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MR 선택속성이 소비자 태도 및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안하윤,이수범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3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환경변화로 인해 외식시장을 주도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는 HMR을 주목하여 HMR 선택속성에 따른 소비자 태도 및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MR을 구매하여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의 5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설문지 방법을 이용하였고 368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MR 하위요인인 편의성, 가격, 메뉴의 품질, 브랜드 평판으로 이 중 편의성, 브랜드 평판은 50세 이상의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의성, 브랜드 평판이 좋을수록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5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HMR 선택속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소비자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였다. 1단계는 소비자 태도는 HMR 선택속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는 ‘편의성’, ‘브랜드 평판’은 종속변수인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매개변수(소비자 태도)를 투입한 3단계에서는 ‘브랜드평판’의 1개 요인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태도’가 HMR 선택속성 중 ‘브랜드 평판’ 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하고 있고, HMR 선택속성 중 ‘편의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HMR 선택속성과 신뢰의 관계에서 소비자 태도는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HMR 선택속성에 중 브랜드 평판과 편의성에 관심을 가지고 소비자 행동에 예의주시하여 적극적으로 소비자 태도 및 신뢰를 향상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하여 소비자 신뢰에 극대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5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식하여 새롭게 촉진하는 대책을 세우고, 50세 이상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관계마케팅에 중점을 두어 관심을 가지고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가 50세 이상 소비자의 HMR 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HMR 속성에 따른 제품 분류와 매출액 영향력에 관한 연구-온라인/오프라인 채널 비교를 중심으로-

        최은수,문정훈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3 유통물류연구 Vol.10 No.4

        코로나19와 온라인 식품시장의 성장은 Home Meal Replacement(HMR) 성장의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소비층의 확대와 세분화된 소비취향은 식품기업들의 기술력 진보와 함께, 다양한 제품군들의 시장 출시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MR 구매행동 특성을 연구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소비자들의 주관적 인식평가에 기반 한 개념적인 연구와 제한적인 속성들에 한정되어 왔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HMR 전체를 일반화하거나, 특정한 카테고리와 판매영역에만 한정된 연구들로 최근 소비자들의 HMR 구매행동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HMR 카테고리를 객관적 속성들을 기준으로 제품을 분류하고 이들의 세부속성들 간 비교를 통해, 제품속성들이 멀티채널 대형할인점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 매출에 미치는 실증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에서 모두 카테고리, 메뉴용도 그리고 브랜드 속성이 매출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채널 간 영향력 비교에서 카테고리 와 메뉴용도 속성에서 대부분의 변수들이 채널 간 유의미한 차이 변수들로 도출되었으며, 브랜드 속성에서는 유통사 브랜드가 채널 간 차이 변수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지지함과 동시에, HMR의 취급온도, 메뉴용도, 팩중량, RMR과 같은 실용적인 속성들의 영향력을 새롭게 증명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HMR의 구매행동에 관한 이론적 확장과 함께 채널 맞춤형 상품화 및 유통 전략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The outbreak of Covid 19 and the rapid growth of online grocery shopping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Home Meal Replacement(HMR) market to grow rapidly. In addition, the diversified consumer base and sub-divided consumption tastes led to the launch of various HMR products through the improved technology of food manufacturers. Nevertheless, most studies that have studied HMR’s buying behavior have been limited to conceptual studies and common attributes based on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s. However, HMR has now grown into a comprehensive category including daily meals, dining out, and hotel dishes, beyond the traditionally known concept of replacing home meals. Therefore, the extant studies targeted overall or specific categories have many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current consumers’ HMR buying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to compensate for the defects of these preceding studies, HMR items are classified based on objective product attributes and compared respectively between their sub-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influence for each channel was identified in all main attributes, i.e., category type, usage, and brand attributes. In addition, characteristic attributes that have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line were deriv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channels. These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ized commercial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hannel that meet the various needs of consumers.

      • KCI등재

        가족구성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도영,조용현,김동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basic data necessary for marketing strategy of HMR product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subjects conducted a survey with employees dispatched to 100 of 140 HOMEPLUS nationwide and surveyed customers who purchased HMR products from stores for about 60 days from July 1, 2018 to August 30, 2018.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SPSS 21.0 for window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processed. Research shows that the four factors, quality, price, convenience and varie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HMR selection attribute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the quality, price, and variety among the sub-factors of HMR selection attributes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but the convenience factors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구성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MR 제품의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조사대상자는 전국 홈플러스 140개 매장 중 100개 매장에 파견된 직원들을 통하여, 2018년 07월 01일부터 2018년 08월 30일 약 60여일간 매장을 이용한 고객 중 HMR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처리된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HMR 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품질, 가격, 편의성, 다양성 등 4가지 요인은 가족구성에 따라 차이가 없음으로 분석되었고, HMR 선택속성의 하위요인 중 품질, 가격, 다양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의성 요인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구성에 따른 HMR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HMR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HMR에 대한 소비가치, 친숙도, 긍정적 온라인 구전이 태도 및 온라인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희,류미현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2 유라시아연구 Vol.19 No.3

