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정부와 지식행정

        최승원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3 No.3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컨버전스는 융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IT 영역에서 컨버전스란 HardwareㆍSoftwareㆍNetworkㆍContent & Service Convergence를 말한다. 이는 5A 즉, anytime, anywhere, anyone 그리고 any platform, any device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이기도 하다. 하드웨어 컨버전스란 데이터가 하드웨어에 종속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이다. 즉, Any Device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기기든 상관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기기간에도 데이터가 연동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컨버전스란 데이터나 콘텐츠가 가능한 한 소프트웨어에 종속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이다. 특정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나 네트워크에 종속되거나 소프트웨어간 호환이 되지 않으면 컨버전스에 장애가 되며, 독점 배타적 플랫폼이나 비표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종속 어플리케이션은 컨버전스 컨셉과 충돌하게 된다. 네트워크 컨버전스란 데이터 뿐 아니라 가능한 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에 종속시켜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IT 컨버전스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콘텐츠와 서비스 컨버전스이다. 위치정보나 자동차 운행정보와 식당이나 주변 관광정보를 연동시켜 준다든가, 여행지의 날씨나 기상정보를 연동시켜 준다든가 등을 위해서는 콘텐츠간 융복합, 콘텐츠와 서비스간 결합 즉, 융ㆍ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러한 컨버전스 환경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방ㆍ공유 정보일수록 특정 디바이스나 소프트웨어에 종속됨이 없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비표준을 버리고 표준을 준수하여야 하고,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웹을 지향하여야 한다. 컨버전스 혁명을 감안하면 오늘날의 전자정부는 온오프라인 융복합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Paperless가 가야할 미래방향인 것은 분명하고, 문제는 G4C 대국민서비스이다. G4C의 핵심은 수요자 중심의 공공정보 제공 및 민간활용과 다양한 융복합 Paperless Service이다. 개방ㆍ공유ㆍ참여 내지 소통ㆍ협력이라는 정부3.0을 모토로 컨버전스 인프라가 제대로 갖추어진 상태에서, 행정서비스를 전자정부가 부처간 수직적 칸막이가 아닌 수평적 분업과 협업시스템에 의하여 실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PC와 Mobile 환경에서 융복합 콘텐츠와 서비스를 잘 구현해갈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행정지식과 경험 및 노하우를 관리하는 행정체계로 전면적인 개혁을 하여야 하는데, 지식행정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유념하여야 할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 즉, 데이터관리를 하여야 한다. 둘째, 표준화가 중요하다. 우리 사회 전반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과제이기도 하다. 표준화는 이종시스템간의 호환연동에 필수적이다. 셋째, PC와 Mobile 동시 구현 내지 Mobile로 이행해가려면 다양한 HW SW 환경을 감안하여 특히 OSMD 즉, One Source Multi Device 컨셉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넷째, 그러려면 앱보다는 웹을 지향하여야 한다. 다섯째, 고퀄리티 지식검색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정형화ㆍ구조화ㆍ유형적 세분화를 지속ㆍ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식의 생애주기 전 프로세스를 통하여 평가나 결과들을 선순환시켜 갈 수 있는 환류시스템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섯째, 웹기반 지식관리에는 정형과 비정형을 다 담을 수 있는 웹문서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field, can be a means linked Services and ConvergentㆍIntegrative content. The convergence in the IT field refers to the HardwareㆍSoftwareㆍNetworkㆍof Content & Service Convergence. This is 5A that is, anytime, anywhere, anyone and any platform, even in the core for implementing any device. The Convergence of hardware, data is a sense that not depending on the hardware. Some regardless in equipment, data can be utilized, the data must be synchronized between the devices further. In other words, it must be able to implement Any Device. The Sofware Convergence, data and contents is a sense that not depending on the hardware. Network Convergence, the data and possible hardware and software to not depend on the network also includes the sense that should not be. Final-oriented point of IT convergence is a convergence of content and services. ConvergentㆍIntegrative between the content, the bond between the content and services, ie, linked services and convergentㆍIntegrative content. is required. And, these convergence environment must become a prerequisite. Therefore, as the open-public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not depending on species specific devices or software. For this purpose, a non-standard discard it must conform to standards, not the application, it must aim to web. If consideration of these convergence revolution, e-government of today, it is necessary to accessIt in aspects of onlineㆍoffline, convergentㆍintegrativeIt Paperless is a future direction to go is clear, the problem is a service to the G4C. Core of G4C is to provide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consumer center, take advantage of the private sector, is a variety of fusion-composite Paperless Service. The are several noted to buil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knowledge management, that is, it must be the data management. Second, standardization is important. Third, OSMD that is, One Source Multi Device concep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data. Fourth, not the application, it must aim to web. Fifth, in the order requires a high quality knowledge search, while performing a stylized-structured-typical Segmentation in data management to continue and repetitive, and a virtuous cycle of evaluation and result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process of knowledge. The must contain a reflux system which can go to. Sixth, the Web-based knowledge management, web document can contain all of the orthopedic and atypical it would be a very important feature. Seventh, to minimize the human intervention as much as possible, it is important to automate as much as possible. Eighth, knowledge management should aim to consumers customize. The knowledge base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make the data available in safely and an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take norms framework harmony on both sides of the technical issues and normative problems. In particular, in the Cloud environment, state of status and functions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conventional administrative is of course a major change of the study of public law also that never directly is maintained. As a basic principle of the method, the e-democracy, the e-legalism, the e-welfare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oes not change even in the convergence Revolution. Convergence revolution has continued, to go towards the future to find the the balanced contact of harmony, South Korea has to be accurately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the way it should proceed for directing the e-govern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of IT powerhouse.

