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중학교 사회/도덕군 적용 과정 및 실태 분석

        설규주 ( Kyu Joo Seo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중학교 사회/도덕군 수업에 적용되는 과정과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학교 2곳을 선정하여 사회과, 도덕과 수업을 관찰하고 관련 당사자들과의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학교에서는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집중이수제 시행을 규정한 총론에 대한 불만을 적지 않게 표현하였다. 특히 사회과, 도덕과 교사들은 교과 수업의 본질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학습자 발달 수준과 괴리되어 있다는 점 등을 많이 지적하였다. 교육청 관계자도 대체로 이와 유사한 입장을 보였다. 한편, 교육부 관계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에 충분히 안착되지 못한 원인을 현장의 인식 개선 미흡과 변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관행에서 더 많이 찾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당국의 독주보다는 교육 주체들과의 협력과 소통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이 교육 외적 변수보다는 학습자에게 유익이 돌아가도록 한다는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총론 시행 과정에서 각론이 희생되지 않고 각 교과의 본질적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정 및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to search for its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For this purpose,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wo middles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supervisors and students in each school are displeased with the generalities of the 2009 curriculum, especially with the intensive course-taking which does not reflect the actualities of schools. Social studies teachers and moral education teachers in particular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intensive course-taking citing that it can hinder reaching the goal of each subject and that it does not reflect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of students. Officials in the office of education share those views. On the other hand, an official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2009 curriculum and the tendency of teachers and students not to accept changes well in school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future curriculum, clos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each party of education are needed. It is also important to stick to the principle that the revisio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made in ways beneficial to students above all and to make efforts to help achieve the essential goals of each subject when revis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 KCI등재

        외국인가정 자녀의 학교교육 실태와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설규주(Seol Kyu j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가정 자녀 위주로 구성된 특별학급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외국인가정 자녀를 위한 학교교육의 현실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S 초등학교 특별학급의 수업을 관찰하고 특별학급 및 협력학급 담임교사, 원어민 강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특별학급 수업에서는 구성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의 개별 지도와 상황 맥락적인 대응이 많이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수업이 진행되었다. 특별학급 담임교사는 특별학급 교사로서 자부심과 아쉬움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외국인가정 자녀의 급속한 유입 및 동료 교사와의 협력적 관계 미흡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협력학급 담임교사는 외국인가정 자녀에 대한 학습 지도의 어려움을, 외국인 강사는 시간제 근무 환경의 어려움과 비효율을 주로 언급하였다. 외국인가정자녀를 위한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국인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관점과 방향의 전환,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 강화를 위한 원어민 강사지원, 교육 당국 수준에서의 외국인가정 자녀용 수업 보조 자료 개발, 외국인가정 학생을 위한 기초교육 전담기구 운영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ase of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which are composed mainly of foreign workers’ childre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schools to educate them more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classroom observations on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assistants were conducted in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shows that teachers have been found to use personalized teaching and contextual responses in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The atmosphere of the instruction is free in general.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foreign-born students’ classes have both pride and difficulty in caring for the students. They sometimes feel stressed because of a lack of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 teacher in charge of a class composed mainly of Korean students has trouble in instructing the foreign-born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speaking Korean. The language assistants who help the teachers and foreign-born students with the students’ native language pointed out the inefficiency of the part-time job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foreign-born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ospective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them. More support for the language assistants is also needed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for foreign-born students as well as establish and manage a new institution that will assume full charge of the basic education for the foreigners’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경인지역 초등교사와 교생의 교육실습 운영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설규주(Seol, Kyu Joo)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6 기전문화연구 Vol.33 No.-

        초등교육의 내실화와 예비교사교육에서의 현장성 강화를 위해 경인교육 대학교에서는 교육실습 체제를 확대 ․ 개편하여 실시하고 있다. 새로운 실습체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현행 교육실습 제도와 운영실태, 실습환경등에 대해 관련 당사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에서 지도교사와 교생들은 실습을 통해 얻는 보람과 변화에 대 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볼 때, 교육실습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요구됨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업실습에서 교생의 아동지도능력, 아동과의 관계형성 등과 관련한 영역을 보다 강조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생의 수업에 있어서 ‘해당 수업의 목표에 충분히 도달하였는가’를 늘 염두에 둘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습학교 지도교사의 질과 사기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실습에서 교대의 역할과 비중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Gyoung-In NUE is putting in effect a new student teaching system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o reinforce the field actuality of education for teachers-to-be. Two surveys in this paper present the perception of cooperating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bout the ongoing system. Their responses are generally positive, but there are some indications of troubles and improvement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s, some idea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tudent teachers ability to guide the children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in student teaching. Second, it is important to teach student teachers always to have in mind if their instructions achieve the aim of it. Third, it is requested to enhance the quality and the morale of the cooperating teachers. Fourth, it is needed that GINUE should take more roles and proportions in student teaching.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의 패턴 고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설규주(Seol Kyu J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4

