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대학의 국제화 교육 실태 분석: 국내 대학의 쌍방향 국제화 환경 분석

        김현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South Korea to study has been increasing exponentially in recent years. There are a few reasons why. First, the South Korea government, unhappy with the imbalance between the number of outgoing Korean students and that of incoming foreign students, initiated an aggressive foreign student recruitment plan, titled ‘Study Korea Project’ in 2005. Also the Korean wave, an intensifying global interest in South Korean cultural products, redefined the image of the country. In addition, the global presence of Korean companies has emphasized South Korea is a country to learn from for the young people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s not quite ready to take in a dramatic influx of foreign students. Many universities, surprised by the larg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modifying administrative systems in order to meet with their needs. Unfortunately, they are barely keeping up with the increasing need. It is also a problem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foreign students come to South Korea with inadequate Korean skills and poor cultural orientation.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many universities in South Korea may not be welcoming for foreign students. Many Koreans, lecturers as well as students, have a limited cultural experience with foreigners. Therefore they sometimes make foreign students uncomfortable due to their lack of cultural sensitivities. Luckily, some institutions take innovative approaches in educating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and have started to generate remarkable outcome. Courses only open to foreign students relieve huge academic pressure by having them avoid competing with Korean students for grades. Some courses, providing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society, are open in several universities and are evaluated highly by international students. Some institutions, by having Korean students mentoring international students, promote 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parties. In this article, the reasons of rapid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nd the obstacles foreign students are experiencing in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are overviewed. Also what efforts Korean universities put into in order to maximize educational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re explained with examples. 최근 한국 대학으로 유학을 오는 외국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교육수지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한 Study Korea Project의 영향과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한류의 바람 그리고 경쟁력 있는 한국 기업들의 세계적 명성 확보로 한국이 매력적이고 배울 점이 많은 국가로 인식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한국의 고등교육 환경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는다. 우선 현지 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유학생들이 있고 한국 대학들도 순발력 있게 제도적 보완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있다. 그리고 대학생활을 하면서 만나는 일부 한국인 학생들이나 교수자들이 제한된 국제화 경험으로 인해 문화적 감수성 없이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여러 한국 대학들이 제도적 개선 및 외국인 유학생만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학생들도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고 이상적인 한국 유학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자생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한국 대학들이 빠른 속도로 국제화 되고 있는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들이 어떤 어려움을 느끼는지 진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한국의 대학들이 외국인 유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한국 학생들은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늘어나는 외국인 학생들을 통해 한국인 학생들도 함께 어울리며 캠퍼스 내 국제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나 교육 프로그램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분석

        노은미,이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4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수가 2022년에 16만 명을 넘어섰으며,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적극적인 유치 정책에 따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질적 관리가 필요해졌으며,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위 과정 이후에도 국내에 잔류하여 취직하기 원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도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분석을 위해 구직역량, 한국문화적응, 취업준비활동을 조사도구로 채택하여 A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위과정별 구직역량에 대한 t-검정,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종합할 때, 학위과정에 따라 구직역량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척도는 학사 및 석·박사 모두 한국생활문화이해 항목이 높게 나타난 반면, 한국어활용은 학사와 석·박사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준비활동에서는 학사 및 석·박사 모두 학력, 한국어, 영어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으며, 구직을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비자문제해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t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xceeded 160,000 in 2022, and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active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tering Korea increased, qualitative management of them became necessary, and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ncreased as more foreign students wanted to stay in Korea and get a job even after their degre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attending domestic universit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ies. To analyze the career education needs of foreign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Korean culture adaptation, and job preparation activities were adopted as survey tool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en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foreign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the priority of employment competency differed depending on the degree process. Second, while both bachelor's and master's and doctorate's understanding of Korean life culture was high, the use of Korean langu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chelor's and master's and doctor's. Third, in the job preparation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background, Korean, and English ranked high in both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and the most necessary thing for foreign students to find a job was to solve the visa problem. Final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주월랑,강병헌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Adaptation to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Woalrang Ju & Byounghoun Kang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es handling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by setting up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as a main factor in researches on the adaptation to Korea of foreign students. Through thi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Korea in the future.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otal 52 theses in journals suitable for this study, by searching ‘foreign student’, ‘adaptation’, and ‘Korean language’ at RISS in the early June 2021. After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each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heme was conducted.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ly targeting the researches explicitly 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analysis in each year, the researches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were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method, most of the researches preferr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the researches on foreign students showed discussions in the category of adaptation in the early stage. Recently, however, it tended to be subdivided into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ultur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es that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despite some differences in each researcher, generally, the Korean proficiency had effects on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required for foreign students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tandard of Korean proficiency that should be reached during the period of university enrollment after entrance, and lastly to develop some extracurricular courses helpful for cultivating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Key Words: Foreign Students, Adaptation, Korean Proficiency, Correlation, Trend of Researches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주 월 랑*ㆍ강 병 헌** 요약: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 연구 중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여,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21년 6월 초에 RISS에서 ‘외국인 유학생’, ‘적응’, ‘한국어’로 검색하여, 본 연구에 부합하는 학술지 논문 총 52편을 선정하였다. 이후 연도별, 연구 방법별, 연구주제별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의 상관성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연구만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분석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적응 연구는 해마다 점차 증가하였다.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대부분 양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외국인 유학생 연구는 초기에 적응이라는 범주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학 생활 적응, 문화 적응, 학업 적응으로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 간의 상관성을 밝힌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자마다 그 차이가 존재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이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입학 기준으로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을 상향 조정하는 것, 입학 이후 대학 재학 기간에 도달해야 하는 한국어 능력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비교과 과정을 개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외국인 유학생, 적응, 한국어능력, 상관관계, 연구 동향 □ 접수일: 2021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성균관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SungKyunKwan Univ., Email:moon4005@hanmail.net)** 교신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Univ. of Seoul, Email: clement.bh.kang@gmail.com)

