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삶의 만족도에 관한 변화궤적유형과 예측요인

        임혜림 ( Yim Hye R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 중심적 접근으로 대학생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유형을 규명하고, 대학생의 내부와 외부환경을 고려하여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유형의 예측요인(개인환경적요인, 대학생활스트레스요인, 장학금지원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장학패널(KOSAPS) 1~3차 조사에 참여한 대학교 재학생 총 1,110명이다. 대학생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유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잠재계층성장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대학생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유형에 대한 예측요인을 검증하고자 다항로지스틱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유형은 안정적 증가 계층, 안정적 감소 계층, 급감계층으로 총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구분된 3개의 잠재계층에 예측요인을 투입한 결과, 저소득이 아닌 집단인 경우,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안정적 증가 계층보다 안정적 감소 계층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음으로, 저소득이 아닌 집단인 경우,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안정적 증가 계층보다 급감 계층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에 반해, 4년제 대학생일 경우, 국가장학금 1개 지원을 받는 경우에 급감 계층보다 안정적 증가 계층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 증진 차원에서 증거 기반 정책의 수립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the trajectorie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he trajectories of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 college life stress factor, and scholarship support factor), considering their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10 college students, who had taken part in the 1st Wave through the 3rd Wave of Korean Scholarship Panel Surveys (KOSAP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trajectory type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Also,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the trajectory type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Results showed the trajectory type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three latent classes, stable increase class, stable reduction class, and sharp reduction class. The predictors were put into the three classified latent classes, and consequently, the not-low-income group and the students with high career stres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table reduction class than to the stable increase class. Next, in the not-low-income group, college students who had high academic stres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harp reduction class than to the stable increase class. In contrast,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those who had received one national scholarship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table increase class than to the sharp reduction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establishing evidence-based policies and developing related programs in the dimension of the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 KCI등재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취업준비행동, 구직준비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을 중심으로

        부기철,임준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취업준비행동, 구직준비행동을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대학 진로·취업·구직활동 교육 수요자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표본은 일반재학생 1,408명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진로를 결정한 비율은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하겠다는 비율은 일반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준비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일반재학생은 학점이고,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은 입사지원준비 및 취업준비이다. 평균학점과 어학성적은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동아리/대외활동/인턴경험은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이 더 많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취업준비 및 구직활동 방법은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은 학교(취업부서)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에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스펙은 일반재학생은 직무자격증이고,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은 직무경험이다. 졸업유보 고려유무는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입사희망 기업유형은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모두 공사/공기업으로 나타났다. 입사기업 선택기준은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모두 연봉/복지로 나타났다. 취업프로그램 중 만족했던 프로그램은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모두 진로·취업캠프로 나타났다. 취업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사항은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모두 교육컨텐츠 다변화로 나타났다. 희망 취업프로그램 컨텐츠는 일반재학생과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 모두 이력서·자기소개서 교육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은 취업프로그램에 많은 참여를 했기 때문에 진로결정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취업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취업준비에 중점을 두는 것을 구직스킬 강화(입사지원-서류준비, 필기준비, 면접준비)로 목표를 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직무경험이 가장 중요한 취업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취업장학금대상 재학생은 목표를 높게 설정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job preparation behaviors, and job search preparation behaviors for general students and those enrolled in employment scholarship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provide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08 general students and 141 students receiving employment scholarship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high among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The percentage of general students who want to work in their major field is high.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epare for employment is grades for general students, and preparation for job application and employment for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The average GPA and language proficiency were higher among the students who were eligible for the Employment Scholarship. In terms of club activities/external activities/internship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employment scholarships had more experience. As for the main job preparation and job search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use the school (employment department). The most invested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qualifications for general students, and language preparation for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The most necessary specifications for employment are job qualifications for general students, and job experience for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was higher with regard to whether or not they considered graduation withholding. As for the type of company they would like to join, both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were found to be public corporations/public corporations. Salary/welfare was found for both general students and those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Among the employment programs, the most satisfactory programs were career and employment camps for both general students and those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As for the requests for employment programs, both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showe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desired employment program were found to be education on resumes and self-introductions for both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eligible for employment scholarships.

