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이주와 개발 : 글로벌 이주 거버넌스의 형성과 이민정책의 변화

        조영희(Young-hee Cho)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haping of global migration governance and changes in migration policy based on the recent discourse on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with positive perspective, namely ‘development through migration’. The perspective emphasizes ‘multi-level development effects’ of migration and ‘circular relevance’ between migration and development, which promote individual states to join the multilateral cooperative discussion table, rather than bilateral relationships that countries have preferred regarding migration issues. In addition, the paradigm shift of development goals through Post-2015 discourse extends the development goals from poverty reduction of developing countries to resolving inequality among all countries. It will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global migration governance with the strategy of ‘mainstreaming migration into development planning’.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through migration’ is also gradually causing changes in migration policy, namely ‘development-friendly’ migration policy, raising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migration for co-development both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Development-friendly’ migration policy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factors of migration policies influencing co-development over the entire course of migration and to re-design such policies to be more ‘development-friendly. Remittance, diaspora, circular migration, and integra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mainly related to the re-designed migration policies considering co-development. Because almost all countries only recently started the policy discourse on ‘development-friendly’ migration policy, individual states need to continue analyzing the practical and specific development effects according to different migration types.

      • KCI등재

        한국의 국제노동력 송출 및 유입정책 분석

        임채완,김홍매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2

        International movement of labor force is a core factor in analysis of diaspora phenomena which is recently regarded as a transnational agent and is becoming a critical object of study in comparison of policies between outflux country and influx country surrounding international migrations. Historically considered, international migration in collective or individual aspects is an issue of great dimensions over the border so that it is inevitably needed a massive concern and policy of outflux country and influx country. Korean government had outflux policies of labor force on account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labor demand of influx country, and rapid population growth and high unemployment in Korea. The main outflux policies were migration of contract labor and international free emigrant. On the other hand, it has carried out influx policies of labor force such as Industrial Trainee System,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Visit Employment System so as to make use of foreign work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segmentation of international labor market, evasion of 3D industries, chronic labor shortage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etc.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sing how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condition at soci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which has an effect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agential condition affects a policy decision, through a change i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on international migration of labor.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eatures of outflux and influx policy of international labor force in Korea and review the change of policy in the future by defining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inducing, promoting or restraining international migration with policy. In addition, it analyzed varied factors raising the change of migration policy in Korea and then examined their features. 국제노동력의 이동은 최근 초국가 행위자로 주목받고 있는 디아스포라 현상 분석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국제이주를 둘러싼 송출국과 유입국의 정책을 비교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집단적, 또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국제이주는 국경을 넘나드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필연적으로 송출국과 유입국의 지대한 관심과 정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정부는 국제노동분업, 유입국의 인력수요, 그리고 한국의 급속한 인구 증가와 높은 실업률로 노동력 송출정책을 펼쳤다. 주요 송출정책은 계약노동 이민과 국제형 자유이민이었다. 또한 한국정부는 국제노동시장 분절, 3D업종의 기피현상, 그리고 중소제조업의 만성적 인력난 등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외국인노동자를 활용하기 위하여 산업연수생제도, 고용허가제도, 방문취업제도 등의 노동력 유입정책을 실시해 왔다. 이 연구는 한국정부의 국제노동력 이주에 관한 정책 변화를 통하여 국제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국가적, 국제적 수준의 구조적 조건과 행위자적 조건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국제이주를 유발하거나 촉진 혹은 억제하는 변수들과 정책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의 노동력 송출 및 유입정책의 특성을 살펴보고 정책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이주정책의 변화를 추동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러시아 이주여성의 문제와 정책과제

        서승현(Seo Seung Hyu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2

        The article is researched on gender perspective of migration policy in Russian society. Starting from a question about human rights and gender equality of women immigrant labor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igration policy as a gender aspect for social integration in Russia. The patterns of international migration is impacted on Russian migration as a way to strength the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particular, Russian migration is showing to ris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Eurasian trend of migration from Central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proves that international migration tendency leads to empower women"s right or gender inequality in Russia. And it also proves how to reflect this problems on the Russian migrant policy as the gender perspective. For this, first,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migration theories in the gender perspective.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situation of women immigrant to Russia from CIS. Third,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ussian migration laborer"s problems, specially about women immigrant, based on the Russian theories and materials as a gender aspect. Nowadays the issue of social and gender inequality about women immigration became more severe. They were very often treated unfairly at work and on the social welfare in Russian socie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women immigrant suffer from the norms of sexuality discrimination between migrant-sending and receiving countries. Recently Russian government announced a new migration policy. The government tried to accept more high quality human capital to Russia to find a solution about the depopulation in Russia. President Putin has put migrant policy reform at the important of his agendas. But it hasn"t considered as the migration policy about human rights and gender problems as ever. Because the Russian policy have to be reformed to way to rise the migration policy in the gender perspectives.

