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 :‘미래교육연구’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송시현,김성길,원종숙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cle on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uture Education Research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from 2011 to December 2019. The analysis was largely composed of fiv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uture Education Research'. Second, summary of ressearcher’s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used method was Mixed Research, and the unusual point was 'thought experiment'.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which is predictabl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are professors and teachers. Finall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words', many theme words such as 'Erudition', 'fu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were rep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First, education cannot have a single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try fusion and complex research between other fields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especially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per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o study long-term and various method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riginality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will be able to find original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through serious and steady research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Erudition paradigm'.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연구’ 투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미래교육학회의 학술지 ‘미래교육연구’에 2011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21편이다. 분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현황을, 둘째로는 연구자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로는,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특이한 점은 '사고실험'이 사용되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학생이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교수와 교사임을 감안해보면 예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어' 분석에서는 '배움', '미래교육', '다문화' 등의 주제어가 다수 반복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교육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교육은 단일한 성격을 가질 수 없으므로 향후 연구에 있어서 타 분야 및 학문 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간 융·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의 전문가와 연구자가 많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끝으로, ‘미래교육연구’만의 독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움 패러다임'에 대한 진지하고 꾸준한 연구와 실천 활동을 통해 한국미래교육학회만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를 발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미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이가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uture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online big data was collected based on the keywords of ‘future education’. The analysis of emotional was perforrmed us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refining/morphology analysis, then text mining, matrix analysis, discourse analysis. The big data collection of future education be done through portals SNS. it was done by Naver, Daum, Google, YouTube and Twitter. The period was 21,617 data from March 2020 to March 2022 to investigate the public's perception of future education after COVID-19 pandemic.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words with high frequency of future education based on the order of education, future, future education, creativity, school, student, convergence, operation, research, and curriculum. As a result of checking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future-education, creativity-fusion, talent-training, convergence-education, convergence-talent, program-development, education-program, education-class, future-talent, research-purpose have been arranged. The words with high frequency in the document were education, future education, future, creativity, students, schools, research, convergence, operation, and curriculum. The 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er with their future education were education, future education, school, future, student, creativity, operation, progress, convergence, and curriculum. Conclusions The recognition of future educ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should be mainly conducted in schools to train students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and it should be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목적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미래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미래교육’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온라인 빅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정제/형태소 분석을 실시한 후텍스트마이닝, 매트릭스 분석, 담론 분석, 감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래교육의 빅데이터 수집은 포털과 SNS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네이버, 다음, 구글, 유튜브, 트위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기간은 COVID-19 pandemic 이후 미래교육에 대한 일반사람들의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21,617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서 미래교육에 대한 빈도수가 높은 단어는 교육, 미래, 미래교육, 창의, 학교, 학생, 융합, 운영, 연구, 교육과정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출현 빈도를 확인한 결과 미래-교육, 창의-융합, 인재-양성, 융합-교육, 융합-인재, 프로그램개발, 교육-프로그램, 교육-교실, 미래-인재, 연구-목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서 상 빈도수가 높게 나오는 단어로는 교육, 미래교육, 미래, 창의, 학생, 학교, 연구, 융합, 운영,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미래교육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로는교육, 미래교육, 학교, 미래, 학생, 창의, 운영, 진행, 융합,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미래교육의 인식은 주로 학교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해야되며,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을 목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지현 ( Yoon Jihyun ),홍섭근 ( Hong Sub-keun ),임재일 ( Lim Jae Ill ),백병부 ( Baek Byoung-b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수행된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을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총 11개의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이며,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비전 및 목표, 미래교육의 인재상,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정책 및 전략의 총 5가지 영역에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교육 현안에 대한 해결 및 새로운 사회구조와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다소 제한적인 측면의 교육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역량을 갖춘 인재뿐 아니라 인성, 감성, 소통과 공감 능력을 지닌 전인적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인구구조 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개별화 및 학습자 맞춤형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평가,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기반의 교육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교육의 주요 정책은 교육에 대한 현안 해결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목적의 정책들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대에 필요한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교육이 우리 사회문화의 가치를 세우는 철학적 바탕이 된다는 역할을 상기하여, 교육의 본질과 기본 이념에 충실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 및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reports rega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meta-analysis approach. The 11 reports analyzed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8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ive domains such as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 talented students, the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are focusing on the current educational issues and problems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f long terms goal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talented students are supposed to have not only the capabiliti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lso the upright character, human emo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future education were emphasized on the differentiated and customiz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focus of educational policy in future education was to recover the trust fo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To conclude, the important roles of education are not only to foster the citizen who leads to the future but also to establish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so the inclusive and long-term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launched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and essence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과에서 미래문제 접근으로서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한 미래교육과정 구성 방안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사회에서 야기될 것으로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미래연구의 역사와 미래학자가 본 미래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미래에 직면하게 될 문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문제를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과에서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미래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을 육성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researching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which will be expected in future society using Scenario Planning. The study i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analyze history of future research and feature seen by futurist and deduct the issues facing in the future. Second, analyze Scenario Planning as a way to approaching the future problems. Third, find the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placing emphasis on necessity of future education and goal,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of future education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foundation of future society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about the future society and promoting citizenship which can react pushfully about future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미래교육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김대군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esent the fundamentals for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in futur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future character education and attempted to interpret and utilize literature o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utur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Chapter Ⅱ, the research content of this paper looked for the factors of change in character education in future education. Based on Chapter Ⅱ, Chapter Ⅲ discussed what the foundation of futur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n Chapter Ⅳ,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future character education were explored in connection with Chapters Ⅱ and Ⅲ. In this paper, I insist that with the adv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it is time for character education to become a new central area of future education, taking future generations into consideration. I suggested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maintain the unique human nature and abilitie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실현방안 탐색