      • KCI우수등재

        대학생 학자금 지원 정책이 학업성취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정은,김지하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cy and programs for college education, including national scholarships and student loans, using the 7th and 8th waves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dminister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o analyze the effect, educational attainment and learning attitudes were examined for students in 4-year universities, while income expectation for the first job and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job were used for those who in 2-year colleges. With regard to independent variables, policy and programs to support financing college expense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students having (a) both scholarship and student loans, (b) scholarship only, (c) student loans only, and (d) none of them. For the analysis, multivariate, logistic,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were utilized. Results revealed that among th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scholarship-only’ and ‘scholarship + loans’ groups showed better academic performance and positive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he ‘none’ and ‘loans-only’ groups. For students in colleg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income expectation, while for the job preferences, ‘scholarship + loans’ and ‘scholarship-only’ groups showed higher interest in government/public institutions compared to ‘none’ and ‘loans-only’ group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he authors discuss and suggest the followings: (a)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scholarships to support the student’s college tuition, (b) finding various (internal/external) financial sources for universities/colleges, and (c) introducing a new type of financial aid, namely, scholarship and loans combined.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장학금 지원과 학자금 대출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책효과로서 일반대학의 경우, 학업성취와 학습태도, 전문대학의 경우, 첫직장 기대소득과 취업선호직장 특성을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학자금 지원정책을 1) 장학금+대출집단, 2) 장학금집단, 3) 대출집단, 4) 비수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중다회귀분석, 로짓분석, 다항로짓분석,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일반대학의 경우, 장학금집단과 장학금+대출집단의 경우, 비수혜집단 및 대출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고 학습태도가 적극적‧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분석 결과, 학자금 지원 정책 유형에 따른 기대소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취업선호 직장의 경우, 장학금+대출집단과 장학금집단의 경우, 대출집단과 비수혜집단에 비해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한 취업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장학금의 등록금 충족률 제고, 장학금 수혜자 확대를 위한 국가재정 확충, 대출의존도가 높은 학생 관리, 학자금 대출과 장학금을 결합한 재정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국가근로장학생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최성규,김병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explor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students.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collecting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from college students who were conducting national working scholarships at A College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about six months from September 2019 to February 2020. As a resul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as a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students were found to be "no travel time," "life with guaranteed weekends," "want to work more," "formal education," "Curious about is to colleagues," "Tasks being passed on without proper standards," "a vague selection criterion," and "a prejudice that the low-income bracket do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listen to and reflect the voice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main players of the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system, such as allowing 30 minutes of work and abolishing the 20-hour work week during the semester.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improve education on the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system, and readjust the standards for income and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payments so that more low-income college students can enjoy the benefits of the national working scholarship.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국가근로장학생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에서 국가근로장학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문서를 수집해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국가근로장학생 경험은 ‘이동시간 무(無)’, ‘주말이 보장된 삶’, ‘더 일하고 싶지만’, ‘형식적인 교육’, ‘궁금한 건 동료에게’, ‘기준 없이 떠넘겨지는 일’, ‘모호한 선발 기준’, ‘저소득층이 하는 일이라는 편견’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국가근로장학제도의 시행에 있어서 30분 단위의 근로 허용, 학기 중 주당 20시간 근로제한 폐지 등 국가근로장학제도의 주체인 대학생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듣고 반영해야 한다. 또한 운영인력지원 등을 통해 대학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국가장학제도에 대한 교육을 개선해야 하며, 소득 및 국가근로장학금 지급 기준을 재조정하여 좀 더 많은 저소득층의 대학생들이 국가근로장학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 장학금정책의 효과 분석(Ⅱ) : 국가장학금정책을 중심으로

        남수경(Nam,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3

        이 연구는 국가장학금의 정책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0GOMS∼2017GOMS의 8개년도 데이터를 토대로 국가장학금정책 설명변수를 저소득층 장학금 도입이전집단(2009년이전 입학자), 저소득층 장학금 시행시기집단(2009-2011년 입학자), 국가장학금 시행시기집단(2012년이후 입학자)으로 구성하고, 대학선택 개선효과, 휴학 감소 효과, 학업 효과, 취업 효과 네 가지 측면에서 국가장학금의 정책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득 중간분위 이하 대학생에 대한 대학선택 개선효과의 경우, 전문대학 선택비율이 증가하고 고교-대학 소재지 일치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장학금의 휴학 학기 감소효과와 학업성적 향상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국가장학금의 취업성과 제고 효과는 미취업 대비 비상용직 근로자 증가 정도로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총 교육비가 아닌 등록금 지원 중심의 국가장학금을 생활비까지 포함한 총 교육비에 대한 지원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둘째,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가장학금정책을 재구조화할 것과, 끝으로 국가장학금 Ⅱ유형 ‘대학연계형 장학금’의 경우 단순히 등록금 동결이나 인하가 아니라 일정 부분 대학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과 연계하여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olicy effects of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To this end,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are composed of non-beneficiary groups(for those enrolled before 2009), partial beneficiary groups(for those enrolled in 2009-2011), and complete beneficiary groups(for those enrolled after 2012), based on the data of 2010GOMS∼2017GOMS. In addition, the policy effects of National Scholarships were analyzed in four aspects: improving university selection, reducing leave of absence, academic effect, and employment effec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improving college selection for college students below the median income was not effectiv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leave of absence semester and improv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national scholarship was very large. Finally,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the national scholarship was at a very limited level, with the increase of non-employed workers compared to unemploy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re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ational Scholarship centered on tuition support, to support for total education expenses including living expen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emand for universi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inally, In the case of national scholarship Ⅱ type “university-linked scholarships,” it was suggested to apply a plan to expand support in connection with effort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not simply freezing or lowering tuition fees.