      • KCI등재

        ‘혼합이동’과 유럽 난민정책: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 사례

        김성진(Seongjin Kim)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이 글의 목적은 시리아 난민 위기를 통해 나타나는 난민문제의 성격 변화가 난민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난민정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의 사례를 비교하였다. 혼합이동 개념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진 사람들이 동일한 경로를 이용해 이동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있다. 이러한 혼합이동은 인권문제는 물론, 난민보호에 심각한 도전을 야기하고 있다. 개별국가들의 이주정책은 주권문제에 속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와 고용, 그리고 다른 사회복지정책과 연계되어 있어 단기간내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규모 혼합이동의 유입은 난민보호와 함께 비정규적 이주에 대한 우려를 낳게되었다. 무엇보다 난민정책에서도 차별적 모델, 공리주의적 모델, 동화모델, 가치지향적 모델 등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난민정책에서 이주 효과를 고려하는 경향이 확산되면서 차단과 선별적 유입을 추구하는 영국, 엄격한 심사와 상대적으로 높은 비호신청 거부율을 보여주는 프랑스, 난민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한 독일, 임시보호를 통해 난민을 수용한 스웨덴 등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며, 정책적 조율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혼합이동에서는 UNHCR의 우려와 같이 난민이 이주의 하위개념으로 설정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혼합이동 증가 속에서 난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동 현장에서의 자료 수집과 이를 위한 현장인력 확보, 자료 분석과 결과의 공유, 그리고 정책효과 평가 및 공유 등 보다 구체적인 보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the ‘mixed migration and its impact on the failed coordination of refugee policies of major refugee receiving countries in Europe such as France, Germany, United Kingdom and Sweden Mixed migration refers to “cross-border movements of people including refugees fleeing persecution and conflict, victims of trafficking and people seeking better lives and opportunities” according the Mixed Migration Center(MMC). Mixed migration places a strong challenge against refugee protection. Individual countries pursue own migration policies based on their peculiar politic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Migration policy belong to the realm of the sovereignty of each state and is closed connected with other domestic socio-economic policies and thus not easy to be changed. Massive mixed migration triggered worries of a larg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and states began to consider the economic aspect of the refugee protection. Four models of refugee policies are identified in the study: discriminative, egalitarian, integration, value-oriented models. Differences are found among four countries of major refugee-receiving countries in Europe such as France, Germany, Sweden and the UK. Despite the difference in dealing with refugee protection issues, the categories based on migration policies are still applicable to the refugee policies, suggesting that attitude toward economic migration and irregular migration has influenced on refugee policies in these countries as a discourse of economic aspect of refugee issues emerged in Germany and Sweden, in addition to the UK. Perhaps France maintained its refugee and integration policy with a strict review process for an asylum application in the period of mixed migration. Mixed migration, as in the UNHCR’s concern, should not be categorized as a subcategory of migration.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refugee policy may not properly capture the refugees in a mixed migration flow. A new approach based on a real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s, analysis of data and policies, and assessment of policies and sharing experiences and assessments to develop a better coordination of refugee policies.

      • KCI등재

        The Policy Network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김영정,문성진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1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6 No.3

        This research adds value to the extant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studies by placing a greater focus on the ‘processe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changes. Specifically,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policy networks in the process of adopting ing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ers (EPSF),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y changes in Korean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history. On the basis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licy network structure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icy actors at network levels. The result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more hierarchical than the relational network at the global network level, a government-led advocacy coalition was influential in advocating EPSF at the coalition network, and the coordinating role of policy actors such as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New Millennium Democratic Party was significant in the policy process at the egocentric network level.

