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ink-16에서 이미지 전송을 위한 신뢰성 기반의 동적 TDMA 기법과 새로운 패킹 방법

        백호기(Hoki Baek),임재성(Jaesung Lim),구자열(Jayeul Koo),진정환(Jeonghwan Jin),전필성(Philseong Chun),오일혁(Ilhyuk Oh) 한국통신학회 201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7 No.11(융합기술)

        Link-16은 가장 널리 사용 중인 전술데이터링크로써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Link-16은 안정적이지만 전송 속도가 매우 낮아 전술 메시지, 음성 등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 효과중심작전(EBO: Effect-Based Oper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Link-16을 통해 이미지와 같은 상황 인식 정보를 전송하려는 동향이 있다. 이미지는 기존 메시지에 비해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Link-16의 Static TDMA가 아닌 별도의 TDMA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nk-16의 MAC을 진화시킨 Link-16K를 제안하였다. Link-16K는 Link-16과 호환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미지 전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DTDMA(Dynamic TDMA), 새로운 재전송 방법, 새로운 패킹 방법을 포함한다. 제안하는 아이디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미지 전송 시간이 단축되었고, 채널 효율성이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Link-16 is a widely used TDL (Tactical Data Link) which use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ink-16 is a very low rate system, so it supports small size of data like tactical message and voice. However, there are related works to transmit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like image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about EBO(Effect-Based Operation), recently. Special TDMA scheduling is needed not static TDMA of Link-16 for image transmission because image data has much larger size than the existing tactical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d Link-16K which enhances the Link-16 MAC. The proposed Link-16K is compatible with Link-16, and includes dynamic TDMA, new packing method, and an efficient retransmission scheme for image transmission effectively. We can see that image transmission delay is reduced and channel utilization is increas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of proposed idea

      • KCI등재

        비가산성 경로비용을 반영한 링크표지기반 Node-to-Link 최적경로탐색

        이미영,남두희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5

        Existing node-to-node based optimal path searching is built on the assumption that all destination nodes can be arrived at from an origin node. However, the recent appearance of the adaptive path search algorithm has meant that the optimal path solution cannot be derived in node-to-node path search. In order to reflect transportation data at the links in real-time, the necessity of the node-to-link (or link-to-node; NL) problem is being recognized. This research assumes existence of a network with link-label and non-additive path costs as a solution to the node-to-link optimal path problem. At the intersections in which the link-label has a turn penalty, the network retains its shape. Non-additive path cost requires that M-similar paths be enumerated so that the ideal path can be ascertained. In this, the research proposes direction deletion and turn restriction so that regulation of the loop in the link-label entry-link-based network transformation method will ensure that an optimal solution is derived up until the final link. Using this method on a case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derives the optimal solution through learning. The research concludes by bringing to light the necessity of verification in large-scale networks. 기존의 Node-to-Node기반 최적경로탐색은 기점노드에서 모든 종점노드도착조건이 성립되는 가정으로 구축되었다. 최근 적응적 경로탐색의 등장으로 Node-to-Node 경로탐색은 최적해를 도출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교통정보를 링크에서 실시간 반영하기 위한Node-to-Link(또는 Link-to-Node; NL) 문제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Node-to-Link의최적 해법을 구축하는 방안으로서 링크표지와 비가산성경로비용이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가정한다. 링크표지는 회전페널티가 존재하는 교차지점에서 네트워크의 원형을 유지하게 한다. 비가산성경로비용의 포함은 최적경로를 도출하기 위해서 M-유사경로의 열거를 필요로 한다. 본연구는 진입링크기반 네트워크 변형기법에서 링크표지를 통하여 루프를 통제하며 최종링크까지 최적해를 보장하기 위한 방향삭제와 회전금지를 제안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경험적 최적해를 도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검증작업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마무리 하였다.

