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소속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한세영,유설희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sosystem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using the 2017 survey on the Korean Child-Youth Well-Being Index. A total of 5,050 adolescents(2,472 boys and 2,578 girls) were included and all variables were assessed with adolescents' self-repor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PSS 23.0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3.0. The adolescents’ mesosystem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their sense of community. Positive relations with the mesosystem enabled the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ose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the mesosystem were more likely to feel that they belong to the community, which led to higher overall level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crucial influences of the mesosystem and the sense of community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mmunity, activating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 KCI등재

        가정 경제의 변화에 대한 지각과 중간체계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프로파일

        문경숙,김종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profile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home economic status change. Total of 388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included items asking the experience of home economic status change over the past one year, the degree of emotional support from microsystems(family, peers, and teachers), and mood state. Three mesosystem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upport from microsystems: secure, uninvolving, and insecure. Adolescents of secure mesosystem have relatively healthy mood state under economic hardship.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of uninvolving and insecure mesosystem showed similar mood state suggesting that not having strong emotional bond with at least one of microsystems or extremely weak emotional bond with teachers lead to negative mood profile under the condition of home economic status chang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bond with microsystems were discussed based on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가정 경제의 악화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간체계(mesosystem)의 유형을 찾아내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 청소년들이 정서프로파일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밝혀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 고〮등학생 388명(남학생 149명, 여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경제위기 상황에 대한 인식, 가족, 친구, 교사로부터의 지지(support), 정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족, 친구, 교사로부터의 지지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를 군집분석하여 중간체계의 유형을 ‘안정적 중간체계’, ‘미온적 중간체계’, ‘불안정 중간체계’로 분류하였다. 지난 1년간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식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정서프로파일의 군집 간 차이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가정경제가 악화된 집단의 정서프로파일을 살펴본 결과, 화목한 가족분위기와 믿고 의지할 만한 친구가 있는 ‘안정적 중간체계’ 군집은 비록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온적 중간체계’의 경우는 가족, 친구, 교사와 미약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으로 이들의 정서프로파일은 ‘불안정 중간체계’ 군집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냈다. ‘불안정 중간체계’ 군집은 가족 및 친구로부터의 지지는 ‘미온적 중간체계’ 군집보다 높지만 교사와의 관계는 매우 낮은 학생들의 집합으로서 이 두 군집의 정서프로파일이 비슷하다는 것은, 결국 어느 하나의 미시체계에 강한 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거나 교사와의 관계가 매우 취약한 경우, 경제위기 상황에서 청소년의 정서 발달은 부정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학교 생태체계 환경 변인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김성훈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system, time system, and mesosystem variables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Using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study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of the data of seventh graders in Year 1 (2010) and their data as ninth graders in Year 3 (2012) including 2,225 students from 78 schools. The first level included microsystem and time system variables, and the second level measured mesosystem variables. The microsystem variables we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one's social and economic status (SES), the lif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of ninth graders. The time system variable was the school adjustment of seventh graders who experienced an environmental change to middle school. The mesosystem variables were the school type and the school's social and economic status (M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adjustment sub-variable of seventh graders and the time system variab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The learning activities of seventh graders, in particular, record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at .167.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ut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ositive school adjustment in the seventh grade, which is a transition period, an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ninth graders.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미시체계, 시간체계, 중간체계의 변인들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아동·청소년종단패널(KCYPS)』인1차년(2010년)도 중1 학년과 중3 학년의 3차년(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78개의 학교에 2,225명이 내재된 구조로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실시였다. 1수준 변인은 미시체계와 시간체계로, 2수준 변인은 중간체계로 설정하였다. 