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김성옥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자기인식(svasaṃvedana)의 논리는 유형상지식론의 전제 위에서 출발한다. 유형상지식론은 인식 속에 나타난 대상의 형상을 인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모든 인식은 결국 인식 그 자신의 인식이라는 ‘자기인식의 논리’를 전개한다. 자기인식의 논리는 『대비바사론』에서 마음과 마음작용은 자신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 대중부에서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등불의 비유를 들어 자신들의 견해를 주장하는데, 이것은 유부와 중관학파의 입장에서 각각 비판받게 된다. 반면에 경량부에서는 대상의 형상을 통해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함으로써 유형상지식론을 확립시키고, 그 형상의 인식이란 곧 자기인식일 뿐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또한 유식학파에서는 경량부에서 인식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던 외부대상과 그 형상의 인식을 한 찰나 이전의 識으로 바꿔놓음으로써 외부대상의 존재를 인정할 필요 없이 인식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디그나가의 영향 아래 『쁘라마나바르띠까』를 집대성한 다르마끼르띠에게 있어 ‘자기인식의 논리’는 그의 인식론이 경량부에서 유식학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composed by the Dharmakīrti's description “All mind and mental activities are the self-cognition.” The theory of self-cognition(svasamvedana) most of all has developed with the theory of sākāravādin.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the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ākāra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the self-cognition. The origin of self cognition back to the Mahāsāmghika. They admit the self-cognition of the mind and mental activities. They said that mind is like a lamp. It illuminates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illuminates itself. So the mind can recognize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can recognize itself. However the metaphor of lamp was refuted by Sarvāstivādin and Mādhyamika. They insisted that the metaphor of lamp is not achieved. The lamp can not illuminate itself, like as the fingers can not point out itself. In the same manner the cognition can not cognize itself. The Sautrāntika and Yogacāra developed the theory of self-cognition, although they was standing on the different point. Sautrāntika approve the existent of external things, but Yogacāra does not approve it. Notwithstanding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external object itself does not perceived and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of object in awareness. Dignāga was the first Yogacāra scholar to systemize the theory of self-cognition in his epistemological system. And it was Dharmakīrti who succeed the epistemology of Dignāga. When he wrote the Pramānavārttika, he approved the self-cogni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Sautrāntika and Yogacāra. He referred the metaphor of lamp again. He insist that all the cognition is reflexively the cognition of itself like a lamp. It is necessary to notice the commentary of Pramānavārttika. Manorathanandin and Devendrabuddhi approve the self cognition. But it does not mean they approve the self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paramārtha. It must be said that the lamp illuminates itself in the meaning of upācara. It is worth while to notice the self-cognition with the problem whether it was approved by the Buddhist afterwards on the level of paramārtha or samvrtti. The theory of self-cognition could suggest the alternative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Yogacāra and Mādhyamika.

      • KCI등재후보

        체화된 인지의 개념 지도 : 두뇌의 경계를 넘어서

        이영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5 탈경계인문학 Vol.8 No.2

        Since the advent of cognitive science, it has been dominated by two research programs: symbolism and connectionism. These programs have made possible the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in a scientific way, but they have also been gradually understood as separating living cognition from the body and its environment by considering cognition as a form of computer program or as a pattern of activities in a massive neural network. Recently, a new research program,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has been emerging and is being discussed actively in cognitive science. At the present stage,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does not have the systematicity of academic theory but remains only a set of theories, and its elements have different names. It is necessary to draw a conceptual map for those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before we have a unified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ur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as a research program in cognitive science and to draw a conceptual map of the embodied cognition. In section 2, this paper will discuss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have emerged in cognitive science. In section 3, this paper will discuss and compare the so-called “4 E’s,” the four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namely, theoriesof embodied cognition in a narrow sense, extended cognition, embedded cognition, and enactive cognition. In section 4, this paper will suggest a concept map of the embodied cognition that mirrors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also suggest a brief prospect of embodimentism as a research program.

