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식투자성과에 미치는 기준금리 변동의 영향

        김선제(Sun-Je Kim) 한국무역연구원 2022 무역연구 Vol.18 No.6

        Purpose – Since base interest rate change information affects stock prices with a time l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ch it affects stock retur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the base rate change dat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base interest rate, level of the base interest rate, and increase/decrease on stock investment performance with the stock index for ±20 days of base rate change from 2008 to November 2022. Findings – Stock retur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base rate change date were -0.33% in Korea and -1.08% in the US, respectively. The United States showed -1.46% and -0.70%, respectively. The daily stock return for a certain period was -0.02% in Korea and -0.04% in the US, and the daily stock return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base rate change was -0.07% and 0.03% in Korea and -0.09% and -0.01% in the US, respectively. appear. At the level of the base rate, in Korea, the base interest rate of 0.75% had lower interest rate, but the rate of return was negative, and the base rate of 1.25%, 1.75%, and 2.25%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ates of return. In the US, interest rates of 0.0% and 0.25% were low, but yields were negative, and rates of interest of 1.25% and 1.75%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earch Implications –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base interest rate on stock returns, it is to establish what investors should pay attention to when the central bank changes the base rate.

      • KCI등재

        두 중학생 간의 ‘변화율의 일정함’과 ‘변화율의 일정한 변화’에 대한 이해의 차이 비교 및 분석

        마민영,임동규 대한수학교육학회 2019 학교수학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and ‘constant rate of change of rate of change’ in a functional situation. Two students participated in a class six times (April to June, 2018). Neither student had ever learned linear functions at school. Analysis of the class revealed marked differences between student A and student B in graphically expressing and interpreting situations involving varying rates of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their actions to express and to interpret analyzed the two students’ mean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and ‘constant rate of change of rate of change’.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onstant rate of change' when learning graphs and functions.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변화율을 포함하는 상황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두 중학생 간의 ‘변화율의 일정함’과 ‘변화율의 일정한 변화’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수학에서 일차함수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중학생 2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6회(12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변화율이 음수이거나 변화율이 일정한 비율로 변하는 상황에서 학생 S만이 상황에 적절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해석하였다. 이에 변화율을 포함하는 과제의 해결에서 나타나는 두 학생 간의 차이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선 모양과 곡선 모양인 그래프를 ‘변화율의 일정함’의 여부로 설명하더라도 학생들이 주목하는 양들 사이의 관계와 그 변화에 대한 인식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2) 이러한 차이는 일정한 변화율이 음수인 상황뿐 아니라 변화율이 일정한 비율로 변하는 상황을 이해하는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창원시 지가변동률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주한(Sung, Joo Han),정상철(Jeong, Sang Cheol) 한국부동산학회 2022 不動産學報 Vol.86 No.-

        본 연구는 창원시 지가변동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VEC(1) 모형을 통해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원시 지가변동률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체 변수를 제외한 지가변동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창원 토지거래량 변화율(GLTV)이고, 그 다음 순서는 창원 아파트매매가격 변화율(GAPTSALE)의 순서로 충격반응과 분산분해의 설명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의 변수는 지가변동률에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원 지가변동률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and price change rate in Changwon City.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mployed VEC model to achieve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3) RESEARCH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luence of interest rates and money supply shown in other previous studie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land price in Changwon, and real estate variables in Changwon, which are the rate of change in Changwon land transaction volume and change in Changwon apartment sale price, have a great influence. 2. RESULTS In this study, the VEC(1) model was used to find out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and price change rate in Changwo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land price change rate excluding its own variables in the impact on the land price change rate in Changwon is the Changwon land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GLTV), followed by the Impact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in the order of the Changwon apartment sale price change rate (GAPTSALE). It was foun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Other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meaning in the rate of land price change.

      • KCI등재

        Does Financial Performance Influence Credit Ratings?: An Analysis of Korean KRX Firms

