the reform was Social Studies with the character of integrated subject. The public citizenship course in the secondary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Although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had been published in December 1948, the syllabus seems to have already been writte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The syllabus during this period had been influenced mainly by the syllabus in the State of Colorado, U.S.A., while the propensity to focus on publicness rather than individuals suggests the influence by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syllabus written during the U.S. Army Government period shows a different view from the one in the State of Colorado in terms of the matters such as health, disability, labor and tenant farming. In the category of public health and disabilities, the syllabus in the State of Colorado emphasized the role and miss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tate, focusing on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syllabu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more inclined to teach the role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role and mission of the state. The emphasis of the syllabus was on the harm and treatment of drugs along the same lin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yllabu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 not include the trade union and workers 'rights, the harms and remedies of tenant farming, and the price of the farmers' products, which had been important in the Colorado syllabu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 posi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content of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id not completely match. Most fundamental was a matter of the view on communism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U.S. education advisors. There were many missionaries and their second generations among American advisers wh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seon education system. All of them had a strong sense of security regarding communism. Most of them were close to the Christians in Joseon, and politically conservative. Underwood, who had been the most influential American educational advisor, was also negative about communism. Many of the Koreans who served as the educational bureaucrat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Christians who had belonged to the landlord class. The Korean bureaucrats emphasized the Joseon nationalism and had nationalistic tendencies. Economically, they had been closely related to tenant farming and labor issues. Thus, those bureaucrats were negative about the labor movement and the peasant movement.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concerned about the Korean nationalism or statism, the Government needed cooperation of the bureaucrats in order to prevent the rise of leftists` power and maintain the status quo. The U.S. Military Government accepted their views within the frame where the proliferation of democracy and capitalism and the exclusion of communism had been maintained. The syllabus on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e Syllabus Period dealt with the life of individuals, prioritizing the publicness to individuals.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public citizens who had been described in the public citizenship course during this Period as ‘democratic citizens’ in the democratic countries. Rather than assuming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regard the public citizens as ‘national citizens’ who would develo...

      • 초등영어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요목에 관한 연구

        김영철(Kim Young-Cheol)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3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요목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동안 교수요목은 교육과정이라는 큰 틀 안에 묻혀 거의 언급이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요목들 즉, 문법 중심 교수요목, 화제 중심 교수요목, 과업 중심교수요목, 의사소통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다양한 초등영어 수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법 중심 교수요목을 설정할 때는 용이성, 규칙성, 빈도, 대조적 어려움을 토대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화제 중심 교수요목을 설정할 때는 초등학생들과 관련된 많은 화제들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과업 중심 교수요목은 초등 현장에서 교사가 과업들을 수준에 맞게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과업 절차를 잘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중심 교수요목은 초등현장에서 교사들이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성분들을 잘 적용하여 교수요목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언급한 교수요목들이 초등 교실 영어에 잘 적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교사가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을 구안하고 수업을 실시하면서 더 발전된 교수요목들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necessity of syllabus design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This stud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merits, and demerits of grammatical syllabus, topic-based syllabus, task-based syllabus, and communicative syllabus. The grammatical syllabus needs the ordering of simplicity, regularity, frequency, contrastive difficulty whe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design the syllabus. When it comes to the topic-based syllabus, teachers need to utilize a lot of topics designing the topic-based syllabus. The task-based syllabus needs the procedure of pre-task stage, task stage, post-task stage. All the teachers should choose the appropriate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Finally, the communicative syllabus is made up of a lot of compon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So all the teachers should design the communicate syllabus using many compon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ppropriately. It can be concluded that all the teachers need to design the concrete syllabus appropriately regarding grammatical syllabus, topic-based syllabus, task-based syllabus, and communicative syllabus. It is suggested that these kinds of syllabuses should be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 인식 분석

        전영미(Jeon Young Mee),조진숙(Cho J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대학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267명과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평균비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등에서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이나 만족도에서는 교수들이 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대해서는 강의개요나 목표, 내용 등은 교수가, 강의내용과 수업방법, 주차별 학습정보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대학 수업계획서가 교수 중심의 수업계획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 중심의 수업계획서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업계획서 양식이 수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 중심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수 대상 워크숍 및 작성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갖출 것 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to improve the syllabus as a tool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were analyzed. 267 professors and 334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a capital area, participated. The major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It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pecificity of syllabus,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syllabus usage,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llabu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found in every category.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t the specificity of syllabus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professor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outline, goal, and content. But student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content, learning method, and weekly learning information. Conclusions For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 syllabus is a professor-centered one. To improve this into student-centered syllabu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syllabus form should be modified around the components helping student-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yllabus should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dditionally a channel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needs to be arranged more. Workshops for professors and a system for feedback on the syllabu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후보

        Chang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Textbook Syllabuses in Korea Since 1994

        Martin Todd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Chang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Textbook Syllabuses in Korea Since 1994 Martin Todd* Abstract: The textbook used in a foreign language course has a profound influence over what material is taught, when it is taught and how it is taught. It provides a structure and a syllabus for the program and may also help train inexperienced teachers. The syllabus of a textbook affects the content, the layout and the order of the materials in the textbook. The author looked at the evolution of university leve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 syllabuses over the last 30 years to see if there are trends that may relate to what was going on in Korea at that time. He did this by evaluating the syllabuses in sixteen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he had collected over his time teaching in Korea. In the early 1990s, fueled by globalization, the Asian Games in Seoul and the Seoul Olympics, “English Fever” began to take hold of Korea, affecting Koreans’ perception of English, government policy, and the way English was being taught. The perception was that English teaching was failing in Korea, in large part due to the use of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of teaching and a new emphasis was put on obtain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author found some patterns. Notably, that the structural syllabus, although it did not increase in popularity, moved from being a primarily grammar based syllabus to having significant lexical input, probably because of the increase in corpus research enabled by the increasing computer power at the time. He also noted that the skill-based syllabus was used in almost all textbooks and became the dominant syllabus. Finally, he found that the syllabuses, since 2008, have converged, so that syllabuses from different publishers and different years were similar. This raises a concern that stakeholders may be getting complacent about examining the textbooks they have available and about the limitation of textbook choice among teachers. Key Words: Syllabus, Curriculum, Textbook, English Fever, English Language Teaching □ Received: Jan. 20, 2024, Revised: Feb. 13, 2024, Accepted: Feb. 20, 2024* Assistant Professor, Yongin Univ., Email: martinhtodd@gmail.com