      • KCI등재

        민간장학금이 저소득층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A장학금 사례를 중심으로

        류주희(Ryu, Joo-Hee),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저소득층 대학생의 대학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장학금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들이 수혜한 장학금은 학업지속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봄으로써, 저소득층 대 학생들의 학업지속과 성공적인 대학교육성과를 위해 장학금은 어떻게 지원되는 것이 효과적 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육 전 과정동안 민간장 학재단으로부터 전액 무상장학금 지원을 받은 저소득층 학생들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 여 그들의 대학입학, 재학기간, 졸업 및 취업 시기에서 장학금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통합 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입학 시기부터 대학교육 전 과정을 지원하는 무상장학금은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입학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재학기간 동안 대학이라는 새 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학업에 몰입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이러한 사회적·학문적 통합은 취업 및 대학원진학과 같은 대학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소득층 대학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장학금제도 운영에 대한 많 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larship on low income college students during the periods of college entrance, enrollment, graduation and employ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by selecting 20 low income college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with AA Scholarship, which has supported the entire tuition and fees. As a result, AA Scholarship has helped low income college students to complete th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enrollment, graduation and employment successfully. It has been supported not only their academic experiences but also positive impact on higher education outcomes, such as employment and further education i.e., graduate school.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student financial aid policies to support effectively low incom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장학생이 경험한 대학2학년:‘불안한 긍정’의 현재진행

        이지혜(Lee, Jihye),윤형주(Yoon, Hyungjo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3

        이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배경에서도 우수한 개인역량으로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장학생이 경험한 대학생활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S장학재단의 대학장학생 가운데 2학년생 14명을 선정하여, 각 2회에 걸친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기에서는 전공과정에 처음 진입하여 본격적인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대학 2학년으로 시기를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 들은 이 시기에 전공 진입과 군입대라는 주요생애사건을 경험하며, 이 과정에서 빈곤으로 인한 학교밖 학습기회, 학업시간, 그리고 미래 선택지의 제약을 겪는다. 그러나, 중고시절부터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단련한 결과로 자신에게 주어진 구조적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다. 상황에 대한 긍정적 해석, 목표의 단기세분화, 당면과업의 집중몰입 등이 이들이 긍정화기제로 사용하는 전략이다. 사회적 압력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장학재단의 미시적 지원과 개인의 능동적 대응으로 적응해가는 이들의 모습은 아직까지는 ‘불안한 긍정’의 현재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phomore year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a merit-based scholarship. A case study design is us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articipants are selected among the scholarship students of the S Scholarship Foundation from 2013.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fteen students were conducted twice for the data collection. As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have had two life events in the sophomore year: to enter their own major course and to get recruited for military service. They have been suffering the constraints of time, money and future choices because of their low-income family background. And yet,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positive liv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to do a positive spin on their situation, to break the goals down and to focus on the pending tasks.

      • KCI등재

        국가장학금이 대학생의 근로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필남(Yi, Pilnam),곽진숙(Kwak, Jin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4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년도 및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2년 1학기에 대폭 확대된 국가장학금이 대학생의 근로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신규 국가장학금 시행 전년도인 2011년과 시행 후인 2012년에 정책수혜자 집단과 비수혜자 집단의 근로 및 학업활동 관련 결과변수의 차이의 변화를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살펴 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2012년 국가장학금 정책 시행으로 인해 국가장학금 수혜 대학생들의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이 50.5%로서, 이들의 등록금 부담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장학금 수혜 대학생의 1학기 이수학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0.4학점 늘어났고, 공부시간은 주당 0.4시간 증가, 백분위 성적은 0.06점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은 아니었다. 셋째, 국가장학금 정책 시행으로 인해 수혜 대학생의 교외 근로시간은 비수혜 대학생에 비하여 주당 0.9시간 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교내 근로시간은 주당 0.11시간 증가, 교내외 단체활동 시간은 주당 0.08시간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2012년 국가장학금 정책 시행 결과 수혜자의 등록금 부담이 평균적으로 절반으로 완화되었고, 이러한 경제적 부담 경감은 교외 근로시간의 감소와 이수학점의 증가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외에 공부시간과 교내 근로시간의 소규모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라서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장학금 정책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하여 국가장학금 수혜 여부와 규모의 예측가능성 제고, 근로장학금의 확대, 저소득층 우수장학금 확대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a Korean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which was drastically expanded in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12 on college students' working and academic activities using the 7th and 8th wave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Utilizing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we find a substantial impact of the new scholarship program on reducing students' financial burden, namely realizing 'half-price tu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 scholarship program ha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in off-campus work hours and the increase in credits per semester. Conversely, the program has had a minimal effect on study hours, GPA on average, on-campus work(or work-study) hours,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In summary, the new scholarship program had a distinct effect on reducing economic burden,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decreasing off-campus work hours and increasing credits per semester.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program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y hours and work-study. Finally, the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effects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creasing predictability of national scholarship, increasing work-study programs, and expanding state merit scholarship programs for low incom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 장학금정책의 투자효과 분석

