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박상미(Sang Mi Park),이일주(Yil Ju Lee)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of the five years old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n terms of Nuri Curriculum life themes, Nuri Curriculum the types of activities,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ubjects, and factors, sub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study 205 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disciplined life curriculum were selected from the 695 activities, 11 themes, 11 five years old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2) referring to the revised five years old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3).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wide variation on Nuri-curriculum life themes, Nuri curriculum the types of activities, and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ubjects, education of humanism between Kindergarten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econd, story sharing in a large group or small groups is a larger part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but practice is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school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ird, filial piety to grandparents and e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hich is under the items of humanistic education is not presented in the kindergarten Nuri curriculum. Therefore, it suggests that balancing of the number of Nuri Curriculum life themes, Nuri Curriculum the types of activities,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ubjects, and factors, sub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to articulate kindergarten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Disciplined Life Curriculum. practical activities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basic life habit education of five years old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s should be provide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five years old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s with more filial piety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성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 관련 생활주제별, 활동형태(영역·유형)별,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주제별, 인성교육의 요소 및 하위내용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 11개 주제 695개 활동을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 관련 대주제와 성취 기준이 명시된 205개의 활동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교육과학기술부(2013)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를 참조하여 205개 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 간에 누리과정 생활주제별, 활동형태별(영역·유형),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주제별, 인성교육의 요소 및 하위내용별로 활동 수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5세 누리과정에서는 대 소집단활동의 이야기나누기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에서는 실천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교육 요소의 하위 내용인 ‘조부모에 대한 효’와 ‘지역사회 어른에 대한 효’ 활동은 유치원 5세 누리과정에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치원 소방안전교육 진단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일주(Yil Ju Lee),정은주(Eun Ju Jeou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소방안전교육 진단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학과 교수, 유아교육현장 전문가로 대표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원감, 교사 등으로 전문가 패널 집단을 구성하여 가장 현실성이 있는 대안을 찾고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안전교육은 누가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담임교사와 소방안전교육사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안전교육은 언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한 달에 한 번, 주기적으로, 불시에’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현장학습(실제대피훈련)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방안전교육은 어디에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생활공간으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게’로 나타났다. 넷째, 소방안전교육은 무슨 내용을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화재예방과 대피요령 및 대처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for the diagno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d conforms kindergarten fire safety education and tea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chool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 represented by field experts, vi-director, teachers and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configure the expert panel group, etc. looking for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o must be carried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1 ranking is a teacher and Fire Safety Educator. Second, when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to periodically by surprise with one month . Does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any way? The first priority was to field trips (actual evacuation drills). Third, where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in the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at has living space. Why do you need to conduct safety training room? Number one were to as able to respond in the field. Fourth, what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e prevention and evacuation tips are appeared to respond in 1 ranking.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일주(Yil Ju Lee),우서경(Woo Seo Ky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6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어린이들에게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생각을 일깨워주고 자연에 대한 지식보다는 자연을 올바르게 보고 받이들일 수 있는 감성과 자연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오감으로 체험하면서 생각과 사고의 변화를 꾀하며 이를 통해 배운 것을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해 내고 자연생태와 더불어 호흡하며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생명의 존엄성을 배우고 긍정적인 인성과 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 중 2008년 3월부터 연구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생태유아교육 연도별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the children the idea of nature and I as one, to experience the emotions that can see and accept nature correctly than the knowledge of nature, I would like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o practice in real life, to breathe with natural ecology, to learn the dignity of life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life, and to improve positive personality and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eco -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that have been studied since March 2008 among eco - We want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through analysis.

      • 영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박은미(Park, Eun Mi),모아라(Mo, A-Ra)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9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영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의 어려움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총 9명의 현직 교사로 개별 면담과 집단 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는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토대로 진행되었으나 인터뷰의 내용에 따라 이미 준비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분류 및 요목화가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에서 오는 어려움]은 <교사 본인의 인식 문제>, <부모의인식문제>, <사회적인식 문제>로나타나영유아를위한양성평등교육의어려움은교사본인, 부모,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로 생각할 수 있었다. 둘째, [물리적 환경에서 오는 어려움]에 관한 주제 군에서는 <교구교재의문제>, <그림책의문제>, <영상매체의문제>로 주제가 분류되어 영유아를 위한 양성평등교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재교구 뿐 아니라 그림책, 영상매체 등 영유아 주변 매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영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양성평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The study targets a total of nin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and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 was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ut the questionnaire prepare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All of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transferred, classified and concretised. Also, conclusions have been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iculties from recognition] appeared in <Teacher s Perception Problems>, <Parents Perception Problems> and <Social Perception Problems>, so the difficult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could be thought of as a problem that teachers own, parents, and society had to solve together. Second, on the [Difficulties from physical environments] were classified as <Problems from teaching materials >, <Problems from picture books> and <Problems from video media>.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heck teaching materials, picture books and video media near infants and children.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so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However,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gender equality by providing basic data on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for infants and children.

