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강상(Kang, sang),류경희(Ryu, Kyung-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8명이다.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먼저 의사결정능력 중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정서활용능력’, 교육활동으로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활동’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으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라고 요구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교사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상황에 적절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으고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연수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city and J-city are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epending on questions wer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was shown to be positive by and lar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was shown to be upper-middling. Lastly, when it cam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emotional literacy’ and ‘ability to use situational proper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most needed.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the following facts. First, a program development and a relat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some situational alternatives and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give chanc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need to be provided. Third, through teacher training, concrete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Su Yun Heo ),서현아 ( Hyun Ah Seo ),최남정 ( Nam Jung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성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30명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검증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다소 높았으며,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교사의 경력과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의 관계는 전체 점수 및 각 하위범주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상하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을 위한 교사교육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and their relation. A convenient samples of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obtain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Busan. The data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SS was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formed highl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had differences meaningfully depending on teacher`s career and class. Thir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Forth,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had differences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related to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eatly, so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develop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유아교사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

        고은영 열린부모교육학회 202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ultifaceted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s perceived by society today, utilizing big data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NAVER from July 19, 2019, to July 18, 2022, centered around the keyword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refined and analyzed using Textom, UCINET6, and NetDraw progr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ext mining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 frequency of words such as 'teacher',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word frequency analysis,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ildcare center'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TF-IDF analysis. N-gram analysis demonstrated a high connectivity between the keywords 'kindergarten' and 'teacher'. Secondly, network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cated a dense network,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network data was verified. Thirdly, CONCOR analysis identified four categories: ‘teach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employ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societ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line, and the findings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content for suppor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차이 탐색과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박소영,백종남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differences in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termine what variables affect these differences if they are indeed present.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239 participants including 124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5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ll areas of curriculum operation, learning support, recording and evalu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formation.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ubject of kindergarten establishment and the type of kindergarten establishment when it comes to play support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public, private, and corporate play support competency in the areas of curriculum oper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formation. However, national and public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privat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o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area of curriculum oper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Howeve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s. In the future, we propse using this basic data in the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특수교사 124명, 유아교사 115명의 총 239명이고, 연구 도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개발한 『유아특수교사․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은 교육과정 운영, 배움 지원, 기록과 평가,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유치원 설립 주체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운영,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의 영역과 전체적으로 국공립과 사립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차이가 없지만, 유아교사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았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유치원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 단설유치원 교사가 병설유치원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지만, 유아교사는 교육과정 운영에서 병설유치원 교사가 단설유치원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았다. 향후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치원에서 놀이지원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전·현직 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채혜경,황해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further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s.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19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sangnam - do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est in interpersonal competence is very much, and most early childhood teacher are trying hard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cognize that interpers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is necessar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empathic understanding of others 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interpersonal competency promotion, and perceived linguistic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 - expression as important and feasibl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rogram method appeared in the workshop, once a semester, less than 5 sessions, 60-90 minutes. Third,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program is to reflect the voices of the field and to consider the need for the director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gram operation. The major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progra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flect on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these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유아교사의 행복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인관계역량 증진과 관련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92명에게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응답받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역량에 대한 관심은 많은 편이며, 대인관계역량 증진에 대해 대다수의 유아교사가 노력하고 있고,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는 대인관계역량 증진의 목표는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으로는 언어적 의사소통기술, 자기표현을 중요하고 실행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프로그램의 방법으로는 오프라인의 방법 중 워크샵, 실시주기는 한 학기에 1번, 5회기 이하, 실시시간은 60-90분 이하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 시 고려할 점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줄 것과 프로그램 운영이 고려할 점은 원장과 유아교사의 필요성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유아교사는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현장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로 ‘되어감’의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진민정,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유아특수교사로의 전환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면서 유아특수교사가 되어가는지 그 과정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취득하여 유아특수교사로 전환한 4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로 되어감의 과정에 관한 이야기는 ‘만남: 전환은 생각지도 못한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혼란: 전환 첫해는 고군분투의 시간이었다.’, ‘변화: 전문성을 내면화하며 유아특수교사가 되어가다’, ‘바람: 교사다움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로 전환한 교사들의 이야기로 전환을 고민하는 유아교사가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한 안내가 될 것이며, 교사 양성과정에서 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을 선택한 개인들을 이해하고 도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w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through their transition to becom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ho had acquired qualifications a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conver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narrative inquiry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ory plot about the process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was derived as follows. ‘Meeting: The transformation began with an unexpected meeting.’, ‘Chaos: The first year of transition was a struggle.’, ‘Change: Internalizing expertise and becom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Wish: I hope to live a teacher-like life.’ This study tells the stories of teachers who convert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will provide guidance on w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are considering a career change should prepare for inclusive education for all.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finding ways to help individuals who choos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하수진,이순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spects and the significance of teacher experience revealed through co-teaching between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an inclusive classroom of public kindergarten. For th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is the researcher, carried out co-teaching in her own inclusive classroom with 23 young children and 2 disabled children together with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Video data of the classroom scenes, interview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articles and books by resear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lso analysed. Followings are found through the research.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vague fear and self-regret in the beginning, felt the limitation as an inclusive class teacher who failed to properly support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process of co-teaching;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got to see the disabled children from the new experience and review the teaching methods. The two teachers experienced in common the positive effect of co- teaching and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co-teaching. Second, co-teaching experience was meaningful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at it provides insight to see diverse performance abilities and potential abilities of the disabled children, makes to realize the meaning of co-operation and equality between teachers, and gives a chance to newly realize teacher’s role; As fo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t was found to provide the chance to recogniz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teaching and to recognize the need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as a teacher.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협력교수를 실행하고 그 과정을 통해 나타난 교사 경험의 양상과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인 유아교사가 유아특수교사와 함께 장애유아 2명이 포함된 자신의 통합학급 25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협력교수를 실행하였고 이 수업장면을 촬영한 자료, 유아특수교사 면담, 연구자 및 유아특수교사가 쓴 저널,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교수 실행 경험의 양상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양상에서 유아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은 초기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자기반성의 과정이었고 실행 과정에서 장애유아를 제대로 지원해 주지 못한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한계점을 경험하였고, 유아특수교사는 장애유아를 새롭게 볼 수 있었던 점, 그리고 교수방법적 성찰을 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점 외에 두 교사가 한 경험의 공통점은 협력교수의 긍정적인 효과 확인, 협력교수 실행 시 겪는 어려움 요소에 대한 인식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에게 협력교수 경험의 의미는 장애유아의 다양한 수행능력과 잠재능력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안목 갖춤, 교사 간 협력과 동등성의 의미 체득, 교사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었고, 유아특수교사에게는 협력교수 실행의 중요성 및 필요성 확신, 교사로서의 전문성 향상의 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