      • KCI등재

        여대생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의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와 체중을 이용한 1-RM 추정

        강현주,이병근,김효중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2

        [INT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on and measured intensities in bench press and squat for weight training in college women beginner, to develop an estimated equation for 1-RM using the cognition intensity and cognition-body weight,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METHODS] The subject groups were consisted of 29 college untrained women. Each subject selected the cognition intensity of 60%, 75% and 90% of 1-RM without knowing the actualload that applied to the subject. The measured intensities were calculated 60%, 75% and 90% of 1-RM after 1-RM measurement. The t-test was run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on and measured intensitie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1-RM using the cognition intensities and body weigh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on and the measured intensity of 60%, 75% and 90% 1-RM on both bench press and squat in the college untrained women (p<.01).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bench press and squat were 3.3~6.6kg(6.6~15.4%) and 9.6~15.1kg(12.1~22.9%) lower than the measured intensity, respectively.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 of prediction for the bench press 1-RM by cognition 1-RM was ranged from 0.63 to 0.81(p<.01), and the r of prediction for the squat 1-RM by cognition 1-RM was ranged from 0.67 to 0.80(p<.01) in college untrained women. The r of prediction for the bench press 1-RM by cognition-body weight 1-RM was ranged from 0.76 to 0.83(p<.01), and the r of prediction for the squat 1-RM by cognition-body weight 1-RM was ranged from 0.73 to 0.83(p<.01). [CONCLUSION] In college untrained women, the cognition intensities were 6.6~22.9% lower than the measured intensities.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bench press and squat were 6.6~15.4% and 12.1~22.9%, respectively, lower than those of measured intensities. The significant estimation models for 1-RM were developed both cognition and cognition-body weight model. Bench press 1-RM = -18.136 + 0.928 * cognition 90% 1-RM(kg) + 0.470 * body weight(kg). Squat 1-RM = - 36.527 + 0.811 * cognition 90% 1-RM(kg) + 1.029 * body weight(k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imation model for various age group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ultiple motions for the future study.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의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의 60%, 75% 및 90% 인지강도와 실측강도 차이를 비교하고, 인지강도와 체중을 이용하여 1-RM 추정식을 개발하고 설명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 2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지강도는 피검자가 수행하는 강도의 부하를 알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신의 1-RM의 60%, 75% 및 90%의 무게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실측강도는 1-RM을 직접 측정하고, 1-RM의 60%, 75% 및 90%에 해당하는 강도를 산출하였고, 측정은 무선으로 배당하였다. 인지강도와 실측강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인지강도와 체중을 이용하여 1-RM을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여대생 초보자의 경우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의 60%, 75% 및 90% 모두 인지강도와 실측강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벤치 프레스의 인지강도가 실측강도보다 3.4~6.6kg과 6.6~15.4% 낮았고, 스쿼트는 9.6~15.1kg과 12.1~22.9% 정도 낮게 나타났다.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의 인지강도 % 1-RM의 차이의 경우 60%, 75% 및 90%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벤치 프레스 인지강도 추정모형의 r은 0.63~0.81이고(p<.01), 스쿼트 추정모형의 r은 0.67~0.80(p<.01)로 나타났다. 벤치 프레스 인지강도-체중 통합모형의 r은 0.76~ 0.83이고(p<.01), 스쿼트 통합모형의 r은 0.73~0.83으로 나타났다(p<.01). [결론] 여대생 초보자는 인지강도가 실측강도보다 6.6~22.9% 정도 낮게 나타났다. 인지강도의 경우 벤치 프레스는 6.6~15.4%, 스쿼트는 12.1~22.9% 정도 실측강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Bench press 1-RM = -18.136 + 0.928 * 인지강도 90% 1-RM(kg) + 0.470 * 체중(kg). Squat 1-RM = - 36.527 + 0.811 * 인지강도 90% 1-RM(kg) + 1.029 * 체중(kg). 향후에는 더 많은 동작을 대상으로 다양한 변인을 이용하여 다양한 연령층에 적합한 추정모형을 산출할 필요가 있겠다.