      • KCI등재

        재한외국인 유학생의 갈등 해소를 위한 교회의 실천방안

        박진우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6 No.1

        우리나라의 저출산으로 인해 대학교의 재학 충원율이 저조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한 재정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을 중심으로 재한외국인 유학생의 유치에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근 재한외국인 유학생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한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달리 재한외국인 유학생은 한국 대학생의 편견과 차별로 인해 다양한 심리·사회적 갈등에 노출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건강한 삶에 있어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본 고는 재한외국인 유학생과의 면담내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그들의 갈등 해소를 위한 교회의 다양한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 인천 소속 대학의 재한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특징은 몽골인 2인, 중국인 2인, 베트남 2인이고, 남성 대학생 1인, 여학생 5인이며, 연구방법은 참여자의 갈등경험에 관한 탐색이 가능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에 관한 분석 결과 “한국을 동질감으로 인해 선택했으나 차별을 당함”, “한국생활에 어려움을 경험함”, “사회적 관계로 인한 감정 변화가 생김”, “삶의 태도가 바뀜” 등의 4개의 대주제가 확인되었으며, 8개의 주제 모음, 20개의 소주제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회의 실천방안은 첫째, 한국 대학생과 재한외국인 유학생의 만남의 장으로서의 교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둘째, 교회를 중심으로 재한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편견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재한외국인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갈등 해소를 돕는 상담의 장으로서의 교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회의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재한외국인 유학생이 직면한 심리·사회적 갈등이 해소되고 그들의 적응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불어 이러한 교회의 다양한 도움을 경험한 재한외국인 유학생이 귀국 후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는 선교사적인 역할 또한 기대해 본다. The university enrollment rate is showing the declining aspect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of our country. Our country is making active effort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 Korea centering on universitie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herefore,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has also been increasing recently. However, unlike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foreign students in Korea are exposed to va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because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Korean students. Therefore, the role of churches of practicing the love of Jesus appears to be important i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their health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implementation measures of church to resolve conflict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interviews.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a university in Incheon from June to September 2019.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 Mongolian, 2 Chinese, and 2 Vietnamese of 1 male and 5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exploring conflict experi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4 major topics as “chose Korea out of a sense of homogeneity but got discriminated,” “had a hard time living in Korea,” “experienced emotional changes due to social relations,”and“a change of attitude towards life” were identified and 8 collections of topic and 20 subtopics have been identified. First, for implementation measures of chu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hurches need to play a role as a meeting plac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Secondly, churches need to put effort to improve prejudice against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rdly, the role of the church as a counseling center for resolving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of foreign student studying in Korea is needed. This study on implementation measures of church wishes to provide help in resolving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faced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to help them to adjust their life in Korea. Moreover, this study expects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kinds of help from this church to play a missionary role who conveys the love of Jesus after returning to their country.