        남창우 ( Nam Chang-woo ),이동엽 ( Lee Dong-yub ),이영태 ( Lee Young-tae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초·중등 교육의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고, 부산의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교육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부산 미래교육 연구 및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초·중등 교원 2명, 정책집행전문가 2명, 정책연구 전문가 3명 그리고 미래교육 전 문가 2명의 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 문항은 부산 미래교육 기본방향,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목표, 부산 미래교육 추진 전략, 부산 미래교육 추진과제(아젠다) 그리고 부산 미래교육 추진 과제에 대한 타당도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 실시 후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산의 교육 환경 및 특징에 기반한 교육정책의 방향 및 전략을 구안하여 ‘인성 중심의 미래지향적 본(本) 교육 (New-tro: 뉴트로)의 구현’ 이라는 부산형 미래교육의 비전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에 맞는 중점 과제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추진 과제를 설정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to prepare for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an’s education is facing how to find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ro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Busan’s fu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Busan’s educat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some previous studies about how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and about the basic directions of Busan’s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delphi technique 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of two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wo exper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ree experts of policy research and two experts of the future education, totally nine members. Delphi survey questions are basic direction, vision, goals, practice strategies, and agenda for future education in Busan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domains was check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round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lphi-survey. After the proces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olidified the meaning of the Busan’s future education,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ty-oriented "new-tro"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by establishing the main tasks and the implementation tasks to realize Busan’s future education.

      • KCI등재

        두 유토피아에 나타난 미래 교육

        팽영일 ( Yeong-il Paeng )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59 No.-

        This study investigates two novels, 『Utopia』 by Thomas More and 『Walden Two』 by B. F. Skinner, which are classified as education novels among books regarding future education of utopia. Common points of utopian future education was sought by studying the education in utopian societies shown in these books. The education in future societies illustrated in these books also indicates that the those depicted in the books is not just a mere imaginary world. The common forms of future education in these utopian worlds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s demonstrate that education is not only very important for improving an unequal society and making an equal and happy society, but also tells us that we, too can make a change in an unequal society by education. Second,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must put acquisition of self control and social virtues first. Third, education of future societies must be started early with active interest and support. Children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nature and neighbor friendly educatio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individual talent. Fourth, it is predicted that the future society will be a society of lifelong education. In future lifelong educational societies, the importance of educating people to have the ability to selfstudy is indicated in the books.