      • KCI등재

        Link-22 SNC 연동을 위한 전술데이터링크 처리 구조 확장 개선 연구

        정석호(Suk-Ho Jung),황정은(Jung-Eun Hwang),이윤정(Youn-Jeong Lee),박지현(Ji-Hyeon Park)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6

        현대전은 감시체계, 지휘통제체계, 타격체계가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상호 연결되어 전장상황을 공유하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한국군은 각 군의 전장상황에 맞게 Link-K, Link-16, Link-11, KVMF 등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TDL: Tactical Data Link)를 활용하고 있다.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는 지상/해상/공중 합동전력간 근실시간으로 전술정보를 공유하는 체계로 Link-K, Link-16, KVMF에 Link-22를 추가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TDLS체계에 Link-22를 적용하기 위하여 체계 구성, Link-22 메시지 분석 및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기와 Link-22의 연동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Modern Warfare is transforming into a Network Centric Warfare(NCW) where surveillance systems, command control systems and strike systems are interconnected with advanced IT technologies to share battlefield situations. The South Korean military is using the various tactical data links(TDL) such as Link-K, Link-16, Link-11 and KVMF depending on each military’s battlefield situation.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JTDLS) is a system thar shares tactical information in near-real time between army/navy/air joint forces and additionally establishes Link-22 in Link-K, Link-16 and KVMF.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ink-22 system structure, Link-22 message analysis and the interface structure between the tactical data link processor and Link-22 to apply Link-22 to the JTDLS.

      • KCI우수등재

        Link-16 처리량 향상을 위한 컨볼루션 코딩 효과의 영향 분석

        노기섭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4

        Modern warfare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a combined/jointed oper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multinational and three-dimensional powers are simultaneously deployed. The United States, NATO and its allies, including Korea, are using Link-16, which is noted as a tactical data link that enables combined/jointed operations. Currently, Link-16 is undergoing a performance improvement for utilizing crypto modernization, enhanced throughput and frequency re-mapping.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oper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Link-16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s, and analyze performance improvement status for double throughput improvement. We also analyze the effect of the newly applied convolutional coding to improve Link-16 throughput.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volutional coding to improve Link-16 throughput has shown that it can gain twice as much efficiency of use in regard to the current Link-16 throughput. 현대전은 다국적, 입체적 전력이 동시에 투입되는 연합/합동작전 환경의 구현이 필수적이다. 한국을 포함한 미국, 나토 및 그 동맹국들은 연합/합동작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데이터링크인 Link-16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Link-16은 암호현대화, 처리량 향상, 주파수 재조정을 위한 성능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ink-16 성능개량 요소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중 처리량 향상을 위한 성능개량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Link-16 처리량 향상을 위해 새롭게 적용되는 컨볼루션 코딩이 처리량에 미치는 영향성을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한다. Link-16 처리량 향상을 위한 컨볼루션 코딩의 영향성을 분석한 결과 2배 이상의 처리량 증가 이득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간 Link-K 트랙 번호 상호운용 기술

        이윤정(Youn-jeong Lee),김상준(Sang-jun Kim),임만엽(Man-yeob Lim)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12(융합기술)

        상황인식을 위해 전장에 참여하는 세력 간 전술상황 교환의 주요 수단은 전술데이터링크(Tactical Data Link)이다. 한국군은 Link-11, Link-16 등 선진국의 전술데이터링크를 현재 운용하고 있으며, Link-K 기반의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Joint Tactical Datalink System)를 개발하여 공동 운용할 예정이다. Link-16은 태평양사령부와 공동 운용하므로, 가입번호 및 트랙번호 할당을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선택할 수 없지만 Link-K는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군이 Link-16과 Link-K를 합동 운용할 때, 미군과 협의에 의한 할당된 Link-16 가입번호 및 트랙번호와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할당한 Link-K 가입번호 및 트랙번호 간 상호운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의 운용시험평가 결과를 통해 제안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modern warfare, the main factor of triumph is superior situation awareness which leads rapid command decision and precisely guided munition, and TDL(Tactical Data Link) is the main communicational enabler. ROK forces currently operate Link-16 with allied forces and are also developing Korean national data link, Link-K which is also planned to be cooperated with Link-16. Assigning participant and track numbers needs agreement between ROK and allied forces, but ROK forces have exclusive authority in assigning numbers in Link-K. This paper proposes the effective method of exchange participant and track numbers between Link-16 and Link-K, and applicability verification in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will be also presented.

