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서비스품질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박윤서,이승인,최인,Park, Yoon-Seo,Lee, Seung-In,Choi, In 한국마케팅과학회 2009 마케팅과학연구 Vol.19 No.2

        For the last decades, service quality has been stud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a service company to compete with the other companies. Based on these past researches, it has been agreed that the service quality is a basic and powerful tool to create the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similar reason, many service marketing practitioners have been also focused on the service quality to retain the existing consumers and collect the new consumers. However, service quality is subjectively perceived by individual consumers. Consume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specially consumers with one life-style may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differently from the consumers with the other life-styles. Therefore we need to know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on the categories of life-style. Life-style refers to a distinctive mode of living in its aggregate and broadest sense. It embodies the patterns that were developed and emerged from the dynamics of living in a society. Since the concept of life-style and its relationship to marketing was introduced in 1963 by William Lazer, methods of measuring the life-style and their application have been developed. Life-style has been usually used to segment the marketplace because it offers marketers a unique and important view of the market. When Life-style is combined with clustering methods, life-style segmentation can generate identifiable whole persons rather than isolated fragment. Life-style segmentation begins with people instead of products and classifies them into different life-style types, each characterized by a unique style of living based on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Plummer, 1974). In this study we applies the life-style segmentation based on the AIO(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to the consumers of the larg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large discount store market has entered into maturity stage so that the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is becoming a more critical issue to the marketing practition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to differentiate from the competitors in large discount store market is continuously to provide service of better quality than competitors. This study tries to find answers about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categorize the consumer life-styles in the large discount store?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ized group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among the consumers with different life-styles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among them in the large discount store? For the purpose,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SPSS package where we had $X^2$-test, factor analysis, ANOVA, MANOVA, and cluster analysis. The survey was made during one month in the April of 2008. Among the collected 306 copies of questionnaires, 281 copies were chosen as the effective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25 copies with wrong responses. To identify the life-style patterns, we used the measures employed by Kim and Kwon(1999), where 44 items on a seven-point scale were used to measur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was used for factor extraction, and the VARIMAX orthogonal factor rotation was employed. The 7 items showing low factor loading were eliminate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nin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the equality-of-sexes and pursuit-of-independence tendency 2) self-management tendency 3) sociable tendency 4) self-display tendency 5) degree of a dilettante life 6) pursuit-of-information tendency 7) bargain hunter tendency 8) TV preference tendency 9) pursuit-of-leisure tendency. Next, after the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nin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the life-styles of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