        The HMR market has drastically grown with the emergence of the consumption environment and new consumption clas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familiarity, positive online word-of-mouth, and attitude on HMR online repurchases intentions for 300 Chinese consumers. The research method was structurally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how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MR attitude and HMR Consumption value, the pleasure value of happiness, joy, and others obtained through the HMR consumption has a noticeable influence on the HMR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HMR attitude and HMR familiarity, together with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HMR, the familiarity that is structured in associated with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consumer is confirmed as the factor to enhance the attitude on HMR. Third, the positive information on HMR that is encountered online by consumers is shown to influence the structuring of the HMR attitude. And, lastly,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MR attitude and HMR online re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 positive attitude of consumers on the quality, price, taste, and others of consumers on HMR is shown to be the factors that enhance the online HMR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HMR Attitud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on HMR online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has shown the HMR attitude structured through the online word-of-mouth of consumption value and familiarity and intention of online repurchase in a way of expanding the consumer understanding of the HMR consumption behavior, and through this effort, it is considered to be of assistance to structure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HMR related companies.

      • KCI등재

        HMR 상품속성이 고객만족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일,이경민,정현경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1

        본 연구에서는 국내 HMR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HMR 상품의 건강지향성과 조리편리성이 고객만족도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국내 외식시장에서 HMR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식생활양식의 변화와 실제 소비행동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 HMR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자로 그들만의 라이프스타일과 HMR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의 소비행태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HMR상품의 건강지향성과 조리편리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품의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며, 건강지향성과 조리편리성, 제품의 질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건강지향성과 조리편리성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제품의 질은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MR 상품의 건강지향성과 조리편리성, 제품의 질 중 고객만족에 ‘건강’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구매행동에 대한 만족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의 질’이 구매행동에 대한 영향관계가 없음으로 인해 HMR제품의 질적인 부분이 저하될까 우려된다. 본 연구는 향후 발전하는 HMR 시장에 관련 업체들의 선의의 경쟁과 소비자들의 편리성 및 영양의우수성 등 HMR 제품의 신뢰도 고취에 힘쓰고 HMR 제품의 메뉴개발 측면에서 보다 심층적 실증분석과 구체적인접근을 통해 HMR 소비행태에 대해 일반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한 중국소비자의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류미현 ( Ryu Mi Hyun ),이영희 ( Lee Young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HMR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비중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HMR 구매에 대한 소비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치기반수용모델 및 HMR 안전인식과 만족도를 통하여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치기반수용모델을 통하여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희생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혜택 관련 변수인 유용성과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희생 관련 변수 중 품질 위험이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 HMR 구매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HMR에 대한 안전인식과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대하여 만족도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를 통하여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을 통하여 HMR을 구매하는 중국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고취시키고, 소비자들의 이용 향상을 위한 관련 HMR 기업의 제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에 활용되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식생활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을 통한 HMR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HMR 제품의 전반적 정보제공과 소비자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HMR has been heightened as a global trend, th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s on online HMR has been confirmed structurally through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safety awareness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regarding the online HMR purchase. As a result, first, through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satisfaction regarding the perceived value of online HMR purchase has been confirmed, and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usefulness and entertainment as the perceived benefit-related variables, is shown to be a noticeable factor for the perceived value, and the quality risk from the perceived sacrifice-related variables would be a noticeable factor for the perceived value of the online HMR purchas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the online HMR purchase, the safety awareness on HMR and perceived value of the online HMR purchase have been confirmed as the noticeable factors. And, lastly, regarding the repurchase intentions of the online HMR, the noticeable influence of satisfaction has been confirmed, and the perceived value was shown to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that purchased HMR through online, facilitate as the base data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s utilized i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for pertinent HMR companies for improving the use of consumers, and it is intended to str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 lives of consumers. Furthermore,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HMR through online of consumers, it would be helpful for providing overall information of HMR products and consumer education.

