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관련 변인

        박인주,김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nvironmentally-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ried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and to verify the specific variables that affect such behavior. Seven elementary schools in Siheung-Si, GyeongGi-Do Province schools were chosen for purposive sampling. A total of 28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the 352 distributed, and 250 of them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statistical software. Some of the primary statistical methods applied in this research included frequency and description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ctual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eachers with profound knowledge in eco-friendly consumptio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eachers with less knowledge. Second, teachers with a lot of environmental experience scored higher on eco-friendly attitude than their inexperienced counterparts. Third, those holding strong normative beliefs about environment also scored higher on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while others with weak beliefs scored low. Fourth,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knowledg about eco-friendly consumption itself, experience of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environmental beliefs, respectively. Fifth, the effects of variables on eco-friendly consumption were the strongest with knowledge, experience and beliefs in order.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33.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환경 친화적 소비 행동과 이에 관련되는 변인들을 구명하여 교사들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초등 교사들의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과 환경지식, 규범적 신념, 환경활동 및 교육적 경험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교사들보다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활동 경험이 많은 교사들이 환경 활동 경험이 적은 교사들보다 환경 친화적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에 대한 규범적 신념 수준이 높은 교사들이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규범적 수준이 낮은 교사들은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 점수가 낮았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과 관련변인들의 상관관계는 환경 친화적 소비에 대한 지식정도, 환경 활동 및 교육 경험, 규범적 신념과 각각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환경 친화적 소비에 대한 지식,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 규범적 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성인 여성의 의류 리폼에 대한 환경친화적 신념과 구매의사 간의 관계에서 패션 관심도와 태도의 조절 효과

        교수연,조정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1

        환경친화적이라는 용어는 친환경적 또는 환경에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물과 에너지 와 같은 자원을 보전하는데 도움을 주는 녹색생활에 기여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의류 리폼 제품은 의류가 일으킬 수 있는 오염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을 보존하는데 기여한다. 개인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실질적 으로 개인들로 하여금 환경친화적인 태도와 행동을 이끌어낸다. 본 연구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이용하여 중국 성인 여성의 환경친화적 신념, 의류 리폼에 대한 태도, 패션에 대한 관심도, 그리고 리폼 제품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과 중국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 380명이며, 이들은 온라인 설문조 사를 통해 선정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성인 여성의 의류 리폼에 대한 태도는 환경친화적 신념이 리폼 제품의 구매의사에 대한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류 리폼에 대한 환경친화적 신념과 태도 간의 관계는 패션에 대한 관심도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성인 여성의 의류 리폼에 대한 태도와 리폼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 간의 관계는 패션에 대한 관심도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성인 여성의 의류 리폼에 대한 환경친화적 신념은 패션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여성들일수록 높은 구매의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 성인 여성의 의류 리폼에 대한 환경친화적 신념과 태도 및 의류 리폼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며, 개인의 패션에 대한 관심도가 조절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Eco-friendly literally means earth-friendly or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This term most commonly refers to products that contribute to green living or practices that help conserve resources like water and energy. Eco-friendly clothing helps preserve the environment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llution they could produce. Individual concern about environmental issues actually leads individuals to engage i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behaviors. Using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friendly belief, attitude toward clothing reform, fashion concerns, and purchase intention. Participants were 380 Chinese female adul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 web-based survey. The research administrated measure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eco-friendly beliefs, attitude, fashion concerns,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female adults’ attitude toward clothing reform partially mediated the contribution of eco-friendly belief on purchase intention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friendly belief and attitude toward clothing reform was not moderated by the level of fashion concern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clothing reform and purchase intentions was not moderated by the level of fashion concerns. Fourth, eco-friendly belief on clothing reform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toward reformed clothing among Chinese female adults with a higher level of fashion concern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friendly belief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reformed clothing among Chinese female adults and provide evidence for a distinct role of fashion concerns as a moderator.

