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design a model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the academic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earner's academic writing skill.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who entered the university, Korean is an academic tool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xt and acquire new knowledge. Korea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f being the medium of expression to have mutual text-based knowledge and present the result of studies. An evaluation on how much the Korean learners for the academic purpose understand about a subject of debate and how to widen their understanding within the scope of learning entirely depends on the “academic text” constructed by the learners. Further, the learners can perform tasks and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using their academic text.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academic-purpose Korean writing class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skill.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writing strategies for the learners in performing the writing project by proposing a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model, which is a compromise between project-oriented and course-oriented curriculums focusing on previous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 and suggest a writing course with minimized control and guidance of teachers. To this end, we describe features and effects of new academic writing class model, the progress of this designed educational course also the educational effects of writing i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etween learners while performing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project, discussion and presentation. Lastly, we propose a class-model to improve a creative writing skill of the learners through integrated reading-writing clas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so that they can use various writing skill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cademic writing and type of tex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과 과정의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는 학습자가 학문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새로운 내용지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학문 수학의 도구가 된다. 또한 상호 텍스트적 지식을 확보하고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학문의 영역 안에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온전히 학습자가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에 의존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자신이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를 통해 과제를 수행하고 소통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 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되었던 장르 기반 쓰기 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과제 중심과 과정 중심의 교육 과정을 절충한 소통 중심 교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쓰기 과제의 수행을 위해 어떻게 다양한 쓰기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자의 통제와 유도를 최소화하는 쓰기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학문목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이 갖는 특징과 수업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설계된 교육 과정의 진행 과정과 읽기-쓰기의 통합적 과제 수행, 토론과 발표라는 활동의 과정에서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가 갖는 쓰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로써 읽기-쓰기 통합 교육과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를 통해 학습자가 학문목적 글쓰기의 목적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다양한 쓰기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 쓰기 역량을 키우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學問目的 韓國語의 글쓰기 現況과 方向性 -大學 敎養 必須科目의 特殊 學問目的 글쓰기를 中心으로-

        김선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Academic Writing (KAW) classes for foreigners or overseas Koreans in Korea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future KAW courses. A number of Korean universities began offering KAW classes to Korean students since 2000. In particular, in order to meet the growing number of foreign students' needs on campus, many universities offer KAW classes only for foreign students and overseas Koreans. Currently, the KAW program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However, compared to the quantity, the quality of the KAW program has not improved as muc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first, we need to establish a clear educational objective with an emphasis on academic writing. Otherwise, the KAW cours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courses offered by Korean Learning Center. Also, as formal expressions and appropriate contents are important in academic writing, we need to develop more courses and materials that focus on academic writing. The courses and materials need to be designed to help students' language skills as well as their discourse skills (e.g., Korean turn-taking rules). Lastly, to manage the KAW program more efficiently, it's important to minimize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upplement writing system, develop advanced writing courses, and separate foreigner classes into overseas Korean classes.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 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 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락 쓰기 교육 효과 연구

        이지혜(Lee, Jee hae) 한국언어문학회 2019 한국언어문학 Vol.10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Korean paragraph writing. The study’s ultimate goal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Korean paragraph writing teaching methods that have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ultimately improve upon them. The classes were held a total of 10 times for 75 minutes each and each class consisted of 33 exchange students whose Korean language levels were either intermediate or advanced. Classes were conducted in a deductive manner, with the following goals; learn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 learn how to use appropriate Korean writing styles, learn how to write a paragraph in Korean with unity and cohesion, understand writing tasks and arrange the paragraphs to suit the task of writing. As for the materials, “Sogang Korean Writing 2 for Academic Purpose was used, and an adjunct textbook reflecting on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and other academic writing materials was also included. Of the 33 learners, 30 were evaluated with the exception of the three who failed to participate in a diagnostic or summative assessment. The students writing results were rated as high(7), middle-high(5), middle-low(3) and low(1)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writing tasks, the use of written language, the division of paragraphs, the arrangement of paragraphs, and the arrangement of sentences within paragraph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learners improved writing skills; writing task performance, use of written language, dividing and arranging paragraphs properly, and writing a unified paragraph. In particular, learner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literary skills and their ability to arrange sentences in paragraphs that were practiced several times in class were also analyzed to shown to have improve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learners thought their writing skills had improved through their classes and helped specifically in terms of sentence composition, usage of written language and paragraph composition in Korean. These results mean that the achiev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upon academic learners ability to write paragraphs in Korean are indeed vali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곽준화(Guo, JunHua) 한국사회언어학회 2018 사회언어학 Vol.26 No.3