      • KCI등재

        Modeling and control of lateral vibration of an axially translating flexible link

        신헌섭,임성수 대한기계학회 2015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1

        Manipulators used for the transportation of large panel-shape payloads often adopt long and slender links (or forks) with translationaljoins to carry the payloads. As the size of the payload increases, the length of the links also increases to hold the payload securely. Theincreased length of the link inevitably amplifies the effect of the flexure in the link. Intuitively,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link in its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have no effect on the lateral vibration of the link because of the orthogonality between the direction of thetranslational motion and the lateral vibration. If, however, the link was flexible and translated horizontally (perpendicular to the gravitationalfield) the asymmetric deflection of the link caused by gravity would break the orthogonality between the two directions, and thelongitudinal motion of the link would excite lateral motion in the link. In this paper, the lateral oscillatory motion of the flexible link in alarge-scale solar cell panel handling robot is investigated where the links carry the panel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Newtonianapproach in conjunction with the assumed modes method is used for derivation of the equation of motion for the flexible forks wherenon-zero control force is applied at the base of the link. The analysis illustrates the effect of longitudinal motion on the lateral vibrationand dynamic stiffening effect (variation of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link due to the translational velocity. Lateral vibration behavior issimulated using the derived equations of the motion. A robust vibration control scheme, the input shaping filter technique, is implementedon the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cheme is verified numerically.

      • KCI등재

        효과적인 데이터링크 시험 평가를 위한 통합 분석 시스템 개발

        오정인,정영환,이정환,위성혁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8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data link integration analysis system designed to effectively perform the integrated analysis of corresponding data links in test evaluation, unit testing, and integrated testing of weapon systems using tactical and weapon data link.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standards, log analysis and message sending and receiving sequences related to system linkage rules, data link log analysis, and analysis results are essential verification factors in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verification tests. The integrated data link analysis system set the tactical data link standards and system inter working rules in advance to solve the previous problems, so that Link-16 and MDIL log analysis were easy. It is useful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and fields essential for data link analysis, analyzing field value validity, and managing analysis results. Previously, it took considerable time, people, and understanding of links to analyze them and produce results. In addition, the data link integrated analysis system presented in this paper is framework-based, making it easy to scale, and is simple to customize to fit the applied tactical data links for each weapon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ata link integration analysis systems in detail. 본 논문에서는 전술데이터링크 및 무장데이터링크를 사용하는 무기체계의 시험평가나 단위시험, 통합시험 등에서 해당 데이터링크 통합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계 된 데이터링크 통합분석 시스템을 소개한다. 전술데이터링크 표준, 체계 연동 규칙과 관련된 로그분석 및 메시지 송/수신 시퀀스, 데이터링크 로그분석, 분석 결과등은 전술데이터링크 확인 시험에서 필수 확인 요소로 기존에는 이를 분석하고 결과 도출하는데 시간과 인력, 링크에 대한 이해력이 상당히 필요했다.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앞서 제기되었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술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규칙을 사전 설정해 Link-16 및 MDIL 로그분석을 용이하게 했다. 링크데이터 분석에 필수적인 메시지 및 필드 송/수신, 필드 값 유효성 분석과 분석결과 관리에 유용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설계되어 확장성이 용이하며, 각 무기체계별 적용된 전술데이터링크에 맞게 변경이 간단하다.