      • KCI등재

        통번역 학습자들의 강의계획서에 대한 인식 조사- P 대학교의 활용도, 만족도, 중요도를 중심으로

        최은실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1 외국학연구 Vol.- No.56

        The study aims to prepare a framework for translator and interpreter trainers when they write an appropriate syllabus by identifying when and how often students look at their syllabi; how they recognize their syllabi; and what factors in syllabi are considered important.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38 students who enroll the P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utilization, 40% of the respondents read their syllabi before registering for classes, and 60% of the respondents read the syllabus after registering for classes. Also, they are recognizing syllabi as 'contract', 'learning tool', and 'record'. Among them, syllabi as learning tools show the highest percentage. As to the satisfaction of syllabi, five categories in the syllabus―Course outline and management, teaching-learning goals and operation, weekly learning activities, assignments, and testing―get the range of point 8 out of 10. In the case of importance, respondents consider the category of 'teaching-learning goal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category of assignment as the least important one.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에 관한 연구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이해영(Lee Hae 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1 육아지원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교사에게 수업에서의 자율성과 재량이 많이 부여되는 유아교육에서 수업의 전문성 향상 을 위해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실천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업설 계는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 평가문항의 작성, 수업안의 수정을 필수적이 고 실제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53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는 모든 구성요소 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요소 중 수업활동의 계획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 모두에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와의 관계는 구성요소 모두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수업설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높으면 그에 따 른 실천 정도도 높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 where teachers have great degree of freedom,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putting their syllabus into practice. The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based on five factors, understanding of a syllabus, class objective statements, specific written-down plans for classroom activities, feedback of their syllabus, and improvement of it. To provide an objective data, this study have conducted survey on 153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ungnam. First, teachers consider a syllabus importantly and put their syllabus into practice in a significant manner based on above-average values in all four factors. Especially, they consider specific written-down plans for classroom activities most importantly. Second,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its fulfill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d by teaches’ work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ypes of workplace.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between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fulfillment of the syllabus: The more importantly teach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the more they care to put it into practice.

      • KCI등재

        온톨로지 기반 강의계획서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현숙(Chung Hyun Sook),신영숙(Shin Young Sook) 한국정보기술학회 200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6 No.5

        Syllabus is a teaching plan to teach learning contents to student for a semester effectively. Currently, however, most of all syllabuses have the weakness in searching desired courses, sharing learning materials among lecturers, and connecting between lectures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s. In this paper, we design a syllabus ontology for solving the problem of current text-based irregular syllabuses. Our syllabus ontology defines the standard structure of syllabus and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like courses, syllabuses, teachers, texts, and so on. A syllabus management system using our syllabus ontology can provide improved search facility to find semantically relevant courses and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상세 수업계획서 구조 설계 연구

        이재성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4 교양교육과 시민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structure of extended syllabus. To this end, specific examples were analyzed for the components of the syllabus, specification items, and expandable items.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components of the syllabus can be described in detail and how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mponents. Syllabus could be detailed in almost all items. The lesson plan for each week could be detailed through subdivision and expansion. All classes using extended syllabus can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above a certain level and divers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tandardization of extended syllabus enables objective instructional analysis through data-mining, thereby continuously improving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quality of education. It is effective to apply the extended syllabus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consists of liberal arts elective subjects with weak organic linkage between essential liberal arts courses operated in several classes.

      • KCI등재

        강의계획서 관련 학습자 만족도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

        류은주(Eun Ju Ryu),박진희(Jin Hee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강의계획서의 학습자 만족도 및 활용도를 연구 분석하여 현재 대학에서 사용되는 강의계획서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의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만족집단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과 강의계획서 관련 활용도에 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강의계획서 활용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광역시, 중소도시, 읍·면·리의 4년제 대학 중 2개교씩을 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강의계획서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고 성별, 학년별, 학교지역별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다. 강의계획서의 활용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참고 되는 것은 ‘수업내용 및 일정’ 이며 교수자가 잘 지키지 않는 것 또한 ‘수업내용 및 일정’ 으로 나타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강의계획서 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방법’ 이며 강의계획서를 접하게 되는 최초의 시점은 ‘수강신청 전’ 이라는 응답결과를 통해 강의계획서의 역할과 활용에 대한 실증연구의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표본이 전국 6개 대학의 1학년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전체 대학으로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며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student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through analyzing the syllabus related to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 in the 4-year university. The syllabus is to provide the education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the standard of the evaluation and to help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practically. The study of analyzing the syllabus is not enough despite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e syllabu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6 beauty related departments in the 4-years universities nationwide to study student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n the syllabu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generally satisfied at the syllabus to the students and also it appears the differences referred to the gender, the grade, and the region. Curriculum and schedule of the syllabus is the most useful element for the students and it is also the least achieved elements by the professors. In addition, it was answered the first time to contact to the syllabus is prior to sign up the cla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meaningful of the usage and role of the syllabus as a actual proof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and complement to the current syllab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