      • KCI등재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차이 연구: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

        Jinok Susanna Kim,조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의차이를 검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소재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신입생 137명이다. SPSS 25.0을 이용하여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차이검증을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알아보았다. 연구변인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생태환경 교과목 필요도, 요구도, 중요도와 환경문제감수성,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는 미이수 신입생에 비해 이수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필요도, 요구도, 중요도와 환경문제 감수성,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생태환경 변화의 위기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친화적 환경교육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에 필요한 교과와 비교과 교육과정을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37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Using SPSS 25.0, the differenc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examin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tendency and normality of the study variabl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demand, and importance of ecological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howed higher with the students who completed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than who did not, which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cessity, demand, and importance of high school ecological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suggesting ways to practice eco-friendly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in a crisis of eco-environmental chang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esent the separate subject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curriculum which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친환경 대나무 섬유소재 브랜드 연구

        강형철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bamboo fiber, a vegetable material, can be located in the market and increase its scalability as a global resour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co-friendly fiber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s, and to find out whether to focus on limited resources. As a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organic fiber products of bamboo materials as empirical research in addition to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iterature, video materials, publications, and press releases. As most of human life is beco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demand for eco-friendly textile materials is expected to increase. If the lifestyle of consumers who purchase eco-friendly textile products is changing and personal consumption pursues safe products for their health, social consumption and value-oriented consumption not only think about their health but also the consumption base, or environment, that will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 international certification of eco-friendly textiles is certified by international organic clothing standards, which are strict in the entire process of hygiene, labor, wages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A other brand that uses eco-friendly materials and practices ethical fashion in Korea is receiving new ligh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domestic eco-friendly bamboo fiber companies were actively responding to problems such a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s, launching organic brands, manufacturing processes of organic cotton products,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tandards and institutions, and identifying problems in the domestic market. 본 연구는 환경오염 요인으로 친환경 섬유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식물성 소재인 대나무 섬유소재가 어떠한 방식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글로벌 자원으로서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지 살펴보고 한정된 자원을 투입할 것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 영상자료, 출판물, 보도자료 외에 실증연구로서 대나무소재 오가닉 섬유제조사 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인간생활 대부분이 친환경적으로 바뀌어 가면서 친환경 섬유소재의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 친화적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하고 있으며 개인적 소비가 자신의 건강을 위해 안전한 제품을 추구하였다면 사회적 소비, 가치 지향적 소비는 자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후대에게 물려줄 소비기반 즉 환경까지 생각한다. 친환경 섬유 국제 인증은 제조과정은 물론 공장이 위생, 노동, 임금, 환경 등 전 과정이 엄격한 국제 오가닉 의류 기준에 의해 인증된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국내 다른 브랜드는 제작과정에서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는 브랜드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연구결과 국내 친환경 대나무 섬유소재 기업은 친환경 소재의 R&D 연구개발, 면화와 어린이 캐릭터를 모티브로 영유아용 오가닉 브랜드 런칭, 개별 단계의 모든 공정에서 GOTS인증과 OCS인증 공장에서만 제품생산, 유기섬유 국제 인증 획득 및 갱신으로 세계 진출 모색, 국내 시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홍보마케팅 활용 등에 활용하는 등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융합적 에코키즈 마인드 기르기

        김경숙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2

        과학 기술의 발달은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함과 물질적 풍요로움을 안겨주었으나 자연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를 동시에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었지만, 환경문제는 빠른 시일 내에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다음 세대를 길러 내는 교육적 접근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래의 주인인 아이들 스스로 에너지 절약과 자연보호에 솔선수범하여 융합적 에코키즈(Eco-Kids) 마인드를 갖게 함으로써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책임감을 갖고 환경 보전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program utilizes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children themselves masters of the future energy savings and conservation initiatives in the Eco-Kids and Interface and Convergence Eco-Kids have the mindset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to live by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wer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in.First,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and allow you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nd auditory-related music and comics that can learn, eco-friendly activities using a variety of video by doing about the environment as a whole became interested and interesting.Second, the Eco-Kids positive for the environment through eco-friendly activities for the easy to understand and have confidence that you want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preciousness of nature and loves nature haeyagetdaneun TMPFS attitude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ction occurred.Third, the local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eco-friendly activities and home in connection with the home communications dispatch and related information website equipped with the same eco-experience promotion activities through the school, as well as in your home eco-friendly activities have an interest in sustainable eco-friendly attitude, cultivation was helpful .