        남수경(Nam,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1

        이 연구는 대학생 장학금정책이 저소득층의 대학교육 선택 및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지의 투자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6개년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2007GOMS∼2012GOMS, 10만 8,754명)를 활용하여 대학선 택 개선효과, 휴학 감소 효과, 학업 효과, 취업 성과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학 장학금정책의 변화 기점을 저소득층 장학금이 급격히 확대된 2009년으로 보고, 정책 수혜 이전 이후 집단, 즉 2009년 2월 이전 대졸자와 이후 대졸자 집단간 비교를 통해서 정책의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 선택 개선효과와 관련하여 저소득층 학생(월평균 가계소득 200만원 미만)이 고교 소재지 이외 타시도 대학으로의 진학은 50%미만에서 50%이상으로 확대된 반면, 대학유형 선택에서는 4년제 대학보다 전문대를 선택한 비율은 더욱더 증가하였다. 둘째, 대학졸업시까지 총 휴학학기수를 분석한 결과 전문대 저소득층 학생은 남녀 모두 저소득층 장학금 도입 이후 휴학학기수가 감소하였으나, 4년제 대학에서는 휴학학기수 감소효과가 없었다. 셋째,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 효과와 관련해서는 전문대 졸업생에 대해서는 성적 향상 효과가 있었으나, 4년제 대학 졸업생에 대해서는 성적 향상 효과가 없었다. 넷째, 취업 효과와 관련해서는 저소득층 학생의 미취업 개선효과와 비상용직으로의 취업효과는 있었으나, 상용근로자 취업효과는 없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2012년 국가장학금 도입 이전 저소득층 장학금정책은 4년제 대학교보다는 전문대학 저소득층 학생에게 정책적 투자 효과가 더욱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vestment effects of college student aid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gathered 108,754 graduate data from 6-Year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2007GOMS to 2012GOMS, and analyzed four kinds of investment effect that include expansion of college selection opportunity, reduction on leave of absenc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ment of employment. Considering that low-income scholarship program has been expanded rapidly since 2009, I applied the method of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 the graduates group before 2009 and the graduates group after 2009 - to analyze the effect of college scholarship polic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election effect of university rather than specific college because low-income students selected much more specific college than university after 2009. However, there was province moving effect because more low-income students entered the universities of different provinces from their graduating high schools after 2009. Second, the reduction effect on leave of abse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ly to specific college students after 2009. In case of low-income university students, the period of absence was increased after 2009. Third, the improvement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only to specific college students after introducing the low-income scholarship program. Finally, unemployment ratio of low-income stud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status of employment was unstable after 2009.

      • KCI등재

        장학금과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와 교육경험의 변화 추이 분석

        우명숙(Myung Suk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장학금제도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2000년대 중반과 국가장학금이 도입되고 확대되었던 2010년대 초반의 조사 자료를 사용해 대학생 장학금이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와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첫째, 2005년 고등학교 3학년이 대학을 진학한 2005~07년 시기에 비해 2011~12년에 대학을 진학한 학생의 경우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에서 나타나는 격차는 다소 완화된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더 선별적인 수도권 4년제 대학의 진학에서는 두 시기 모두 가장 소득이 높은 5분위만이 진학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 대학교육의 기회에서 소득의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진학 후 장학금이 소득분위별 대학생의 수업관련 활동과 학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소득을 통제한 후 두 시기 모두 장학금을 가장 많이 집단은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수업관련 활동 수준이 높았다. 소득을 통제한 후 장학금이 성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05~08년에는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장학금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평균 52.2%)이 미미하게 학점이 높았다. 그러나 2011~14년 조사에서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등록금대비 장학금의 비율이 평균 11.9%(3분위), 35.3%(4분위), 86.8%(5분위) 집단의 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학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opportunitie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effect of scholarship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by income quintile, using two data during the 2004 to 2008 and 2010 to 2014 periods. Scholarships began to expan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ter period. First, in 2010-12, when financial aids including scholarships were introduced and expanded, the gap in terms of the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seems to have eased somew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only the students in the highest income quintile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both periods. Second, in both periods, after controlling for income, the groups with the highest level of scholarship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 any scholarships at all. Regarding the effect of scholarships on grades after controlling income, students receiving scholarship on average 11.9 percent, 35.3 percent, and 86.8 percent out of total tuition were more likely to get higher grad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 any scholarships at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