      • KCI등재

        노인의 미용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삶의 만족도

        이승자,이순희 대한미용학회 2018 대한미용학회지 Vol.14 No.4

        Jeollabuk-do for identifying status of the usage of beauty welfare service by the elderly and the relation between such status and the satisfaction on their life. For the period using the service among the features of usage of beauty service, the highest percentage of female and male respondents selected ‘less than 2 months’. The kinds of service which the respondents used were haircut, dyeing in the sequence of higher ratio. The service which respondents desired were dyeing, skin care in that sequence of higher ratio. For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beauty service, 53.1% selected ‘satisfied’ and 46.9% answered “very satisfied”. It indicates that all respondents in this survey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beauty service. In case of the satisfaction on life, 46.0% was very satisfied, 42.6% was satisfied and 10.0% expressed the service was good. 1.4% was not satisfied with the beauty service. The satisfaction on the place for beauty service was very high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which was followed by the welfare center and the nursing home. Next is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participant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group showing satisfaction on service, 65.7% was satisfied with life and 12.9% was very satisfied with life. In case of the group showing high satisfaction on service, 16.5% was satisfied with life and 83.5% was very satisfied with life. The results indic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the beauty servic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인들의 미용복지 서비스 이용 실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전북 지역의 노인 관련 시설 17곳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 288명(65.6%)로 여성의 참여가 많았으며, 연령은 70-79세(46.5%)로 참여가 가장 많았다. 미용서비스 이용 특성은 이용 기간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2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고, 미용서비스 이용 경험 서비스 종류 및 희망하는 서비스는 이용 경험 미용서비스로 커트, 염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미용서비스는 염색, 피부관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서비스에 경험 후 만족도는 매우 만족 46.9%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영향에 미치는 만족도 역시 매우 만족 46.0%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서비스가 이루어진 장소가 노인복지관이 매우만족이 높았으며, 종합복지관, 요양원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미용서비스 참여자의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은 서비스 만족군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만족은 65.7%, 매우 만족은 12.9%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의 매우 만족군의 경우 삶의 만족도는 만족 16.5%, 매우 만족은 83.5%로 나타나 미용서비스 경험자의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노인들의 미용복지 서비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미용서비스 경험 만족도가 매우만족 한 경우 삶의 만족도 역시 매우만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삶의 질은 본인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노인의 삶의 질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 중 다양하게 변화하는 요인 중 특히 신체적 노화를 지연하며 청결 및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미용적 요소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추후 체계적인 교육과 다양한 미용복지 프로그램개발 및 노인들의 수요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인력를 양성하여, 고령화시대에 복지 분야 중 미용복지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기여하고자 한다. 단,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특정지역 노인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실제 노인들에게 설문 문항에 대하여 설명 한 후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을 가지고487 있다. 따라서 사회가 고령화 되어감에 미용복지서비스 중 노인 미용복지 연구의 활성화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노후설계서비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 -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지은정 ( Eun Jeong Ji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4

        평균수명이 연장되는 가운데, 퇴직연령은 53세(평균)에 불과하여 퇴직 후 보내는 시간이 전체 인생의 40%에 이른다. 따라서 퇴직 시기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아직 노후설계는 사회적 핵심논제가 아니고 인식수준도 낮아서 준비되지못한 상태로 노년을 맞는 계층이 많다. 그러나 준비된 노후생활을 영위하고, 사회적으로도 고령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노후설계정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을 뒷받침할 만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나마 수행된 연구도 대부분 노후준비진단지표, 준비 실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아래 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노후설계서비스를 진단하고 서비스 체제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사회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그리고 보편적·균형적 노후설계서비스 구축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후설계에 개입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 생애에 걸쳐 이뤄져야 할 노후설계가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연령계층별로 보더라도 50대 이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재무영역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노후설계서비스의 핵심인 연계서비스와 사후관리는 거의 실시되지 않는다. 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노후설계보다는 생애설계로 접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100세 시대에 장수위험으로 인한 경제문제도 중요하지만, 비재무 영역(여가, 평생교육 등)도 중요하므로 재무와 비재무영역을 균형적으로 제공하고, 연계서비스와 사후관리서비스도 제공해야 노후준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tirement age is just 53 years old on average, while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lengthened in Korea. Most people may live nearly 40% of their life after retirement. Thus, it is important how they spend it in their old age. A later life planning policy is necessary to prepare for old age,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and for a reduction of negative impacts of ageing from a social perspective. Despite that,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is not a critical social issue and the social cognition about it is low. However, there is some research related to thi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tries to exam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ater life plan service according to universa l?balanced viewpoints. Moreover, it intends to provide a useful policy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Firstly, it is essential for government policy for life design in that the social participation culture in Korea has been less developed and social infrastructure has been insufficient. Secondly, this service is only provided to a special class even though it should be provided to every citizen. In addition, it just focuses on people over fifty, although it has to serve all age groups. Also,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has been focused on a financial service and it has not created a link service, along with a follow-up service, which are the main points of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Thus, it should be provided to all nations including the social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encourage the life design rather than later life design service. And this service should be balanced between financial and non financial aspects, since leisure, lifelong educa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essential.