      • KCI등재후보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본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박채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국가안보와 전략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migration policies developed in Europe by analyzing the formation process of policy network in EU’s migration policy. A policy network similar to issue networks relevant to its migration policy is functioning within the EU. In light of this concept, policy network, this study attempts to observ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tors, that exist on a variety of levels, wh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se policies, and the process of how they reach an agre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first attempt to discus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explanation based on policy network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policy network theory to the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of Europe’s migration policy. Then we will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licy network of migration policies within the EU. In this process, we will analyze the process of how the resources and preferences of the official and unofficial actors on different levels are merged together, and shed light on how certain actors influence the policy decisions in the course of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policies for larger communities. After this, we will conduct a case study on the policy network of EU’s migration polic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investigate how policy actors mobilize the resources needed to form the policies, how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re formed during this process, and the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nvironment, network structure, network resources and strategy that exist. 본 연구는 EU의 이주정책의 정책네트워크 형성과정을 분석해봄으로써 유럽차원에서이루어지는 이주정책의 형성 및 결정과정의 역동성을 규명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EU내 이주정책과 관련 이슈네트워크와 유사한 정책네트워크가 작동되고 있다고 보고,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행위자들의 상호관계및 합의과정을 정책네트워크라는 개념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유럽 이주정책결정 메커니즘 분석에 정책네트워크 이론 틀을 적용시켜봄으로써 정책네트워크를 통한 설명의 유용성 및 적실성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 유럽연합 차원의 이주정책 정책네트워크 형성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수준의 공식적·비공식적 행위자 간 자원과 선호의 수렴과정을 분석하여 공동체차원에서 정책 형성 및 결정과정에서 어떠한 행위자들이 정책결정에 어떻게 영향을미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셋째,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행위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정책 형성에서 요구되는 자원을 동원하며, 이 안에서 어떻게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지, 정치적 환경, 네트워크의 구조, 네트워크의 자원 및 전략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이민정책의 법제와 헌법적 과제

        김병록 미국헌법학회 2020 美國憲法硏究 Vol.31 No.2

        Since 2000 there has been a global trend towards a policy shift towards expansion and inclusion in immigration polic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ese global changes. This paper examines 3 different periods in immigration policy in the last 20 years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has taken a key role on immigration polic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taken a key role on public diplomacy. But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are two different things. A joint between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is a new idea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ided to break with the long tradition and try something new. And this joint is quite without precedent. Immigration policies study that make up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legal status in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croscopic a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problems began in earnest after the 2006 immigration policy and a variety of other programs actively developed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he installation such as social integration support measures of immigrant women family, mixed race and immigrant support measures, limiting the treatment of foreigner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us, immigr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domestic support policies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evel. In additi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ctors for the disorder should be considered highly and immigration policy by setting a clear direction and goals of the system and must go step by step. So, this paper asks whether international migration can reverse or at least slow anticipated aging trends in Korea.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atalist polic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in Korea, 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around Korea, replacement migration in future Korea, and current issu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of Korea.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민정책이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4년 고용허가제 그리고 2007년 방문취업제 및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의 시행 등으로 한국의 이민정책도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흔히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의 공문서에서는 한글로는 ‘외국인 정책’, 영어로는 ‘immigration policy’가 사용된다. 그리고 법무부는 국적법을 고려하여 ‘이민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여성가족부 등 다수의 중앙부처에서는 관례적으로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처럼 용어도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온정주의에 기초한 지원에 치중하는 반면 사회통합의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양성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사회통합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즉 사회통합을 가져오는 것은 다양성의 양적 증가가 아니라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적 태도의 질적 증가이다. 다문화 시대의 이민정책은 국가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유형과 법적 지위에 대한 연구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거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다문화사회의 이민정책이라는 문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각종의 이민정책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였고, 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 혼혈인 및 이주자 지원방안, 재한외국인 처우개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치 등의 사회통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민정책 및 다문화 지원정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실태를 고려하여 그 수준을 결정해야 하고, 체류 외국인의 인권을 국제적 수준으로 보장하는 문제를 포함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토대로 장애 요인들을 적극 고려하여 이민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 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이민이 인구 고령화의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가, 아니면 적어도 그 추세를 늦출 수 있을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인구 고령화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민정책의 여러 가지 문제를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발생하는 국제인구이동의 규모와 추이를 파악하고, 그에 관한 정부의 이민정책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헌법적・법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의 이주자정책이 여성이주에 미치는 영향: 출입국관리정책, 이주노동자정책, 통합정책을 중심으로