      • 외국인 유학생 학교적응 지원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 - 시안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를 중심으로 -

        김규식(Kyusik Kim)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3 No.-

        Despite the fact that the school adjustment support counseling service focusing on stress coping and emotional support for foreign students can help a lot in school adjustment after entry of foreign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given the reality of domestic universities lacking adequate counseling programs to help them,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djustment counseling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adjustment is urgent.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a pilot program conducted for foreign students at our universit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follow‐up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university adjustment support counseling. The contents that foreign students appeal about school adjustment include loneliness (absence of close friends, nostalgia for hometown, lack of emotional support),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difficulty in food, communication, weathering, lack of information), economic difficulties (lack of living expenses, school fees, etc.), and limitations of language skills (Korean proficiency and use, English proficiency), and because these factors can be a major cause of the stress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in their university adjustment process in Korea, the target of the school adjustment support counseling program is foreign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into Korea who are most likely to experience heavy stres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djustment support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recognition and integration of cultural diversity’ to Korean students/faculty/staff with a theoretical rationale. It was because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Koreans toward foreign students is very important to the health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The goal of this school adjustment support program is to manage foreign students’ stress and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the format of the program was four type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group counseling, cultural experience, and special lectures. For education of moderators (or counselors) who run the program, this study covered the area of sensitivity to multiculturalism and that of counselor’s professionality. In the course of counselor’s counseling, the sensitivity area, specifically consists of things related to the competence to see through and exclude elements of inequality, such as oppression, discrimination, and the coercion or disregard of specific cultures that clients may experience. The sub‐areas of professionality are qualifications related to counseling, experience of counseling in foreign students, and supervision of specialists on relevant counseling cases.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

        이천문(Li, Qian-Wen),이일용(Lee, Il-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세계 각국이 외국인 유학생 교육 사업을 국제교육경쟁력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ㆍ관리를 위해 여러 정책을 제시하였지만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을 문제점, 공통점, 차이점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중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 자료들을 선정하여 입학 전, 재학 중, 졸업 후 세 단계로 나눠서 비교분석 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교육사업의 실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시대에 맞는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중국은 대학홍보를 위한 국가차원의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전체 외국인 유학생에게 교육ㆍ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 교육의 질 관리를 전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의 감독 체제를 마련해야 하며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panding and managing policies to foreign students in China and Korea so as to draw suggestions of improving Chinese policies. This research selects current 8 Chinese and 7 Korean foreign student policies, and divides the education of foreign students into three stages, i.e. pre-enrollment, mid-study and post-graduation, to carry out th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ference of Korean policies of expand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draws following suggestions to Chinese policies. 1. Grasping the actual situations of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Chinese government should update the policies of expand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at an appropriate moment. 2. Chinese government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publicity of Chinese universities. 3. The objects of policy does not limit to a part of foreign students, and the objects of policy should strive to face whole foreign students. 4. The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in an all-round way. 5. The supervision system and standards of policies for expand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must be formulated.

      • KCI등재

        외국인가정 자녀의 학교교육 실태와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설규주(Seol Kyu j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가정 자녀 위주로 구성된 특별학급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외국인가정 자녀를 위한 학교교육의 현실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S 초등학교 특별학급의 수업을 관찰하고 특별학급 및 협력학급 담임교사, 원어민 강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특별학급 수업에서는 구성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의 개별 지도와 상황 맥락적인 대응이 많이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수업이 진행되었다. 특별학급 담임교사는 특별학급 교사로서 자부심과 아쉬움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외국인가정 자녀의 급속한 유입 및 동료 교사와의 협력적 관계 미흡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협력학급 담임교사는 외국인가정 자녀에 대한 학습 지도의 어려움을, 외국인 강사는 시간제 근무 환경의 어려움과 비효율을 주로 언급하였다. 외국인가정자녀를 위한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국인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관점과 방향의 전환,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 강화를 위한 원어민 강사지원, 교육 당국 수준에서의 외국인가정 자녀용 수업 보조 자료 개발, 외국인가정 학생을 위한 기초교육 전담기구 운영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ase of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which are composed mainly of foreign workers’ childre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schools to educate them more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classroom observations on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assistants were conducted in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shows that teachers have been found to use personalized teaching and contextual responses in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The atmosphere of the instruction is free in general.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have both pride and difficulty in caring for the students. They sometimes feel stressed because of a lack of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 teacher in charge of a class composed mainly of Korean students has trouble in instructing the foreign-born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speaking Korean. The language assistants who help the teachers and foreign-born students with the students’ native language pointed out the inefficiency of the part-time job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foreign-born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ospective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them. More support for the language assistants is also needed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for foreign-born students as well as establish and manage a new institution that will assume full charge of the basic education for the foreigners’ children.