      • KCI등재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수렴성 검정

        이종하,임상수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1

        This study examines regional convergence of labor productivity in the Korean service industry using panel data of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or the period 1997-2019. Labor productivity is divided into labor productivity per employee and labor productivity per labor cost, and the convergence test is divided into three types(convergence test over time by region, convergence test between regions, convergence test by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abor productivity in the Korean service industry is generally converging, and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there is a recent decline. In addition, the labor productivity per employee and the labor productivity per labor cost also appear to converge. In terms of region, labor productivity in the service industry is converging in all 16 regions, and a recent downward trend is similar. Lastly, the test for convergence between regions shows that labor productivity diverges between groups but converges between regions within a group.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to enhance labor produ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Also, considering that the labor productivity gap in the service industry between regions is widening,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s included in the low labor productivity group need policy efforts to enhance labor productivity. 본 연구는 1997년 ~ 2019년 기간 우리나라 16개 시도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노동생산성에 대한 지역별 수렴성을 검정했다. 이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을 종업원 1인당 노동생산성과 인건비당 노동생산성으로 구분하였고, 수렴성 검정을 위해 각 지역별 시간에 따른 수렴성 검정, 지역간 수렴성 검정, 그룹별 수렴성 검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의 서비스산업노동생산성은 전반적으로 수렴하고 있고, 특히 최근 하락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 1인당노동생산성과 인건비당 노동생산성에 관계없이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아도 16개지역 모두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수렴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지역 간의 수렴성에 대한 검정 결과, 그룹 간에는 노동생산성이 발산하지만 그룹 내의 지역 간에는 노동생산성이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한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들 간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점을 고려할 때, 노동생산성이 낮은 그룹에 포함되는 지역에는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마련이 요구된