        이지영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impact of migrant policies on women's migration and female migrants in Japan. Migrant policies consist of three sub-policy sector: immigration control, migrant labor, and integration policy. First, restrictive immigration control policy has not permitted to entrance of domestic and unskilled workers from abroad. But it has induced women's migration from Asia as entertainers and foreign wives in the interest of men. According to international blame on Asian entertainers and wives in situation of human trafficking, Japan made policy reinforcing control of migration, limiting entrance of entertainers and arresting illegal international marriage rather than protecting them or securing their human rights. consequentially the number of Asian entertainers and wives has decreased in Japan. Second, migrant labor policy has maintained closed for unskilled workers. Since the economic recovery has created a large demand for foreign labors, Japan established technical trainees policy for serving as unskilled labors. But technical trainees are not full wage labor, but in long time work and low wage level. A result of controling entrance of Asian entertainers and wives, Asian women migrate to Japan as technical trainees and work in manufacturing industry. But female trainees are in worse labor condition than male trainees because of sexism. One side, the falling birthrate and the aging of society has been under gone, the problem of lack of care generated. It made Japan change migrant labor policy to accept care workers in EPA with Asian nations. However it could not considered as opening the labor market, in reason of acceptance few care workers and rigid conditions for their residence in Japan. Third, integration policy has changed from system integration to social integration. Japan has protected female migrant and secured their human rights under social integration: multiculural coexistence policy. But its protection and securing is based on not individual female migrant but foreign wiv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Japanese migrant policies has induced women's migration for its intersets to specified pattern and layed burden upon female migrants. Now Japan is required gendering its migrant policies and integrating female migrant to mainstream. 본 글은 일본의 이주자정책을 출입국관리정책, 이주노동자정책, 통합정책의 3가지 정책영역으로 구성된 거시적인 정책프레임으로 정의하고 각각이 여성이주와 이주여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것이다. 출입국관리정책과 이주노동자정책은 단일민족주의와 혈통주의를 원칙으로 단순취로와 거주를 인정하지 않았고 통합정책은 체제통합을 중시하며 동화와 배제를 정책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일본의 장기 활황에 따른 일본으로의 국제이주의 증가, 인권보장과 차별철폐에 대한 국제사회의 요구와 국내 운동의 연대로 일본의 이주자정책은 점차 단일민족주의와 혈통주의에서 부분적으로 벗어나 국제기준과 규범을 정책화하면서 배제와 차별에서 형식적 평등주의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중앙차원의 이주자정책 추진체계가 부재한 가운데 지자체별로 이주자의 증가와 이주자의 정주화, 집주화를 소극적으로 추인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폐쇄성과 소극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한 일본의 이주자정책은 여성이주와 이주여성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단순취로와 거주를 인정하지 않는 이주노동자정책은 서구와는 달리 여성의 단순노동과 가족결합, 돌봄노동 이주를 허용하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로 남성들의 필요에 따라 출입국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아시아로부터 국제결혼과 흥행자격으로의 여성이주를 유인했다. 일본에서도 여성이주자 수가 남성이주자 수를 초월하는 이주의 여성화가 진행하고 있으나 이주여성은 인권과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주여성에 대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국제적인 압력이 증대하자 일본은 국경관리를 강화하여 입국을 양적으로 통제하는 정책수단을 동원하였고 그 결과 국제결혼과 흥행자격으로의 여성이주 유인은 약화되었다. 그러나 국제결혼과 흥행자격에 대한 출입국관리 강화는 아시아 여성의 산업연수생, 기능실습생으로의 이주를 유인하고 있다. 제조업에서 단순노동을 하는 이주여성 산업연수생, 기능실습생이 증가하여 남성을 능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노동조건은 열악하여 국제적으로 개선 요구가 높지만 정책적 대응은 미흡하다. 그러나 일본의 이주자정책에 있어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과 보호가 부재한 것은 아니다.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시행하고 있는 것은 통합정책 영역에서 이다. 이주자의 증가와 정주화에 따라 통합정책은 체제통합에서 사회통합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일본은 사회통합의 매개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사회통합의 수단인 다문화공생정책을 추진하고 다문화공생정책 하에 이주여성을 지원,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공생정책은 전체 이주여성 보다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개인단위가 아닌 가족단위, 자녀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어 일부 선진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이주여성 개인의 인권과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이주여성을 선별하고 여성이주를 특정 유형으로 유인해온 일본의 이주자정책은 젠더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어 일본 국내에서 이주여성은 이주자로서, 여성으로서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다.

