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강명희 ( Kang Myunghee ),김민정 ( Kim Min Jeong ) 한국교육공학회 2006 교육공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e-Learning 진행 중 학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업 성취도, 만족도, 학습 지속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6주 동안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4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는 먼저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을 자가 평가 형식의 설문지로 개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실재감의 하위 요인을 규명한 후, 이 중 어떠한 요인이 e-Learning의 성공을 성취도, 만족도 그리고 학습 지속도 측면에서 예측하는지를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실재감 전체보다는 이의 하위 요인인 ‘의견교환의 활발성’으로 표출된 실재감이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이며, ‘시스템 활용의 능숙도’로 인식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 지속도를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presence,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design factors that can increase social presence in the design of the environments of e-Learning, this study has carried out a factor analysis of social presence, and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resulted from the analysis and the degrees of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What relation do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learner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nd its sub-factors have with the degree of achievement? 2. What relation do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learner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nd its sub-factors have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3. What relation do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learner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nd its sub-factors have with the degree of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ppears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eam. More specifically, it shows static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eam assignment(r(44) = .365, p < .05) and of the team discussion (r(44) = .472, p < .01). However,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dividual variables like the degrees of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individual assignments and discussions. Second,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hows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r(44) = .365, p < .05), but only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among others, appears to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r(44) = .364, p < .01). Dexterity in using systems, faithfulness to team members, and successfulness in emotion exchange do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turns out to explain 13.3%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β = .364, p = .013, R<sup>2</sup> = .133). Third, the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with the intention to persist learning(r(44) = .265, p < .05), but not with the persistence of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On the other hand,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faithfulness to team members, and successfulness in emotion exchange do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sistence of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with the intention to persist learning, but dexterity in using systems do show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to persist learning(r(44) = .466, p < .01). Furthermore, dexterity in using systems can explain 21.7% of the intention to persist learning(β = .466, p = .001, R<sup>2</sup> = .217).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내재적 동기가 과제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차승봉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ask continuation behavior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 Research backgrou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learning strategy, and intrinsic motivation that can appear in the learning community were selected as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on task persistence was analyz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effect on learning activities in the online environment was verified. · Research method: Learning activities for 8 weeks were conducted for 27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and after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comple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influence. ·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learning strategy, and intrinsic motivation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siste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ing task persistenc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task persistenc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reafter,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 study by additionally considering specific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ty of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과제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협력적 환경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관련 변인을 선정하고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온라인 환경에서 8주 동안의 자율적 협력학습을 수행하고, 학습활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방법: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27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내재적 동기, 과제지속행동을 측정하여 협력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내재적 동기 모두 과제지속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과제지속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과제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마이크로 러닝 기반 MOOC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학습실재감의 조절효과

        조유진,송해덕,이예찬,김연경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in micro-learning-based MOOC.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of micro learning based K-MOOC courses opened at A and B universities in Seoul. Finally, a total of 258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directly a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but had an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learning engagement. Second, learning presenc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engagement. Third, learning presenc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micro learning-based MOOC, and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 러닝 기반 MOOC에서 학습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학습몰입, 학습실재감,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B 대학에서 개설한 마이크로 러닝 기반 K-MOOC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총 258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습몰입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실재감은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실재감은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 기반 MOOC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e-learning 참여결정요인이 학습지속의지의 초기값과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현영섭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a latent growth model which is composed of the variable of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other determinants (the relationship orientation of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the ease of use of the program, trust in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its employees) in adult mobile learning situations. An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178 adult learners in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at provided an English mobile learning program. The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12.0 and LISREL 8.03 according to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1)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changed in a non-linear pattern over time, 2) usefulness of the program and the ease of use of the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initial value of intention of learning persistence. 3) the institution’s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slope of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4) trust in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its employees had mediated effects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관계마케팅 관점에서의 평생교육기관의 관계지향성과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의 학습프로그램의 유용성, 학습프로그램의 사용편의성, 평생교육기관 및 직원에 대한 신뢰를 모바일 학습 참여결정요인으로 설정하고 학습지속의지와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평생교육시설에 제공하는 모바일 영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178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3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과 LISREL 8.0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의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습지속의지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지속의지의 초기값에는 학습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사용편의성이 정적 영향을 주었고 학습지속의지의 변화량에는 평생교육기관의 관계지향성과 학습프로그램의 유용성이 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신뢰의 경우에는 모든 외생잠재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런 영향을 학습지속의지 초기값과 변화량에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Presence

        이지연(Ji Yeon Lee),송해덕(Hae-Deok Song ),장승경( Seung Gyeong Jang),김연경(YeonKyoung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7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가상 환경이 새로운 학습환경으로 대두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생자들의 상호작용, 학습지속의향, 학습몰입, 학습실재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ZEPETO 등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 수업 공간에서 토론, 평가, 연구 활동 등 각종 학습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 총 199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최종 19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대부분이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77.8%)이었다. SPSS 23.0, AMOS 23.0, PROCESS Macro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연구결과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몰입에 대한 조절효과가 연구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에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인 근거를 검증한 의의가 있다. In the midst of a mixture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after the pandemic, the “metaverse” platform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according to learning presence in order to sustain online learning using the metaver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learners who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lectures using the metaverse. Data from 193 learn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the metaver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Learning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its effectiven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as verified. Learning pres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metaverse,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mpirical basis for the factors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 KCI등재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심경옥,한미경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aracter traits ha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are moderated by resilienc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se traits to the prediction of learning persistence also tes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 self-understanding, empathy ability, fairness, a sense of cooperation, and human rights awareness predicted high learning persistence. In particular, a sense of cooperation was a primary predictor of learning persistence, accounting for 6.2% of vari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cooper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learning persistence. With regard to moderating effect, at high level of resilience students with high self-understanding had greater learning persistence, whereas the learning persistence did not differ by the level of self-understanding at low resilie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high level of resilience can maximize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on learning persistenc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persistence.

