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예비교사 교육실습 중 체육수업 지도 내실화 방안

        Jang-Won Seo(Jang-Won Seo)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 교육실습 중 체육수업 지도와 관련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체육수업 지도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 중 본 연구자가 강의하고 있는 3개 학과 8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를 한 7명의 학생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교육실습 중 체육수업 지도와 관련하여 도출된 문제점은 체육수업 지도 기회 부족,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 참관을 통한 체육수업 지도, 교육이론 적용의 어려움, 지도조언의 부족, 체육 시설 및 용 기구의 부족, 교육실습생에 대한 배려 부족이었다.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교 차원, 실습학교 차원, 교육(실습) 정책 차원으로 구분하여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예비교사교육은 초등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과정이며, 교육실습은 대학 강의를 통해 학습한 교육이론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봄으로써 보다 온전한 교사교육을 완성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육 활동이다. 또한 교육실습은 체육수업에 관한 실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래 초등 체육교육의 모습을 가늠할 척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육실습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체육수업 지도에 관한 체계적이고 가치 있는 교육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blems revealed in the process of practice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PE) class and suggest measures for substantializing teaching in PE class to solve the problems. To address the goal, basic data were collected by carrying out a survey to 80 students of three majors that this researcher was teaching among the juniors of G University of Education with an open-ended questionnaire. Later, seven students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ing to participat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problems found in practice teaching regarding teaching in PE class are lack of opportunity for teaching in PE class, the guidance teacher’s lack of expertise, teaching in PE class just for showing, difficulty in applying theories of education, lack of advice for teaching, shortage of sport facilities or equipment/tools, and lack of consideration over the students engaged in practice teaching. To solve the problems found, this author suggests measures for substantialization classifying them into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ies, schools providing the service of practice teaching, and educational (practice) policy. Training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s a crucial process that ca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practice teaching is an important activity of education to apply theories of education learned through university lectures actuall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mplete teacher education more holistically. Also, practice teaching provides opportunity to accumulate practical knowledge about PE class and also can play roles as an axis to anticipate the aspect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actice teaching will have to provide systematic, precious, and fruitful education about teaching in P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우리나라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원천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 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피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교육 목표, 지도 내용 영역, 주요 지도 요소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 후,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 시하고자 했다. 도덕과 교육목표는 개조식에서 서술식으로 총괄목표에서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도덕과 지 도 내용 영역은 생활영역 확대법에 의해, 개인 생활, 가정?이웃 생활, 사회 생활, 국가?민족 생활이라는 4개 영역을 제7차 교육 과정기에 이르기까지 고수해 왔으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러 가치관계 확대법에 근거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나 라 ? 민족 ? 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등 4개 영역을 새롭게 설정했다. 주요 지도 요소는 대체로 그 수 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지도 요소의 내용은 시기별로 변화를 겪어 오고 있다. 분석 결과를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로 통합적 접근을 유지하되 도덕과 교육의 목표가 보다 통합적으로 서술되어야 한 다. 둘째로 통합적 인격의 요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로 주요 지도 요소의 수가 학년별로 한 개 정도만 제시될 정도로 대폭 감소되어야 한다. 넷째로 가치관계 확대법에 의한 지도영역의 설정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교육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2 公州敎大論叢 Vol.9 No.2

