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 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인터넷의 주요 이용 연령층인 10-30대를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 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지만, 언론학적 관점에서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인터넷 이용동기의 경우 유료 콘텐츠 이용동기(1요인), 커뮤니티 참여 이용동기(2요인), 쇼핑(구매) 이용동기(3요인), 무료 콘텐츠 이용동기(4요인), 정보 이용동기(5요인), 의사소통 이용동기(6요인) 등 6개의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커뮤니티 참여 이용동기와 쇼핑(구매) 이용동기의 경우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중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 몰입의 경우 정보 이용동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 인터넷 중독의 경우는 무료 콘텐츠 이용동기가 다른 이용동기보다 가장 높은 영향력이 나타났다. 세 번째로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몰입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인터넷 몰입만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studied 10~30 it is a use age group which the Internet is important in the object. And it researched which Internet use motives effect on Internet self-efficacy, Internet flow, and Internet addiction. The research comes to accomplish until now plentifully in about the Internet addiction, it comes but, the research was insufficient in about the arm person who is various from communication viewpoint it reaches in the internet addiction. When it arranged a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the composition of Internet use motives was analyzed paid contents use motive of the Internet use motive(1 factor), community participation use motive(2 factor), shopping(purchase) use motive(3 factor), free contents use motive(4 factor), information use motive(5 factor) and communication use motive(6 factor) etc. 6 appeared. In afterwards the Internet use motive the Internet affect which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resul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use motive shopping(purchase) use motive the effect which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influences is positive. And the influence where the case information use motive of the Internet flow is highest it seemed, case of the Internet addiction the influence which is higher the use motive where the free contents use motive is different than appeared.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ternet self-efficacy affected which is positive in the Internet addiction. Last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 It influences only the Internet flow is positive in the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후보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 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2

        The research studied 10~30 it is a use age group which the Internet is important in the object. And it researched which Internet use motives effect on Internet self-efficacy, Internet flow, and Internet addiction. The research comes to accomplish until now plentifully in about the Internet addiction, it comes but, the research was insufficient in about the arm person who is various from communication viewpoint it reaches in the internet addiction. When it arranged a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the composition of Internet use motives was analyzed paid contents use motive of the Internet use motive(1 factor), community participation use motive(2 factor), shopping(purchase) use motive(3 factor), free contents use motive(4 factor), information use motive(5 factor) and communication use motive(6 factor) etc. 6 appeared. In afterwards the Internet use motive the Internet affect which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resul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use motive shopping(purchase) use motive the effect which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influences is positive. And the influence where the case information use motive of the Internet flow is highest it seemed, case of the Internet addiction the influence which is higher the use motive where the free contents use motive is different than appeared.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ternet self-efficacy affected which is positive in the Internet addiction. Last Internet self-efficacy・Internet flow・Internet addic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 It influences only the Internet flow is positive in the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는 인터넷의 주요 이용 연령층인 10-30대를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 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지만, 언론학적 관점에서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인터넷 이용동기의 경우 유료 콘텐츠 이용동기(1요인), 커뮤니티 참여 이용동기(2요인), 쇼핑(구매) 이용동기(3요인), 무료 콘텐츠 이용동기(4요인), 정보 이용동기(5요인), 의사소통 이용동기(6요인) 등 6개의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커뮤니티 참여 이용동기와 쇼핑(구매) 이용동기의 경우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중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 몰입의 경우 정보 이용동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 인터넷 중독의 경우는 무료 콘텐츠 이용동기가 다른 이용동기보다 가장 높은 영향력이 나타났다. 세 번째로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몰입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인터넷 몰입만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 사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진숙(Jin Sook Cheon),변인우(In Woo Byun),변현우(Hyun Woo Byu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2

