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자녀 기혼여성의 난임치료 경험

        양소남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vere conflicts and struggles of working women in combining infertility treatment and work.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with 4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between November of 2018 and February of 2019 and analyzed using analytic induction and thematic analysis. As for the results, the main theme were analyzed into ‘exhausted mind’, ‘estranged relationships’, ‘tough balancing treatment and work’, ‘continuous and hopeless attempts of infertility treatments without certainty of successful pregnancy’. Adaptive strategie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identified. 본 연구는 자녀가 없는 일하는 난임여성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난임치료와 직장생활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첨예한 갈등과 고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와 문서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에서 2019년 2월에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4명의 일하는 난임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난임치료와 직장생활 병행 경험의 핵심 주제는 피폐해져 가는 정신, 소원해지는 관계, 녹록치 않은 일과 치료의 병행, 결과 없이 지속되는 희망고문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생활을 하는 난임여성들이 치료와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양소남 한국가족치료학회 2011 가족과 가족치료 Vol.19 No.1

        본 연구는 개인 스스로가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느끼는 맞벌이 부모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어떻게 성공적으로 직장과 가족이라는 두 영역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수집을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10명의 맞벌이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참여자들이 일과 가족생활을 조화롭게 양립하기 위해 매 순간 두 영역을 오고가며 협상을 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가족과의 정서적 유대, 평등하고 협력적인 배우자와의 관계, 자기계발과 양육현실간의 간극조정, 맞벌이에 대한 자부심, 직장과 가정의 경계관리, 효율적 시간활용,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가족구성원의 지원 등이 두 영역을 양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일가족양립으로 인한 갈등상황에 노출된 가족을 지원하는 임상실천가들이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실천적 지침 및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ways in which employed parents successfully balance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successful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Most participants were working mothers in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These successful parents structured their lives around 8 major strategies utilized at work and home: valuing family, striving for equality and partnership in the marital relationship, making decisions proactively, taking pride in dual earning, maintaining work boundaries, valuing time, garnering support of work institutions, and garnering support of extended families. Adaptive strategie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identified.

      • KCI등재

        아동보호관련 전문가들의 다학문적 협력관계에 관한 인식

        양소남 한국아동권리학회 2007 아동과 권리 Vol.1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experiences of professionals working with abus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address this, attention will be focused on professionals' perception in relation to collaboration in child protection, along with the difficulties to achieving effective cooperative work.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ith 16 participants.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n obvious lack of inter-agency cooperation, close coordination among the professionals and among statutory bodies, state support, and training. In addition, there is clear insensitivity of some professionals, which may be caused by lack of social consensus on child abuse. Throughout the comments from interviewees, it is identified that there are a number of barriers to achieving effective cooperative work. Working together under such conditions, professionals are faced with a large number of difficulties.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are elements to effective collaborative work in child protection:structure and systems; status and power; role identification; focusing on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value system about child abuse; and professional priorities. ◈본 연구는 아동보호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협력관계 구축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탐색하고 현실적으로 이러한 연계체계 형성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이들의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의사, 사회복지사, 초등교원, 보육교사 등 총 16명의 전문가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 사이에 협력관계형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정착되어 있지 못하며, 우선순위의 차이, 문화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불분명한 책임과 역할, 부족한 인프라와 인적자원 및 적절한 교육훈련의 부족 등이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보호 관련 전문가들의 다학문적 협력관계에 대한 이해 정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연계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국의 아동사례관리체계: 조기개입과 학대아동보호를 중심으로

        양소남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7 No.-

        본 논문은 아동의 안전한 보호 및 복지증진을 위해 도입된 영국의 아동사례관리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아동복지분야에서 체계적인 사례관리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정부는 아동의 삶의 질 향상과 복지증진을 핵심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사례관리를 실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련법을 개정하고 시스템을 정비하였으며, 인력을 양성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아동서비스는 조기개입과 체계적인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한 통합적 접근이 그 특징이다. 아동의 다양한 욕구에 민감하게 대처하기 위한 조기개입과 발달과정에 따른 서비스제공, 관련 전문가들의 협력체계 구축, 일원화된 전달체계 및 시스템 정비, 사례관리 과정에 아동과부모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plores significations which important to promote for child care management through analysis about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early intervention and child protection system in the UK. The UK government enacted legal measures to perform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service system, training of professionals, and division of labor among them. A standardized child and family assessment form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redesigning services aroun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nee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are elements to effective and efficient case management system: early intervention, collaboration among professionals, partnership and participation, shared role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y, and building an integrated children's system.