      • KCI등재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사용수명 정의, 종료 기준, 추정

        정유석,김우석,이일근,이재하,김진광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0 No.4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definition of service life and the end-of- life criterion for bridge maintenance. Bridges begin to deteriorate as soon as they are put into service. Effective bridge maintenance requires sound understanding of the deterioration mechanism as well as the expected service life. In order to determine the expected service life of a bridge for effective bridge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definition of service life and end-of-life. However, service life can be viewed from several perspectiv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end of a bridge’s life can be also defined by more than one perspective or performance measure. This study presents definition of service life which can be used for bridge maintenance and the end-of life criterion using the performance measure such as a damage score. The regression model can predict an average service life of bridges using the proposed end-of-life criterion.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사용수명의 정의 및 수명 종료를 제안하였다. 먼저 국내외 교량의 수명용어 관련 현황을 바탕으로 교량의 사용수명을 정립하였다. 교량의 사용수명이란 ‘교량이 유지관리 통해 요구하는 수준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간’으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사용수명 종료 제안을 위해 국내외 수명종료 기준을 분석하고 교량에 발생 가능한 수명 종료 유형을 분류하여 수명종료를 제안하였다. 사용수명 종료 제안 시, 교량의 성능지표(결함도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상태등급 ‘D‘등급의 중간값인 결함도 점수 0.64를 수명종료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제안된 교량의 사용수명 종료 시점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사용수명 종료 시점을 활용하여 현재 고속도로 교량의 평균 사용수명을 70.8년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아동복지사절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

        임동호 ( Dong Ho 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9 아동복지연구 Vol.7 No.2

        아동복지시설은 요보호아동들에게 주거제공 및 생계지원의 사후적·시혜적 기능을 비롯한 교육, 상담, 자립, 치료서비스 둥의 사전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아동복지서비스의 종합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아동복지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도원들은 아동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생활지도원들이 지각하는 직무특 성은 이들이 제공하는 아동복지서비스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 발전방 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 124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1일부터 9윌 26일까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특성 수준은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피드백, 과업정체성의 순이었다. 둘째, 생활지도원들이 지각한 서비스 질 수준은 감정이입, 유형성, 보증성, 신뢰성, 대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 변인과 서 비스 질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보면, 피드백과 서비스 질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 를 나타냈으며, 다양성, 과업정체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지도원의 직무에 대한 피드백이 보 장 될수록 생활지도원 개인의 서비스 절이 높아진다고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정기적 슈퍼비전을 통한 피드백 경로의 법적 도입, 둘째, 생활지도원의 직무체계 표준화 도입, 셋째, 아동복지시설 운 영매뉴얼의 제도적 마련을 들 수 였다. Child welfare facilities carry out the role of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as they perform preliminary functions such as providing housing and livelihood assistance to children who are in need. They also perform post-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education, counseling, self-support assistance, and health services. The everyday life insrructors who provide these services in rhe child welfare facilities play crucial roles which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lives. In this context, it would be assumed that the perceptions of everyday life instructors about their vocational characteristics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which they provide for the children in welfare service facilit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as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in child welfare facilities. For this study, 124 everyday life instructors who worked at child welfare service facilities located in Cho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1st to 26th, 2008.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delivery and direct visi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ly, the level of vocational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highest in terms of diversity, followed by feedback and type of task. Secondly,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mpathy,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ype of work, assurance,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Third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v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servi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feedback and the quality of service, followed by diversity and the type of task. In other words, the service quality of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highest when their feedback was as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have to be made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ervice for the children`s welfare. Firstly, the route of feedback through regular supervision should be established legally. Secondly, the standardization of the vocational system should be put into place for everyday life instructors. Thirdly,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chil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 KCI등재

        사회서비스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바우처 방식의 사회서비스와 삶의 질 간 종단 관계

        양성욱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s provision and quality of lif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individual social services provision and social services for particular population. So previous research have failed to show the whole social context of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s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and quality of life b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including related information. To perform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and quality of life analysis, this study used a dynamic panel model that included the lagged variables of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using social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number of social service has a negative effect.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xplicit purpose of social service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lso, it suggests consideration point for expansion of social service.

