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인식 연구

        이정아(Lee, Jung-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다문화 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75명이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관련 문헌을 참고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다문화 그림책과 관련된 교육이 유아뿐 아니라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효과적인 다문화 그림책 활용을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없도록 열린 태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이 있는 예비유아교사가 그림책 이해, 다문화 그림책 이해, 다문화 그림책 활용의 필요성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 사화·문화적 환경이 다른 다문화 가정 영유아를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여 교육적인 적용을 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75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nearby Kyonggi Province universities,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re-revisioned questionnaires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literatures. The study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at the education associated with picture books an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as necessary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they perceived to make effective us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y need an open attitude toward them. Second,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recognition in almost every aspect, including understanding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picture books, and the need to utiliz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7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earby Kyonggi Province universities,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re-revisioned questionnaires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literatures. The study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at the education associated with picture books an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as necessary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they perceived to make effective us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y need an open attitude toward them.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recognition in almost every aspect, including understanding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picture books, and the need to utiliz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educational application by us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different socio-cultural environments of childcare.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다문화 그림책 탐색 - 상호문화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이혜진 ( Lee Hye-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외국어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교육 이전에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언어 교수자는 상호 문화주의적인 태도에서 출발해야 하며 언어 학습자 역시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리터러시까지 나아가야 한다. 본고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외국문화로서의 한국 문화교육이 다른 문화 간의 조우를 전제로 하기에 상호문화주의교육으로 나아가는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갈 한국어 교육에서의 다문화 그림책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상호문화주의, 비판적 리터러시를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고찰할 만한 다섯 권의 다문화 그림책을 선정한 뒤 본고는 ‘다문화주의의 실천적 활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프랑스 상호문화교육 이론과 미국의 사회 교육학자인 뱅크스(Banks)의 다문화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을 분석 준거로 삼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문자로 이해하는 바를 넘어 그림을 통해서도 언어적인 이해를 보강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 소재의 그림책은 해당 텍스트가 가진 바람직한 다문화적 요소와 더불어 부정적이고 극복해야 할 다문화적 요소까지도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셋째, 본고에서 선정한 다섯 권의 그림책은 점진적으로 상호문화적인 교육의 방향을 발전시키면서 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네 가지 접근법 가운데 세 번째, 네 번째의 사회적 실천에 부합하는 방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에서 선정한 다문화 그림책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인식론을 정비하고 비판적 리터러시를 적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은 타 문화가 만나는 외국어 교육의 하나로서 구별짓기, 차별, 배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구성되어 나가는 상호교차적이고 건설적인 비판적 리터러시로 나아가야 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다문화 그림책의 잠재성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e-establishing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befor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instructors should start with an interculturalist attitude, and language learners should also move from learning languages to critical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will lead to critical literacy toward interculturalist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esuppose encounters between different cultures. First, this paper examinined interculturalism and critical literac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ected fiv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at can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from various angles. And then this paper tried to study five piture books according to theory of French intercultural education and American social pedagogical scholar Banks’s four approaches that has the common point of ‘practical activities of multiculturalism’ as criteria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can reinforce linguistic understanding through paintings, beyond what is understood in text. Secondly, picture books made of multicultural materials have the value of applying critical literacy to negative and multicultural elements that must be overcome as well as desirabl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text. Thirdly, the five picture books in this paper gradually developed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howed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third and fourth social practices among the four approaches of Banks's multicultur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is paper have the value to improve epistemology and apply critic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is thesis aims to prove the potential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ch should move toward a dynamic and constructive, interdisciplinary and constructive critical literacy, rather than differentiate, discriminate, and exclude in the situation of cultural encounters.