      • KCI등재

        중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및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이옥순,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2

        In this stud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behavior related to dietar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yeongsa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tal of 49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and 445 of them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Ver 12.0. Percentages of students who checked 'don't know the answer' in 20 environmental knowledge assessment questions were 14.4~41.8%, and those who gave correct answer to those responded to know the answer were 40.1~93.3%. The average scor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3.45 and that of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was 2.9 out of 5. When dietary behavior wa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such as food purchasing, eating, and dish washing, the score of food purchasing behavior was 2.7, those of eating behavior and dish washing behavior were 3.0, 3.1,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nsciousness, but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 It showe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didn't always lead to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fore, education for practical behavior must be emphasized even though the knowledge and consciousness education on environment are important.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그리고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 학년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시도하였다.2004년 7월 경북 경산시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여 중학교 가운데 각각 1개 중학교를 편의 선정하여 이들 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1개 반씩 표집하였다. 총 490부의 질문지를 직접 배포수집하여, 이 가운데 44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과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환경에 관련된 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등 주로 미디어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둘째, 쓰레기 분리함은 학교와 거주지 모두 비교적 잘 설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재활용품의 수거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무공해상품이나 재생용품의 구입, 재활용이나 물물교환의 기회가 적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도 적고 환경보호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중학생들의 환경지식 측정에 사용된 20개 문항에 대한 분석결과, 인지도는 58.2~85.6%, 평균 77.2%이며, 정확도는 40.1~93.3%, 평균 75.2%이었다. 환경지식 점수는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이었다. 사회적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에 대한 정보를 2학년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2학년의 환경지식 점수가 떨어짐을 알 수가 있다.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영역이 모든 학년에서 다루어진다면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수준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넷째, 중학생의 환경의식 실태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3.45점으로 나타났다. 환경의식 점수 또한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환경의식 점수는 환경지식 점수와 마찬가지로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중학생들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점으로 나타났다. 식품구매, 식사, 뒤처리 행동의 세 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식품구매 행동 2.7점, 식사 행동 3.0점, 뒤처리 행동 3.1점이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차이를 조사한 결과 식품구매와 뒤처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사 행동에서는 저학년일수록, 뒤처리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은 환경의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식생활 행동의 실천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구매 행동에서 실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섯째, 환경지식, 환경의식,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계에서 환경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환경의식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은 환경지식, 환경의식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지식, 환경의식 수준이 높다고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환경지식, 환경의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생태환경과 융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윤희,김양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1