        한국 노인의 인터넷 사용실태와 이에 영향미치는 요인 및 인터넷 사용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인터넷 중독 척도(IAS) 및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GQOL-D)를 사용한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노인의 31.0%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었고. 36.0%가 개인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었다. 주된 용도는 이메일(67.7%), 정보검색(54.8%), 신문(45.2%) 순이었다. 인터넷 사용자의 87.1%에서 신체적 부작용(눈 증상, 피로, 손 또는 목 뻣뻣 순)을 경험하였다. 인터넷 미사용 노인군에서도 과반수 이상이 인터넷을 배울 필요가 있고(56.5%), 배우고 싶다고(52.2%) 하였다. 2) 인터넷 사용 노인군에서 IAS 총점의 평균은 22.58±10.62 점이었고, 2~47점 범위로서 모두 비중독군에 속하였다. 3) 한국 노인에서 인터넷 사용은 성별(p<0.05), 나이(p<0.01), 교육수준(p<0.001), 경제상태(p<0.001), 직업유무(p<0.05), 혼인상태(p<0.005), 개인 컴퓨터 소유(p<0.001)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4) 인터넷 사용 노인군(38.26±7.17 점)은 인터넷 미사용 노인군(34.86±8.49 점)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GQOL-D 점수가 더 높았다(p<0.05). IAS 점수와 GQOL-D 점수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순상관성(γ=0.428, p<0.05)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노인의 1/3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양상은 비교적 건전한 편이고, 인터넷 사용은 그들의 삶의 질에 도움이 된다. Objectives: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veal current status of internet use,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using internet, and to know association of quality of life with internet use among Korean elderly. Methods:Social demographic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internet use were obtained using questionnaires for one hundred Korean elderly living in Seoul with age over 60. Patterns of internet use and the quality of life also measured using the Internet Addiction Scale(IAS) and the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 Results:1) Among Korean elderly, 31% had been using internet, and 36% had personal computers. Main purpose of using internet was for emailing(67.7%), information surfing(54.8%) and enews(45.2%) in order. About 87.1% of old internet users experienced such physical symptoms as eye sign, fatigue, and hand or neck stiffness in order. Almost half of internet non-users recognized need of learning internet(56.5%) and wanted to learn internet(52.2%). 2) The mean(±SD) IAS score of elderly internet users was 22.58±10.62. They were in the range of score 2-47, all of whom were classified into non-internet addictors. 3) Internet use among Korean elderly was influenced on gender (p<0.05), age(p<0.01), educational level(p<0.001), economic status(p<0.001), having job(p<0.05), marital status(p<0.005) and having personal computer(p<0.001). 4) The mean(±SD) GQOL-D score of elderly internet users(38.26±7.17)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elderly internet non-users(34.86±8.49).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AS scores and GQOL-D scores (γ=0.428, p<0.05). Conclusions:Nearly one third of Koren elderly had been using internet. Their internet use pattern seemed to be healthy. Using internet among Korean elderly might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해: 성격, 정서,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와 중독을 중심으로

        박지연,송미경,양난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internet us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with personality trait, negative emotion, college life adjustment, internet use motivation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verage internet use time. Specificall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order to find ou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ver internet addiction; one group was use the internet for under 2 hours a day, and another group was use the internet for more than 3 hours a da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33 college students and the internet use motivation scale,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 scale of 5 factors, alienation scal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any difference in sub-factors of respective scale as per group whi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variable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Degre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group of less than 2 hours whil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neurosis and alien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more than 3 hours. Both groups showed that factors meaningfully influencing internet addiction were the emotional adaptation, a sub-factor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obsession motivation, that of internet use motivation while the group of less than 2 hours revealed that sexual motivation was the only meaningfully factor. This study showed to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education of internet addi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성격특성, 부정적 정서, 대학생활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2시간 미만인 집단과 3시간 이상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433명이었고, 연구도구로는 인터넷 사용동기 척도, 대학생용 인터넷 중독 척도, 5요인 성격특성 척도, 소외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다변량분석 및 사후검증, 입력(Enter)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3시간 이상인 집단은 2시간 미만인 집단에 비해 신경증과 소외 정도는 높았고,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낮았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낮고 인터넷 중독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인터넷 중독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의 집착동기였으며 성적동기는 2시간 미만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실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써 그들이 인터넷 중독에 이르지 않도록 돕기 위한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중독