        이상미(Lee, Sang-Mi),문병환(Mun, Byunghw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중인 유아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 그리고 교사헌신 간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 자율성이 교사헌신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헌신도 유아교육공동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자율성이 유아교육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때 교사헌신은 완전 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화한 교사의 자율성을 실행할 때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큰 도움이 되며 유아교육공동체와 함께 유아의 건강한 발달지원을 위한 교사헌신 노력에 힘을 줄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on the in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e study involved 2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city of G. For data analysis, SPSS 23.0 was utiliz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exhibit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Second, it has turned ou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the cre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dditionally revealing a significant effect of teacher’s commitment on the child education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impact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eacher commitment works as a complete mediator effect. These outcomes are thought to be of great importance to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hen implementing the reinforced teacher’s autonomy in the 2019 modified version of the Nuri educational program, and which will be used as educational materal that can strength on teacher commitment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together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 이미지 연구

        임재택,주철안,김미진,송주은,유주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s of a forest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ffort to explore them from different angles. Specifically, it sought to investigate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age of a forest they created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this image how to increase the spread of forest kindergartens and how to provide teacher education among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four different kinds of images of a forest amo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 forest of healing, a forest of life, a forest of learning, and a forest of play. In other words, they had positive images of the forest, viewing it as something living and as a place where one could learn and enjoy playing.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conceptions of forest, words that were related to healing were most widely mentioned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llowed by life, learning and play. In contra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the most mention of words linked to healing, followed by play, learning and play. When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ages of a for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숲 이미지를 탐색하고,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숲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고 숲유치원 활성화 및 숲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방향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00명, 유아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 이미지는 치유의 숲, 생명의 숲, 배움의 숲, 놀이의 숲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숲은 살아 숨쉬고, 무언가를 배울 수 있고, 신나게 놀 수 있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그려졌다.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의 이미지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치유의 숲, 생명의 숲, 배움의 숲, 놀이의 숲 영역에 해당하는 단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숲의 이미지는 치유의 숲, 놀이의 숲, 배움의 숲, 생명의 숲 영역에 해당하는 단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숲에 대한 이미지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숲에 대한 이미지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영아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한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re perceived 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23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 or 4-year colleges in W city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categorized by two aspects, namely the role of teachers and teachers from the occupation perspective. The former one was sub-categorized by the role of nurturing, the role of educating, versatility, the role of friends, and the role of supportive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ne was sub-categorized by it being a necessary and important occupation, a sacrificing occupation, a rewarding and pleasant occupation, and an endeavoring and learning occupation. The most distinctive variation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two teacher groups were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ere perceived mostly for their nurturing role whil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erceived mainly in an educating role. This indicated that there exists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nurture whil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e. Metaphor analysis abou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id not show subcategories of cognition development supporter and right-time development supporter, whereas metaphor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did not show a subcategory of parents’ supporting rol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about the meaning of metaphors abou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about infant and toddler related teacher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영아교사에 대한 인식을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W시 소재 3년제와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역할과 직업으로서의 교사라는 두 가지로 범주화되었고, 교사의 역할의 경우, 양육하는 역할, 교육하는 역할, 만능 역할, 친구 역할, 부모를 지원하는 역할로 범주화되었고, 직업으로서의 교사는 필수적인 중요한 직업, 희생하는 직업, 보람되고 즐거운 직업, 노력하고 배우는 직업으로 범주화되었다. 예비교사의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영아교사의 경우 양육하는 역할로, 유아교사의 경우 교육하는 역할로 인식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나 영아교사는 ‘양육’, 유아교사는 ‘교육’이라는 이분법적 사고가 드러났다. 또한 영아교사에 대한 은유에서는 인지발달 지원자, 적기 지원자의 하위범주가 나타나지 않았고, 유아교사에 대한 은유에서는 부모를 지원하는 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가 지닌 영아교사에 대한 은유의 의미와 예비교사를 위한 영아관련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