      • KCI등재

        공중보건모델에 근거한 호주의 아동보호서비스에 관한 연구

        양소남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8

        This study explores main contents of the public health approach to protecting children in Australia and implications on building effective child protection strategy were discussed. Australia is seeing an unprecedented increase in the rate of child protection notifications and children being taken into care. The concern is that these increase are overloaded child protection systems can be dangerous for the vulnerable children. These issues led government to seek different solutions which is child protection services based on public health model. The aim of a public health approach to protecting children is to shift the focus away from a narrow board of children requiring statutory intervention toward addressing the needs of all families. The government promotes efficiency and consistency of service provision through reform systems for holistic approaches, development family support focusing prevention, and building safe family environment. As a results, there have been some indications of a slowdown in the rate at which notifications have been rising and in the number of children living in out-of-home care. Through analysis of Australian experiences, useful guidance for Korean child protection services is drawn as follows: building service continuum, strengthen preventive services including parenting support, budget expansion, and enhancing safe and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 본 연구는 공중보건모델에 근거한 호주의 아동보호서비스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주는 아동학대 신고 건수와 시스템 내에서 보호하는 아동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공적 시스템의 부담이 가중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공중보건모델에 근거한 아동보호서비스라는 새로운 해결책을 추구하게 되었다. 공중보건접근은 기존의 공적 개입이 요구되는 아동에 대한 개입이 아닌 모든 가족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는 포괄적인 접근을 위한 시스템 정비, 예방을 강조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안전하고 지지적인 가족환경 조성 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아동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예방적 접근은 아동학대 발생과 가정외보호 아동의 증가율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호주의 경험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써, 지역사회에 기반 한 연속적인 서비스 구축, 양육 지원을 포함한 예방적 서비스의 강화, 예산확보와 인프라 구성, 그리고 안전하고 지지적인 가족환경 조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학교사회복지론 수강생의 수업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양소남,박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a school social welfare class and explore its effectiveness and experience of learners’ participation. Methods To do this, PBL method was applied to 1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school social welfare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for about 8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19. The pre-post test was conducted on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11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In addition,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t one time on seven of the 11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group interview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opic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pre-post test, PBL improved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thematic of group interviews, four key themes were found: “thinking about problem solving without answers,” “being a self-directed learner,” “working together to find a solution,” and “getting to understand the role of professors in promoting the learning pro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PBL in social welfare classes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론 수업에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과 학습자의 수업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9년 2학기 학교사회복지론 교과목을 수강한 14명을 대상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약 8주간 PBL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1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11명 중 집단 인터뷰 참여에 동의한 7명을 대상으로 1회의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사후 조사 결과, PBL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켰다. 집단 인터뷰를 주제분석 한 결과, ‘정답이 없는 문제해결방법을 고민’, ‘주체적인 학습자가 되어감’, ‘함께 협력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함’, ‘학습과정을 촉진하는 교수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게됨’ 등의 4개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PBL을 수행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양소남 ( Yang So Nam ),장현석 ( Jang Hyun Seok ),박소연 ( Park So Youn ),이상훈 ( Lee Sang H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독특한 직무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8명의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수행 경험의 핵심주제는 ‘피해자를 대하며 정체성 혼란에 빠짐’, ‘이상과 현실의 간극으로 딜레마에 직면함’, ‘피해자의 고통을 함께 함’, ‘회복력을 키우기 위해 고군분투 함’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ㆍ실천적 대안으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회복력을 키우기 위하여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업무가 경찰활동의 중요한 기본업무라는 경찰조직내 인식확산과 현장중심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전담경찰관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통제ㆍ관리할 수 있는 정신건강 및 심리지원센터 등 시스템 운용확대, 그리고 이를 위한 현실성 있는 예산확보 및 임파워먼트 확대도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unique work experience of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in-depth interview based on qualitative methodology study. Data was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March of 2016 and the eight crime-victims support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for the results, the main theme were analyzed into ‘drown to identity confusion in working with victims’, ‘facing dilemma which was caused by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being with victims’ suffering’,‘raising resilience through struggling’.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raising awarenes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that victim protection and victim support are important and basic duty in order to prevent burnout and secondary trauma stress of crime-victims support police officers,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which considers practical setting, and expanding a system of operation such as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support centers to systematically control and manag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 stress of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In order to do aforementioned, securing feasible budget and strengthening empowerment a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