      • KCI등재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과 의생활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이윤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4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manage clothing life, and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their demand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their interest in learning about clothes life. A questionnaire was delivered to 206 pre-service teachers in November 2017 for their frequency analysis,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clothes management practice, more than two third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manage their clothes through their own laundry, drawer management or fixing clothes, with average understanding of label marks for clothes caring or wash powders. Second, cluster analysis using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s of interest in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divided the pre-service teachers into high interest group and low interest group. The demands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were divided into five common factors such as classification and storage, disposal, purchase and usage1 (practicality), purchase and usage 2 (Economy and Etiquette), while learning demand for clothes life was broken down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management for clothes life, how to put on clothes, manufacturing function and culture. Third, the first factor, the demand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was 3.64 high with planning in the highest followed by purchase and usage 1, classification and storage, purchase and usage 2, and disposal. Fourth, as to the demand for clothing life factor, clothes life learning factor was ranked first, followed by how to put on clothing, and manufacturing function and culture. In particular, making a small piece of clothing life thing by sewing is very low, whereas making a living goods in sharing concept is fairly popular. Fifth,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emale pre-service teachers demand more clothing life management and clothing life education than male ones while males do have a lower demand for making a goods. Housing type also seems to influence laundry capacity which shows that domitory or self- staying students know more about laundry and usage of cleaning powders. The research above shows a strong demand for clothing life management or for clothing life learning, implying a critical demand for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의생활 관리 실태, 의생활 관리행동의 관심도 및 요구도, 의생활 학습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2017년 11월, 예비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군집군석, 요인분석,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관리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예비교사의 2/3이상이 스스로 세탁과 옷장 정리, 옷의 수선을 통해 옷의 관리를 하고 있었고, 의류제품의 취급표시방법과 세제에 대한 인식은 보통정도였다. 둘째,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 관심도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관심집단’, ‘낮은 관심집단’의 2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의생활 관리행동의 요구도는 ‘정리와 보관’, ‘처분’, ‘구입과 사용 1(활용성)’, ‘구입과 사용 2(경제성과 예절}’ ‘계획’의 5개 요인으로, 의생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 ‘옷차림 학습’, ‘제작기능 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 요구도는 3.64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5개의 요인 중 ‘계획 요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구입과 사용 1(활용성) 요인’, ‘정리와 보관 요인’, ‘구입과 사용 2(경제성과 예절) 요인’, ‘처분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생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 학습 요인’이 가장 높았고, ‘옷차림 학습 요인’, ‘제작기능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 요인’의 순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요구도가 높았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생활 관리행동과 의생활 학습요구도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의생활 관리 행동과 의생활교육 등에 더 많은 요구도를 가졌으며, 남학생의 경우 의생활용품 만들기 활동에 대한 학습요구도가 낮았다. 주거형태별 특성에서는 의생활 관리 중 ‘옷의 세탁’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자취를 하거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세탁여부와 각종 세제의 사용법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예비교사는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요구도와 의생활 학습요구도가 모두 높았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가 낮은 ‘제작기능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 요인’분야에서는 학습시간에 제작할 수 있고, 트렌드에 맞는 제작용품을 활용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웨어러블 카메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라이프로깅 서비스용 제품-서비스 디자인 개발

