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ent Innovations in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SRI) : The Role of “Socially Responsible Bonds” in Spurring Sustainable Development

        Hannah Jun,Hyojin Kim,Songhee H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18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9 No.1

        While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global community needs to utilize partnership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achieve broader economic and development goals, there has been less discussion about the potential role of investors in shaping and participating in this movement. Part of this may be due to familiarity with traditional methods such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relatively less understanding about recent innovations in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SRI), including social impact bonds and development impact bonds. As economies like Korea have begun to show greater interest in harnessing various investment strategies to achieve broader social goals, we find it critical to better understand what financial tools are available within the context of encourag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such, this paper highlights the potential role investors can play in contributing to broader social issues both at home and abroad through an examination of recent innovations in SRI – specifically, the category of so-called “socially responsible bonds.”

      • KCI등재

        사회적 성과보상채권(SIB)의 유형별 법적 성격 검토

        이정민 은행법학회 2019 은행법연구 Vol.12 No.2

        The occurrence of various social problems worldwide, including poverty and polarization of income, has caused many problems as the government increased fiscal spending. To address these problems, in 2010 the UK issued the world's first social impact bond (SIB). In Korea, the local governments enacted the「Operation Ordinance for Social Performance Compensation Project」in 2014, and has been operating social performance compensation projects in Seoul and Gyeonggi-do since 2016. So far, many social performance and compensation projects have not been activated, investments have been made through individual investment contracts with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e future, however, general investors will have to enter in the form of a public offering in order to continue to vitalize social impact bond. Social impact bond can be protected by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when operated in the form of an investment contract, but they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investor protection when issued to public offering. The requirements for investor protection under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Provider Act should be distinguished depending on the type of securities. In addition, social impact bonds are divided into cases where principal is preserved and when the principal is lost,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ructure. When the principal is preserved, social impact bonds are the bonds among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However, if the principal is lost, it could be a Derivative Linked Securities or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Social impact bonds are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n that investors invest their money in social performance compensation projects and receive profits and loss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performance compen- s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the business operation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gencies. Accordingly, the social impact bonds can be activated by dividing the legal nature of social impact bonds by type to ease the disclosure requirements. 세계적으로 빈곤문제, 소득의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의 발생은 정부의 재정지출을 증가시켰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2010년 영국은 세계 최초로 사회적 성과보상채권(social impact bond: SIB)을 발행하였다. 국내에서도 2014년 지방자치단체별로「사회성과 보상사업 운영 조례」를 제정을 시작으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사회성과 보상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많은 사회성과 보상사업이 활성화되지 않아 기관투자자들과 개별적인 투자계약을 맺어 투자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공모 형태로 민간 투자자들의 진입을 확대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은 단순히 투자계약 형태로 운영될 경우 당사자 간의 계약에 의해 투자자가 보호받을 수 있지만, 불특정 다수에게 발행할 경우 투자자 보호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증권 유형에 따라 자본시장법상 투자자 보호 요건이 다르므로 이를 구분하여야 한다. 또한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은 운영구조에 따라 발행 시 원금이 보전되는 경우와 원금이 손실되는 경우로 나눠지기 때문에 유형별로 법적성격을 나누어야 한다. 원금이 보전되는 경우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은 금융투자상품 중 채권에 해당한다. 그러나 원금이 손실되는 경우 파생결합증권이나 투자계약증권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은 투자자가 사회성과 보상사업에 금전 등을 투자하여 사업운영기관과 사업수행기관이 수행한 사회성과 보상사업의 성과에 따라 손익을 귀속 받는다는 점에서 투자계약증권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유형별로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의 법적 성격을 나누어 발행 공시 조건을 완화해주어야 보다 사회적 성과보상채권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근린의 사회적 혼합 수준과 거주민의 사회자본 형성 및 도움수혜 경험의 실증적 관계