        MALIDAFYDD SIRUS,임형주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11

        Credit rating agencies offer information about default risk. Previous literature suggests that firm’s credit ratings are influenced by various metrics, specifically, numerous risk considerations such as size, leverage and growth. However, there is limited evidence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dit ratings and financial performance. Our research is motivated by this cavea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if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can be included as an indicator for default risk since the relation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default risk/credit rating is a question left unanswered in a South Korean context.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test if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credit ratings and credit rating changes. We perform a battery of tests to establish if the following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EPS, CPS, ROA, ROE, and ROS have any explanatory power in explaining credit ratings levels and credit rating changes. Using a sample from 2002 to 2013, we find that EPS and CPS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 to credit ratings, suggesting that firms with higher credit ratings have higher levels of EPS and CPS compared to firms with lower credit ratings. Moreover, we find that firms with positive performance measured by EPS and CPS in period t have the potential to experience a credit ratings change in period t+1. However, in South Korea, the majority of firms do not experience a credit ratings change. When we estimat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irms that do not experience a credit ratings change, we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redit rat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for EPS and CPS. The results suggest that credit ratings for firms with positive financial performance remain stable Finally,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erformance in period t and credit ratings increase and decrease in period t+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redit ratings of firms with high level of financial performances increase or remain the same. We do not find a relation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credit rating decreases; this result may be due to our small sample size. The previous literature has largely ignored the association between credit ratings and performanc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s that EPS and CPS can be used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by investors, government agencies and debt issuers a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firms credit rating levels, and subsequent changes.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metrics and credit ratings, specifically the link between EP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사회변동과 범죄 추세, 1966-2007

        박성훈(Park, Seong-Hoon),장안식(Jang, An-Sik),이재경(Lee, Jae-K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8

        이 연구는 범죄율의 변화가 사회의 변동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시작되었다. 논자에 따라 이견은 있을 수 있지만, 한국사회에서 1980년 이후의 중요한 변동의 시기는1987년 민주화와 1997년 외환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범죄발생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범죄통제 요인과 경제관련요인, 그리고 1987년 민주화와 1997년 외환위기와 같은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변동을 연결 지어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범죄유형에 따라 조건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범죄를 재산범죄와 강력범죄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도출된 관련 변인들을 조작화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발견하였다. 첫째로 범죄유형별로 요인들의 영향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재산범죄의 경우 경제적 규모가 커지고, 국가권력이 보다 민주적이고 덜 독재적일수록, 실업률 및 소득불평등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경찰 1인당 담당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재산범죄율은 증가하였다. 반면, 강력범죄의 경우에는 오직 실업률만이 강력범죄율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로 재산범죄율과 강력범죄율의 변화 양상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시점의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987년과 1997년이라는 두 시점을 기준으로 재산범죄율과 강력범죄율의 추세를 분석했을 때, 오직 1997년 이후의 시기에만 재산범죄율이 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시적 사회변동과 범죄현상이 특정한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보다는 누적적이고 산재해 있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러한 사회구조적 요인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력이라는 것도 범죄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crime in relation to soci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We adopt a criminological approach to social change and focus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 social change and changes in crime rates. We propose that there are some notabl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hange and crime rates, and to test this we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cro measures such as social control, economic inequality, and major societal changes as like th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f the state becomes more democratic, less repressive, and higher in unemployment and inequality rates, the property crime rate increases. This confirms the findings of existing research that the property crime rate increases as the economic inequality and unemployment increase. However, only the unemployment rat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olent crime rate. The weaker capacity of the police also increases the property crime rate but does not hol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olent crime rate. Secondly,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property crime and the violent crime rat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perty crime rate, but not on the violent crime rate.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this is to be expected as the economic crisis in 1997 is much more likely to induce economic inequality, massive unemployment crisis and anomic conditions that influence on the property crime rate than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se two turning points, namely, th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economic crisis in 1997, supports the argument that unemployment rate has a short-term crime reduction effect.

      • KCI등재

        A Six-Year Study on the Changes in Airborne Pollen Counts and Skin Positivity Rates in Korea: 2008–2013

        박혜정,이재현,박경희,김규랑,한매자,최호성,오재원,홍천수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6 Yonsei medical journal Vol.57 No.3

        Purpose: The occurrence of pollen allergy is subject to exposure to pollen, which shows regional and temporal variations. We evaluatedthe changes in pollen counts and skin positivity rates for 6 years, and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annual rates of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ed the number of pollen grains collected in Seoul,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4442 skin-prick tests conducted at the Severance Hospital Allergy-Asthma Clinic from January 1, 2008 to December 31, 2013. Results: For 6 years, the mean monthly total pollen count showed two peaks, one in May and the other in September. Pollen count for grasses also showed the same trend. The pollen counts for trees, grasses, and weeds changed annually, but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The annual skin positivity rates in response to pollen from grasses and weed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6 years. Among trees, the skin positivity rates in response to pollen from walnut, popular, elm, and alder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6 years.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nnual rate of change in pollen count and the rate of change in skin positivity rate for oak and hop Japanese. Conclusion: The pollen counts and skin positivity rates should be monitored, as they have changed annually. Oak and hop Japanese,whic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nual rate of change in pollen count and the rate of change in skin positivity rate over the 6 years may be considered the major allergens in Korea.