        이숙,남윤주 대한가정학회 2004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2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 of friendship and internet use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he subjects were 117 middle and 106 high school adolescents living in Kwang-ju city. Cronbach'α, t-test, X²-test, ANOVA, Duncan's test were employed in analyzing the data by using SPS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Erst of all. most adolescents had a best friend and maintained an affirmative friendship showing high social function and satisfaction. And it was also found that internet use has been settled as a part of daily life among adolescents and over majority of the subjects reported themselves a5 internet addicts. - Secondly, boys had more friends than girls, but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their friends was lower than for girls. Girls showed higher scores in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than boys. And girl used the intemet longer than boys. - Thirdly, variables of internet friends and internet u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internet addiction. Groups using the internet frequently, more than usual, and groups using the internet to relax and enjo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ternet addiction.

      •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홍영상 ( Young Sang Ho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실태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경향성을 조사하였다. 1 개 초등학교에서 무작위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4학년과 6학년의 초등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 방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인터넷 사용시 통신 언어를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통신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남학생이 더 친구와 놀기 보다는 인터넷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net using and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Methods: "Internet using Questionnaire" was investigator developed after reviewing of literatures and anonymou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elf administered by the students. Subject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25 students who were in 4th and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Results: 1.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boys were 48.8%, and girls were51.2%, and 4th grade students 48.0%, and 6th grade students were 52.0%. 2. In the internet-related characteristics, 56.0%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using internet 1-2 hour a day, 36.0% were less than 1 hour, 6.4% were 3-4 hour, and only 1.6% were using more than 4 hours. 3. Regarding the frequency of chatting language, the students were using chatting language frequently. The scor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3.35±1.38 showed higher score than average. Boys(3.62±1.3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32) score in using chatting language more than girls (3.09±1.37). The scor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6th grade students(3.66±1.20) showed using chatting language than 4th grade students(3.02±1.49)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009). 4. Regarding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 participants showed lower than average score. The scor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I am doing internet first before everything else` was 2.21±1.07, and in `I prefer doing computer to playing with friends` was 2.13±1.16, and boys showed more prefer doing internet to playing with friends than gir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p=.000).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 could contribute to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 including elementary students through developing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최근 인터넷 중독연구 동향 고찰 및 향후 연구방향: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허경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4

        This study examined trends of the recent internet addiction research and the diagnostic criteria and theoretical background used in the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Specifically, I first examined various self-reported Internet addiction scales, including the variety of the concepts and nomenclatures developed at various stages of the research development. Secondly, I identified the key dimensions of the major scales that tapped unique aspects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adapted scales used in the nationwide domestic survey research on Internet addiction. Third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addiction to general Internet and the addiction to specific program, and future Internet addiction research should be studied on the base of specific program such as Facebook, and so forth. Fourthly, I explained the three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which are the addiction perspective,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and the Internet addiction process models developed pretty recently. I criticized that previous Internet addiction research mainly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of addiction measurement, the introduction of addiction criteria,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ddiction scales and personality, psychopathological tendency, and so forth, lacking comprehensive models or more coherent theories of Internet addiction. Fortunately, some recent scholars suggested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examine whether various variables are mediating or controlling functions in the course of general and specific Internet use disorder. Finally in order to diagnose the Internet addiction for treatment purpos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a clinically more rigorous validation of the currently used measures on patients. Also, I emphasized the need to evolve from the addictive point of view to expanding the concept of problematic internet usage to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ncluding various negative aspects such as online cyber bulling. 이 연구는 최근 인터넷 중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진단기준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지향점에 대해 살펴보았 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터넷 중독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개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어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자기 기입식 척도에 대해 살펴보고 진단기준이 되는 척도의 개발단계에서부터 발전단계별로 어떤 하부요인들이 핵심요인들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국규모의 인터넷 실태조사에 쓰인 척도의 진단기준도 살펴 보았다. 또한, 인터넷 중독을 행동중독으로 보며 인터넷 일반에 대한 중독과 구체적인 인터넷 프로그램에 대한 중독으로 구분해야 하며 향후 인터넷 중독은 구체적인 프로그램별로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인터넷 중독을 중독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문제성 인터넷 사용으로 접근하는 인지-행동적 시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간 인터넷 중독연구가비 이론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주로 중독 측정의 척도 개발 및 중독기준 제시,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중독 척도를 활용하여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개인의 성격, 정신 병리적 성향, 사회 심리적 속성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 들과의 관련을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춰 왔음을 지적하며 향후 연구를 위해서는 인터넷 중독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시각이 필요함을 강조했 다. 다행히 최근 개발된 몇몇 이론들은 일반 및 구체적인 인터넷 사용 장애에 이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인들이 매개 혹은 조절기능을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이 같은 모델에서 도출되는 다양한 가설 검증을 통하여 더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한다. 아울러 향후 치료목적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진단을 위해서는 현재 사용 되고 있는 척도를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더욱 엄격하게 타당화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언론 소통학적 접근을 위해서는 중독적 시각 에서 벗어나 문제성 인터넷 사용의 개념을 확장하여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불링 등 다양한 부정적 측면을 포함하는 연구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 KCI등재

