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형 전자기록을 위한 출처 개념 모델 개발 방향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24 기록학연구 Vol.- No.79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전자기록의 출처에 새롭게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 출처 개념과 출처 모델을 검토하고수용하여, 어떻게 전자기록을 대상으로 새롭게 출처 개념을 적용할 수있을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데이터 중심의 전자기록을 대상으로 한 출처 표현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소급형 출처와 전망형 출처 개념으로 전환할 것과,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와는 별개의 모델을 통해 출처를 표현하고 기록과 연결할 수있는 모델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기록과 동적 관계를 맺으면서도독립적으로 출처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면, 오히려기록의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기록의 속성과 이를 지원할출처의 역할을 더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연구가 제안한 기본적인 모델 개발 방향을 수용하는 출처 모델은 기록의 고정성과 활동의 재현성, 재현의 신빙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며, 디지털환경에서 적합한 출처 모델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 new approach to developing the provenance concept to electronic records in the data-driven digital environments by reviewing and adopting data provenance concepts and models. It then conducted basic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a ground for a model representing the provenance of data-driven electronic records. In particular, it proposed to embrace to the concepts of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provenance, and to develop a different model for representing provenance from records management metadata. If the model can be developed that can represent provenance independently while maintaining a dynamic relationship with records, it can be ensure the fluidity of records and even support to secure the record’s attributes and play the roles of provenance. Eventually, it proposed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provenance model which can support the fixity of records, the reproducibility of activities, and the trustworthiness of representations. It is expected to be a fit provenance model in the data-driven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Provenance를 사용한 RPL기반 사물인터넷 상 선택적 포워딩 공격 감지

        사바 수하일,샤시 라즈 판데이,홍충선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1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resource-constrained things can connect to the Internet via IPv6 and 6LoWPAN networks. The Routing Protocol for Low-Power and Lossy Networks (RPL) has enabled such interconnection. However, the data transportation using RPL is vulnerable to various attack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unattended things with the unreliable Internet. For instance, the data generated by sensors are vulnerable to attacks (for instance, selective forwarding attack). Therefore, error-free and reliable information cannot be assu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uring data transmission from source to destination, provenance can be used to track data acquisition and data traversal. In this paper, we use provenance to evaluate the network performance by computing the packet delivery ratio (PDR) at each forwarding node in the packet path. Furthermore, to identify the faulty nodes, we counted the packets received from the respective child nodes in the routing table at each parent node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We have evaluated the proposed approach for RPL-based IoT in terms of provenance size, provenance generation time, and memory consumption. Internet of Things(IoT)에서 리소스가 제한된 사물들은 IPv6와 6LoWPAN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RPL)은 그러한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RPL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은 신뢰할 수 없는 인터넷과 방치된 사물들의 상호 연결 때문에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는 선택적 포워딩 공격과 같은 공격들에 취약하다. 따라서 오류가 없고 신뢰성 있는 정보의 경우 의사결정 과정에서 보장 될 수 없다. 소스에서 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동안, provenance는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통과를 추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ovenance를 사용하여 패킷 경로의 각 전달 노드에서 패킷 전달 비율(PDR)을 계산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장애 노드를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부모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각 하위 노드로부터 받은 패킷 수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provenance 크기, 생성 시간 및 메모리 소비 측면에서 RPL기반 IoT에 대한 제안된 접근 방식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Using Provenance to Detect Selective Forwarding Attack in RPL-Based Internet of Things

        Sabah Suhail(사바 수하일),Shashi Raj Pandey(샤시 라즈 판데이),Choong Seon Hong(홍충선)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1