      • KCI등재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이정민,오성은,정현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을 설계하거나 실천하고자 할 때, 적절한 학습실재감 전략을 제공하고자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에 참여한 9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를 예측하는 학습 실재감 요인과 하위요소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6주간 페이스북 상에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활동이 끝난 후 인지, 사회, 감정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인지, 사회, 감성실재감은 모두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인지실재감 하위요인은 '학습내용 이해', '지식창출정도'였고, 사회실재감 하위요인은 '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이었다. 또한 '감정인식'요인이 감성실재감 하위요인 중 유일하게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지속의지를 유의하게 예측했던 인지실재감 하위요인은 '학습내용이해', '지식창출정도'로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과 동일하였고, 사회실재감 하위요인으로는 '영향력', 감성실재감 하위요인으로는 '감정인식', '감정관리'가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한 인지, 사회, 감성실재감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ability of learning presence(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and sub-factors of each presence on the persistence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TO investigate this purpose, 95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ourse "career education" clas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y experience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n facebook during 16 weeks. After the instruction, they responded learning presence(cognitive, social, emotional),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survey. Thos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seco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are subfactor of cognitive presence, 'co-presence', 'influence', 'cohesiveness' which are subfactor of social presence and 'perception' which is subfactor of emotion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are subfactor of cognitive presence, 'influence' which is subfactor of social presence and 'perception', 'emotional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 of emotion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learning presence should be facilitated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정도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비교

        조인희,박용경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learning styles and to determine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each group,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tudy subjects were 244 second grade students attendi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K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6st to 31th, 2017. SPSS/WIN 21.0 with χ2-test and t-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is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the learning styl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64.8% for Diverging, 18.4% for Assimilating, 1.2% for Converting and 15.6% for Accommodating.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value of motivation control showed higher learning persistence. Learning strategies, demonstration and memory, and checking of cognitive control was showed higher learning persistence.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persistence among control effort, control study time, seek help, and control the learning environmen. We need to identify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developing a learning strategy of their preferen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을 분류하고, 자기조절 학습능력 정도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정도를 확인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영역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K시 2개의 간호학과 2학년 244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6일부터 3월 31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t-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학습유형은 확산형이 64.8%로 가장 많았고, 동화형 18.4%, 적용형 15.6%, 수렴형 1.2% 순이었다. 학습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지속의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24, p=<.001), 하위요인인 동기조절(r=.23, p=<.001), 인지조절(r=.17, p=.008), 행동조절(r=.20, p=.002) 모두에서 학습지속의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군과 낮은 군 간의 학습지속의향을 비교해본 결과 동기조절에서는 자기효능감(t=2.14, p=.034)과 내재적 가치(t=5.05, p<.001), 인지조절에서는 인지전략(t=1.99, p=.048), 시연과 기억(t=3.26, p=.001), 점검(t=3.26, p=.001), 행동조절에서는 노력조절(t=2.91, p=.004), 시간과 공부조절(t=2.26, p=.025), 조력추구(t=2.11, p=.036), 공부환경조절(t=2.68, p=.008)을 잘하는 군이 학습지속의향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알아보고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전략 개발을 통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숙,윤지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efficient plan to operat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rojects more systematically and substantially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persistence targeting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ones which are carried out in Gyeongnam.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done with the data of 570 questionnaires collected by distributing them to 806 participants in Gyeongsangnam-do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roject. The analytical result has foun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has th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and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has th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but educational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does not have the 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But, educational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has found to have the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by making learning outcomes the media like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The study suggested the plan which can lead you to learning persistence including extension of getting jobs, supporting individual compensatory learning, promoting extension of educational content's professionalism, and contributing the convenience of education to operate the lifelong promotion projection efficiently and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본 연구는 경남에서 수행중인 평생교육진흥사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만족도, 학습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진흥사업이 보다 체계적이고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평생교육진흥사업의 참여자 80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570부 자료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기관특성 만족도와 교육내용 만족도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내용 만족도와 학습성과는 학습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교육기관특성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기관특성 만족도는 교육내용 만족도와 같이 학습성과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남에서 추진 중인 평생교육진흥사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취업지원 확대, 개별 보충학습지원, 교육내용의 전문성 확대 추진, 교육관련 편의 도모 등 학습지속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MOOC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및 과제기술적합성의 조절효과

        김효진 ( Hyojin Kim ),송해덕 ( Hae-deok Song ),윤혜주 ( Hyejoo Yun ),김연경 ( Yeonkyou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K-MOOC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 학습몰입, 과제기술적합성,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K-MOOC 참여 대학으로 선정된 서울시 소재 4년제 A 대학에서 개설된 4개 K-MOOC 강좌의 수강생 179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학습몰입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에서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MOOC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MOOC에서 과제기술적합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고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K-MOOC에서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 설계의 필요성과 학습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engagement, task technology fit, and learning persistence of learners taking K-MOOC. The participants included 179 students from four K-MOOC courses opened at a four-year university A in Seoul, which were selected as K-MOOC participating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while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Third, learning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Fourth, task technology fi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engagement as well 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learning persistence in K-MOOC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