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설계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로컬리티 아카이브의 한 유형으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을 원칙적인 측면에서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연구와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면서 노동아카이브 구축에 있어 참여 기능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산업 노동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참여 대상과 참여유형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노동 아카이브 운영 사례를통해 각각의 참여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지역 산업과 연관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를 개발하기 위한 원칙과 절차와 함께, 절차의 각 단계별 참여 방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archives as locality ones. First, it proceeded the literature reviews andexpert interviews, so that revealed the needs for participations in buildinglabor archives, participating agents/agencies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especially in industrial labor archives. After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labor archives, the way of participation was analysed. Based on theanalysis the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in terms ofthe principles, the procedure and the participation methods were proposed.

      • KCI등재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 부산 영도 지역 조선(造船) 노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현문수,전보배,이동현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archives for shipbuilding labor archives in young-do, Busan, and to findpossibilities of building digital labor archives as participatory ones. Themethodology of locality documentation has been applied, and localityarchives accepting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experiences from shipbuildingindustry have been examined. Omeka was applied because it is anopen-source software and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which supportvarious user participations and web-publishing. Following the the model,firstl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research of participatoryagents and records was proceeded. Secondly, it collected and describedinformation of the agents and records by institutions with records andprovenance. Thirdly, it developed archival contents specific to events,persons and workplaces in association with archival information. For thefollow-up study, plugins were installed and tested to apply for furtherexperiment with participation. 이 연구는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을 부산 영도 지역의 주요 산업인 조선 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노동 아카이브구축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참여형 기능을 갖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록 수집에서부터 아카이브 구축까지 기본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을 적용하면서도특정 공간과 공간에서의 산업 경험을 공유한 주체들의 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구축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오메카(omeka)이며, 개방형 소프트웨어이면서도 참여 기능을 다양하게 지원할 뿐 아니라 디지털 공간에서 기록을 다각적으로 연계한 콘텐츠 구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지니고 있어 실험에 적용하였다.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이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선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참여 주체와 맥락 및 기록을 조사하고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기록은 소장처와 출처를 중심으로 집합을 구성한 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아카이브에 축적된 기록 및 기술정보를 연계 활용하여 사건, 인물, 사업장별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후속연구로진행될 참여 실험을 위해 오메카 추가 기능 중 참여를 지원하는기능을 추가 설치하고 그 기능사용을 실험해보았다. 마지막으로구축 실험의 의미와 한계를 밝혔다.

      • KCI등재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현문수,김동철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Locality documentation an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cover local historical characters that are mirrors reflecting localities. The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design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representing the locality based on his/her records. By the methodology, sample archival contents, Park Ki-jong contents is designed because he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locality of Busan between the late 1800 and the early 1900. Firstly, it asks a question on how it chooses a character representing the target locality. After the character is selected, his/her life and context is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it set up the coverage of developing the contents and identifies relevant records and materials. Finally, the archival content for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is designed. It is important that the study proposes a method of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a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For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t is expected of further practical uses in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representing the localities. 인물은 지역의 로컬리티를 바라볼 수 있는 거울이며, 지역사 인물의 기록화와 콘텐츠 개발은 로컬리티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의 로컬리티를 대표할 인물을 선정하고 그가 생산했거나 그에 대해 생산된 기록을 바탕으로 증거에 기반하여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개항기 부산의 로컬리티를 대표하는 인물인 박기종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사례 구축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로컬리티를 재현해줄 수 있는 인물을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로컬리티가 투영된 인물을 선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맥락 조사를 실시하였다. 맥락 조사를 바탕으로 최종 콘텐츠 설계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이 범위에 해당하는 기록과 자료를 조사하여 기록 중심의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아직 지역의 로컬리티를 재현할 수 있는 인물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이 연구는 일반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과 인물 기록화 방법을 바탕으로 지역사 인물을 기록화하고 이에 기반을 둔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제안한 지역사 인물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고유의 로컬리티를 확인하고 이를 투영할 수 있는 인물을 선정함으로써, 특정 시기 특정 공간의 정체성이 투영된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국가기록평가의 권한과 책임 분석: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중앙 및 연방정부 기록의 평가를 중심으로