      • KCI등재

        프로야구 팀 브랜드 스키마를 구성하는 인지적-정서적 연상 간의 링크에 관한 탐구

        이승환,전선영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ey links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brand associations i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uch links on fanship. In order to identify the key links between the two types of brand associations, a frequency analysis(n = 281) was conducted using 13 cognitive brand associations and 22 emotional brand associations based on Lee’s(2016) content analysis of brand attributes and Lee et al.’s(2018) SporTERS. The results showed that 39 links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brand associations have emerged and that five emotions(proud, supportive, pleased, connected, excited) were associated with 28 links among the 39 links while 8 emotions(passion, optimistic, annoyed, happy, surprised, competitive, aggressive, rage) were associated with 11 link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39 links on fanship, a multiple regression(n = 481)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11 links out of the 39 links affected fanship and that 10 links(stadium-excited, fans-connected, tradition·history-proud, team members-proud, play style-excited, brand mark-proud, star player-supportive, head coach-supportive, rivals-competitiv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proud) had positive effects on fanship while a link(front office-annoyed) had a negative effect on it. The findings suggest that a brand schema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brand associations plays a key role in explaining sport consumer behavior(i.e., fanship). In order to maximize fanship, sport marketers need to develop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hat foster such a brand schema in consumer memory. 본 연구는 프로야구 팀 상황에서 브랜드 스키마를 구성하는 인지적 연상과 정서적 연상 간의 링크(links)를 밝히는 것과 함께 팬십에 대한 링크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13개의 인지적 브랜드 연상과 22개의 정서적 브랜드 연상 간의 링크를 밝히기 위해 빈도분석(n = 281)을 실시한 결과, 총 39개의 링크(13개의 인지적 연상 × 상위 3개의 관련 정서적 연상)가 도출되었다. 또한, 5개의 정서적 브랜드 연상(자부심, 지지감, 기쁨, 유대감, 흥분)은 총 39개의 링크 중 28개의 링크와, 8개의 정서적 브랜드 연상(열정, 낙관, 짜증, 행복, 놀람, 경쟁심, 공격성, 격노)은 11개의 링크와 관련이 있었다. 팬십에 대한 39개의 링크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n = 481)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39개의 링크 중 10개의 링크는 상대적인 영향력에 있어 경기장-흥분, 팬들-유대감, 전통·역사-자부심, 선수들-자부심, 플레이 스타일-흥분, 브랜드 마크-자부심, 스타선수-지지감, 감독-지지감, 라이벌 팀-경쟁심, 지역사회 공헌활동-자부심 순으로 팬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1개의 링크(프런트-짜증)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팬십 고양을 위한 기제로서의 인지적-정서적 연상을 아우르는 브랜드 스키마의 유용성에 대한 단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마케터는 팬십 강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인지적-정서적 브랜드 연상 간의 링크를 공고화할 수 있는 실천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 데이터 관리에 대한 연구

        황정은(Jung-Eun Hwang),이강(Kang Lee),정석호(Suk-Ho J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3

        한국군은 Link-11, Link-16 과 Link-K를 적용한 한국형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 JTDLS(: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를 운용하고 있다. Link-11에서 Link-22로의 교체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JTDLS 완성형 사업에서는 기존의 전술 데이터링크 외에 Link-22 등의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가 추가될 예정이다. 다양한 전술 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Link-K, Link-16, KVMF 등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의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제안하고, DLP 측면에서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방안을 찾기 위한 Shared Memory, In-Memory DB, 자체개발 DB를 이용하여 모의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ROK Forces operate Link-11, Link-16 and Korean Tactical Data Link System with Link-K(JTDLS: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As the change from Link—11 to Link-22 approaches, in the JTDLS Completed Business will be added tactical data link processing such as Link-22.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ata management structure for data from multiple tactical data links. Also, we simulate to find ways to process a lot of data quickly using Shared Memory, In-Memory DB, Self Development DB in DLP, and then we confirm the result.

      • KCI등재

        Constructing Negative Links from Multi-facet of Social Media

        ( Lin Li ),( Yunyi Yan ),( Libin Jia ),( Jun Ma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1 No.5

        Various types of social media make the people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 in different ways. In some social networking sites. Some users post their reviews, some users can support these reviews with comments, and some users just rate the reviews as kind of support or not. Unfortunately, there is rare explicit negative comments towards other reviews. This means if there is a link between two users, it must be positive link. Apparently, the negative link is invisible in these social network. Or in other word, the negative links are redundant to positive links. In this work, we first discuss the feature extraction from social media data and propose new method to compute the distance between each pair of comments or reviews on social media. Then we investigate whether we can predict negative links via regression analysis when only positive links are manifested from social media data. In particular, we provide a principled way to mathematically incorporate multi-facet data in a novel framework, Constructing Negative Links, CsNL to predict negative links for discovering the hidden information. Additionally, we investigate the ways of solution to general negative link predication problems with CsNL and its extension.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real-world data and results show that negative links is predictable with multi-facet of social media data by the proposed framework CsNL. Essentially, high prediction accuracy suggests that negative links are redundant to positive links. Further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evaluate coefficients on different kernels. The results show that user generated content dominates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CsN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