        김승남,김재홍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사회적 배제를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사회적 혼합을 통해 사회경제적 약자의 연계형 사회자본을 강화시키는 정책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근린의 사회적 혼합 수준이 주민의 사회자본 형성과 도움수혜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적 혼합정책의 효과와 한계를 고찰한다. 연구 결과, 사회적 혼합 수준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 유형, 평형, 소유관계 혼합 등을 통한 사회적 혼합정책이 사회자본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사회적 혼합의 효과가 도움수혜 경험과 연계형 사회자본 형성에 대해 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결속형 사회자본에 가까운 종속변수일수록 사회적 혼합 변수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사회적 혼합정책이 ‘사회적 약자 계층’의 연계형 사회자본을 증진시킴으로써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지는 분명치 않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소득계층별 층화분석을 통해 사회적 혼합과 연계형 사회자본의 관계를 보다 심도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As a one of the dominant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 social exclusion, enhancing bridging social capital of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through social mixing has been suggest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social-mixing of neighborhood and residents` social capital and experience of receiving help.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eople who live in the more mixed neighborhood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ocial capital than who live in the less mixed neighborhood. Hence, social-mixing policies such as housing type mixing, housing size mixing, and tenure mixing positively contribute to formulation of social capital. However, the impact of social-mixing is more effective on bonding social capital rather than on bridging social capital and experience of receiving help.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social-mixing policies have potential to enhance bridging social capital and mitigate social exclusion of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Thus, future research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mix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using a stratified analysis by income group.

      • KCI등재

        한국형 사회적 금융 조성에 관한 연구: 사회성과연계채권의 발행과 성과

        조영복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0 사회적기업연구 Vol.13 No.1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creating social value through solving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expand the social value created by social economy companies and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capital. In order to build a social finance market, we confirmed the size and performance of global trends on social finance and social impact bonds. Social impact bonds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financial option. 138 SIBs have been issued in 26 countries. The total number of beneficiaries is 1,378,707 persons exposed to specific social problems. SIB consistently presents performance that meets the policy goal of rewarding performance. SIB issuance areas are related to workforce development, housing & homelessness, health, child & family welfare Etc. SIB issuance requires trust among various stake-holders and independent performance evaluation. Also, cooperation for social innovation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ocial finance market, we need to prove and improve social value through measuring the social value created by social economy enterprises. 사회적경제기업은 사회문제의 해결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확대하고 부족한 자본을 보완해 주기 위해서는 사회적 금융 시장의 조성이 필요하다. 사회적 금융시장의 조성을 위해 국제적 동향 및 사회성과연계채권에 대한 발행규모와 성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은 사회적 금융의 금융상품·옵션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2010년 영국에서 발행된 이래 2019년 까지 26개국에서 138개의 프로젝트에서 1,378,707명의 서비스 슈혜자를 대상으로 발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나라에서 일자리 창출, 건강 및 보건 프로그램, 재소자 재범 방지, 교육 등 다양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발행된 사회성과연계채권은 성과에 보상한다는 상품 및 정책 취지에 맞는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개관적인 성과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혁신을 위한 협력이 필요한 것도 확인하였다. 사회적 금융시장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의 측정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증명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사회적 자본이 럭셔리 브랜드의 사회적 기능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한근,이준섭,손정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7 마케팅관리연구 Vol.22 No.4

        The importance of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social network marketing is consistently accepted in luxury brand literature. Most social networking marketing literature and practice insist that social networking marketing efforts generate stronger brand equity, but some marketers have been disappointed in the effect of their social network marketing efforts. Overall,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marketing efforts might vary depending on the customers' traits such as social capital. This inconsistence with regard to social capital suggests the need for psychological factors to understand better social network marketing. This objectives of study is (1)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 in luxury brands (2) to conceptualize social capital (3)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ir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we collected survey questionnaires from 295 customer who use social network services (e.g. Facebook, Twitter). All the measurement scales in this study from previous researches, with adaptations to fit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The estimate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as follows: First, Bonding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 social-adjustive function and, Bridging social capital positively impact on value-expressive function. Second, social-adjustive function positively is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but, value-expressive function has no significant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effects of bonding on purchase intention are mediated by social-adjustive function.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최근 국내외 럭셔리 브랜드 관련된 기업들은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를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SNS는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간 정보공유, 의사소통 그리고 인맥확대 등을 용이하게 하는 플랫폼으로써, 기업의 브랜드 자산, 긍정적 구전, 고객 충성도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럭셔리 브랜드 관리자들은 SNS의 마케팅 활동이 제공하는 경쟁우위에도 불구하고 SNS의 마케팅 효과에 대한 의문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하여 왔다. 과거 조사에 따르면, 2,100개의 글로벌 기업 중 79%의 기업이 SNS를 기업 경영에 활용하고 있으나, 그 중 12%만 성공적인 SNS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arvard Business Review 2010). 따라서 럭셔리 브랜드의 SNS 마케팅 활동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한 노력은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SNS의 사용자 특성을 사회자본 이론 관점에서 접근하여 소비자들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럭셔리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속적 사회자본이 사회조정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적 사회자본은 가치표현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태도 기능의 사회조정 태도는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치표현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결속적 사회자본이 럭셔리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조정 태도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사회조정 태도는 결속적 사회자본이 럭셔리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ESG채권을 통한 자금조달 현황과 관련법제 및 책임투자 검토