미시체계는 성별, 개인의사회‧경제적 배경(SES), 중3 학년의 삶의 만족도와 또래애착으로 하였으며, 시간체계는중학교라는 전환기적 환경 변화를 경험한 중1 학년의 학교적응, 그리고 중간체계는 학교유형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MSES)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체계 변인인 중1 학년 때의 학교적응이 중3 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전반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중1 학년 때의 학습활동은 .167의 회귀계수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특히 전환기적 환경의변화를 경험하는 중학교 1학년 때의 긍정적 학교생활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도금혜,최보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한국청소년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sm,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The subjects were 835-1st and 2nd graders of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sex, age,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social self-esteem, physical self-esteem, prosocial behavior, and dominance of organism variables. Secon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mother's affectional parenting, attachment to friends, contact with deviant friends, and teacher support of microsystem variables. Third,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family-peer relationship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 of mesosystem variables. Fourth,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was affected by apprais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and circle activity of exosystem variables. Fifth, organism variables have great effect on adolescent's perceived popularity than any other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인기도를 도입하여, 생태학적 변인(유기체 변인, 미시체계 변인, 중간체계 변인, 외체계 변인)이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중ㆍ고등학교 1,2학년 805명과 각 해당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평균과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기체 변인 중 성별, 연령, 외현화 공격성, 관계상 공격성, 사회적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및 지배성이, 미시체계 변인 중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 친구에 대한 애착, 비행 친구와의 접촉 및 교사의 지지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체계 변인 중 가정-또래 관계와 가정-학교 관계가, 외체계 변인 중 확대가족의 평가적 지지와 동아리 활동 실태가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는 유기체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미시체계 변인이 중간체계나 외체계 변이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광웅 ( Kim Kwang-woong ),정은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6세 이하 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즉,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연구함에 있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포괄적이고 다양한 상호관계의 맥락에서 파악하기 위해 Bronfenbrenner가 제시한 생태구조에 따라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적응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성, 긍정적 정서, 또래간의 적응, 자기조절, 하루일과의 적응에 대한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에,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인은 유기체변인 (성별, 연령, 기질, 최초 취원 연령), 미시체계 가정변인(형제수, 월소득, 母의 취업유무, 母의 양육태도), 미시체계 어린이집 변인(한학급의 유아수, 시설, 집과의 거리), 중간체계 변인(母의 어린이집 만족도), 거시체계 변인(교육열)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logical factors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Thi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on clarifying the troubles of children who are not in adjustment and helping to overcome the obstacles.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ecological perspective for the inclusive inquiry of the factors affecting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In the first step, the variable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were selected. They are demographic variables (genders, ages, temperament, and the age of first enterance to the preschool), microsystem domestic variables (number of children, monthly income, mothers’ employment and their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microsystem preschool variables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facilities,distance from the house), mesosystem variables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 preschools), macrosystem variables (enthusiasm for the education). For this study, 206 children of 13 pre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ounggi-do were investigated. Three separate questionnaires were used: one is for mothers, another for teachers, the last for the head of the preschoo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attitude of bringing up scale, satisfaction with the preschool scale, interest on education scale, facilities of the preschool scale, children’s adjustment scale, and background variab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program package. The major-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microsystem, mesosystem, and macrosystem variables with the ecological access results that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mor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preschools. Among these, the most explanatory variable was limit setting in bringing up children variable. Second, sub-categorical studies on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s are as follows.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othable and attention spanning temperament showed higher sociability. Children who hav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higher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emotion were affected by facilities variables.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eschools with better facilities are mostly large ones and therefore children come to have relatively less opportunities of friendship and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s.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children who have soothable temperament, more brothers and sisters,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the peer groups.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ciable temperature and attend to the preschools with better facilities showed better self control. Self control featured being largely influenced by ecological system compared with other sub-factors, especially it was affected by the facilities variable. More female children (than male) and the children who have strongly soothable temperature and mothers with limit setting attitude in bringing up them showed better adjustment to daily task.