      • KCI등재

        허혈성 심질환과 정상인의 운동부하 검사상 심박수 변화량 및 변화율의 차이

        주동욱,강현재,김선웅,노태묵,손혁수,강병준,김새롬,이봉렬,정병천,이종주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목적 : 허혈성 심질환에서 운동부하 검사시 부교감신경계 재활성의 억제 정도가 반영되어 최고 운동 후 회복기 심박수의 변화량 및 변화율이 정상인보다 억제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심실성 빈맥의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부가적으로 허혈성 심질환에서 심근의 탈분극을 반영하는 R 파의 진폭의 변화가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운동부하 검사는 연령 및 성별로 보정한 최대 심박수의 85% 이상을 적정 목표 심박수로 하여 Marquette사 case 8000 모델(미국)을 이용해 modified Bruce protocol로 시행하였다. 혈압, 심박수 및 심전도의 측정은 운동부하 전 기립위와 앙와위에서 측정하였으며 운동부하시는 매 3분 간격으로 답차운동의 단계가 증가할 때와 최대 운동시에 측정하였고, 회복기에는 각 1분, 3분, 5분 및 필요시 연장하여 측정하였다. 심박수의 변화량은 각 단계별 심박수로 그 전단계의 심바수를 뺀 절대값으로 하였으며, 심박수의 변화율은 각 단계별 변화량을 그 전단계의 심박수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하였다. 또한 운동에 따른 부정맥의 발생 양상 및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안정시 심전도와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및 회복기로 각각의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 중에 부정맥의 발생 유무와 종류, 빈도를 측정하였다. 안정시와 최대 운동시를 비교한 R 파 크기의 변화는 aVF 유도에서 대조군은 0.107±0.3403 mV였고, 양성군은 0.022±0.377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106), V5 유도에서도 대조군은 0.034±0.3439 mV였고, 양성군은 0.018±0.506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82). 결과 : 전체 253명 중 남자 106명, 여자 147명이었으며, 남녀를 포함하여 대조군 196명(남자 78명, 여자 118명)이였고, 양성군 57명(남자 28명, 여자 29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대조군 55±8.8세였고, 양성군 58±9.4세로 비슷하였다(p>0.05). 양군의 운동량은 양성군 8.1±2.5METs으로 대조군 10.5±2.3METs 보다 낮았다(p<0.001). 안정 심박수는 대조군 69±11회/분이였고, 양성군 70±13회/분으로 차이가 없었으나(p=0.630), 최대 운동부하시 심박수는 양성군 136±22회/분으로 대조군 155±18회/분보다 낮았다(p<0.001). 회복기 심박수는 양성군에서 회복기 1분에 105±23회/분, 3분에 86±15회/분, 5분에 85±15회/분으로 대조군의 회복기 1분에 116±16회/분, 3분에 93±13회/분, 5분에 89±12회/분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p=0.000, p=0.001, p=0.048). 심박수의 변화량은 양성군에서 최대 운동 후 1분일 Ep 31±14회/분, 3분일 때 19±12회/분, 5분일 때 2±4회/분으로 대조군의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39±10회/분, 3분일 때 23±9회/분, 5분일 때 6±7회/분에 비하여 낮았다(p<0.001, p=0.008, p=0.002). 심박수의 변화율은 양성군에서는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23±10%, 3분일 때 17±8%, 5분일 때 2±5%로 대조군의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25±6%, 3분일 때 20±7%, 5분일 때 5±6%에 비하여 낮았다(p=0.017, p=0.027, p=0.002). 심실성 부정맥 유무는 운동전후에 각각 비교시 양군간에 빈도의 차이가 없었고, 중증 심실조기수축의 빈도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정시와 최대 운동시를 비교한 R 파 크기의 변화는 aVF 유도에서 대조군과 양성군은 각각 0.107±0.3403 mV와 0.022±0.3771 mV였고, V5 유도에서는 각각 0.034±0.3439 mV와 0.018±0.561 mV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06, p=0.782). 결론 : 운동 전후 심박수의 변화량과 변화율로 측정한 부교감신경의 활성정도는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군과 정상인 간에서 차이를 보이며,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군의 변화량과 변화률이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양군내 심실성 부정맥의 유무나 발생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he rate and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which is well known to reflect the vagal reactivation, after peak exercise between ischemic heart disease and normal during treadmill exercise test. Additionally R-wave amplitude changes are evaluated to have the discriminal power between ischemic heart disease and normal. Methods : We have studied 253 human (196 control, 57 patients) who took the symptom-limited exercise test using Marquette case 8000 model. The 57 patients who showed the positive result by exercise test have confirmed by coronary angiography.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was defined as the absolute difference of the heart rate subtracted by the just-previous stage heart rate.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was defined as the percentile of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comparing to the just-previous stage heart rate. The changes of R-wave amplitude at lead V5 and aVF were obtained by the subtraction of R-wave amplitude at the peak exercise stage from that at the standing rest stage respectively. Additively heart rate recovery was deined as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 which was obtained at 1 minute later after peak exercise. Results : In patients and control, the resting heart rate were 70±13 bpm and 69±11 bpm (p>0.05), and the peak heart rate were 136±22 bpm and 155±18 bpm respectively (p<0.001).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in patient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at 1 minute, 3 minute, and 5 minute respectively (p<0.001, p=0.008, p=0.002).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in patients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at 1 minute, 3 minute, and 5 minute respectively (p=0.017, p=0.027, p=0.002). With comparing both groups, the incidences of ventricular ectopy were not different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stages, an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R-wave amplitude at lead V5 and aVF were not observed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rate and ratio of heart rate changes are significantly lower in iscemic heart disease than in normal, and these are resulted from the depression of vagal reactivation. These findings are supplemental to make a diagnosis and a arrhythmic risk stratification of ischemic heart disease.