      • 예비유아교사가 회상하는 어릴적 따돌림 경험에 따른 인식 및 유아교사 인식과의 비교

        김유화(Kim You hwa)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따돌림과 관련된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하는 유아교사와의 차이를 비교하고, 반성(reflection)해보지 않았던 어린 시절의 따돌림과 관련된 어떠한 경험들이 있고, 그것이 현재의 유아 따돌림에 대한 인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예비교사는 유아 학급 따돌림에 대해 교사의 책임을 높게 인식한 반면 따돌림 문제 지도와 관련한 효능감을 낮게 인식하여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있어 유아따돌림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함을 밝혔다. 유아교사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본 결과 유아 학급의 따돌림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는 정도와 유아 따돌림 문제에 교사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있어 유아 따돌림 관련 사례수집을 통한 실질적 사례 중심 교육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따돌림과 관련된 어린시절 직접 경험을 가진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의 책임 및 개입을 높게 인식했다. 또한 따돌림 피해 및 가해를 가진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아 따돌림의 심각성이나 관심을 다소 높게 응답하긴 했지만 뚜렷하게 유의마한 차이는 없었다. 자신의 경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반성해보는 기회가 없을 경우 그 경험이 무의미할 수 있으므로 직전교육에서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고 반성해보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related to bullying, and compared how is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bullying, what experiences related to group bullying they have had during their own early childhood with no reflection, how that relates to the current awareness on early childhood bullying, and how it differs from actual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the resul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 to be high while recognizing the efficacy related to guidance of bullying issue to be low, which revealed that an educ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bullying i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ls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suffered from group bullying according to experiences in their own early childhood responded a little higher for the severity or interest level for early childhood bully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one s own experience with interest, that experience may be meaningless, so an effort to interpret and reflect upon one s own experience would be necessary in a previous education. Also,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n bullying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severity of bullying issue of early childhood classes and the degree of teacher responsibility on early childhood bullying issues. A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 education centering on practical cases through collecting ca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bullying and an education on the role of the teacher would be necessary.

      •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표현언어 분석

        도미숙(Suk Mi Do),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중 표현언어 발달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고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2와 만3세 영유아 12명으로 만2세 영유아 6명과 만3세 영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영유아들의 자연스런 표현언어 발산을 위해 6종류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였고 6종류의 놀이 환경은 그림책 읽기, IPTV 애니메이션, 블록놀이, 점토놀이, 병원놀이, 콩 주머니 던지기이다. 자료 분석은 선행연구결과(신경혜, 1994; 정옥분, 2003; 김정미, 2009; Bandura, 1973)에 따라 8가지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8가지 범주는 의성어, 모방/반복 언어, 부정어, 혼자언어, 상황에 적절한 언어, 설명 언어, 질문/요청언어, 음운언어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2세 영유아가 놀이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언어를 살펴본 결과 모방/반복언어(30.89%)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상황에 적절한언어(24.49%)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부정어(13.72%), 질문/요청언어(12.59%), 의성어(11.21%), 혼자언어(5.72%), 설명언어(0.91%), 음운언어(0.4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3세 영유아는 상황에 적절한언어(42.6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질문이나 어떤 일을 요청하는 질문/요청언어(16.82%)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모방/반복언어(14.77%), 의성어(9.16%), 부정어(6.73%), 혼자언어(6.73%), 설명언어(2.99%), 음운언어(0.19%) 순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의성어 발달의 차이는 만2세 영유아의 의성어의 표현언어 사용의 특징은 대부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63.27%)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기타의성어(24.29%)를 사용하였다. 반면 만3세 영유아들은 기타의성어(38.76%)를 가장 많이 표현했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36.73%)를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aly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2-3 year ol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ree play situation constructed with one type of domain as free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Observation on expressive language used by 2-year-old infants in play time indicates that imitated/repeated language (30.89%) is used the most time, followed by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24.49%), and negative language (13.72%), question/request language (11.21%), phonological words (11.21%), talking-to-oneself language (5.72%), descriptive language (0.91%), and onomatopoetic words (0.46%) are in order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the other hand,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by 3-year-old infants is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42.62%) and the next one is question/repeated language (16.82%). The following ones are imitated/repeated language (14.77%), onomatopoetic words (9.16%), negative language (6.73%), talking-to-oneself language (6.73%), descriptive language (2.99%), and phonological words (0.19%). The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8 types summaries as follows.

      •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윤희(Yun Hee Kim),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3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IPTV의 교육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IPTV가 제공하는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충남 부여군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L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30명이다. S어린이집의 15명은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쓰기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에, L어린이집의 15명은 표준보육과정에 따라 읽기·쓰기 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 수업 전, IPTV를 교육적 도구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하지만,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IPTV를 활용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으므로, 이와 유사한 매체적 특성을 지닌 컴퓨터, CD-ROM, 인터넷을 활용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읽기·쓰기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활용한 교육은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교육과정에 따라 읽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읽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쓰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교육과정에 따라 쓰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쓰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킨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PTV를 활용한 한글교육 콘텐츠 프로그램은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that the IPTV provides affects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y in terms of the IPTVs educational aspects. The subjects of this paper are 30 three-year-old children attending S Daycare Center and L Daycare Center located in Buyeo-gun, Chungnam. 15 children from S Daycare Center were arrang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and 15 from L Daycare Center were assigned into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To attain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considered advanced research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PTV as an educational tool, before the experimental class. However, there is not much advanced research dealing with children regarding the IPTV; thus, this study mainly examined advanced research using the computer, CD-ROM, or the internet which has the similar characteristics as media regardi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showing that education that utilizes it has positive learning effect on childre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y, too. Through the experiment, this research has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eading activity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id show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ing read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oes improve children’s read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writing activity applying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id show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ing writ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does improve children’s writing ability.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 the Hangul education contents program using IPTV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