      • 現代建築의 美的認識體系에 관한 연구

        이정수,김영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5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 No.1

        The result from the study is anything but logical result, we must discriminate if aesthetic cognition about architecture is academic cognition or sensual cognition. First, intuitional cognition is included the academic cognition, and empirical and analytic cognition are be able to be included sensual cognition among the types of drawn cognition system through the result of the study. Such discrimination might be classified into speculative and empirical cognition. As a matter of fact, this is not an important matter as sentimental position of architecture. That is the person's matter mediating the architecture. However, here, the reason discriminating two matters considers right both productive and consuming aspect in the architecture. The producer of architecture must sentimentalists' empirical cognition about architecture. The core of institutional cognition is a simple sentimentalist, then, the core of empirical and analytic cognition a conductor of architecture.

      • KCI등재

        다르마끼르띠의 외계대상의 인식에 대한 고찰 - 『양결택(量決擇, Pramāṇaviniścaya)』을 중심으로

        곽미미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Dignāga describes the result of cognition by the Sautrāntika and the Yogācāra in the Pramāṇasamuccayavṛtti. Namely, the result of cognition by Sautrāntika admitting external objects is described as the object-cognition, while the result of cognition by the Yogācāra denying external objects is described as self-awareness(svasaṃvedana). However, Dharmakīrti asserts that the result of cognition is self-awareness even in the case of the Sautrāntika admitting external objects. There is no direct reference by Dignāga to this in the Pramāṇasamuccayavṛtti. But, we can confirm that, even in admitting external objects, self-awareness is established in that the external object is not directly the object of cognition and in that the viṣayābhāsatā within the knowledge(jñāna) is the means and objects of cogn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assertion that, even in admitting external objects, the result of cognition is self-awareness in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When Dharmakīrti considers the nature of object- cognition, even the cognition of external objects is regarded as the self-awareness because the knowledge(jñāna) itself cognizes the form of the object(viṣayākāra) given to the inside of the knowledge. Therefore, the result of cognition becomes self-awareness since self-awareness is the essence in the cognition of the external object. What actually happens is self-awareness, but people in the world think they cognize external objects. Therefore, it is self-awareness in the ultimate truth that is object-cognition in the conventional truth. Dharmakīrti shows selfawareness as the ultimate truth in order to get rid of its worldly cognition. 디그나가는 『집량론자주(Pramāṇasamuccayavṛtti)』에서 경량부와 유식의 인식결과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즉, 외계대상을 인정하는 경량부의 인식결과는 대상인식이고 외계대상을 부정하는 유식의 인식결과는 자기인식(svasaṃvedana) 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다르마끼르띠는 외계대상을 인정하는 경우에서도 인식결과가 자기인식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한 디그나가의 직접적인 언급은 『집량론자주(Pramāṇasamuccayavṛtti)』에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외계대상을 인정할 경우라도 외계대상이 직접적 인식대상이 되지 않고 대상현현성(viṣayābhāsatā) 이 인식대상이자 인식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자기인식이 성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찰은 다르마끼르띠의 저서인 『양결택(Pramāṇaviniścaya)』을 중심으로외계대상을 인정할 경우에도 인식결과로서 자기인식이 성립되는 것을 다루고있다. 다르마끼르띠는 경량부의 인식결과인 대상인식의 본성을 고찰해 볼 때 외계대상의 인식이라고 할지라도 지식(Jñāna)내부에 부여된 대상의 형상을 지식자신이인식하는 것이므로 자기인식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외계대상의 인식은 자기인식을 본질로 하기 때문에 인식결과가 자기인식이 된다. 실제로 발생하는 것은 자기인식이지만 세간사람들은 마치 외계 대상을 인식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승의에서는 자기인식이고 세속에서는 대상인식이다. 다르마끼르띠는 자기인식이라는승의적 인식을 제시하여 대상인식이란 세속의 인식에서 벗어나게 하고자 한