        Our society has made rapid progres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we can not lead a happy life with only development of science or economic rehabilitation alone. Social stability and educated people are prerequisite to the happiness of life. That is why education of the people is very important. As everyone knows, the teacher plays a leading role in the education. Among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in the key position, who are in charge of the foundation education of a nation. Viewed in this manne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s keystone of social welfare. Thus,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le ways of improving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by comparatively study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curricula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mong Southeast Asian nations. The materials, which are collected from Korea, Japan, Republic of China, Thailand, Khmere, and Singapore, are not enough but up-to-date. n Korea are as follows ; 1. Improvement of the system (1) Prolongation of learning year Two years is too short. Four-year or five-year college program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Scholarships and treatment A large sum of scholarships should ba awarded to the students, and salary of the teacher should beraised to secure good teachers. 2.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1)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e contents should be directly related to life rather than to the system of disciplines. (2) Reorganiz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1)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required principle of Education, History of Education. Educational Sociology, Child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Educational Research, Audio-Visual Education, and Library Science. 2) In methods of teaching, the discipline-centered approach should be emphasized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understand basic concept, structure, and principles of the method. 3. Education for Practical teacher As in case of Japan, one of three subjects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elected, or special courses for music teachers, art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as in case of Republic of China.

      • 체육문화 입문으로서의 초등체육교육

        이덕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7 公州敎大論叢 Vol.44 No.2

        Many ac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in each area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pursued to present a direction toward which the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proceed. Setting a right direction should precede anything.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as so far been centered on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acquiring physical aptitude and promotion. To put it another way, it was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alone is not sufficient enough to actualize the whole-man education through the right practice of body, ethics, and intelligence.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ultur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is gaining much power as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culture. Therefore,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must also actualize the whole-person education as an initiation to the physical culture.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must be actively pursued in order to guide and intro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physical culture in addition to promoting their physical aptitude. 지금까지 초등체육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의 각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체육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올바른 방향 설정은 그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초등체육교육은 운동기능 습득과 신장을 통한 전인교육이라는 목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다시 말해서 체육교육의 외재적, 내재적 가치에 따른 초등체육교육이었다. 그러나 체육의 외재적, 내재적 가치에 따른 초등체육교육으로는 체․덕․지의 올바른 실천을 통한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어렵다. 최근에 체육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고, 체육문화에로의 입문으로서의 체육이 그 힘을 얻어가고 있다. 따라서 초등체육교육 또한 체육문화에의 입문으로서의 초등체육교육을 통해 전인교육을 실현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을 운동기능 신장만이 아니라 체육문화로 안내하여 체육문화에 입문할 수 있도록 초등체육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生活指導와 相談’의 敎授要目 構案