      • KCI등재

        영유아교사가 본 다문화 그림책의 다문화 양상

        권혜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picture books through reading activitie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research question set to carry out the research purpose was as follows. How was the multicultural aspect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e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9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finally in the study. Non-face-to-face small group conducted interviews were with them.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data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Stake (1995), focusing on transcripts of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journal writing documents. The study results were follows: First, as the multicultural aspect of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t appeared in the category of objectivity and prejudice. This included a factual approach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early childhood teacher perceptions of stereotypes and inequality. Second, the multicultural aspect of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in the categories of unreality and mutual respect. This includ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separation from reality, adaptation, and ident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다문화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해 그림책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양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설정된 연구문제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가 본 다문화 그림책의 다문화 양상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로 최종 9명의 영유아교사가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비대면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모두 녹음하고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영유아교사의 면담 전사 자료, 저널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Stake(1995)가 제시한 사례 분석 방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가 본 다문화 그림책의 다문화 양상으로 객관성과 편견이 나타났다. 여기에는 사실적 접근과 문화 이해, 고정관념과 불평등에 대한 영유아교사 인식이 포함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가 본 다문화 그림책의 다문화 양상으로 비현실성과 상호존중이 나타났다. 여기에는 현실과의 괴리감, 적응과 정체성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이 포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그림책과 영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Hong Ja Cho ),안상화 ( Sang Hwa Ahn ),김여선 ( Yeo Su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5명씩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3회씩 5주간 총 15회의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그림책의 문학적 특성 및 다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과학활동에 있어서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접근이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from S kindergarten in G c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25 children in each group.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 total of 15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5 weeks.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took part in general science activities as usual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its sub-areas. Seco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se results mean that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language ability. The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used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ulticultural context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us, this study suggests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provide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만 5세 유아들의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문학적 반응

        김혜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4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literary responses of young children to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The responses to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f 46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by Sipe’s (2007) Literary Response Type. The responses of the young children were: analytical responses, in which the toddlers understoo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members in the books; intertextual responses in which they were reminded of the contents of other books related to multicultural topics; personal responses, where they recalled visiting a foreign country or meeting a foreigner; transparent responses, where they were emotionally connected to the feeling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who were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 book; and, performative responses, where they enjoyed humorous behaviors using the unfamiliar nam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tc. The literary responses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picture books can be used effectivel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capabilities of the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ublis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f high quality and invigorat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such books.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중금(Jung Geum Cho),김상희(Sang Hee Kim)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 실제적이고 유익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다문화 시대에 살고 있는 유아들에게 인종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서로 존중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을 길러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8월부터 2010년 10월 초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소재한 J유치원의 만 5세 학급의 유아 33명(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6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의 인종에 대한 태도와 인종 선정이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인종 및 나라에 관심을 갖게 하여 인종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타문화 선정이유와 타문화 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통해 유아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경험해 보게함으로써 여러 나라의 문화에 대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관심을 갖게 하였으며 그 결과로 타문화 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if there was some effect of children s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that if they got a series of educational activity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ugust, 2010 to Octob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age 5 children at J kindergarte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33 (17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tool was adopted from the research of Park Seong Yeon (2001) and Shin Hyeon Kyeong (2006) for the investigation of racial bias and partially from the research of Park Seong Yeon (2001) and Choi An Bok (2008). To guarante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dopted tool, it was assessed by two experts of child education and four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more than five years. The 10 picture books show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perspective of many countries were selected from 28 picture books analyzed by Jeong Ji Hyeon and Park Seon Mee (2009), and Banks (2008) on the basis of five area and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done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the score of pre and post experiment with t-test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xperiment in this research.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ivity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as beneficial to the attitude of children for race because it motivated children to have a variety of cultural interests and finally it helped them to decrease the racial bias of children. (2) this kind of multicultural activity with picture books were positive for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 It made children feel more interested and own various views toward other countries through picture books.