      •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 방안

        이상훈,이성룡,성영조,신기동,최석현,박누리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서비스산업은 내수기반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견인하여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산업 분야로,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관한 중 · 장기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서비스산업 동향과 경기도지역 서비스산업을 분석하고 경기도 서비스산업의 전략업종선정과 함께 서비스 부문에서의 신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경기도 서비스 기술경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부의 서비스산업 육성 정책방향 등과 연계하여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증대 및 고용창출 확대를 위한 경기도 서비스경제 구축방안을 ICT, 지식 서비스 산업 등 기술융합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경제에서 서비스부문의 고용비중은 70.1%로, OECD평균 비중인 73.3%에 못 미치고 있고, 부가가치 비중도 52.8%로 선진국 대비 아직은 낮은 실정이다. 경기도의 서비스업 종사자수 증가율은 5.0%로 서울 3.1%, 부산 2.2%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어, 지역경제 내에서 서비스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기지역의 서비스업 종사자수 증가는 출판, 정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시설관리, 사회복지서비스업, 창작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국내 서비스업 관련 주요 이슈는 경제의 서비스화 추세, 서비스 일자리창출 증가와 낮은 생산성, 만성적 무역수지 적자 등을 들 수 있고, 이에 기술융합에 의한 서비스경제 구축과 서비스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필요한 실정이다. 경기도 서비스 전략업종의 선정기준으로서 일리자리 창출효과가 크고 지역내 특화 업종, 포트폴리오 모형을 활용한 서비스업 전략업종 선정을 시도하였다. 전략업종 선정결과, 경기도 유방 서비스 전략업종은 1)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금융 및 보험업, 3)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4)사업지원서비스업, 5)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6)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이 경기도의 유망서비스업으로 선정되었다.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 목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경제 구축’으로 설정하였고,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방향으로 1)SW 융합 신서비스산업 생태계 조성, 2)ICT 신기술 · 서비스 산업활성화, 유통산업 기술혁신과 지역상권 육성, 4)복지기술(well-tech) 사회서비스산업 육성, 5)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제로시티’추진으로 설정하였다. 경기도 기술융합 서비스경제 구축방향으로는 첫째, 경기지역 SW융합서비스산업의 지역 확산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新서비스 발굴 · 육성을 위한 ‘SW융합 신서비스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둘째, ICT 기업의 성장 단계별 · 기능별 기업 지원 사업을 기획하고 ICT 인프라 구축 및 테스트 베드를 조성한다. 셋째, 유통산업 기술혁신과 지역상권 육성을 위해 점포단위 또는 상권단위로 SNS, 위치기반서비스 등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복지기술(well-tech)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복지기술 리빙랩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끝으로,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적극적인 활용과 특구제도의 활용을 통해 서비스산업 발전을 촉진시킨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ajor strategies for the building of service economy with convergence technology in Gyeonggi province. To this end, we analyzed how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value-added production and employment growth rate in Gyeonggi and Korean economy. Six major service industries are selected as the major targeted areas by the criteria of job creation, location quotient, congestion index,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and the government’s announced plan. These six service industries are ICT, bank & insurance,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business support service, health and welfare service, and art, sports and leisure industry.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rgence technology, we set up the vision as ‘the service industrial hub of convergence technology’ and target is the ‘building the service economy for creating jobs’. Five major strategies were set up to realize the target, those are building the regional business ecosystem for the new service industry, promotion of the new ICT based technology · service industry, promotion of local commercial district with the innovation of marketing technology, well-tech social service industry, and zero regulation city for the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major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service economy with convergence technology in Gyeonggi province. First, we suggested the building of regional business ecosystem for the new service industry by operating the service laboratory, test-bed, and pilot plant for the software convergence. Second, design of the ICT business support program is necessary which is customized with the ICT firm’s growth level. Thus, we need to build ICT infrastructure and testing bed, innovation cluster in urban area, and to promote international trade for the globalization. Third, we need to develop SNS-based digital marketing system for the local commercial area including unmanned and automation technology. And also, the newly advanced business has to be developed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service industry. Forth, regulation and rules related with the smart health care systems have to be refined for the development of well-tech social business. Well-tech living laboratory could be operated for the practice of technology and related business. Finally, the minimized regulation zone system could be applied for the underdeveloped urban areas. Special district zone system could be applied for the service industry by considering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rule.

      • KCI등재

        차세대 방통융합서비스 사업모델 평가에 관한 사례

        임규건(Gyoo Gun Lim),강상욱(Sang ug Kang),설중호(Joong ho Seol),여등승(Deng sheng Yu) 한국IT서비스학회 2017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6 No.1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means a service wher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converge. Recently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has been evolving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s through various devices includ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p to now, IPTV and smartphone-based convergence services have been dominant, but more developed and evolved technology and media will appear in the future. In order to derive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supporting model, this study derives an evaluation model of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and presents a case of evaluation of 30 demonstr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10 to 2014. In this study, we derive an evaluation model and evaluate the demonstration projects by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stake holders of service such as users, experts, and related organizational institutions, away from the existing simple service evaluation method. Expert questionnaire us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n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to provide key implications by a gap analysis. From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guidelines for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support projects.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 business should be based on open platform type in terms of service type. In terms of service media, it should be centered on ope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TVs. In terms of types of business responsibilities, it should be led by public organiz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und matching ratio by at least 62% when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 KCI등재