        중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수준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박선희,전경자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It is well known that the majority of adolescents spend the substantial amount of time using the Internet. Despite the fact, little is known about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an increase in Internet use and what could be the consequences of excessive Internet us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influential predictors of an increase in Internet use among a cohort of 2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Longitudinal Korean Youth Panel Survey. In this study, more than one-fourth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Internet use as their most preferred leisure activity. In cross-sectional analyses with the 1st-wave data, increased internet 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and experiencing poorer GPA, lower levels of self control, heightened levels of an attacking tendency and stress, the increased number of delinquent behaviors, smoking, and drinking. In a longitudinal analysis, a low level of self-control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an increase in Internet use one year later.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study, two issues should be resolved for better health in adolescence. First, diverse leisu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adolescents.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o use levels of self-control as a screening tool for future problems linked with Internet use.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인터넷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인터넷의 지나친 사용으로 인한 비행, 성적저하, 정신건강 문제와 같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수준 증가 또는 중독에 관한 연구들이 초기 단계에 있음으로 인하여 관련요인들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대한민국 중학교 2학년생 코호트자료를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수준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중학교 청소년들은 평일이나 주말 여가활동으로 인터넷 사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2시기 자료를 횡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여학생, 낮은 성적, 낮은 자기통제력, 높은 공격성, 높은 스트레스, 증가된 비행행위, 음주경험, 흡연경험이 인터넷 사용수준 증가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변수들이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에서 사용된 중2시기 독립변수들이 1년후 인터넷 사용수준 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한 결과, 낮은 자기통제력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설확충과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자기통제력 수준을 위험선별도구로 활용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이나 상담프로그램에 자기통제력을 강화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인터넷 사용 관련 내용을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장기간 전국 수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사용유형과 중독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이주연,이석호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2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net use and addic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self-esteem,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hip by the type of internet use an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Four hundred and sixty-eight children who were fifth or six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 were classified in three sub-types of internet use(simultaneous social type, non-simultaneous social type, and non-social type) and three sub-levels of internet addiction(normal group, addiction oriented group, and addicte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37.9% of the subject was normal, 50.1% was addiction oriented, and 11.9% was addicted. Second, simultaneous social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Third, the percentage of addiction oriented and addiction groups in the simultaneous social type was comparatively large. Lastly, the main effect of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on children's self-esteem was found. Also, the main effect of all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type of internet use an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on children's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hip were deter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ifferentially understood as the type of internet use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준오 ( Jun Oh Jo ),김영연 ( Youn Gyeon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14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이용동기는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3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인터넷 이용동기의 하위변인인 오락 및 휴식이 36%, 이해 및 인지가 3%를 설명력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에 있어 유아 성별에 의해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에 있어 유아 연령에 의해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use motivation of preschoolers on their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gender and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3 preschoolers in four different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city of Ulsan. They were at the Western ages of three, four and five.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were tes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for Internet use made a 39% predic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musement and rest made a 36 prediction of it, and understanding and cognition made a 3% prediction of it. Second, the gender of the preschoolers produced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affected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age of the preschoolers produced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motivation for Internet use impacted on Internet game addiction pron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