        현문수,Hyun, Moonsoo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ARs) to appraise public records, especially between national archives and central or federal government institutions. For this study, archives acts and policies of Britain, the USA, Canada, and Austral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After attempts in reviewing the laws and policies governing ARs of appraisal and disposition, their level of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Rs to determine and approve which records have archival value and what are to be transferred to archives are mainly located in the national archives. In comparison, it is common that the national archive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share ARs in identifying the public records and in preparing and approving the disposal authorities. Furthermore, it identifies that the ARs can be distinguished by individual appraisal activities and expects to be used to discuss the ARs to appraise public records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평가의 권한과 책임의 분배를 기록보존기관과 기록생산기관의 두 주체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의 법규와 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두 주체의 권한 책임을 다루는 항목을 분석한 후, 각국의 국립기록청이나 생산기관 한쪽에 권한이 집중되는 유형과 양 주체에 권한이 분배되는 분산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구보존기록을 결정하고 아카이브 이관을 승인하는 권한은 주로 국립기록청 집중형에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면, 개별 기관의 공공기록을 식별하고 처분일정표를 작성 및 승인함에 대해서는 국립기록청과 생산기관이 역할과 책임을 나누는 분산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나아가, 국가기록의 평가 행위별로 권한과 책임이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및 생산기관이 각각 어떠한 평가 과정에 더 집중할 수 있을지를 논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현문수,정상희,박민영,황진현,이소연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이 연구는 기록관리 실무자와 연구자로부터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문제를 확인하고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그룹 중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교육·연구자와 면담을 진행하며 법령 개정을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법령개정을 대상으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드러내기 위해 별도의 표준화된질문지를 구성하지 않고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의 개정 의견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를 화두로 삼아 면담을 진행하였다. 피면담자와는 전화, 이메일, 대면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이 끝난 후, 모든연구자가 한 자리에 모여 분석틀로 사용할 범주에 대해 논의하였다. 면담내용을 함께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분석 범주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각각 주요 범주를 맡아 면담내용을 분석하고 집필을 분담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현행 법령을 개정하기 위한 특정 방향이나 법령안을 제안하는 것에 앞서, 기록학 공동체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모여 법령 개정전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이후 향후 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 법령과 이의 실행 경험에 대한 다양한 층위, 다양한 측면의 의견이 공동의 장에서 교환되어야 할 것이다. 기록학 공동체의 민주적 합의 과정을 통한 법령 개정을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with regard to practicing the current Korean Archives Law and, by doing so, to boost a community-wide discussion for revising it. Five researchers collaboratively interviewed five groups of stake-holders. Each group was consisted of practitioners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provinci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district offices, as well as instructors of archival education programs. To uncover diverse issu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interview was initiated by a common question: “Do you have any idea in terms of revising the current law?” After all interview sessions were completed, the researchers discussed among themselves and established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to reinvent the law so that the archival culture and practice in Korea could open a new era.

      •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방안

        현문수 한국기록관리학회 200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5 No.2

        정부기관 및 기업에서는 다양한 데이터세트가 생산된다. 업무활동의 일부로 생산되는 데이터세트는 현재 단순히 정보시스템 내에 저장되어 있고, 기록으로 획득되어 관리되고 있지 못하다. 원 데이터로서 업무활동에서 발생한 데이터세트 기록은, 시급히 기록관리 영역으로 편입되어 관리되지 않는다면, 오래지 않아 사장될 것이다. 데이터세트는 정부 정책 및 법제도 형성에 있어 기본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뿐 아니라 정책결정과정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와 보존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으로서의 데이터세트 관리 필요성을 지적하고 해외의 사례를 분석하여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management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ataset as records. Although government and corporate bodies produce various dataset in the regular course of the business, dataset have been stored and managed in the information system. Dataset as records should be captured into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managed in the overall system. They can provide a evidenc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government and fundamental information of the process. If agents do not perform the right management, dataset records will disappear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 전자기록관리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연구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비용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이전자기록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거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에 그 저장과 보존을 위탁하고자 하는 결정을 내릴 때 관리 비용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MMPER 비용 모형을 기본 틀로 선정하였으며, 자체관리와 위탁관리에 적용할 수있도록 일부 영역과 요소, 요인을 수정하여 M-CoMMPER를 구성하였다. 모형 수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공공 전자기록의위탁 관리 시 추가로 고려해야할 영역과 요소를 배치하고, 범용요인 리스트를 제안하여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이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범용 비용 요인을 포함하여 수정된 CoMMPER 모형을 공공기관이 자체관리와 민간 위탁관리의경우를 나누어 적용해보면서 그 경제성을 분석할 때에 고려해야할 지점을 드러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ool for a comparison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a public institution and a private records management facility and to reveal the considerations prior to decisions on the way of management. For developing a tool, it chooses CoMMPER as a basic model and modifies it after reviewing existing cost models, because only CoMMPER can over public records management. Modified-CoMMPER is added a new cost area[Aquisition], and is modified and extended cost elements and generic cost factors for the comparison. Public institutions which consider whether commission the management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can use Modified-CoMMPER for comparing economic impacts in terms of long-term preservation. To make a rational decision on the way of management based on the economic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3 main task. Fist, the scope of the activities has to be defined, second, the cost-effectiveness has to be estimated base on the cost model, for example Modified-CoMMPER, third, policy-making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must be proceeded based on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of records management.

      • KCI등재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4

        This study aims to propose task areas which have to be discussed for reforming of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Act in Korea. For drawing the task areas, it analysed the pending issues mainly presented in the policy forums co-hosted by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and Korean Association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and examined researches providing tasks of revising of the law or rebuilding public records policies related in digital records management. The 4 task areas were identified, which were the exhaustive documentation of the public agencies’ activities, the reexamination of the appraisal systems for public records and archives, the transition into the 2nd generation-digital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defini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records/archival institutions. Then it placed the issues into the 4 areas, and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in each tasks. Reminding that the task areas proposed in this study are not comprehensive, further suggestions and arguments will be expected for reforming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Act. 이 연구는 향후 전면적인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해 논의되어야 하는 주요 과제 영역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진행된 기록공동체 내의 현안 진단과 최근의 법령 개정 및 기록관리 체제와 관련된 연구를 바 탕으로 과제 영역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최근의 논의를 다시 정리하 였다. 철저하고 투명한 공공업무 기록화, 국가 기록평가체계의 전면적 재 검토, 2세 전자기록관리체제로의 전환, 기록관리기관의 역할과 책임 재 정의 등 4개 과제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행된 논의와 향 후 풀어야 할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한 과제와 방 향을 포함하여 법령 개정을 위한 과제 논의 각각은 큰 주제이며, 모든 과 제를 포괄하지도 않는다. 더욱 다양한 과제가 제기되고 이를 세분하고 연 계하면서 과제를 풀어나갈 방향성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