      • 국가 미래인적자원으로서 재외동포청소년 성장과 지원방안 연구Ⅱ

        김경준,김정숙,이유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청소년을 글로벌 코리안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년부터 대륙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도에는 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재외동포수와 한국과의 관계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호주와 뉴질랜드 동포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주 및 뉴질랜드 재외동포청소년들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가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근거해서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의 틀에 따른 조사내용을 구성하여 초 · 중 · 고 학생을 대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2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의 경우에도 국가별 동포청소년의 특성과 생태체계적 환경과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였는데, 호주 · 뉴질랜드 각 국가별로 청소년과 성인(전문가) 각각 10여명씩, 총 40여명을 대상으로 동포청소년 및 관련 성인(전문가)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적합도 조사와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하여 정책목표와 7개 정책영역별로 총 35개의 정책과제를 개발 ·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ays to support overseas Korean youths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of Global Korea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continent basis since 2015, and Oceania was targeted in 2019. Considering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elations with Korea, we conducted a study on young Koreans living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forementioned Korean Youth,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 from each of the two countries). Survey detail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Interview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adolescents by country and the ecological systemic environment. A total of 4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consisting of ten overseas Korean teenagers and adults (experts) in each country. W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interview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mong others, and deduced implications based on which we derived policy tasks. In addition, through expert suitability diagnostics and reviews, we developed and proposed policy objectives and a total of 35 policy tasks in seven areas.

      • KCI등재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 실태 분석:미시 체계 변인과 중간 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김진성,이병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cological variables about the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 around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and sought a change in direction for effective family support based on needs and concerns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93 parents of young special education children living in area “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es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a family vary depending on the parents’ age,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nurturing and education environment at home, the family members’ attitudes towards nurturing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parent-professional relationship,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conomic level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s towards participation in nurturing depending on the parents’ occupation, fathers who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tend to participate in nurtur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more act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researched the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aimed at parents and professional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in the era of emphasizing the quality substantiality and social environment as the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crease continually. 본 연구는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로,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지원교육활동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과정에서 나타난 요구와 문제들을 토대로 효과적인 가족지원교육활동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A’ 지역에 거주하는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자녀를 둔 93가구 부모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연령, 가정에서의 양육 및 교육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전문가 관계, 주거환경, 전이 지원 등에 따라 가정마다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 중심의 가족지원교육활동이 이질적이면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직업에 따른 양육 참여 태도와 관련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아버지일수록 가정에서의 양육 및 교육활동 참여가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특수교육대상아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족지원교육활동에 대한 질적인 내실화와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가정과 지역사회 안에서 부모를 중심으로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성관계 경험 유무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양소남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sexua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used 2015 11th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and used 68,043 respondents that wer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lescents.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Results show that as for individual factors,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 depression and stress were; as for microsystem factors, biological parent and one-parent family were; and as for mesosystem factors, received teacher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aving sexual experiences. Based on results, prevention about sexu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생태체계요인이 성관계 경험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제11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총 68,04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음주경험, 흡연경험, 우울, 스트레스가 미시체계 요인에서는 친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중간체계 요인에서는 교사 지지가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허창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지난 수십년 간 법적․재정적․정책적 발전을 통해 한국사회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과거에 비해 그 수준이 많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장애인에 대한 세계 환경의 변화와 사회의 각계각층, 특히 장애인 자신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시적․권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서의 장애 및 장애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장애인의 사회통합이라는 궁극적 장애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각종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아직 그 갈 길이 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장애인 복지서비스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실시사업 모형의 네 가지 체계 속에서 분포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행 한국 장애복지 서비스 사업의 대부분은 미시적 측면에 국한되고 정책적 성격 또한 시혜적․수동적․소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한국사회의 장애 정책은 보다 확대된 방향으로서 중간․외․거시 체계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정책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과 그 성격 또한 적극적․능동적․가치창출적인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과 함께 그것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하고 있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welfare of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regard to: paradigm change, modified regulations and laws, increased budget,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etc. Many factors influenced these achievements; disabled people's endeavor for their right and welfa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do not seem to meet the ultimate goal of the welfare, because the current social welfare policies are based upon micro perspective of disability poli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using a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theory was adopted to examine whether th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implementation were well developed and delivered. Bronfenbrenner's four systems: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were used as reference to identify the balance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welfare delivery system heavily concentrated on the microsystem.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livery system treats the recipients as passive demander and consumerists.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welfare service should be balanced with broader ecological system such as meso, exo, and macrosystem. By examining the current welfare with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olicies should be the ones which invites disabled persons as active and valuable contributors to their comm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