        We empirically tested the influenc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nfant education institutes and the eco-friendly attitudes of infant teachers on infant's eco-friendly attitude. The subjects included 262 infant and 115 kindergarten or child teachers in Chonnamdongbug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resource supply influenced neighboring natural environment (. 299), which in turn influenced facilityl environment (.158). (.101) was in the order. Seco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did not affect the infant's eco-friendly attitudes. Finally, teacher's eco-friendly attitudes significantly influenced infant’s eco-friendly attitudes. 본 연구는 유아의 생태교육적 효과로서 자연친화적 태도에 대해 유아교육기관의 생태환경과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얼마나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실증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은 전남 동부권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262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15명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생태환경은 자원공급(.299) → 근린자연환경(.158) → 시설환경(.101)의 순으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생태환경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직접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위한 자연친화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섬유 제품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최임정(Choi, Im-jung),최 기(Choi, Ki),문정인(Moon, Jung-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심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의 급증으로 인한 획일화 된 환경으로부터 요양노인을 배려한 생활공간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섬유 제품을 심미적 · 기능적 디자인으로 개발, 제안을 통하여 자연친화적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요양공동생 활가정은 심신 및 지각 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이 생활하는 곳으로,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기에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섬유 제품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자연친화적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친환경 섬유소재와 친환경 기법인 천연염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의 노인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사례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일본노인시 설의 실내 환경 현황 및 특성을 파악, 분석하였다. 이에,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국내 노인요양공동 생활가정의 실내 환경 개선 및 생활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섬유 제품디자인을 통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적합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디자인 11종을 개발하였다. 이에, 도출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디자인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연친화적 소재인 오가닉 코튼은 수분 함유량이 많고 보온성 및 흡수성이 뛰어나 요양노인들의 건조한 피부를 완화 시켜 숙면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자연친화적 기법인 쪽염은 항균·향취 및 스트레스 완화 등으로 생활의 편의를 주었고, 산수화를 모티브로 한 자연친화적 패턴은 요양노인들에게 감성적 기능에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요양노인들을 위한 생활의 편리성과 정서적 편안함으로 쾌적한 환경을 도출하여 개선된 노인복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설치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생활환경에 대한 자료로도 활용되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nature-friendly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by developing and proposing aesthetic and functional designs in a bid to make improvement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at have become somewhat uniform in conditions due to a sharp increase in such facilities as a result of a rapidly aging society in a way to facilitate elderly care. Among many elderly welfare facilities, the group home for the elderly is intended to serve the elderly people whos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are undermined and who stay indoor most of their time, and thus product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fabric products used in indoor space. With this in mind, the study has conducted the followings.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n eco-friendly fabric materials and eco-friendly processing technique called natural dye has been carried out to properly understand the natural-friendly design. Second, as a preliminary study, I have visite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Japan and conducted an on-site case stud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indoor environm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Japan, based on which, I have sought out ways to promote indoor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living of the domestic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hrough design development of fabric products.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described above, I have come up with 11 different natural-friendly fabric product designs that are suitable to meet the needs of domestic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atural-friendly fabric product designs are summarized as follows. Natural-friendly organic cotton features a high moisture content and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absorptiveness, which helps with taking care of dry skin of the elderly and thus promoting deep sleep. In addition, the nature-friendly indigo dye technique has promoted the convenience of living due to its favorable features, including antifungal property, fragrance, and stress relief, and the nature-friendly pattern with the landscape painting as a motif has helped the elderly with improving their emotional function. The development of such nature-friendly fabric products has been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living and emotional stability for the elderly under care as part of providing better elder welfare services, enabling the elderly to feel warm. I also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for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 KCI등재

        環境親和的稅制에 관한 小考

        김남욱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법학논고 Vol.0 No.35

        The government recently implemented a voluntary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with environment -friendly tax system is to introduce.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tax system based on the composition of green growth and a healthy environment to live in front of the tax system will require a paradigm shift. In this paper, our country's current constitution, eco-friendly tax system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tax system's fundamental reform issues, a carbon tax (environmental tax), introduced the problem,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ax system introduced according to the income tax, corporate tax exemption system, energy consumption tax system strengthening issues, introduction of eco-friendly property tax issues and discuss ways to contribute to the green growth is developed. 정부는 지구의 온실가스 감축을 자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 더불어 친환경적 조세 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 이러한 친환경적 조세제도의 도입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조성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조세체계의 전면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현행법상 친환경적 조세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조세체계의 근본적 개편문제, 탄소세(환경세) 도입문제, 친환경적 조세제도 도입에따른 소득세, 법인세의 감면제도 문제, 에너지 소비세제 강화문제, 친환경적 재산세와 자동차세도입 문제 등을 논의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방안을강구한다. 소득, 재산, 소비 중심의 과세체계를 환경을 강조하는 과세체계로 개편하고,탄소세 또는 환경세도입에 따른 환경세제 강화에 따른 조세부담의 공평성․중립성 및 납세자의 재산권 보장을 확보하기 위해 소득세․법인세 부담을 감경하여야 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관련 세제를 강화하고, 친환경적 주택 및건물에 대하여 재산세 및 취득세를 감경하고, 자동차세제의 과세표준을 CO₂와연비기준으로 과세하도록 하는 세제의 개정이 요구된다

      •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박지영 ( Park Chi-young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확인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연령, 근무교육기관, 학력, 경력, 담당 유아연령,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사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배경 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teacher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24,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ssess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cept teacher'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areer, the infant ag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