        융합형 서비스의 정부 지원 범위에 관한 연구 : 융합형 서비스의 다차원적 개념을 중심으로

        김희경,차영란,봉미선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융합형 서비스 지원과 관련한 보도자료 및 사업계획서와 사업요약문을 통해 양 진흥기관이 융합형 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개념과 범위로 규정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문화부는 콘텐츠 영역, 방통위는 IPTV, 통신서비스 및 콘텐츠 영역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부가 지원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세부 유목으로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가 가장 높았으며 파생콘텐츠로 모바일콘텐츠, 관광콘텐츠, 스포츠콘텐츠, 전시콘텐츠, 출판콘텐츠, 인문학콘텐츠 등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방송콘텐츠가 가장 높았으며 파생콘텐츠로 교육콘텐츠, 국방콘텐츠 등이 나타났다. 융합형 서비스의 지원범위에 있어서도 문화부는 콘텐츠사업자를 방통위는 통신사업자를 제작 및 신규개발과 같은 형식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 진흥기관이 IPTV를 융합형 서비스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양 부처의 지원 대상이나 범위가 특정 서비스 및 플랫폼에 쏠려있었다. 더불어 양 기관이 지원하고 있는 융합형 서비스의 특성은 본 연구가 설정한 조작적 정의와도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형 서비스에 대한 정부지원이나 진흥 정책에 대해 산업과 법제 측면에서 지원내용을 평가 혹은 분석하였다면, 이 연구는 양 기관의 지원 현황과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인 융합형 서비스의 개념 정립을 토대로 지원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both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re prescribing 'Converged service' in which concept and range through their media releases, business plan and summary related with the support of converged service. As a result, it was firstly found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contributing in supports to contents field, whil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supporting in IPTV, communication service, contents areas. The specific categorization of contents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willing to support the most was 'the next converged contents', and for the derived contents, mobile contents, tour contents, sports contents, exhibition contents, publication contents, humanities contents and etc were appeared. Meanwhile, broadcasting contents were found the most i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education contents, national defense contents were usually found in derived contents field. In terms of support range of converged servi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supporting contents providers, whil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actively backing up communication operators in forms of production and new business. Especially, supporting objects or ranges of both promotion agencies were inclined to specific services and platforms due to the regulations of both agencies on IPTV as a representative converged service platforms. Also, the features of converged services that both agencies were supporting were a little bit different in operational definition of this study. If the past studies usually were focusing on assessing or analyzing governmental supports or promotion policies about converged service in terms of industry and legisl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oint of presenting problems of the supports on the basis of positioning the concept of converged services which is the cause of the situations and results of these supports.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융합서비스를 위한 동적 서비스플랫폼 연구

        이해준,서대영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3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8 No.6

        The core technology of Dynamic Service Platform is based on delivering shared services as service uni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ystem operation, and dividing services into service objects on middleware within an environment of convergence service communication network. This study utilized a dynamic service platform for an electric power service dedicated to embedded devices including middleware technology. And then, it is suggested that system independent communication services should be designed for utilizing improved protocols. Besides, based on this design, there was a study for the required elements for convergence services units on electric power service and for developing the micro-grid infrastructure. Also, dynamic service platform model was implemented on the middleware to be able to remotely distribute and deliver as designed as "Bundle" to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Throughout this research, dynamic service platform with middleware can be utilized for the electric power service providers, convergence network service providers, and manufacturers with operators and end-users, that is, anyones who want to design high leveled smart-grid computing services.

      • KCI우수등재

        N-Screen 기술 기반 IPTV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와 인지 간의 GAP분석에 관한 연구

        김준수(Jun Soo Kim),강상욱(Sang Ug Kang),임규건(Gyoo Gun L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2

        최근 IT분야의 중요한 화두인 융합은 이전까지는 단순히 기술의 기능적인 융합에서 이루어져 왔다면, 최근에는 비즈니스 측면, 서비스 측면에서의 융합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유형으로서 방송통신융합은 방송산업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하여 다매체, 다채널화 등과 같은 방송기술이 통신산업의 네트워크 광대역화와 융합이 가능해지면서 IPTV와 같은 융합서비스들을 출현시키게 되었다. IPTV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네트워크, 콘텐츠, 단말기의 융합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서비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TV가 인터넷TV와 무엇이 다르고 IPTV를 통해 소비자가 얻을 수 있는 편익이 무엇인지 등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범위와 가치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N-Screen 기반 IPTV서비스의 요구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과 사용 후의 인지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IPA분석을 통해 각 항목별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방송통신융합서비스 기능에 대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인식수준 차이(Gap)를 규명하고, 사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recent important issues in IT fields is the convergence. It had been simply focused on functional convergence of technologyies. However the convergence in terms of businesses or services also has been made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can be possible because the e-transforma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can be combined with the high speed telecommunication network. It is giving a birth of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such as IPTV. IPTV is a kind of new service that is combined with the convergence of network, contents, and device. Nevertheless the controversy about the scope and the value of this new convergence service has constantly been raised; for exampl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PTV and Internet TV? or what are the benefits that customers can have? This study measured the expectation level and the cognitive level of users before and after using the service and analyzed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From this study, we proposed the priority of each function by analy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 to suggest required functions of IPTV service based on N-Screen technology.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gap of awareness level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end users for the function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service and suggest a solution enhancing user satisfaction.