        송경곤(Song, Kyung Gon),오윤규(Oh, Yun Kyu)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단말을 활용한 라이프로깅 상용화의 시도가 본격화 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일상적인 삶의 기록에서부터 건강, 편의, 생산성향상등의 라이프로깅 데이터들을 수집-분석-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재생산하여 전달하는 IoT 서비스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자리 잡았다. 현재 사용자의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의 기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일상생활의 기록이나 개인의 특별한 추억과 같은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들은 대부분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 혹은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카메라가 갖고 있는 선천적 사용성의 한계로부터 빚어진 UX의 결핍은 이미 높아진 사용자 경험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 확보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유용한 라이프로깅 데이터생산에 필요한 제품 UX를 정의하고, 이를 적용한 웨어러블 카메라의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생산된 데이터를 수집-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궁극적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용 제품-서비스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가설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와 제품-서비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유치 및 펀딩성공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라이프로깅 기반 제품-서비스 모델이 유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연구결과가 다양한 라이프로깅 서비스 저변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ttempts of commercialization of life-logging functions by utilizing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has accel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is development IoT service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people by colle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life-logging data which is supposed to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onvenience of life and productivity of users has planted itself in industry as a key element. There are 2 types of life-logging data collected in different ways. One is health related life-logging data which collected by the devices mostly worn on the wrists of users. The other is daily logging data which collected by the smart-phone cameras or digital cameras to capture their moments and keep the special memories. Unlike other devices the camera is inherent complication of managing in certain level which prevents people from using it with ease. Most of time shooting photos is not the final step of using camera and the users need to download or upload the photos from the flash drive or to the hard drive to save the photos with batteries and cables. It requires a bit of patience, sometimes requires knowledge and sometimes even technical environment. These requirements are the biggest huddle of developing dynamic service models of camera related life logging data for users. This study defined a UX to create useful life-logging data and develop a wearable camera. Also the study included the description of a mobile application and a service model which enable users to enjoy their life logging data with more meaning and benefit. To verify our hypothesis numerous face-to-face &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and crowdfunding event was successfully completed and attracted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audience. Theses trials and efforts will help people to aware of the concept of life-logging related service models little by little in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사회서비스 이용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 지역별 비교

        권혁창,장성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사회서비스 이용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 지역별 비교권 혁 창*ㆍ장 성 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이용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해 지역별 차이를 살펴본다. 연구 방법: 한국복지패널의 14-16차 자료를 활용하여 3,77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TATA 프로그램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사회서비스 이용여부와 생활만족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사회서비스 이용은 많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소도시와 농어촌 거주자는 사회서비스 이용횟수와 생활만족도가 정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제시되었다. 개별 사회서비스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서비스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거주지역별 노인의 욕구에 적합한 사회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되, 사회교육서비스 이용은 지역과 관계없이 노인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핵심어: 노인, 생활만족도, 사회서비스, 지역, 패널회귀분석 □ 접수일: 2022년 9월 16일, 수정일: 2022년 9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경상국립대학교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khchang3@hanmail.net)** 교신저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Health and Social Welfare, Email: changsh510@gmail.co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Use and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 Regional ComparisonHyeokchang Kwon & Sunghyun Chang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us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3,777 elderly people using the 14th to 16th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TATA pr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 use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regional differences appear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social service use, the more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social service use and life satisfaction were statically related to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resi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ocial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found to be different by servic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service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elderly in each residential area, but the use of social education services needs to be provided to the elderly regardless of the region. Key Words: Elderly, Life Satisfaction, Social Service, Reg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장원호,박성빈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 유아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유아교사들이 응답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크게 6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치우침 없는 구분’, ‘일보다 앞서는 삶’, ‘달성하고 싶은 최상의 상태’, ‘반드시 필요한 존재’, ‘불가능한 현실’,‘개인마다 다른 기준’범주의 순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치우침 없는 구분’으로 인식하며, 일과 삶의 분명한 구분을 강조하였다. 또한 두 영역 간의 균형을 일보다는 삶에 무게를 두며 인식하였고, 일과 삶의 균형이 잘 맞춰진 상태를 이상적이라고 여기기도 하였다. 그 밖에도 일을 위해 꼭 필요한 개념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인식하였으며, 일과 삶의 균형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기도 했다. 끝으로 개인마다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준이 다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교직 생활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양성기관에서 직무관련 교과목을 증설하거나 직무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with 227 sample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work-life balance was largely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es were in order such as accurate distinction, more-important-than-work life, best condition, indispensable thing, impossible reality, and individual criteria.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work-life balance as ‘accurate distinction’ and emphasized clear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life. Work-life balance was recognized by putting more weight on life than work, and also thought as best condition.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work-life balance as a necessary concept for work, and expressed perception that negative work-life balance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alize. Work-life balance wa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criteria because people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balance between two are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expand job-related subjects and operate job-related programs at the teacher-rearing institutions so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erceive teaching life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