      • KCI등재

        다문화 학습자의 문식성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보이스 트레이닝과 그림책 읽기 연계를 중심으로-

        하다솜,임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real lesson case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literacy by applying pronunciation learningbased picture book reading to a real Korean classroom site. Since they present characters, contexts, and situations, picture book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ve abilities as well as literacy by encouraging students to read, think about, and understand a story, express their ideas in texts and speeches, and listen to others’ ideas and share them. Read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s, situations, and contexts in a picture book can bring students closer to natural Korean pronunci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investigator gave pronunciation lessons to multicultural learners in Lessons 1 and 2 of the Voice training. Lesson 3 was designed to cultivate pronunciation and literacy simultaneously as they read picture books based on pronunciation study. In a lesson assessment, the multicultural learners said that the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picture book-based reading and pronunciation lessons was more helpful for stimulating their learning interest and boosting their self-confidence than pronunciation learning alone. In a focus group interview, they stat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ccurate pronunciations in their study and daily life as a multicultural student but had difficulties with their learning and thus challenges. They also exhibited expectations for pronunciation lessons based on picture books that would expose them to a variety of topics and stimulate their inter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by proposing a need for reading picture books as a medium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learners and setting some criteria to select picture books fit for their situational contexts and education. 이 연구는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발음 학습 기반 그림책 읽기를 적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문식력 함양을 위한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있다. 그림책은 인물과 맥락과 상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야기를 읽고 생각하고이해하고 자기의 생각을 글과 말로 표현하는 과정과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고 공유함으로써 문식성 향상과 더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그림책의 인물과 상황과 맥락 이해를 기반으로 읽기를 수행하면 자연스러운 한국어 발음에 가까워질 수 있다. 다문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 트레이닝 교실 수업은 총 3차시로 진행이 되었고, 1, 2차시는 발음 수업을 진행하였다. 3차시에 발음 학습을 기반으로한 그림책 읽기를 통해 발음과 문식성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수업 평가에서 발음 학습만을 진행하는 것보다 그림책을 활용하여 읽기와발음 수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학습 흥미 유발과 자신감 상승 등에 도움이된다고 하였다. 포커스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다문화 학생으로 학업과 일상생활을영위하기 위해서는 발음의 정확성이 중요한 것은 알고 있으나 학습에 어려움을겪어 힘든 부분이 있었음을 밝혔다. 다양한 주제가 노출되고 흥미 유발이 되는 는 그림책 활용을 통한 발음 수업을 기대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교육매체로 그림책 읽기의 필요성과 학습자들의 상황과 맥락에 맞는 그림책 선정과 교육용 그림책 선정 기준설정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희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This research regards it as meaningful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cutural education on children's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ism and help to form a positive multicultural awareness after re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children's race and cultural prejudice. For the purpose of preliminary research, 4-6 year old children of each Asian, Caucasian, and African-American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ren's racial prejudice depending on facial expression, expressionless faces of Caucasian and Asian were selected. And smiling face of African-American was selected since there are many negative prejudice on this race. So total three pictures were selected. One class from each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as selected, and a picture book was chosen depending on 87 children's racial preference. It was conducted by children those who had high rate of negative prejudice on race twice a week for 8 weeks. As a result, children's racial preference was influenced more by race than by facial expression, and no facial expression was impactful as the age gets older. Since the prejudice towards African-American is the heaviest, three picture books(oversea emigrant, minorities, international marriage) related to African-American and one picture book that talks about a Korean child being oversea emigrant were sel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a picture book reduced negative racial prejudice and influenced positively on children's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multiculturalism. This result suggests that a picture book education for multiculturalism is very effective to let people adjust and respect diverse culture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들의 인종과 문화의 편견에 미치는 효과를 재검토하여 세계화 시대에서 긍정적인 다문화 인식 형성을 돕기 위한 기초 연구에 의의를 둔다. 예비연구로 연구대상과 비슷한 만 4~6세의 동양인 유아, 백인 유아, 흑인 유아(가나다 순)의 사진을 1차로 선정하였다. 얼굴표정에 따라 유아들의 인종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백인과 황인 유아는 무표정한 얼굴 사진을 선정하였다. 또한 부정적 편견이 심한 흑인 유아는 웃는 표정의 사진을 2차로 선정하여 최종 3장의 유아 사진을 선정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위치한 2곳의 어린이집에서 연령별로 각각 1반씩을 선정하였고 재원중인 유아 87명을 대상으로 유아들의 인종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예비연구에서 부정적 인종편견의 수치가 가장 높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1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들의 인종선호도는 유아의 표정보다는 인종에 더 편중하는 결과가 나왔고, 연령이 클수록 인종선호도에서 얼굴표정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종편견 중 흑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가장 심하여 흑인과 연관성 있는 그림책 3권(해외 이주민 가정, 소수자 입장, 국제결혼 가정)과 한국인 가정의 유아가 해외 이주민 입장에 있는 그림책 1권을 최종 선택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통하여 부정적 인종편견은 감소하였으며,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다양한 문화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존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범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 그림책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 반응연구