        장인봉 한국경제법학회 2020 경제법연구 Vol.19 No.2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침체 상황에서 기업의 건전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ESG채권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ESG채권의 장점은 일반채권보다저금리로 발행할 수 있고,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 등에 사용할 자금을 모집함으로써기업의 명성(reputation)을 높이거나 이미지 개선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전세계적으로 ESG채권 발행규모는 연간 500조원 이상이고 발행잔액도 1,2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연간 발행규모 30조원이 안되는 아직 초기단계지만 금년 5월 산업은행이 코로나19 피해 지원을 위한 1조원규모의 사회적채권을 발행하는 등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으로보인다. 이 글에서는 먼저, ESG 채권의 발행․유통시장, 기관투자자현황 등 국내외 자금조달 시장현황을 살펴보고, ESG 채권 관련 법규, 공시, 불공정거래문제 등 관련법제 현황에 대해 해외사례와비교하면서 일부 문제점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ESG채권에 투자하는 연기금 기관투자자의 책임투자 현황과 수탁자책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ESG 책임투자라는 공공성 추구가 수탁자의무에 포함되는지 등의 문제를 해외사례를 참조하면서 심도깊게 검토하고자 한다. 아울러 최근에활발해진 기관투자자들의 스튜어드십코드 도입 추세에 맞춰 이러한 연성규제를 활용해 연기금기관투자자들이 ESG채권에 투자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ESG채권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시서식상 자금사용목적 부실기재시 공시위반, 불공정거래, 그린워싱 등의 문제로 민․행정․형사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차원에서 ESG채권 업종분류표 도입 등 공시서식 강화, 녹색표지제 도입 등 관련법제개선이 추진되고, 정부차원에서 보조금 제공, 세금 감면, 저금리 대출 등 ESG채권 발행을 위한지원제도 도입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ESG 채권의 활성화를 주도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 특히 국민연금 등 공적연기금의 책임투자 및 수탁자책임 관련법제 개선을 통해 ESG채권에대한 책임투자가 수탁자책임과 상충 없이 양립할 수 있는 법․제도적인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스튜어드십코드를 개선하여 ESG요소를 적극 고려한 책임투자원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관투자자들이 ESG채권 투자에 앞장설 수 있도록 연성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under the economic recession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19, the issuance of the ESG(Environment, Social & Governance) bond comes into the spotlight as a sound and sustainable way of fundraising to companies. Regarding the advantages of issuing the ESG bond, firstly a company can issue the bond at lower interest rates than in case of issuing other bonds, and then issuing it may enhance the company's reputation in the area of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or governance. The total amount of issuing the ESG bonds in the world reaches more than 460 billion dollars, while the amount in Korea on the beginning stage reaches less than 25 billion dollars. As the topics discussed in this writing, there are the market situation of the issuance and circulation of the ESG bond, the investment situations of institutional investors, relevant regulations, disclosure issues, unfair trading issues, comparison with foreign legal syst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sponsible investment principle and the fiduciary duty which the pension fund as institutional investor has, and the stewardship code applicable for the pension fund as institutional investor as a soft law.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the issuance of the ESG bond in Korea, fir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reinforcement of the disclosure system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the Taxonomy or the Green Finance Labelling, which can be used to categorize clearly the ESG bond and be useful for preventing the legal abuse such as false description or unfair trading. Also governmental supports like subsidy or tax cut might be helpful for companies issuing the ESG bond. In addition I insist on making legal condition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like pension funds more friendly towards the investment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ESG criteria by strengthening the social responsible investment principle in harmony with the fiduciary duty and revising the Stewardship Code.