        Guo, JunHua. 2018. “A Study on Korean learners’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Academic Writing”.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6(3). 1~3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attitudes of Korean learners about Academic Writing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For this, 62 foreign students wer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18 of them were interviewed to elicit their attitudes, perceptions about academic writing. A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have a very negative attitude towards writing. Moreover, they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refore, they are negligent of writing and do not actively participate in academic activities. Second, students know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purpose writing learning and academic writing learning, but they have no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academic writing. They simply gain knowledge of writing by imitating. Third, although they showed a willingness to be good at academic writing, they lacked subjective initiative on writing learning. And their writing study was centered on TOPIK.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ed solution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language knowledge entry,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self - growth. First, it is needed to help foreign students to have a systematic knowledge of academic writing as soon as possible. Second, outside the classroom, students should be offered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cademic activities.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ternal motivation of interest which attracts students’ attention and allow them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bout academic writing.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L1, L2 쓰기 불안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 -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현진 ( Park Hyunjin )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3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느끼는 제1언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불안 요인을 분석하여 둘의 관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Daly & Miller(1975)가 개발한 쓰기 불안 측정 도구(WAT: Write Apprehension Test)의 26개 문항에 Cheng(1998)의 2개 문항을 추가하여 총 28개 문항을 사용해 제1언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불안을 조사했다. (1) 그 결과 L2 쓰기 불안 요인으로는 ‘자신감 부족’, ‘공유에 대한 비선호’, ‘쓰기에 대한 비선호’, ‘표현에 대한 거부감’, ‘쓰기에 대한 두려움’, ‘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일곱 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L1 쓰기 불안 요인으로는 ‘표현과 공유에 대한 비선호’, ‘쓰기에 대한 두려움’, ‘자신감 부족’, ‘쓰기에 대한 비선호’, ‘내용 부족’의 다섯 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2) L1, L2 쓰기 불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1과 L2 쓰기 불안 사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마지막으로 L1, L2 쓰기 불안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2 쓰기 불안과 학업 성취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L1과 학업 성취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L1에 대한 쓰기 불안은 L2 쓰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만 L1 쓰기 불안이 L2로 학업을 하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제2언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L1과 L2 쓰기 불안을 함께 측정하여 비교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L1, L2 불안 특성 파악과 학업 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actors of anxiety felt in L1 and L2 writing by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verify its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55 student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using the anxiety measurement test (WAT: Writing Apprehension Test) developed by Daly &Miller (1975) and integrated with two additional items from Cheng (1998) for a total of 26 test items. As result, we obtained 7 factors for anxiety in L2writing, namely “lack of confidence, “unwillingness to sharing”, “unwillingness to write”, “repulsion toward expressions”, “fear of writing”, “negative perception of writing”, and “fear of assessment”. We also extracted 5 factors related to anxiety in L1 writing: “unwillingness to share and express their thoughts”, “fear of writing”, “lack of confidence”, “unwillingness to write” and “lack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a meaningful correlation exists between anxiety in L1 and L2writing. Lastly, we investigate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in L1 and L2 writ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s result, we discovered that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anxiety when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is does not represent a meaningful result. Therefore, we can say that anxiety in L1 writing influences anxiety in L2 writing, but both they do not affect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writing anxiety in both L1 and L2 student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Results help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writing anxiety in L1 and L2 and how this can be used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분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연구

        이선중,황성은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Since the discussion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gan in earnest, the biggest topic of conversation has been genre writing education. And academic writ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the past and present days as demand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Academic writing is an area of writing, which is distinct from literary writing as well as practical writing. It takes place with a set of information provided on a particular academic topic or research problem, which generally includes arguments and views on the subject, analyses and criticisms of the issue in question, and alternatives for new perspectives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learn Korean for the purpose of academic training.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will use the Korean language to write academic articles, and inevitably carry out analytical writing tasks in the process.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is the task of analytical writing given to foreign students and to grasp the research problems necessary to educate them. When foreign students encountered analytical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task, they wanted to clarify what areas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ttention.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교육의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글의 장르와 그 교육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가장 큰 화두가 되는 주제이다.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과거에도 현재에도 한국어 쓰기 교육 내 가장 큰 연구 주제가 되었다. 학술적 글쓰기는 작문의 한 영역으로, 문예적 글쓰기와는 물론이고 실용적 글쓰기와도 확연히 구분되는 영역이다. 특정 학문 주제 또는 연구 문제에 대한 일련의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그 내용은 일반적으로 해당 주제의 주장 및 견해, 문제의 사안에 대해 파악하여 해당 주장 및 견해를 비판하거나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통칭 외국인 유학생은 그 용어 그대로 학문 수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활용해 학술적 글쓰기를 수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연적으로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에 당면하게 된다.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주어지는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문제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학술적 글쓰기 과제로 분석적 글쓰기를 접하게 되었을 때 교육은 어떤 부분에 주의하며 이루어져야 하는지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본고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과 교수진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외국인 대학원생 중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많이 있었으나 대학원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고 있었으며, ‘학술적 글쓰기’와 관련된 수업도 많이 없었다. 그러나 학생과 교수진은 모두 대학원에서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수업과 학술적 글쓰기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논문이나 보고서를 쓸 때 어려운 부분과 배워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도 거의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연구와 글쓰기 윤리’에 대해 교수진은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생들은 별로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대학원생의 한국어 능력 신장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글쓰기 수업은 학과별로 그 중요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대학원 기초 공통의 한 과목과 학과별로 전공에 맞게 심화된 글쓰기 수업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국인 대학원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글쓰기 센터 및 글쓰기 전문가, 한국어 교육 기관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학과와 전공 교수진의 협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and professors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ssessed. Despite the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graduate schools are not providing adeq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ery few “academic writing” classes are offered. Howeve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ir professors were cognizant of the need for mo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academic writing classes. In addition,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were in unison on their thoughts regarding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 dissertation, and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on certain areas. However, while professors prioritized “research and ethics of writing,” the students did no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light to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interest i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skills, as well as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classes 1) as a general prerequisite and 2) customized for the various respective majors available in graduate schools was reaffirmed. It was also concluded that academic writing education will only be effective and efficient when writing experts, writing centers,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major departments, and professors systematically cooperate.