        최학주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이 연구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설정되어 있는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교수요목 (syllabus)을 ‘초등 교원 양성 과정의 과목’답게 構案하여 그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 교과목의 교수요목을 구안함에 있어서는 여러 변인들이 관련되겠지만, 이 연구에서 는 生活指導의 본질적인 속성이나 개념에 기초하여,1)교육대학 교육학 교육 과목의 하나 라는 교과목적 성격,2)관련 교재들이 다루고 있는 영역 및 내용의 분석, 3)“生活指導” 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생활지도 운영 실태 조사의 결과 둥을 바탕으로 4)교수요목을 構案하는 내용으로 엮어졌다. 연구의 방법에서도 문헌적 연구와 조사 연구가 병용되었는 바, “生活指導” 과목의 성격 과 관련 교재의 내용 분석은 문헌 연구로, 교원들의 의견 조사 및 운영 실태는 조사 연 구로 하였다. 관련 교재들의 내용 분석에 사용된 저서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국내에 서 출간된 열 권의 저서들로서 대부분이 대학에서 활용되는 교재적 성격의 것들이었다. 각 저서들의 목차에 의하여 비슷한 내용들의 제목을 묶어 章,節, 項의 위계로 체계화하 고 이에 근접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쪽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에서는 질문 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대전직할시와 충남의 초등 교원 882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59명분의 자료가 성별,근무 지역별(直轄市 지역, 市 지역, 郡 지역),경력별(10년 미만, 10년一19년,20년 이상)로 분석되었다. 교육대학에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은 어린이의 生活指導를 담당할 교육대학 학생 에게 주어지는 교직적 소양의 理論的 기초일 뿐아니라,현장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하는 臨床的 (clinical) 성격이 짙은 성격을 띠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초등 교원 양성 기관에서 이 과목이 설치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사범학교 시절 에는 아예 없었고, 2년제의 교육대학에서도 후반기인 1969년부터 “아동발달과 생활지도” 라는 과목으로 설치되었으나,‘아동발달’쪽에 편중된 나머지 ‘생활지도’ 쪽은 소홀히 다루 어져 왔다. 1981년부터의 학사과정 승격 후에도 초기에는 설치되지 않고 있다가 1985학년 도 입학자부터 2학점 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개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生活指導 관련 저서들의 대부분은 몇권을 빼고는 내용과 體裁가 비슷하였으며,師範大 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엮어진 것들이어서, 초등학교에서의 생활지도에 적용하기에는 알맞 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章의 수준에서는 총론 격인 “생활지도의 기초”를 먼저 다루고, 다음으로는 생활지도 활 동별로 “학생 이해 활동”,“상담 활동”을 주로 다루면서 나머지의 활동들(‘정보 활동’, ‘정치 활동’,‘추수지도 활동’)에 대하여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하위 내용이나 제 목들은 각기 다르게 꾸며졌지만,대부분의 저서들이 생활지도의 실제 문제를 다루고 있었 다. 그러나,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지도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들은 두 세 권을 빼고는 거 의 없었다. 그밖에도 단위 학교에서의 생활지도 운영에 관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내용에 관련되는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실태를 묻는 질문 지 조사에서, 중시하는 내용 영역으로는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 ‘문제행동의 진단과 지도’, ‘상담의 이론과 기법’순으로 나타났다. 아동 이해의 방법에서는 ‘관찰법’에,상담 활동에서는 ‘상담의 요령’(대화 기술, 상담기법)에,상담이론 중에서는 ‘인본주의적 상담’ 과 ‘행동수정적 상담’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構案된 교수 요목은 여러 면에서의 중복을 피하는 의도에서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수업계획서”(강의계획서)에 담아 제시하였다. 여기 에는 교육대학 교육학 과목으로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을 한학기 2학점 과정으로 운영하는데 관련되는 여러가지가 체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학습 목표,학습의 주안점, 학습 내용별 시간 배정,章,節,項의 내용 체계, 章별 주안점, 학습 과제의 예시 둥이 주 별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구안된 “生活指導와 相談”의 教授要目만을 제시해 본다. 〈교육대학〉 [生活指導와 相談 教授要目] (2학점 과정) I. 생활지도의 기본 개념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목표와 원리 3. 생활지도의 출현과 변천 4. 생활지도의 필요성 5.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6. 다른 교육 활동과의 관계 II. 생활지도의 철학적,사회적 기저 (과제) 각자의 독서로 대체함. III.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생활지도 대상의 탐구) 1. 올바른 아동관(“심리학적 인간관”으로 대체 가능) 2. 아동 이해의 側面 3. 아동 이해의 방법 a. 아동 이해 방법의 체계적 분류 b. 관찰법 (observation) c. 심리 검사법 (standardized psychometry) d. 사례 연구(case study) IV. 상담 활동 1. 상담의 개념과 목표 2. 상담관계의 기본 조건(상담의 원리) 3. 상담 이론 a.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b. 인본주의적 상담이론 c. 행동주의적 상담이론 d. 실존주의적 상담이론 e. 그밖의 상담이론들 4. 상담의 과정 5. 대화의 기술 6. 집단 상담 및 집단 지도 V. 정보활동,정치활동,추수지도 활동 VI. 생활지도의 실제 1. 발달의 촉진을 돕는 생활지도 2. 부적응 행동의 지도 a. 부적응의 개념 : 판별 준거 b.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부적응 행동의 유형 c. 부적응의 원인 3. 학업상의 문제와 지도 4. 정서 및 성격상의 문제와 지도 5. 사회적 부적응과 지도 6. 부적응의 예방과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들 VII.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과제와 전망 1.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 2. 교직원의 역할 3. 초등학교 생활지도의 과제와 전망