      • KCI등재

        신체화된 인지의 도덕교육적 의미

        김동창 ( Dong Chang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최근 알파고로 인해 인공지능 분야가 화제가 된 바 있다. 알파고를 가능하게 한 지금의 인지과학은 1950년대 이후 인간의 마음, 인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인지과학은 마음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이 밝혀진다면, 컴퓨터와 같은 인공물을 통해 그것을 실현할 수있을 것이라는 믿음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 등장한 2세대 인지과학은 인지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과 더불어 그것의 기반이 되는 몸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신체화된 인지(embodiedcognition)’의 관점을 제안했다. 우리의 마음, 인지는 오랜 진화의 과정을 통해 습득한 몸을 물리적지반으로 한다. 몸은 마음의 거처이고, 생각의 뿌리이다. 마음이 온전히 신체의 물리, 화학적 상태로 환원되는가에 관해 여전히 철학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마음이 우리의 몸과 분리되어 작동한다고 보는 것은 설득력이 그리 높지 않다. 우리의 인지는 신체를 통해 가능하고, 또 신체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신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도덕적 인지를 조망할 때, 추론과 구분되는 도덕 감정이 도덕적 인지의 한 축으로 들어오게 된다. 도덕성에 관한 인지-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존중할 때 우리의 도덕 교육은 콜버그식의 협소한 도덕적 인지 관점을 수정해야 한다. 도덕적 인지를 반성적 추론(Type 2)과 자동화된 직관(Type 1)으로 확장함으로써 도덕교육의 인지적 목표가 도덕적 추론과 직관의 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적 동기의 측면 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지의 맥락에서도 도덕적 감정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 이러한 신체화된 도덕적 인지의 관점은 도덕적 인지를 확장하는 것으로 도덕적 인지에 관한 기존의 도덕교육적 관점의 변화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는 신체화된 도덕적 인지의 관점을 통해 도덕적 인지에 관한 경험과학의 연구 성과와 부합하는 도덕교육을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 has become an issue due to AlphaGo. Present cognitive science which has enabled AlphaGo has continued efforts to determine how human mind and cognition are operated since 1950s. Also, cognitive scienc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uch things could be realized through artificial objects as computer, if information-process mechanism of mind is determined. However, the 2nd generation cognitive science, which appeared in 1970s, suggested the viewpoint of ``embodied cogni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of investigating cognitive mechanism and the importance of body, which becomes the basis thereof. Our mind, cognition, is based on the body as physical basis, which has been acquired through a long evolutionary process. Body is residence place of mind, and the root of thought. There are still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continued regarding whether the mind could totally turn to physical and chemical state of body, however the point that the mind could be operated by being separated from our body is not quite convincing. Our cognition is available through our body, also, is restricted by the body. When viewing moral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is embodied cognition, moral emotion separated from inference comes into as an axis of moral cognition. When highly regarding research achievements of cognitive-neurology in respect of morality, our moral education should correct narrow Kohlberg style moral cognitive viewpoint. By extending moral cognition to reflectional inference(Type 2) and automatic intuition(Type 1), cognitive goal of moral education could be established as moral reasoning and cultivation of intuition. Also, besides the aspect of moral motive, the role of moral emotion should be acknowledged in respect of the moral cognition context. Such viewpoint of embodied moral cognition is to extend moral cognition, which raises necessity of change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viewpoint on moral cognition. We could aim for mor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with research achievement of empirical science on morality through embodied moral cognition viewpoint.