        Internet of Things (IoT)에서 리소스가 제한된 사물들은 IPv6와 6LoWPAN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RPL)은 그러한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RPL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은 신뢰할 수 없는 인터넷과 방치된 사물들의 상호 연결 때문에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는 선택적 포워딩 공격과 같은 공격들에 취약하다. 따라서 오류가 없고 신뢰성 있는 정보의 경우 의사결정 과정에서 보장 될 수 없다. 소스에서 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동안, provenance는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통과를 추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ovenance를 사용하여 패킷 경로의 각 전달 노드에서 패킷 전달 비율(PDR)을 계산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장애 노드를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부모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각 하위 노드로부터 받은 패킷 수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provenance 크기, 생성시간 및 메모리 소비 측면에서 RPL기반 IoT에 대한 제안된 접근 방식을 평가하였다.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resource-constrained things can connect to the Internet via IPv6 and 6LoWPAN networks. The Routing Protocol for Low-Power and Lossy Networks (RPL) has enabled such interconnection. However, the data transportation using RPL is vulnerable to various attack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unattended things with the unreliable Internet. For instance, the data generated by sensors are vulnerable to attacks (for instance, selective forwarding attack). Therefore, error-free and reliable information cannot be assu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uring data transmission from source to destination, provenance can be used to track data acquisition and data traversal. In this paper, we use provenance to evaluate the network performance by computing the packet delivery ratio (PDR) at each forwarding node in the packet path. Furthermore, to identify the faulty nodes, we counted the packets received from the respective child nodes in the routing table at each parent node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We have evaluated the proposed approach for RPL-based IoT in terms of provenance size, provenance generation time, and memory consumption.

      • KCI등재

        온톨로지 저장소에서의 온톨로지 프로비넌스 모델

        신은영(Eun-Young Shin),이석훈(Suk-Hoon Lee),백두권(Doo-Kw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1 No.3

        데이터 프로비넌스는 데이터의 근원 정보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구조화된 메타데이터이다. 예를들면, 해당 정보가 어디서 왔는지, 누가 사용하였는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들이 데이터 프로비넌스에 해당한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데이터 프로비넌스 정보들을 통해 방대해지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W3C는 데이터 프로비넌스를 관리하기 위한 표준인 PROV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온톨로지의 신뢰성 판단을 위한 온톨로지 프로비넌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온톨로지 프로비넌스 모델은 온톨로지의 관리를 위하여 온톨로지 저장소에 특화된 모델이며, W3C의 PROV 모델에 기반한다. 이 논문은 예시를 통해 제안모델을 온톨로지 저장소에 적용하고, 몇 가지 온톨로지 프로비넌스 특징을 나타내는 SPAQRL 질의를 이용하여 제안모델을 검증한다. 정성평가의 결과로 제안모델은 발전성, 신뢰성, 호환성 관점에서 기존의 연구들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Data provenance is structured metadata designed to record a source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ata provenance includes sources of information, generators, users, and version logs. A user can judge the reliability of a large volume of data by the data provenance.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also developed a PROV model as a standard for data provenance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ntology provenance model for judging the reliability of ontology. The proposed ontology provenance model is specialized for an ontology repository for ontology management, and is based on the PROV model of W3C. This paper applies the proposed model to the ontology repository through several examples, and we verify the proposed model using SPAQRL queries which are showing some characteristics of ontology provenance.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the proposed model looks superior to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expandability, reliability, and compatibility.