      • KCI등재

        신규 융합형 방송서비스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을 통한 미래 방송서비스 시장 예측

        고대영 ( Dae Young Koh ),이종수 ( Jong Su Lee ),김태유 ( Tai Yoo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4 No.1

        Under the recent trend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much more various form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being introduced than ever before. Owing to the unique advantages,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drastic changes to the current broadcasting service marke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examine what kind of attributes critically affect the competition among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nd how much competitive they will be, based on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important attribut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Conjoint survey was used in order to obtain stated preference data of consumers. From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have many unique advantages, still price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consumers. Second, it is expected that considerable consumer valuation exists for the unique advantag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like mobility and dual-way interactivity, which will add the competitiveness of those services in the future. Third, since midterm advertising puts negative utility on consumers, broadcasting services with midterm advertising will not be preferred to those with neither advertising nor midterm advertising. Fourth, service coverage and the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 same broadcasting service have a significant feedback effect on the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ing services from the dynamic aspect. Lastly, the consumer preference can b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and gender, and broadcasting service usage patterns such as channel switchover for escaping advertisement and frequency of using other recorded media. Main findings of our research might becom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mpanies, contents providers, advertisers, and policy and regulation makers to cope with the uncertain environment of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 KCI등재

        금융서비스 산업의 프로세스혁신과 진화에 관한 연구: 해외송금 기능을 중심으로

        김상유(Sangyoo Kim),김길선(Kilsun Kim)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3

        본 연구는 경제적,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는 금융서비스 산업, 그중에서도 해외송금 서비스의 기술 발전에 따른 제품 및 서비스의 발생과 경쟁, 그리고 안정화 되는 과정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금융서비스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의 패턴을 분석해 서비스산업의 혁신모형, 즉 ‘프로세스혁신 진화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산업혁신이론과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제품 중심적이고 제조산업 관점이라는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서비스산업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특히 금융서비스 기능 중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고, 금융소외계층의 포용을 위해 국제적 및 기술적 논의가 가장 활발했던 해외송금 서비스에 대해 기능 단위로 분석하여 금융서비스 산업의 진화 과정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비스산업의 혁신 과정은 초창기 ‘서비스 개념’이 출현해 시장과 대중에 안착, 통용되고 산업이 성숙해지면서 혁신의 초점이 ‘서비스 개념’에서 ‘프로세스’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프로세스혁신은 ‘표준화 → 단순화 → 모듈화 → 융·복합화’의 단계를 거치며 발전한다. 해외송금 프로세스는 산업 내 프로세스 기술 및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와 혁신에 대한 노력이 기울여지면서 기존의 인편, 우편, 텔렉스 방식 등에서 ‘SWIFT 시스템 →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기반의 온라인뱅킹 → 핀테크 출현에 의한 기능의 모듈화-융․복합화’의 흐름으로 진화․발전했다. 또한, 융·복합혁신, 즉 핀테크를 매개로 한 기존 금융 기능들이 분화하고 재조합하면서 프로세스혁신의 다음 단계로서 새로운 서비스 개념이 출현하면서 산업의 제2 혁신주기로 이동(서비스 개념 출현–프로세스혁신–서비스 개념 출현)한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확보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산업은 ‘빠르고’, ‘쉽고’, ‘저렴하고’, ‘간편하게’라는 프로세스혁신의 기본적인 원칙하에 기술적 요소는 물론 제품 중심의 제조산업에서는 관찰될 수 없는 서비스 생산 프로세스 내 고객 참여 및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접점 변화 등 비기술적 요소가 함께 작용하며 혁신이 주요하게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산업의 프로세스혁신 모형은 서비스혁신에 대한 학술적 시사점과 디지털 변혁을 추진하고 있는 금융서비스 산업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oposes innovation model of the service industry, that is, the ‘Process Innovation Evolution Model’ by analyzing cases of the process of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s, competi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market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which is recently experiencing the changes of economic and technological paradigm, and analyzes the evolutionary pattern of changes over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that most of the studies regarding the industrial innovation theory has been product-oriented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perspect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industry are considered in this paper.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fundamentally by analyzing at the level of the remittance function, which is the simplest and the most basic function of the financial services. The innovation process of the service industry is that the ‘service concept’ appears in the early years, and the focus of innovation moves from ‘service concept’ to ‘process’ as the market becomes settled, mass users widely adopt it, and industry matures. After that, process innovation goes through the stages of ‘standardization → simplification → modularization → convergence’. As knowledges about process technology and structure for the remittance abroad are accumulated and innovation efforts are made in the industry, remittance process has evolved and developed from the established mail and telex system in the early years to the SWIFT system → online banking based on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y → the emergence of Fintechs. This study sets out some foundations for a claim that waves of innovation recur and shift to the next wave when occurring convergence innovation by which to unbundle financial services and to recombine with existing technologies mediated by Fintechs, eventually generating a new service concept.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cess innovation, ‘fast’, ‘easy’, ‘cheap’ and ‘simple’, this paper articulates the importance of not only technical elements but also nontechnical elements such as customer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production process and change of interface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customer that are not involved in product produc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e process innovation in service sector. Our model has implications both for theory of service innovation and for management practice in banking industry.