      • 기능적 인지의 작업치료 임상 적용 필요성

        권재성 ( Kwon Jae 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임상에 기능적 인지(functional cognition)의 개념을 소개하고 기능적 인지의 출현 과정을 작업치료의 역사적인 맥락과 인지 개념의 변화 과정을 토대로 설명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기능적 인지에 대한 작업치료 임상 모델들의 관점을 조망해 보고 기능적 인지의 작업치료 임상 적용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기능적 인지는 역사적으로는 전인적이고 작업 중심적인 통합주의에 기반하고 개념적으로는 상황인지의 영향을 받았다. 기능적 인지는 새로운 이론이 아니라 작업치료 영역에서 연구된 이론과 전문적 경험에 의하여 축적된 지식의 조합이다. 기능적 인지의 개념에는 다양한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임상 모델과 이론의 틀이 포함된다. 기능적 인지는 인간 작업의 관점에서 통합적인 인지를 설명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가장 작업치료다운 인지의 개념이다. 작업치료사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통하여 인지재활 현장에서 실제적인 작업을 통해 인지를 평가하고 클라이언트(환자) 중심의 개별적인 중재를 시행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능적 인지는 인지재활 전문가인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functional cognition to the clinical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o explain the process up to the appearance of functional cognition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process of changing cognitive concept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models for functional cognition an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functional cogni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cognition is historically based on holistic and occupation-based integrationism and conceptually influenced by situated cognition. Functional cognition is not a new theory, but a combin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theory and knowledge accumulated by professional experience. The concept of functional cognition includes various clinical models and frame of reference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cognition is the most occupational therapy-like concept of cognition in that it describes integrative cogn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ists can evaluate real tasks in daily life through functional cognitive concepts and implement client-centered interven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unctional cognition is still constantly evolving. Therefore, functional cognition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and develop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expert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ERP시스템 사용자 인지가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신근(Song, Sin Geun),원지영(Won, Ji Yo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ERP시스템 사용 전 사용자 인지가 사용 후 사용자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 후 사용자 인지가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 전 사용자 인지와 사용 후 사용자 인지 간의 관계에서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 사용 전 인지에 유용성 기대와 태도를, 매개변수로 사용 후 인지에 기대일치와 사후 유용성, 종속변수로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절변수로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용 전 인지 중 유용성 기대는 사용 후 인지 변수 중 사후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기대일치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 후 인지는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전 인지와 사용 후 인지 간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기대일치에 대해 시스템 상호작용만 태도와 정(+)의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대일치, 사후 유용성,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직접효과 분석을 위한 추가분석에서 기대일치와 사후 유용성에 대해서는 사용 전 사용자 인지보다 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대해서는 시스템 상호작용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아주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RP시스템의 사용 전 초기단계의 인지인 유용성 기대와 태도가 사용 후 후기 단계의 인지인 기대일치 및 유용성에 대한 확인과정을 통해서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를 결정하게 하는 기준점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사용 후 사용자 인지는 사용 전 사용자 인지보다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도 이들 변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사용자들의 업무편의성을 지닌 ERP시스템 도입과 ERP시스템 활용 조직문화의 정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RP system pre-usage user"s cognition on post-usage user"s cognition and the effects of post-usage user"s cognition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also analyze that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have moderat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usage user"s cognition and post-usage user"s cognition. Pre-usage cognition, usefulness expectation and attitude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post-usage cogniti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ost-usefulness are used as parameter, and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are used as moderat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fulness expectation has effect on post-usefulness, attitude has effect 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ost-usage cognition has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nly system interaction has positive moderate effect with the attitude to expectation confirmation. In terms of additional analysis for the direct effect analysis of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on expectation confirmation, post-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for the expectation conformance and post-usefulness had more significantly effects than pre-usage user"s cognition. Fo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system interaction had significantly effect. It shows that the usefulness expectation and attitude perform a role of reference point to decid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ss for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usefulness. However, the post-usage user"s cognition is influenced by the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rather than the pre-usage user"s cognition. And also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re seriously affected by these variabl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useful ERP system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stablishing ERP systems are most important.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과 행복

        김은우 ( Eun Woo Kim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에 근거해서 행복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감각적 인식과 행복의 관계가 무엇이고, 이성적 인식과 행복의 관계가 무엇인지를 검토한 후, 대안적 인식으로서 지성적 인식이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감각적 인식과 이성적 인식의 문제를 극복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을 인간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의 인식론은 감각적 인식, 이성적 인식, 지성적 인식으로 나뉜다. 감각적 인식은 감각에 의존하며, 감각은 불확실하여 가변적일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대안적 인식으로는 인간의 내면에 있는 이성적 인식으로서 사유를 들 수 있다. 인간의 사유는 감각을 분류하여 특정 대상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최소한 가변적인 것과 불변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사유는 감각보다는 더 가치 있고 덜 가변적이지만 불변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는 내면의 회복된 이성(mens)을 통한 지성적 인식을 제시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인간은 지성적 인식으로서 비로소 진정한 행복을 영위할 수 있으며, 신을 관조하기 위해서 탐구해 가는 것 그 자체가 다음 아닌 행복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인간의 행복은 인식과 관련되어 있으며, 아우구스티누스는 진정한 행복은 지성적 인식에서 가능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appiness based on the epistemology of Augustinus. To this end, this paper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types of recognitions, i.e. sensuous cognition, rational cognition, intellectual cognition and happiness. Augustinus sees that happi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recognition. His epistemology is composed of sensuous cognition, rational cognition, and intellectual cognition. External cognition depends on senses, which can be uncertain and variable. If external cognition shows limitation in pursuing true happiness, there is a need to pursue alternative cognition. A possible alternative cognition might be a rational cognition. Human thought helps to recognize a specific target by classifying sense, and to judge variable and invariable things at least. However, reason is more valuable and less variable than sense but is not unchangeable. To overcome this problem, Augustinus postulated the recovered rationality(mens) in inner cognition. According to him, the contemplation of God is possible to lead a true happiness, and the process of contemplating God is happiness itself. In conclusion, true happiness is possible in intellectual cognition.