      • KCI등재후보

        학부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관한 고찰

        유현정 ( Ryu Hyun-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0 No.-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 유학생 수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한국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크게 늘어나면서 유학생 수의 양적 증가에 따른 질적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 교양과정의 필수이자 핵심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는 글쓰기 강좌에서 학부 유학생의 글쓰기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학생 대상 글쓰기 교재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본고에서는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학술적 글쓰기 교육으로 설정하고, 학술적 쓰기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교수되어야 하는 내용을 크게 1) 내용 지식 활성화 단계, 2) 내용 지식수집 단계, 3) 내용 지식 조직 단계 등 세 단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대학 교양과정에서 쓰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 쓰기 교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제와 관련된 학습자 내부의 지식을 활성화하는 단계인 내용 지식 활성화 단계와 글을 실제로 쓰는 과정이 포함된 내용 지식 조직 단계의 활동들이 교재에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된 데 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과정인 내용지식 수집 단계의 활동들은 교재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은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부 유학생의 글쓰기 교육이 학술적 쓰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점과 학술적 쓰기의 핵심은 쓰기 내용 지식 생성에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실제 교재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재의 구성 및 세부 활동 내용에서 유의미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토대로 학문 목적 유학생을 위한 쓰기 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e importance of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s increasing with a significant ri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tries to define the purpose of Korean writing education as the ‘academic writing’ and classify the content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into three categories - 1) activating content knowledge, 2) gathering content knowledge, and 3) organizing content knowledge. This study analyzes the textbooks of Korean writing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and suggests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less contents about organizing content knowledge compare to activating content knowledge and gathering content knowledge in textbooks of Korean writing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isstudy would be followed by many more notable studies o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태도 연구

        주월랑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Korean writing attitude of foreign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in university, according to factors(school year, gender, proficiency, learning experience in language school) of lear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verage writing attitude in each sub-category, the average value was highly shown in the order of writing awareness, writing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ttitude.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one-way ANOVA and t-test, the factors(school year, gender, proficiency, learning experience in language school) and writing attitude of foreign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 Especially, whe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got higher, there were no changes in writing attitude. This result means the low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writing attitude. Thus, the professors and researchers targeting foreign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affective factors related to writing, so foreign students could form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in Korean. The future researches would need to also discuss the education mea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인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태도 양상이 어떠한지를 학습자 요인(학년, 성별, 숙달도, 어학원 학습 경험)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쓰기 태도의 하위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쓰기인식, 쓰기수행, 수행태도 순으로 평균값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 요인(학년, 성별, 숙달도, 어학원 학습 경험)과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태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져도 쓰기 태도에 대한 변화가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한국어 숙달도와 쓰기 태도는 그 연관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쓰는 것 자체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교수자 및 연구자들은 쓰기 관련 정의적 요인 함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그에 따른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이윤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Korean learners have a system to some ext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thereby coming to receive the Korean learning in a little more deepened contents than before. This course is classified in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Korean education. Out of it, General Academic Purpose in the curriculum is called ‘College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nect a strategic method of proactive reading for the writing construction in college Korean learners. Teaching composition through a complementary role in the reading and writing function can maximize a teaching-learning effect. Also, the reading education can may develop the writing ability. The writing education improves the reading ability. Hence, it become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writing-construction eduction using the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is progressed wit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the stage before writing by using a strategy after reading in line with a learner's writing level through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 after seeking an effective teaching model. The strategies after reading, which are used at this time, are properly applied to the writing construction, thereby allowing a learner to remember the previously-acquired knowledge, to create an idea of writing, and to possibly express by structuring the writing contents.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 진학 후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어 기존보다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의 한국어 학습을 받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로 분류하고, 그 중 교양 교과과정의 한국어를 ‘교양 한국어’라 한다. 본 연구는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해 선행적 읽기의 전략적 방안을 연계하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 기능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통해 작문을 지도하는 것은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읽기 교육이 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쓰기 교육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된다.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을 적용한 작문 구성의 교육은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한 후, 선정된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맞는 읽기 후의 전략을 이용하여, 쓰기 전 단계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진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읽기 후 전략들은 작문 구성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이전 습득 지식을 기억하고, 작문의 아이디어를 생성하며, 작문의 내용을 조직해서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