      • 公州教育大學校32年 (1962〜1994)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32년간에 변화 발전해온 파란만장한 영고성쇠의 사건 사실들 을 간추려 본다. (1) 교육대학(2년제, 4년제나) 개교 하기 전에 한 일중 특기할 사항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활동이었다. 1년 이상에 걸쳐 연구하여 제정했다. (2)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입학 지원자가 모집정원에 미달하여 2차모집(1962)을 한 일이 한번 있었다. 또한 입학지원자중 합격권내의 여학생이 너무 적어 특별전형으로 여학 생수를 늘린때(1962)도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입학율이 남학생보다 매년 늘어나 1980 년부터는 81%로 늘더니,1994년 신입생 모집부터는 남녀의 한 성이 70%를 초과할 수 없 다는 규정을 접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분명 여성 파워 시대임을 심각하게 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3) 개교하던 첫해의 1학년 학급수는 5개학급이고, 교수는 10名으로 한 학급에 교수 2 명씩 지도교수를 임명(다음해 부터는 1명 씩 배당했지만) 했다. 또한 개교하던 1962년에는 공주사범학교 졸업반인 마지막 3학년이 있어 같은 건물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생들 은 청소도 하지 않을 뿐더러 신을 신고 교실에 드나들고 하여 사범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대단하였다. 할수 없이 지도교수들이 대학생들 교실 청소를 해 주기로 하고 몇일을 하고 있으니 대학생들이 자진하여 청소를 하게 되었다. 공주교육대학 초창기의 해프닝의 하나 다. (4) 우리나라의 초등교사 양성은 계획 양성 체제였다. 즉 초등교사의 수요에 맞추어 교 사양성을 했다. 그러므로 수요에 맞추어 공급하려니 공주교육대학의 재학생은 고무줄 같 이 줄었다 늘었다 했다. 이것으로 인한 대학의 사건 사례가 많았다. 한 사례는 학교의 연 혁사례로 삼고 싶다. 첫번째의 사건은 1960년 후반의 일이다. 1966년부터 초등교원의 부 족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나 보수교육(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초등교사 임용을 위한 초 등교사 교육)을 하게 되더니 급기야는 단기양성소(대학졸업자,고등학교 졸업자 입학)를 설립하여 초등교사의 대량생산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 부터는 교사 과잉상 태가 되어 임용적체 현상이 나타났다. 드디어 1976년에는 모집정원이 160명,1977년에는 120명으로 줄어 들었다. 전교생 1,040명에서 240명으로 줄어들었으니 교수들은 수업부담 기준양이 부족했다. 교수들은 자진해서 할 일을 찾아나섰다. 충청남도 교육청(당시는 교 육위원회)에 나가 일선학교의 장학지도를 하기도 하고 공주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대 학,주부대학 등 시민대학을 개설 운영하기도 했다. (5) 공주교육대학교의 창설 당시인 1962년은 공주시내 건물들이 일제시대의 유물인 양 녹아난 빨간색의 함석지붕의 집들이었고,도로는 모두 비포장 도로였기 때문에 간혹 버스 라도 지나가면 먼지가 날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당시의 서울거리 못지않게 현대식 양옥 건물에 깨끗한 포장도로로 격조 높은 문화도시로 변모하였다. 이러 한 공주시의 변화와 함께 공주교육대학도 1962년(32년)의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1962년 개교 당시의 공주교육대학의 모습은 단 한군데 있다. 즉 승명관(講義 가棟) 하 나 뿐이다. 부속국민학교의 옛 모습도 하나도 없다. 또 하나 찾아 본다면 운동장과 교문 (校門)자리다. 옛날 교문은 지금의 체육관 앞 은행나무 있는 큰 도로변이다. 참으로 옛날 은 좋았고 역사는 흐르는가 보다.

