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의 구성 타당화

        백종남,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of ACMIS(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3 special class teachers. To accomplish purpose of this study, indicated modification model as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verified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Goodness-of-fit-index was verified(CFI = .915, NNFI = .903, RMSEA = .063). Second, Causality between latent variable and observed variable was confirmed (CR, p < .001). Third, Unidimensionality and reliability was verified(construct reliability > .70, average variance extracted > .50). From this result, We found out 21 items subjected those 4 categories: teacher's preparation; artistic acceptance; school cooperation atmosphere; cooperative acceptance.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정정온, 백종남, 김삼섭(2009)이 개발한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ACMIS)의 구성타당화를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213명의 특수학급 교사이다.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 모델을 제시한 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도가 검증되었고(CFI=.915, NNFI=.903, RMSEA=.063), 둘째, 각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 유의한 인과 관계가 확인되었으며(CR: t-value, p < .001), 셋째, 단일차원성과 신뢰도가 검증되었다(개념신뢰도 > .70, 평균분산추출 > .50). 결론적으로, ACMIS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교사의 준비, 예술적 수용, 학교협력문화, 협조적 수용 등 4요인 21개 문항의 결합 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통합교육교사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 모형의 타당성 검증

        백종남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PACK(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al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integrated educational teachers including 85 special teachers and 131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 goodness-of-fit of TPACK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al teachers was verified by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ly, the cross validity of TPACK model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school was verified. It’s meaningful that, as in previous studies on general teachers, this study also empirically confirmed the TPACK compos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echnology knowledge(TK) and other factors, which was not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TPACK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not completely assumed as the same model between general teacher and the special teacher in charge of integrated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통합교육교사의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연구에서 통합교육교사는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특수교사 85명, 일반교사 131명 등 총 216명 통합교육교사에게서 TPACK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먼저 확인요인분석을 통해 자료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통합교육 담당 특수교사와일반교사 간 교차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요인분석 결과, 통합교육교사 TPACK 모형의 적합성이 양호하였고, 각 요인의 측정 문항에 대한 인과관계가 유의미하며, 각개념에 대한 단일차원성을 갖추었다. 둘째,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두 집단의TPACK 모형은 어느 정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통합교육교사의 TPACK 모형에 대한 경험적증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런데 테크놀로지지식(TK)를 중심으로 다른 요인과의 상관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선행연구의 TPACK과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며,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완전히 동일한 모형으로 가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따라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 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백종남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lecture participation in online real-time lectures conducted at university due to the Corona virus ev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701 students attending the W University in the J region and participating in real-time online lectures. The tool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factors: interaction, learning improvement, adaptation, and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is the highest 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real-time online lecture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s the lowest. Second, the efficacy of real-time online lectur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grade, major, and access de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due to corona virus an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real-time online teaching as a method to prepare for the arrival of full-scale distance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the online class management method and support for each college major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국내 대학에서 실시한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대해 대학생의 수업 참여 효능감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기획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J 지역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이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701명 대학생이다. 이 연구의 도구는 상호작용, 학습향상, 수업적응, 접근성 등 4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의 효능감은 접근성이 가장 높고 상호작용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학생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 효능감은 성별, 학년, 전공계열, 접근 도구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활용성을 점검하고,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 본격적인 원격교육의 도래를 대비하는 방법으로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대학 전공별 온라인 수업의 운영 방식 및 지원의 고도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서장애학교 학부모의 요구 분석

        백종남,황태우,박은송,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kills between autism students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t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in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322 par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181 parents of autism students and 141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overall difference of parents of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is this. Th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focused on health and safety skills, while the parents of autism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Second, according to their grades,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moving and traveling, while par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Parents of autism stud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while parents in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Third, according to their gender,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male students focused on healthy and safety, whil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female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Parents of male and female autism students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selecting and appl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의 주요 대상인 자폐성 학생과 정신지체 학생 간에 학부모가 요구하는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자폐성 장애 학생의 부모 181명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 141명, 총 322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정신지체 학생의 부모는 건강과 안전에 관한 기능적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의 부모는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학교급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는 이동하기와 여행하기를, 중학부와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와 중학부는 신변처리 기술을,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의 경우 남학생은 건강과 안전 기술을, 여학생은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폐성 학생 부모는 남ㆍ여 모두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서장애학교에서 학교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및 학습양식과의 상관 연구

        백종남,임경원,현석한,김삼섭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style of the students with or without learning disability(L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D and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out LD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Musical Intelligence and Body-Kinesthetic Intelligence were regarded as a strength in students with LD, wherea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were regarded as a weakness; Second, Student with LD had avoidance and dependent learning styles; Third,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styles in students with or without LD. Students with LD or not was considered as a variable which affect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styles, whereas the sex distinction and grades of students were not. From this result, We confirmed trait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learning style of students with or without LD, and mutual relationships.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학습장애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및 학습양식과의 관계를 밝혀내어 학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중지능이론 적용 연구 및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장애학생, 일반학생 각각 30명(총 60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학생은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이 강점지능이고, 논리수학지능과 언어지능은 약점이다; 둘째, 학습장애학생의 학습양식은 의존적이고 회피적인 학습양식을 나타낸다; 셋째, 학생의 학습양식은 다중지능과 상관이 있으며, 학습장애 여부는 다중지능과 학습양식 간의 상관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되지만, 성별과 학년별은 다중지능과 학습양식 간의 상관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백종남,김수란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future teacher competencies diagnosis tools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model was established by hierarchizing basic competency and job competency in three dimensions such as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ality as teachers' competencies required in future society. Based on this hypothesis model, 54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competencies diagnosis test was conducted for 237 pre-service teachers in J area,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53 questions were extracted, including 18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knowledge dimension, 17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practice dimension, and 18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personality dimension. Second, the goodness-of-fit of future teacher competencies diagnosis model required was verified, and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래 교사역량으로 지식, 실천, 인성 등 3차원에서 각각 기초역량과 직무역량으로 위계화하여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5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J지역 2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미래 교사역량은 지식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실천 차원 6개 요인 17개 문항, 인성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등 총 5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교사역량 진단 모형의 적합성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teaching)역량 프레임 제안

        백종남,백유진,김세연,최숙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Next,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argument,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defined and its sub-eleme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ing competency frame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proposed with 8 capabilities in 3 areas including 2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2 ability to promote innovation, and 4 ability to instruc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the instability of the uncertain fu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novation and change strategies of each university will be established, and class innovation strategies will be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