        사회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핵심은 곧 수업 전문성이며 그것은 ‘좋은 사회수업’으로 나타날 수 있다. 좋은 사회 수업은 결국 효과적인 사회수업, 다시 말해서 사회과가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하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사회 수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 하는 내용교수 지식의 활용은 물론, 사회과의 본질 및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을 때에 비로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파악하기 위해 초등교사와 교생의 사회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을 찾아보았다. 대체로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는 동기유발과 짧은 질문 및 답변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매체 활용 및 학생활동의 비중이 높았던 데 비해, 사회과의 내용과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는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패턴은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한 단면일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효과적인 사회과 수업에 대한 오개념을 고착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사회과 수업 컨설팅 노력이 필요하다. The core of specialty for social studies teachers is instruction specialty, which is revealed as 'good social studies instruction'. It can be paraphrased as effective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is to say, an instruction which achieves the aim of social studies. This is possible only with both PCK, the knowledge about how to teach the contents effectivel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study included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nd searched some patterns in them in order to grasp the instruction specialty. There are frequent induction of learning motivations of students and questi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s. And on the one side, it seems that they use the various classroom appliances and student activities. On the other, it is likely that they are somewhat short of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social studies and the contents of instruction. These patterns can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instruction specialty, but can fix the misconception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meet these matters, there must be continuous consult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설규주(Seol Kyu J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2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은 사회과 수업을 이끌어가는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이것은 사회과 목표에 대한 지식, 사회과 내용 지식,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지식, 사회가 평가 지식, 사회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에 대한 지식, 사회과 수업 환경에 대한 지식 등이 총체적으로 발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 수업관찰과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체로 초임교사는 철저한 기획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회 수업을 이끌어가고 있었고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면에서 화려한 재구성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경력교사의 사회 수업은 다소 느슨하게 구조화되어 있었으며 교수학습방법 측면보다는 내용 중심의 재구성이 많이 나타났다. 두 교사는 모두 사회과교육과 관련한 각자의 독특한 경험과 취향, 인식, 배경 등이 모태가 되어 만들어진 고유한 내용교수지식을 발휘하며 사회과 수업을 이끌어가고 있었다.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은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발전할 여지가 있는 것이므로, 자신의 내용교수지식 속에 들어 있는 약점을 다른 교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통해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Social studi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s one of the essentials for enhancing the specialty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knowledge is a whole set of knowledge for aim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students, and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cial studies PCK works in the instructions of a beginner and a career teacher by instruc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A beginner teacher leads her social studies instruction according to her original lesson plan and shows her splendrous reconstruction in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n the other hand, a career teacher's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relatively less structurized and she has a tendency to reconstruct content af her instruction rather tha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wo teachers give their instructions to their students displaying each own social studies PCK which is based on each own unique experiences, inclinations, knowledge, backgrounds etc. It is needed that they should try to conquer the weakness of their social studies PCK by the help of the strength of other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의 교수학습매체 활용실태 분석

        설규주 ( Kyu Joo Seo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3

        The use of teaching-learning media is now increasing as contents and methods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hich is remarkable in elementary school level. This study aims to make an critical inquiry into how they are use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e inquiry are as following: First, the use of digital media is increasing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Secon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tend to make much use of media such as in motivation or summary, which is not in the main process. Third, the use of media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and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ubject. Fourth, there is an disagreement of the effect of the use of media. Some efforts are needed for more effective use of media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begin with, it is important to settle the sound view of media. And teachers have to endeavor to reconstruct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media.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cultivate competency to use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칸트 도덕 철학에서의 도덕적 지식과 행위의 문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설규주(Kyu Joo Seol)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2 시민교육연구 Vol.34 No.1

        An authentic moral life can be achieved through both moral thinking and moral practice. Of course, a large number of people `know` what the moral life is, but they don`t carry it out `in practice`. Now, we can divide in two the moral philosophers` views on the problem of moral knowledge and moral action. There is standpoint that moral action is derived from moral knowledge, which has its origin in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In this case, one can regard moral action as dependent variable of moral thinking and judgment and as a by-product which is naturally developed in proportion to the cultivation of reason. But, other philosophers think that moral knowledge is one thing and moral action is another. They contend it is not necessary implicated that moral reasoning of belief of recognition itself causes a powerful motivation for moral practice. It seems that Kant considers the problem of knowledge and action as that of will and action. This position is different from those two schools above. For Kant, man as precognitive being has `pure` reason, not mere reason. Pure reason is that which is practicable through moral commandment, in other words, which can be a `real motive(=cause)` of will by categorical imperative. So, man is able to put a morally good action into practice owing to this pure practical reason. It can be said that Kant arranged morality in the dimension of free and pure `will` since pure reason and will are the same thing for Kant. The human act is not only based on simple rational judgment, to say nothing of on emotion and passion. Instead, all of significant human acts, which can be the object of moral valuation, `is really carried out` by will. That is, object of moral valuation is the will which always prescribes and realizes moral action. Hence, it is possible we understand that Kant replaced the proposition Knowledge leads to action for Will leads to action. But, Kant has some disadvantages in that his position also stands on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That is to say, mere good will cannot be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moral action. Thus, for us to lead to moral action, not to remain only recognizing what is right as duty, three complement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First, we can pursuit moral action with just resul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interest of the disadvantaged. Second, we can derive moral action by making use of restricted heteronomy as far as its not getting out of the aim and the method of common sense. Third, we can bring out moral action by utilizing both sympathy and rationality as resources, which stimulate and check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