      • KCI등재

        시·도 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혜란 ( Kim Hyelan ),손준종 ( Son Joo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정책이 그리는 미래의 교육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래교육’ 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둘째, ‘미래교육’은 어떤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는가. 셋째,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미래교육’은 비교육적 관행과 소외를 극복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비한다는 데에서 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있었다. ‘미래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학생은 지식과 정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생비자, 배움과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흥미, 진로, 요구 등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선택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정책이 형성하는 교육 담론을 사회적 구성물이자 특정한 미래를 형상화시킨 결과로 바라보며, 이에 정책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교육적 사고, 가치, 행위과 더불어 주변화된 것은 무엇인지 주목하고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천하는 것들은 과연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ogical justification that support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students does “Future Education” aim to raise?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tilized.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uture Education” looks for the legitimacy of its policy in overcoming non-educational practices and alienati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society. It wants students to be prosumers who not only consum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o lead their learning and life, and to be talent with democratic citizenship.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d that we need to teach and learn what students want and need and that students should manage self-directed learning by themselves. This study views the educational discourse formed by the policy as a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educational thoughts, values, and practices, not educational and justifiable in it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see both what is visible and what is marginalized in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at we think and practice in the name of education.

      • 미래 특수교육 교실을 위한 소고

        이성용(Yi, Seong-Yong)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1 미래교육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일반교육에서의 이슈인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연구로 현재까지 발간된 국내 여러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의 내용은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과 관련된 정책 연구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교육에서 수행된 연구를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특수교육에서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특수교육에서도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 및 지역교육청에서도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매우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ed the direction of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 and future classrooms, which are recent issues in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analyzed of various policy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were collected focusing on policy studies related to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general education. Becau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as presented concepts on the keywor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We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First, you will have to pay attention and carry out various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will have to study and support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 KCI등재

        미래교육정책의 패러독스 : Stone의 ‘상징’ 패러독스를 중심으로

        신현석 ( Shin Hyun-seok ),선애경 ( Sun Ae-kyo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Stone의 정책 패러독스 관점 중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정책의 패러독스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에 관한 상징적 장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교육정책을 둘러싼 패러독스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미래교육에는 Stone이 제시한 ‘변화의 이야기’, ‘권력의 이야기’, 그리고 ‘비유적 표현’이라는 상징적 장치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징적 장치에는 공통적으로 ‘모호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교육정책에 포착되는 정책 패러독스 현상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미래교육위원회의 설립 목표와 현실의 괴리로부터 패러독스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미래교육정책의 구체적 실현 방안 부족으로부터 정책 패러독스 현상이 발생하였다. 셋째, 상징의 모호성으로 인해 현장의 자발적인 노력이 발생함으로 인한 긍정적인 패러독스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교육정책의 목표와 방향성을 뚜렷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미래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미래교육정책 실현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미래교육정책에 나타나는 모호성에 대응하는 현장의 자기조직화와 공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paradox of future education policies,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mbols’ among Stone's Policy paradox. For that, symbolic devices of future education were revealed, and policy paradox of future education policie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ories of change,” “stories of power,” and “metaphors” which are declared by Stone as symbolic devices are clearly visible in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se symbolic devices contained “ambiguity” in common, and based on this, the policy paradox phenomenon captured in future education policies was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policy paradox emerges from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goals of establishment of the Future Education Council. Second, the policy paradox phenomenon arises from the lack of concrete measures to realize future education policies. Third, a positive paradox phenomenon was also identified due to the voluntary effort of the field resulting from the ambiguity of symbol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oals and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clearly set, specific future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realized based on developmental discussions beyo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last, an active attitude is needed to utilize the ambiguity of policies to enable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of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