      • KCI등재

        산업클러스터 내에서 사회적 자본과 기업혁신성과간의 관계모형 연구

        최병훈(Byung-Hoon Choi),김연순(Yeon-Soon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혁신기업도시가 조성되면서 여러 지역의 다양한 연고를 가진 사람들이 타 지역에 비해서 많이 모여서 생활하고 있는 원주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과 기술적 요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교량형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각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과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기술적 요인이 그 자체로써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기술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기술적 요인의 매개 효과를 통해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산업클러스터는 기업이 밀집되어 있는 곳일수록 내적 결속이 강하게 나타나고 그 결속을 통해서 기술을 도입하고 제품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노하우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원주산업단지와 같이 규모가 크지 않고 중소기업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일수록 내적 결속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클러스터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연구되었으며, 향후 각 지역별 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하여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업클러스터 내에서 기업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자본의 효율적 운영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technical factor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Wonju Industrial cluster, where more people with diverse regional connections are gathered compared to other regions being developed as an innovative corporate city. Social capital was categorized into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direct effect of each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and indirect effect intermediated by technical factor were verified via a statistical analysis. The effect of technical factor itself on a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was additionally examined.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at bonding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ical factors. Furthermore, even though bonding social capital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innovative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o have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echnical factors. An industrial cluster with a dense concentration of corporations showed stronger internal bonding and such bonding social capital wa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know-how on introducing technologies and acquiring product certification. It was found that a modest scale reg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uch as Wonju Industrial Complex showed stronger internal bonding. This paper was conducted as an extension of a prior study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a cluster’s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Daedeok Innopolis. In the future, by conducting further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each regional industrial cluster, the researcher aims to present an efficient operation methodology of social capital to enhance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industrial clusters.

      • KCI등재

        사회서비스 공공계약법제에 대한 고찰

        김대인(Kim, Dae In) 사회복지법제학회 202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2 No.1

        우리나라에서 사회서비스의 제공은 전통적으로 민간위탁을 통해 민간부문에 의해서 이루어져 왔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민간부문에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제도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1) 사회서비스의 민간위탁, 2) 사회적 기업을 통한 사회서비스의 제공, 3)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SIB)의 발행 등은 국가계약법이나 지방계약법과 같은 공공계약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사회서비스와 공공계약법제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그동안 이루어졌다고 보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이 글에서는 EU와 영국의 사회서비스 공공계약법제를 살펴보았다. EU에서는 공공조달지침에서 사회서비스와 관련해서 간소화절차(light regime)를 채택하여 지나치게 경직적으로 경쟁입찰절차에만 따르지 않도록 하면서도 동등대우나 투명성원리들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정서비스에 대해서 유보계약을 허용하면서도 유보계약의 기간을 3년으로 제한하고, 경쟁입찰절차의 계약공고, 사전정보공고, 낙찰공고 등에서 이러한 유보계약사실을 담도록 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에서는 성과기반 계약제도의 일종인 사회성과연계채권제도(SIB), 자발적 사전투명성 공고제도(VEAT) 등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성과를 제고하면서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사회서비스의 중요성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사회서비스의 품질을 높임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계약법제에서 발전되어온 최적가치(value for money)의 원리가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에 적절하게 접목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에 사회서비스 민간위탁법제가 공공계약법제와 분리되어 운영되어 왔고, 사회적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도 물품구매 중심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사회성과연계채권도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EU와 영국의 사회서비스 공공계약법제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고 할 것이다. Traditionally, social services were provided through contracting-out regime and social service boucher system is actively implemented since 2000s. 1) Contracting out of social service, 2) social service by social enterprise, and 3) Social Impact Bond (SIB) issuing are all related with public contract law (state contract law or local government contract law). However,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and public contract law was not shed much light in Korea. Remind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sees public contract law on social service in EU(European Union) and UK(United Kingdom). EU Public Procurement Directive adopts ‘light regime’ to social services to balance between flexible procurement and guaranteeing equal treatment & transparency. Furthermore, EU law allows reserved contracts to certain services and tries enhance transparency by limiting the contract period(3 years) and information disclosure on this ‘reserved contract’ during each phase of contract. UK adopted ‘social impact bond’ as ‘outcome based commissioning’ in social service and ‘Voluntary Ex-Ante Transparency Notice’ (VEAT) to achieve value for money & transparency. In post-covid 19 era, the importance of social service will increase. To enhance quality of social service and customer-satisfaction, value for money principle which was developed in public contract law field should be duly connected with social service delivery. Traditionally, public contract law and social delivery system was separated in Korea and preference for social enterprise products also reveals limitation such as focusing only on purchasing goods rather than services. Furthermore, social impact bond is not actively implemented yet. To address these issues, public contract law on social service in EU and UK shows many implications to Korea.