      • KCI등재

        구주소나무 적응성검정 시험 -22개 산지 36년생 결과-

        유근옥,한무석,김인식,이주환,이재천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uperior provenances of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well adapted to Korean environment for timber production. In 1976, twenty-two provenances of Scots pine were introduced from Sweden and the seeds were sown in seed beds in March. After one year, th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to nursery beds. The resulting 1-1 seedlings of 22 provenances were planted at Whaseong in 1978.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3replications were used for test plantation. Each provenance was planted with 20-tree row plot in each block and at a spacing of 1.8×1.8 m. The growth performance of each provenance was monitored up to 33-years after plan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ovenances in volume growth. F3001 provenance showed the best volume growth of 33-years after planting (0.160 m3), which was 2.2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st provenance W2027 (0.072 m3). The ranking of provenances was stabilized after 14 years. Comparing to reference tree species,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ll Scots pine provenances showed poor growth performance. In other words, volume growth of Japanese red pine at age 28 and 33 were 2.1 and 3.3 times greater than that of Scots pine, respectively. Moreover, survival rate of Scots pine was lower than that of Japanese red pin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cots pine was not suitable to Korean environments. The cause of maladaptation of Scots pine and the implications of introduction breeding were discussed. 스웨덴으로부터 구주소나무 22개 산지 종자를 도입하여우수산지 선발을 목적으로 36년간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시험한 결과, 식재 후 33년 생장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보인 산지는 F3001산지로 0.160 m3, 불량산지는 W2027산지가 0.072 m3로 2.2배의 산지간의 생장차이를 보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인정할 수가 있었다. 수령 및 산지간의 생장의 순위는 식재 후 14년생에 접어들면서 우수했던 산지들이 수령 33년생에서도 지속적으로 우수하였으며, 불량했던 산지들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비교수종으로 식재한 강원 평창산지 소나무 생장과 비교할 때, 식재 후 구주소나무14년생 22개 산지 평균재적생장은 국내소나무와 유사한 생장을 보였으나, 식재 후, 28년생과 33년생 단목 재적생장에서 국내소나무가 구주소나무에 비하여 205%와 333%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외래수종을 도입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순응하는 과정에서 유전적인 요인 및 환경경사 등이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생존율에서 비교수종으로 사용한 국내소나무의 식재 후 당년 조림활착율, 식재 후 3년, 28년, 33년의 생존율은 90%, 85%, 50%, 22%인데 반하여 구주소나무 22개산지 평균생존율은 89%, 70%, 42%, 18%로 국내소나무의 생존율보다는 떨어지나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구주소나무의 생존율의 상태는 산지별로 반복간의생존율에서 심한 차이를 보여 전수 고사한 반복이 나타나는 등 정상적인 밀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생장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주소나무는 원산지보다온화한 남쪽지방인 우리나라 기후풍토에서 생육하면서 심각한 생리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정상적인 생장을 하지 못하고허약해진 개체목들은 2차적으로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거품벌레(Aphrophora flavipes Uhler), 푸사리움 가지마름병(Fusarium circinatum)등의 병충해의 집중적인 침범으로 고사하여 외래수종 도입실패의 대표적인 지연된 실패로 판단하여 시험을 종료하였다

      • KCI등재

        철원 상사리 구석기유적 흑요석의 성분조성 및 산지 연구

        조남철(Cho, Nam-chul),최승엽(Choi, Seung-yup)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8 No.-

        철원 상사리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 6점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에너지분산형분광기(EDS)를 이용한 주요성분과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로 미량성분을 분석하여 출토된 흑요석간의 상관관계 및 산지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철원 상사리 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크게 두 개의 그룹을 이루고 있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흑요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지 또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흑요석 산지인 백두산 흑요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철원 상사리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백두산과 일부 흑요석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철원 상사리에서 출토된 흑요석들 중 일부가 백두산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지금까지 발표된 타 구석기유적과 비교해 본 결과 철원 상사리에서 출토된 흑요석들은 타구석기 유적과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들의 분석 자료가 많지 않으므로 철원 상사리에서 출토된 흑요석들의 정확한 산지 및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계속 진행 한다면 구석기 유적지별 상관관계 및 산지를 규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main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s of 6 obsidian flakes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a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SEMEDS)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scopy(ICP-MS) to figure out the provenance relation. As a result of composition analysis, the obsidian flakes are separated to two groups. It means they are consisted of obsidian flakes to the different type, which proves to have different provenance. We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representative obsidian provenance, Baekdusan(mountain) and obsidian flakes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partly obsidian flakes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might be come from Baekdusan(mountain). Also there is no correlation among other paleolithic site published. In other words, obsidians of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came into different provenance, the composition of a few obsidian are similar to Baekdusan(mountain). Bu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provenance relation and characteristic of obsidian flakes from Sangsa-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Because there are not many data of previous excavated obsidian analysis, more research is needed. If we continue these studies, it could help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and provenance of the paleolithic sites.