      • KCI등재

        홀리스틱교육에 기초한 다문화캠퍼스에서 외국인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실태분석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연구: 서울 K대학을 중심으로

        오재연,남민우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21세기 대안적 교육패러다임인 홀리스틱교육의 시각에서 외국인 학생들의 교육․생활 실태와 문제점, 애로사항 등을 진단해 보고, 교육 및 생활적인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외국인 학생들은 유학생활 초기에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기숙사 입주를 선호하였으며, 한국친구와의 대인관계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유학생활에 필요한 정보는 먼저 유학 온 친구나 선후배들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거나, 홈페이지 또는 가이드북 등의 정보채널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외국인 학생들이 유학생활 중 느끼는 애로사항은 한국어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나 공부에 대한 어려움 또는 중압감, 한국 음식문화에 대한 부적응 등의 일부 사례에서 다소 애로사항을 느끼고 있었으며, 유학생활 중 주요 상황별 도움 필요도는 유학형태별로 학부 유학생은 학업 과정상의 도움이, 학부 교환학생은 한국어 습득에 관한 도움이 보다 절실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생활 만족도에서 언어교육원 연수생은 의료생활 영역에서, 학부 교환학생은 음식문화 측면에서, 학부 유학생은 수업 및 학업성취 영역에서, 대학원 유학생은 여가생활 부분 등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한국 학생들과의 친목 교류 프로그램, 한국 문화체험, 외국인 학생을 위한 아르바이트 및 취업 정보 서비스 등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ive ways to support the foreign students in multicultural campus based on holistic education gradually changed by the effort for globalization of colleges by examining the status,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life and learning of foreign students and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on learning and living.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foreign students preferred to live in a dormitory for stable settlement at the beginning when they started learning in Korea. Th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Korean friends are not sufficient. Second, the foreign students got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learning in Korea from the friends in the similar situations who started learning in Korea earlier than them. In addition, the main channels to get information includes homepages or guidebooks. Third, the foreign students in Korea felt the most serious difficult in communication due to the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Some of students felt difficulty in learning, a sense of oppression and in adap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food. Fourth, for the demands of help by major situation during learning in Korea, the urgent demand of foreign undergraduates was the help for learning program and that of exchange students was the help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Fifth, in the analysis on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on learning in Korea, the students in language institutes showed lower satisfaction on medical service, the exchange students in colleges on food culture, the students in colleges on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tudents in graduate schools on the leisure activity. Finally, the foreign students had the high demand in friendship programs with Korean students, Korean culture experience and part-time jobs or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foreign students.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융합 수업 개발 기초 연구

        공하림,김윤희 한성어문학회 2022 漢城語文學 Vol.47 No.-

        This study proposes the operation of convergence classes needed to cultivate the basic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lores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the major-Korean convergence classe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urriculum that fosters and strengthen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ajor competence during the academic period. Although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for foreign undergraduates who have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the number of TOPIKs is usually intermediate. 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by many preceding researchers that there is som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ajor course of the university in the unpaid. 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by many preceding researchers that there is som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ajor course of the university in the unpaid. The difficulty of major mathematics may be the cause of foreign undergraduates to give up their studies in the middle.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jor-Korean convergence class design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the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basic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help students successfully study major lectu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jor vocabulary books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use of blended learning. Due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ona, the experience of blended learning of domestic and foreign learners is being accumula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domestic undergraduate and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o be able to produce active academic discourse together, fusion education for strengthening Korean communication capac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local universities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cultivating understand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performing major tasks self-directedly.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의 전공 기초 이해 역량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전공-한국어 융합 수업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여 융합 수업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부생의 경우, 학업 기간 동안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과 학과 전공 역량을 함양해 나가도록 교육과정이 설계된다. 국내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부생은 보통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 정도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을 가지고 있다. 혹은 무급(無及)인 경우도 대다수 존재하여 대학의 전공 과정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전공 수학의 어려움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과 전공 기초 이해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전공-한국어 융합 수업 설계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적용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전공 학습을 위한 기초 어휘집 개발과 체험형 전공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이 함께 어울려 활발한 학문적 담화 산출을 할 수 있도록 이를 위한 전공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과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전공-한국어 융합 교육 등의 설계와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학부생들의 전공 강의 이해 역량 함양과 자기주도적으로 전공 과제를 수행해 내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탐색 척도 개발 및 실태분석: J대학 사례

        최태진,백유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6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niversity school life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Based on these factors, it also aims to construct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adjustment levels and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aid adjust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129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21 professors of such studen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maladaptive behaviors or lifestyle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as perceived by professors include life factors such as finance and academic factors such as academic degeneration along with dating and relationship problems. Additionally,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anxiety, depression, etc.) were extracted as sub-factors of the university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se students through literary studies. These sub-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life, academ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survey in the life, academ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domains show that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factors, academic factors, and anxiety. For example,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abroad showed high levels of life concerns and academic problems. With respect to physical health,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showed high smoking rates while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abroad showed low vaccination rates. Overall, the mental health (e.g. anxiety, depression, etc.) levels were good, but students studying abroad for less than a year experienc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s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since they provide the base material to improve the effective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