      • KCI등재

        사회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 활성화를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

        장욱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1

        [Purpose]This paper presents a way to foster the direct financial intermediary market by activating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linked bonds to promote social finance. [Methodology]The differentiations of this paper are, first, the proposals for the revitalization of social financing suitable for local governments. While the nation’s social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is currently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local governments outside the capital area have the need and appropriateness to nurture social and economic or social enterprises.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se distinctions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resolving them. Second, it analyzes the constraints of issuing social performance bonds and presents measures for activation. While most of the nation’s social finance is now done through loans, building a sustainable social and economic ecosystem requires attracting private venture capital and it is desirable to foster a direct financial intermediary market through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 bonds. Third,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s of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long with economic factors. In the early stages of social finance, the funding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with these funds being constrained by various regul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se aspects and looks for solutions. [Findings]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constraints in terms of social finance supply and dem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finance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finance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re are problems with the nature of the resources, limits on large-scale funding, and restrictions on the prohibition of fund management under the Local Finance A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social performance bond, there are requirements for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nd single-year accounting restrictions. [Implication]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 bonds can be derived to improv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ocial performance fund of local governments, improve the investment contract for social performance bonds, and foster professional accelerator. [연구목적]본 논문은 사회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활성화를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의 차별점은, 첫째, 지방자치단체에 적합한 사회적 금융 활성화방안을 제안한다. 현재 국내 사회적 금융 인프라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사회적 경제 또는 사회적 기업을 육성할 필요성과 적합성을 가진 곳은 수도권 이외 지방자치단체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괴리를 분석해서 이를 해결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 제약요인들을 분석하고 활성화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사회적 금융은 현재 대부분 융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간 모험자본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을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본 논문은 경제적 요인과 함께 법적․제도적 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사회적 금융의 초기단계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금지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데 이들 자금은 각종 규제에 의한 제약요인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측면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본 논문의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사회적 금융 환경을 운영환경에서 분석한 결과, 사회적 금융 공급과 수요측면에서 많은 제약요인이 존재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사회적 금융 환경을 법적․제도적 환경에서 분석한 결과 재원의 성격 문제, 대규모 기금 마련의 한계, 그리고 지방재정법의 기금 운용위탁 금지의 제약이 존재한다. 셋째, 사회성과연계채권 관련 법적․제도적 환경을 분석한 결과, 투자계약증권 제약 요건, 그리고 단 년도 회계 제약이 존재한다. [연구의 시사점]마지막으로, 앞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활성화방안을 모색한 결과, 지방자치단체 사회성과기금의 설립․운영 개선, 사회성과연계채권 투자계약증권의 개선, 그리고 전문 액셀러레이터의 육성의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금희조(Heejo Keum) 한국방송학회 2010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 사회적 네트워크 사이트(SNS) 등 온라인 소셜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고 우리들의 공동체 네트워크과 커뮤니케이션에의 영향력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그 사회적 파급효과에 대한 이론적 정교화가 아직 시작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그들의 친교활동, 시민 참여, 사회 운동 등 참여적 사회 자본 촉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탐구했다. 지금까지 인터넷의 영향력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이 대립하며 학자들의 논쟁이 이어져 왔지만, 현재의 소셜 미디어는 그네트워크의 특성과 이용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량뿐 아니라 사회 자본 형성에 있어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의 연결적, 결속적 속성을 탐구했다. 소셜 미디어 이용 형태와 사회 자본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모델 정립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은 미국대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교활동보다는 시민 참여, 사회 운동과 같은 공동체를 위한 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에 있어서는 예상과 다르게 한국의 경우 연계적 네트워크가, 미국은 결속적 네트워크가 참여적 사회 자본 형성에 더 많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pite the growth of social media, few theory-based studies have assessed its effects on social capital. To study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socializing and civic participation, the total time spent on social media and bridging and bonding network perception were explored. By compari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global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the mechanisms beh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edia and participation. Results show that social media use generally promotes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bridging network was positively related to civic participation and social movements while boding network leaded to casual socializing. Surprisingly, Korean college students displayed higher levels of bridging network and civic participation. In contrast, American students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civic or social activities through bonding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