        김낙흥(Kim, Nak-Heung),홍서영(Hong, Seo-Young)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반응을 질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참여자는 비영리법인 산아래에서 운영하고 있는 G시 B구에 위치한 Y선교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명이다. 참여 유아들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9일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선별된 다문화 그림책 4권을 각각 3회씩 반복적으로 읽었고, 이때 보이는 반응을 연구자가 참여 관찰하며 녹음, 녹화 및 현장노트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비슷한 유형끼리 범주화, 재범주화 및 동료검증 등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반응범주는 ‘개인적경험 나누기/동일시하기’, ‘파라텍스트 발견하기’, ‘내용 기억하기’, ‘지식 확장하기’, ‘흥미 및 적극성 표현하기’, ‘상상력 발휘하기’, ‘성경적 반응/신앙 고백하기’, ‘내용 추론하기’, ‘편견 나타내기’, ‘다문화 역량 발휘하기’로 나타났다. 주차가 거듭될수록 유아들은 단편적인 반응에서 포괄적·세부적반응으로, 개인화에서 다문화적·전지구적 관점의 반응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 시 다문화 그림책을 세심하게 선별하여 활용하되 반복적으로 읽으며 유아들이 ‘독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또 다양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observe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reading picture book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were four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Y-Missionary institute located in B-gu, G-city, which is run by the non-profit corporation “San-A-Rae”. Participating children read four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ree times each from Jan. 11 to Jan. 29, 2021, and a researcher recorded the responses along with field not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re-categorizing, and verifying peer-checking to similar types while reading repeate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children’s response categories to repetitive picture books are “sharing personal experience/identification,” “find para-text,” “memory of content,” “extension of knowledge,” “express interest and proactiveness,” “express imagination,” “Biblical view/confess with faith,” “logical inference,” “prejudice”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Gradually, the children expanded from fragmentary to comprehensive and detailed responses, from individualization to multicultural and global perspectives. Starting with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research to see the interest in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repeatedly and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this process.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 변화에 관한 실행연구

        전윤미,이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1

        Us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explores changes in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rough story sharing activities. After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implementing story sharing activities with seven four-year-old children, we found the following. Firs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elped the children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who were different from them. The children showed a decrease in prejudice toward other cultures after reading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econd, in the early stage of book reading and sharing, the children showed ethnocentric cultural attitude, being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culture and others' with defensive mechanism against differences. Third, as the activities progressed, the children came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s a culture like their own, and reached to the stage of accepting differences. They also showed the stage of adaptation to differe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seeing events from perspectives of different cultures. Toward the end of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the children showed the integration of difference, being able to incorporate themselves and others together into a world of coexistence. Therefore, the multicultural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ed by Bennett and Bennett (2004). 본 연구는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만 4세 유아 7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그림책은 유아들에게 나와 다른 사람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매체였다. 유아들은 다문화그림책을 읽음으로 인해 기존에 다른 문화에 가졌던 편견이 자연스럽게 감소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초기에는 문화를 보는 관점이 자문화 중심적이었으며, 타문화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는 인식할 수 있지만 타문화에 대해 방어 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타문화도 자신의 문화와 같은 맥락의 문화이고 자문화 역시 여러 문화들 중에 하나라는 것을 인정하는 수용의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 후 감정이입을 통해 타문화를 이해하고 타문화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적응의 단계도 보였다.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활동이 끝날 무렵에는 자신을 포함한 타인도 세계 안에 속한 ‘나’이자 ‘우리’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통합의 단계까지 도달함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Bennett와 Bennett(2004)가 제시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달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