      • KCI등재

        구간에서의 변화율에 대한 인식과 표현에 대한 연구

        이동근,신재홍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10th grade students’ concept of rate of change while they perceived changing values of given functions. We have conducted a teaching experiment consisting of 6 teaching episodes on how the students understood and expressed changing values of functions on certain interval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rate of chang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did use the same word of ‘rate of change’ in their analysis of functions, but thei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the word varied, which turned out to have diverse perceptions with regard to average rate of change. To consider these differences as qualitatively different levels might need further research, but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study for further research in students’ learning ‘differential calculus’ from the perspective of rate of change.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함숫값의 변화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율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변화율 개념에 따라 어떻게 구간에서 함수의 변화를 인식하고 표현하는지에 대하여 6차시에 걸친 교수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함수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변화율 개념을 이용되기는 하지만, 학생들의 변화율에 대한 인식과 표현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평균변화율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만 이 차이를 질적인 수준차로 보아야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변화율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세밀하게 조사한 연구로써 향후 변화율 관점에서의 미분학습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파트 특성이 분양 후 가격 변동에 미치는 요인: 판교 신도시를 대상으로

        박주연,박찬일,유선종 한국부동산연구원 2014 부동산연구 Vol.24 No.4

        This study analyzes housing attributes that affects the housing price change rate after pre-sale acquisition. By applying hedonic price model, the study derives a regression equation whose dependent variable is price change rate. The estimation for entire Pangyo was analyzed, followed by estimation for East Pangyo and West Pangyo separately. The result for entire Pangyo shows that larger floor space had lower price change rate. Higher stories and famous housing brand had higher price change rate. Housing located on the first floor had lower price change rate. The closer location to Pangyo Interchange had positive effects on price change rate. In East Pangyo, possibility of being assigned to special purposed school had positive effects on price change rate. The distance to the elementary school showed negative effect for East Pangyo, positive effect for West Pangyo. In East Pangyo, along with insignificancy of Woonchonngchun contiguity, closer distance to Tachyon had lower price change rate indicating indifference to accessibility to environmental elements. This study shows despite new town developed at same period adjacent to each other, particular attributes had different effects causing the price change to appear differently. 본 연구는 판교 신도시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분양 후 아파트 가격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헤도닉 모형을 이용하여 가격변동률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판교 전체에 대한 실증분석 후, 세부적으로 동판교와 서판교로 나누어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모형에서 전용면적이 클수록 가격변동률이 낮아지고, 층수가 높을수록 가격변동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층에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가격변동률이 낮았다. 브랜드 인지도는 가격변동률을 높이며, 판교IC까지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가격변동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판교에서는 보평초⋅중교 배정 가능한 경우와 초등학교까지의 거리가 작을수록 가격변동률이 높았으나, 서판교에서는 초등학교까지의 거리가 클수록 가격변동률이 높게 나타났다. 동판교에서는 운중천 인접여부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탄천까지의 거리가 클수록 가격변동률이 높게 나타나 자연여건에 대한 접근성은 중요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기에 개발된 신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분양 후 거래가 상승에 차이가 나타난 동판교와 서판교의 가격변동률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차이로는 보평초⋅중교 배정 가능 여부와 초등학교까지의 거리였으며, 동판교가 서판교에 비해 교육특성이 중요시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