      • KCI등재

        행화적 인지로 고찰한 배우 훈련의 대안적 방향

        이곤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행화적 인지(enactive cognition)’를 연기의 과정(The process of acting)에 적용하여 기존의 배우훈련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규명하고 새롭게 강조되어야 할 배우 훈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행화적 인지란 뇌와 몸과 환경 사이의 전일적이고도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우리의 인지과정으로 정 의하는 인지과학의 한 분야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연기 과정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된 체화된 인지신 경과학은 연기의 과정에서 표현(행동)의 전 단계를 형성하는 인지, 즉 감정과 느낌, 생각, 상상의 형성 메 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과 거울 뉴런에 의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의 개념을 적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뤄지는 연기자의 능동적이고 역 동적인 인지의 가능성을 제한함으로써 일정부분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나와 상대방 그리고 주 위 환경과의 역동적인 관계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대안으로 행화적 인지에 주목한다. 우선 행화적 인 지의 주요 원리와 특성을 4가지 카테고리, ‘움직이는 몸에 기반을 둔 비표상적 지각’, ‘환경과의 역동적으 로 상호작용하는 인지’, ‘체화된 기술을 통한 지각의 확장’, ‘내러티브적 상상력과 상호주관성을 통한 공 감’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요 원리와 특성을 연기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배우 훈련에서 상대 적으로 덜 부각되었던 ‘움직이는 몸을 통한 지각의 확장’, ‘환경과의 역동적인 교류를 통한 배우훈련’, ‘텍 스트의 해석이 아닌 창발적인 지각을 만들어내는 배우훈련’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본고는 먼저, 인지과학에서 행화적 인지 이론이 대두된 양상을 시간 순으로 살펴 보고, 인지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기 과정의 쟁점과 한계를 규명한 뒤, 이를 행화적 인지를 통해 다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배우 훈련에서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었던 ‘움직이는 몸을 통한 지각의 확장’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교류’를 강조하는 배우 훈련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텍스트의 해석이 아닌 ‘창발적인 지각을 만들어내는’ 배우 훈련으로의 대안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acting with enactive cognition. Enactive cognition is a new version of recently developed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and it defines human cognition as dynamic interaction among brain, body and environment. Existing researches of acting have adopted the concept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simulation based on mirror neuron’ of neuroscience to explain the process of forming emotion, feeling, thought and imagination which are worked as preconditions of expression or action in acting. However, these concepts in neuroscience limit actors’ subjectivity and their dynamic relationship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t reveals limitation to explain total human cognition. This paper suggests enactive cognition as an alternative way of examining the process of acting which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actor’s mind but also his/her relationship to other actors and the environment. This paper analyzes the main principles of enactive cognition as ‘nonrepresentational cognition based on moving body’, ‘cognition enhanced by dynamic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extension of perception through embodied skills’ and ‘empath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and intersubjectivity’. Then I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focused on ‘the extension of perception through moving body’, ‘the reciprocity between perception and environment’ and ‘the creation of emergent perception rather than text-analysis’. I expect the actor training aimed for developing and extending actor’s emergent perception and creativity such as Jacques Lecog training and the Viewpoints will be educated as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with new perspectives examined by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