      • 4차 산업 기반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붕환(Cho, Bu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 기반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초등학생 대상의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영역과 목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에 적합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4차 산업과 자기이해’, ‘4차 산업과 직업세계 탐색’, ‘4차 산업과 진로정보 탐색’, ‘4차 산업과 직업관 형성’, ‘4차 산업과 진로계획’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현장 초등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지도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and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And the references and the previous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the domains, the goal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ade up, and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5 domains-‘the 4th industry & self-understanding’, ‘the 4th industry & job world exploration’, ‘the 4th industry & career information search’, ‘the 4th industry & occupational view building’and ‘the 4th industry & career plan’. This program reflected the career developmental tra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teachers’needs, so provided the useful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nd instruction.

      • 재량활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초등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조붕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6 公州敎大論叢 Vol.4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t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demands about the preced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racter education theories and the preced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Subjects were 3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ed more opportunities of character education, more practical and concrete programs and more plann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e developed programs through this study had 5 subdomains and the respective objects according to grades. The respective subdomains had 3-4 programs. The programs focused activities and experiences, and reflected the demands of teach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재량활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초등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할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여 자아탐색 프로그램,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정서ㆍ행동 개선 프로그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활동 위주의 실제적이고 현실적이며 초등학생의 수준과 흥미에 맞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4개 주제 5개 하위영역이며, 5개 하위영역 각각에 대하여 3-4개의 세부프로그램들로 총 18차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 공주교대 9개 핵심역량 함양 정도 분석을 통한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개선: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권성룡(Sung-yong Kwon),김혜원(Hye-Wo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敎育論叢 Vol.60 No.1

        본 논문에서는 공주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9개 핵심역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신입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공주교육대학교의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강점역량은 ‘예비교사로서의 신념적 가치’, ‘상호존중적 공동체성’, ‘아동에 대한 관심’으로, 약점역량은 ‘학습관련 자기관리’, ‘조절적 자기관리’, ‘성향적 창의’로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미적 판단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가치설정역량에서 여학생의 핵심역량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특수역량군에 속하는 가치설정역량, 교직전문성역량, 아동이해역량과 일반역량군에 속하는 공동체역량에서 수시로 입학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균이 정시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았다. 넷째, 입학년도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특수역량군에 속하는 가치설정역량, 교직전문성역량, 아동이해역량과 일반역량군에 속하는 의사소통역량에서 2021년도에 입학한 학생들보다 2022년도에 입학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균이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9 core competencies for first-year students at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reshmen's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is, we tried to look into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effectively cultivate core competenc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ngths of freshmen are 'value of belief as a pre-service teacher', 'community of mutual respect', and 'interest in children', and the weaknesses are 'learning-related self-management', 'self-regulatory management', and 'Dispositional creativ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by gender, the average core competencies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esthetic judgment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value setting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dmissions, in value setting competency, professional teaching competency, and child understanding competency belonging to special competency cluster, and community competency belonging to general competency cluster, the average of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early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entered on a regular basi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year of admission, the core competency average of students who entered in 2022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entered in 2021 in value setting competency, professional teaching competency and child understanding competency belonging to the special competency cluster,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belonging to the general competency clust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core competency development was suggested.

      •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김동현(Dong-Hyun Kim),김형균(Hyung-Gyu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충청권의 3개 지역(대전, 세종, 충남)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06명을 임의로 표집하였고, 진로포부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학년 및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용하였으며, 지도교수와 경력교사들의 검토 등을 거쳐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 자료는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 및 직접 배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 회수하였다. 활용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유효율 98.7%).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t-test, F-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소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진로교육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학습 및 체험 프로그램이 미비하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3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egion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tes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grad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atistics were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1 to 11 December 2020,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unavailable questionnaires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ffectiveness 98.7% efficiency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21 program with significance levels p<.05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p<.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spiration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xth-grade students higher than fifth-grade students. Fourth,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it was analyzed that group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spirations and their sub-factors also have high career maturity. Sixth,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un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