      • KCI등재

        소비자의 HMR 브랜드 스타일, 다차원적 가치 및 충성도 간의 관계- 수도권 MZ 세대를 중심으로 -

        고삼숙,김신애,권기대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 consumer's preferred HMR brand style. We attemp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values and brand loyalty. In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spatial scope is the HMR brand market in the food industry. Second, the study targets 356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ird, the literature of this study utilizes the Food Exhibition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addition, SPSS 26 Ver. was used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Hypothesis 1, the 'consumer's HMR preference brand(Health; Challenge; Taste, Economy) was not adopted only by taste in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afety values. In addition, consumers' HMR-preferred economic brand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alue of use and choice. Second, in Hypothesis 2, 'the multidimensional value(Safety, Usefulness, Choice) of HMR was verified 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rand loyal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preference for HMR among the MZ generation is that health, challenge and economy brands are interested in safety values. Companies should focus on HMR's customized target marketing. Second, companies should consider the economic HMR brand preferred by the MZ generation. In other words, HMR brands should invest in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HMR menus in parallel with reasonable prices. Third, the value of HMR of consumers induces brand loyalty. Accordingly, transaction obstacles such as place, time, possession, perception, and value should be removed. 싱글세대의 라이프 스타일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는 HMR 브랜드를 블루오션시장으로 성장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HMR 브랜드 스타일, 다차원적 가치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 분석을 시도한다. 첫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식품의 HMR 브랜드 시장으로 한다. 둘째, 연구 대상은 수도권의 MZ세대 356명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본 연구의 방법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을 참고하고, 회수한 설문은 SPSS 26 Ver.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설 1의 ‘소비자의 HMR 브랜드 스타일(건강, 도전, 맛, 경제)은 다차원적 가치(안전, 사용, 선택)에 유의한 관계일 것이다’에서 맛을 제외하고 안전의 가치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HMR 브랜드의 소비자 경제적 스타일은 사용 및 선택의 가치에 유의한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2에서 ‘HMR의 다차원적 가치(안전, 사용, 선택)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관계일 것이다’는 정(+)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MZ세대들이 선호하는 HMR 브랜드 스타일의 건강, 도전, 경제 브랜드는 안전의 가치에 큰 관심과 주목을 두고 있다. 기업은 소비자 선호의 HMR 브랜드 표적 소비자에게 집중마케팅해야 한다. 둘째, 기업은 MZ세대 선호의 경제 HMR 브랜드를 고려해야 한다. 즉, HMR 브랜드는 합리적 가격과 병행하여 양질의 HMR 메뉴개발에 투자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HMR 브랜드의 가치(안전, 사용, 선택)는 브랜드 충성도를 유발한다. 기업은 표적시장 MZ세대를 위해 장소(유통), 시간(24시간), 소유(사용 편의), 지각(브랜드 선택), 가치(안전)의 거래장애요소를 해결할 마케팅이 필요하다.

      • KCI등재

        HMR 시장의 성장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감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such as urbanization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increased participation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progress in aging and informatization, and increased human mobility and resulting changes in lifestyle and value are changing existing values related to eating.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prepare a strategic response to the rapidly growing HMR market. In this study, it began with a second look back on the HMR industry, which has so far been growing, and agonizing over where the nation's HMR industry is and where to go in the future. Ultimately, the nation's HMR industry will not be able to stay at home alone, and such as the globalization of Hansik, Korea's HMR industry needs serious thought and reflection at this point in order for it to become available globally. In this study,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related data on policy resear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rough this analysis, strategic measures were prepared and presen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HMR markets, find problems, and solve them through the market analysis of existing HMR markets. 소득수준의 상승, 도시화, 식품가공기술과 유통기술의 발전, 핵가족화, 1인가구의 증가 등 가족구성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고령화 및 정보화의 진전과 인간의 모빌리티의 증대, 이로 인한 라이스타일과 가치의 변화 등은 식생활 관련된 기존의 가치관을 바꾸어가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HMR 시장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성장을 거듭해온 HMR산업에 대해 다시 한번 뒤돌아 보고 우리나라의 HMR 산업이 어디에 와 있으며, 앞으로 어디로 가야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HMR 산업이 국내에만 머무를 수는 없을 것이며, 한식의 세계화와 같이 한국 HMR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기 위해서는 이 시점에서 진지한 고민과 반성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논문 및 정책연구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우리나라 HMR 시장분석을 통해 HMR시장 변화의 특성을 파악해보고 문제점을 찾아 이를 해결하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간편식(HMR) 시장의 현황과 해결방안 연구

        이윤정(Lee, Yun-Jung),김윤경(Kim, Youn-Kyeong),윤예리(Youn, Aye-R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5