      • KCI등재

        A Fast and Exact Verification of Inter-Domain Data Transfer based on PKI

        Im Y. Jung,Hyeonsang Eom,Heon Y. Yeom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1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18 No.3

        Trust for the data created, processed and transferred on e-Science environments can be estimated with provenance. The information to form provenance, which says how the data was created and reached its current state, increases as data evolves. It is a heavy burden to trace and verify the massive provenance in order to trust data. On the other hand, it is another issue how to trust the verification of data with provenance. This paper proposes a fast and exact verification of inter-domain data transfer and data origin for e-Science environment based on PKI. The verification, which is called two-way verification, cuts down the tracking overhead of the data along the causality presented on Open Provenance Model with the domain specialty of e-Science environment supported by Grid Security Infrastructure (GSI). The proposed scheme is easy-applicable without an extra infrastructure, scalable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provenance records, transparent and secure with cryptography as well as low-overhead.

      • KCI등재

        미량성분을 이용한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의 산지 연구

        조남철(Cho Nam–,chul),최승엽(Choi Seung–,yup)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70 No.-

        The trace elements of 14 obsidian flakes from Gigok Paleolithic site in Donghae–si a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scopy(ICP–MS) to figure out the provenance relation. As a result of trace elements analysis, the obsidian flakes are separated to two groups, i. e. they are consisted of obsidian flakes to the different type, which proves to have different provenance. In addition, we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representative obsidian provenance, Baekdusan(mountain) and obsidian from the Paleolithic sites, Gigok, Donghae–si Gangwon–do, Sangmuyong–ri Yanggu Gangwon–do, Jangheng–ri Cheolwon Gangwon–do, Suyanggae Danyang Chungbuk using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obsidian from Gigok paleolithic site is no relationship with Baekdusan(mountain) but some of them are composed as same as those of Janghung–ri Cheolwon Gangwon–do. In other word, the provenance of obsidian from Gigok paleolithic site is not certain but some of obsidian are similar to other paleolithic site.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provenance of obsidian are not exactly found but obsidian from diversity provenances was used in the Gigok Paleolithic site.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 14점의 미량원소를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로 분석하여 흑요석 간의 상관관계 및 산지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은 크게 두 개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서로 다른 종류의 흑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흑요석의 산지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또한 한반도의 대표적 흑요석 산지인 백두산과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인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 철원 장흥리, 충북 단양 수양개에서 출토된 흑요석들과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들의 경우 백두산과는 상관관계가 없으나, 강원도 철원 장흥리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과 일부 같은 종류의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 중 일부는 다른 구석기 유적과 성분이 유사한 흑요석을 사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분석한 결과로 흑요석의 정확한 산지를 알 수는 없었으나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에는 다양한 종류의 흑요석들이 서로 다른 산지에서 유입되어 사용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Mineralogy, geochemistry, and sources of clay minerals in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김수현,안현호,김창환,양기호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23 Geosciences Journal Vol.27 No.4