      • KCI등재

        금융서비스 챗봇의 페르소나와 사용자 경험에 관한 융복합 연구 - 대출서비스를 중심으로 -

        이성경,윤재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chatbots in online financial services has been actively promoted in the financial sector. However, the information security issue, which is a problem of online non-face-to-face services, is a serious for customers to refuse to using chatbot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relieve the rejection of customers and to make the first impression of reliable chatbot. However, chatbot services currently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provide an inconsistent user experience due to their different profile image and conversation t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uide and study the chatbot design optimized for financial service and chatbot interface.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the persona study of chatbot with security and reliability optimized for financial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inuously induce the use of financial services through chatbot by producing a persona of reliable chatbot. Through case studies, we analyzed the profile and conversation tone of chatbot provided by domestic financial companies and produced 12 types of persona. After experiencing chatbot loan service that requires the process of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onsent process for workers in their 20s or older who have experience of using financial services by making each type as an experiment, the reliabilit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chatbot were surveyed. As a result, the profile image of chatbot was robotic and the conversation type was very high, and the secretary type who responded to the office was the highest in reliabilit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preference. This suggests that the personified type of conversation like a person's image and friend does not increase the reliability of chatbot in the financial service fiel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hatbot identity guidelines will be used to define reliable chatbot persona optimized for online financial services in the future. 최근 금융 분야에서 온라인 금융서비스에 챗봇 도 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 의 문제점인 정보 보안 이슈로 고객들의 챗봇 이용 거부감 또한 상당하다. 때문에 고객들의 거부감을 완 화하고 신뢰성 있는 챗봇의 첫인상이 중요하나, 현재 금융사에서 제공 중인 챗봇 서비스들은 프로필 이미 지와 대화의 말투가 각기 달라 일관되지 못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금융서비스와 챗봇 인터 페이스에 최적화된 챗봇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와 연 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금융서비스에 최적화된 보안성과 신뢰성 을 갖춘 챗봇의 페르소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신뢰성 있는 챗봇의 페르소나를 제작하 여 챗봇을 통한 금융서비스 이용을 지속적으로 유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금융 사에서 제공 중인 챗봇의 프로필과 대화 말투를 분석 하여 12가지 페르소나 유형을 제작하였다. 각 유형을 실험물로 만들어 금융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직장인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입력과정과 정보동 의절차가 필요한 챗봇 대출서비스를 경험시킨 후, 챗 봇의 신뢰성과 지속적 이용의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가 로봇형이면서 대화 유 형은 아주높임체로 사무적으로 응대한 비서형이 신뢰 성과 지속적 이용의도 그리고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서비스 분야에서는 사람의 이미지와 친구처럼 대화하는 의인화된 유형이 챗봇의 신뢰성을 상승시키진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