        최근 식품・외식산업에서 가장 급속하게 성장·분화하고 있는 영역은 바로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이다. 선행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며 각종 정책자료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평가하고, 식품·외식산업 관련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HMR의 현황과 이슈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HMR이 부상하게 된 기반에는 네트워크와 공유경제의 확산, 산업과 시장에서의 스마트화, 코로나-19 등 새로운 환경이 조성된 점과 식품・외식산업 간 융합의 가속화 등 푸드테크(Food Tech), 밀키트의 확대, 케어푸드(Carefood)로의 분화 등이 주요 이유이다. 이러한 HMR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포장과 저장, 가공기술을 위한 R&D와 소수 생산 대기업의 독과점, 납품 유통업체의 불공정 관행,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안정적 원료수급 확보의 어려움 등이다. 따라서 HMR 관련 공정한 정부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HMR 상품은 대부분 1회용 식품 용기・포장인데, 이것의 감소 방안과 재활용 및 친환경 포장재의 활용률을 높이는 환경보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HMR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보건·안전관리의 강화와 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도 시급한 과제이다. 온라인유통 식품 관련해서는 제조와 포장, 배송과 배송 종사자 관련 안전관리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식품안전 사고 예방과 식중독 등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음식·식품산업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만남인 푸드테크 시장에서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대체식품 개척이다. HMR은 온라인을 통한 유통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근거와 관리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면 HMR의 활성화는 새로운 고용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물론 창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most rapidly growing and differentiated area in the recent foodservice industry is HMR(Home Meal Replacement). The basis for the rise of HMR is the spread of networks and the sharing economy, smartization in industries and markets, the creation of new environments such as COVID-19, and the acceleration of convergence between food and foodservice industries. The main reasons are the expansion of kits and differentiation into Carefoo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HMR market, various problems are appearing. First of all, R&D for packaging, storage, and processing technology, monopoly of a small number of large companies, unfair practices of suppliers and distributors, and difficulties in nurturing related experts and securing stable raw material supply. Therefore, fair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HMR are necessary. In addi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measures that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recycling and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should be prepared.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prepare measures to protect consumers. If these problems are resolved, it is expected that the revitalization of HMR will create new jobs and job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s.

      • KCI우수등재

        2019년 식품소비행태조사를 이용한 국내 가구의 외식 빈도와 HMR 구매빈도의 영향 요인 분석

        서선희,임수연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household’s dining out frequency and HMR purchase frequency.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on dining out and HMR consumption behaviors between heavy diners and heavy HMR purchasers. This study used 3, 300 household data of 2019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which is conducte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dining out frequency and HMR purchase frequency. The results found that dining out frequency and HMR purchase frequency increased as the respondents were younger, spent more dining out expenses per month, and had less number of meals eaten alone. Especially, the less number of family members eating together, the more frequent dining out. Heavy diners and heavy HMR purchasers were defined as households that dine out with their family more than 2~3 times a week and purchase HMR more than 2~3 times a week. When compared the differences on dining out and HMR consumption behaviors, both groups dined out to enjoy delicious food and chose the taste of food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Compared to heavy diners, heavy HMR purchasers had more family members who dine together. Heavy diners showed higher expense for dining out than heavy HMR purchasers. This study suggests the competition between restaurant and HMR product will intensify and products with good value for money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는 최근 외식산업에서 확장 추세에 있는 가정 간편식(HMR) 구매 빈도와 가족과의 외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외식을 자주하는 가구와 HMR을 자주 구매하는 가구의 외식과 HMR 소비 행태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주구입자용 설문과 성인용 설문을 모두 응답한 총 3300 가구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외식 빈도와 HMR 구매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평균 외식 지출 비용이 증가하고 혼자 식사하는 횟수가 적고 식품 주 구입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외식 빈도와 HMR 구매 빈도가 증가하였다. 함께 식사하는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외식 빈도가 증가하였고 가족과 외식하는 빈도가 감소할수록 HMR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가족과 주 2~3회 이상 외식하는 가구를 외식 고빈도 가구로 정의하고 HMR을 주 2~3회 이상 구입하는 가구를 HMR 고빈도 가구로 정의하여 외식 및 식품 소비행태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외식 고빈도가구와 HMR 고빈도 가구 모두 공통적으로 맛있는 음식을 즐기기 위해 외식을 하고 음식점 선택 시 음식의 맛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응답하였다. 외식 고빈도 가구에 비해 HMR 고빈도 가구의 함께 식사하는 가구원 수가 많고 가족들과 배달 또는 테이크 아웃 음식으로 식사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식 고빈도 가구는 외식 지출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외식과 HMR 시장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외식과 HMR 상품 그리고 HMR 상품 간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가성비’ 좋은 상품을 개발하고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