      • KCI등재

        러시아 이주의 현황과 특징

        김성진(Seong Jin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2 사회이론 Vol.- No.42

        이 글의 목적은 러시아 극동지역의 이주문제의 현황과 성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 이주문제의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러시아는 소련 붕괴이후 연간 100만 명에 달하는 귀환이주와 이후 경제이주에 대응하기 위해 이주정책을 추진해왔으며, 2012년 6월 이주정책개념을 발표하는 등 인구감소와 노동력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보다 개방적인 이주정책을 모색하고있다. 이 글에서는 러시아 연방의 이주현황을 분석하고 러시아이주문제의 성격이 잘 나타나는 극동지역의 이주문제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이주와 국내이주의 딜레마, 이주와 관련된 지역격차와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모스크바와 극동지역의 주요 도시 세 곳-하바로프스크, 블라디보스톡, 그리고 블라고브쉔스크-의 총 812명을 대상으로 이주 및 이주노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러시아 레바다센터와 함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의 이주정책에서 국제이주정책 목표가 국내이주를 통해 상실되고 있으며, 이주양상에 지역차가 있으나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효과적인 이주정책을 위해서는 국내이주와 이주의 지역격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s and feature of migration in the Russian Federation. Russia has implemented its migration policy ever sinc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facing more than a million of compatriots returning to Russia. Russia has pursued a open-gate policy in 2000s and adopted a new migration policy concept in June 2012. This study in particular is to concentrated on migration issues in the Russian Far East where contending migration issues are to be found. A survey on migration and labor migrants wa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Levada Centre, in Moscow and three major c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i.e. Khabarovsk, Vladivostok, and Blagovshchensk. This study finds the goals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often failed to achieve its intended goals when domestic migration drained population our of the Russian Far East. It also finds that regional differences in migration have seldom been considered when migration policy was implemented. Empirical analysis suggests negative perception on migration was more commonly found among those respondents from Moscow and Vladivostok, while those in Blagovshchensk were more open-minded to migration-related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ideration on regional differences in migration-related issues and the impact of domestic migration are to be taken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 KCI등재

        이주인권과 이주법제의 현실

        서윤호(Seo, Yun H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세계화와 더불어 오늘날 도처에서 국경을 넘는 국제이주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글로벌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바야흐로 국제이주의 증가는 가히 폭발적인 수준에 이르렀고, 새로운 ‘이주의 시대’에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 되었다. 점차 증가하고 있는 국제이주의 시대에 ‘인권보장’의 문제가 중요해지는 까닭은 이주자들이 소수자의 지위에 놓여 있어 인권보장이 취약한 집단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이주자들은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나라의 시민이 아니어서 거주국의 법률적 보호를 받기 어려울뿐더러 이민 수용국 사회의 이방인으로서 낯선 언어, 법률, 사회적 관습에 적응하며 살아가야 한다. 또한 이주자들은 직장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 차별과 부당한 대우를 받기 쉽고, 특히 미등록 이주자의 경우는 훨씬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 세계화의 시대적 추세에 따라 자본과 노동이 국경 없이 넘나드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이주와 인권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주자에 대한 논의는 이제 더 이상 일시적 현상으로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성과 관련해서도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은 우리의 이주법제에서 이주인권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실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먼저 국제인권규범에서의 이주인권 보장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하여, 국제인권기구들이 이주인권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에 어떠한 권고를 제시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이어서 국내의 이주법제에 대한 고찰과 평가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이주인권과 관련하여 문제되는 쟁점과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주인권과 관련하여 국제인권규범과 국내 이주법제의 고찰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정리하면서 이주법제에서의 이주인권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Nowadays, international migration has continuously increased all over world as a result of the globalization. As the world economy has become globalized,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has reached at a peak point and the world has entered into ‘the age of migration’. In this age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 reason why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s that migrants are the minority of a society and they are a group whose human rights are unsecure. Migrants are not the citizens of a country where they stay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secure the protection of the laws of the country. Also they have to adapt themselves to foreign language, law and social custom. In addition, migrants are vulnerable to discrimination and unfair treatment: especially, unregistered migrants are suffering under far more unfavorable situation. As the globalization has become a trend of the modern world where capital and labor move freely across national borders, the issues of migration and human rights have become important agenda in our society. The discussion on migrants is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our society; it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anymore. This article reviews how much the migration human rights are well protected in our legal system of migration. First, the author considers the protection of the migration human rights provided by international immigration laws. Also, the suggestions to our government made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are considered. Next, the author considers the issues with regard to the migration human rights and the solutions to them through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legal system of migration in our society. Finally, while considering the issues arising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gal systems of migration in relation to the migration human rights, the author explore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igration human rights in our legal system of mi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