        The provenance of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could be attributed to diverse sources, including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and Korean coast. However, the contributions of these sources and their impacts on the composition of clay minerals,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which can be used to decipher the paleoenvironment and provenance of sediments, remain obscure. Therefore, herein,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paleoenvironments and provenance of the sediments from the Ulleung Basin by analyzing their clay mineral compositions using X-ray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For analysis, sediment cores were obtained during an expedition from March 30 to April 10, 2021, aboard the Onnuri R/V, and these were assigned three provenances: Korean coast, TWC, and a mixture of both. Results showed that clay minerals are abundant in the surface sediments and are dominated by illite (mean = 49.1%). Clay mineral composition changes in a southwest to northeast direction. Sediments sourced from the TWC are poor in smectite and rich in illite. In contrast those assigned a mixed provenance are rich in illite and poor in kaolinite and chlorite. This change is particularly evident toward the Dokdo area (from SW to NE). Moreover, piston core samples from St. 8 and 10 also indicate the presence of plagioclase, microcline, and quartz. We found a rhodochrosite layer in St. 8 samples, at a depth of 3.96 and 4.00 m, which represents the transition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to the Holocene.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put of smectite in the basin increased from the LGM to the present whereas that of other clay minerals decreased. The smectite originated mainly from the Korean coast and illite from the TWC. Kaolinite and chlorite in the sediments exhibited similar horizontal and vertical patterns, which are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climate, ocean currents, and sediment sources. Moreover, Al- and Fe-rich smectites were observed, compositional variations of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source differences. These results are indicative of other sources of smectites in addition to the three provenances highlighted.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sediment source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clay mineral composition changes and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Sediment from the Ulleung Basin was affected by not only aeolian dust but other factors, such as various sediment sources, ocean circulation, and climate change.

      • KCI우수등재

        Spatial Analysis for Detrital Zircon Provenance Study: An Initial Study

        Ara Jeong(정아라)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4

        쇄설성 퇴적물에서 획득한 쇄설성 저어콘 연대분포는 주로 지구과학에서 기원지를 추적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 기본 원리는 쇄설성 퇴적물이 유래한 유역에 분포하는 암석들의 생성시기를 반영할 것이므로, 특정 시기에 집중된 연대들을 바탕으로 해당 유역분지에 분포하는 암석들을 추론하는 것인데, 이러한 추론은 주로 연구자의 정성적 평가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정량적인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쇄설성 저어콘 기원지 연구를 위한 정량적 평가방법에 대한 필요성에 기인하여 파이썬(Python) 기반의 오픈 소스라이브러리인 파이쌀(PySAL)을 이용한 공간 분석법을 처음으로 개발하여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한편, 쇄설성 저어콘 연대분포가 획득된 연구지역인 미국 애리조나주 살트 강과 버디 강 유역은 지형경관의 발달 과정에 있어 흥미로운 지역이다. 현재 두 강은 산맥을 넘어 피닉스 대도시권을 가로질러 흐르지만, 과거에는 연구지역이 지금과 같이 큰 유역분지를 가진 것이 아니라 분지-산맥 지역(Basin and Range Province)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닫혀진 구조분지형태로 존재했으며 따라서 유역분지의 크기 또한 매우 작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두 강이 산맥을 넘어오기 전의 퇴적물에서 측정된 쇄설성 저어콘 연대분포와 그 이후의 퇴적물에서 측정된 쇄설성 저어콘 연대분포가 각각 다른 크기의 유역분지에 분포하는 암석들을 반영한다면, 이는 연구지역의 지형경관 발달 과정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로,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으로 주로 사용되었던 쇄설성 저어콘 기원지 연구에 대하여, 공간 분석을 사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통해 지형학적 문제를 풀어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trital zircon age distribution obtained from clastic sediments is a widely used method for the study of geological provenance. One approach in provenance research involves using detrital zircon (DZ) dating results to evaluate contributing source areas. The standard method involves a qualitative interpretation based on knowledge of researcher on the geological mapping of potential source regions. This study presents a new quantitative method to estimate DZ provenance using spatial analysis performed with Python Spatial Analysis Library (PySAL). In the modern study area, the Salt and Verde River in Arizona, USA, currently drain a large upland region and flow through transverse ranges down to the Phoenix metropolitan region. Prior to the Quaternary, however, the study area existed as a series of endorheic drainages in the Basin and Range Province. The general assumption made in DZ studies is that the areal distribution of geological units reflects the DZs collected from samples, in this case representing pre- and post- river arrivals in sediments extracted from in drilled wells. This study explains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to quantify provenance of DZ through spatial analysi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paleogeographic evolution of this region of central Arizona, U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