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이은주(Lee Eun Joo),서지혜(Seo Ji Hye),손진(Son Jin) 국립고궁박물관 2021 古宮文化 Vol.- No.14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온공주 활옷의 이음선에 주목해서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고 자수편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온공주 활옷은 궁중자수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물로, 섭성 풍속으로 인해 안동 김씨 집안에서 5대에 걸쳐 혼례복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훼손됨에 따라 20세기 전기에 수선을 하였다. 둘째, 복온공주 활옷풍의 자수편이 부착된 국내외 유물을 3점 확인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옷 1점, 브루클린박물관 활옷 1점, 시카고 필드자연사박물관 활옷 1점이다. 셋째, 복온공주 활옷에는 5단으로 구성된 분할구도의 문양이 사용되었다. 문양은 덕온공주의것보다 좀 더 다양하고 조밀한 특징을 보였다. 넷째, 복온공주 활옷의 겉감은 총 36편이나 되는 크고 작은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자수편은 뒷길 3조각, 앞길 3조각, 뒷소매 5조각, 앞소매 2조각 등 총 13조각이었다. 다섯째, 자수편 13조각을 재배열해 본 결과, 좌우 소매의 통수 자수편, 앞스란 자수편, 뒷스란자수편, 소매아래 자수편 등 4종의 자수편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통수 자수편에서 90cm 이상의광폭 공단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뒷길 소매와 앞 스란 부위에 장식된 접문은 복온공주의 방석에 장식된 접문과 조형적특징이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비대해진 길상문 꼭지의 보개문은 20세기 이후 출현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analyzing embroidery pieces of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as follows. First,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is a valuable relic showing the essence of royal embroidery. It was repai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damages received during the process of using it as a wedding dress over five generations of the Andong Kim family. Second, wedding dresses with embroidery pieces of Princess Bokon’s style were identified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rooklyn Museum, and the Chicago Field Natural History Museum. Third, a five-stage split pattern was used for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The patterns were more diverse and denser than Princess Deokon’s wedding dress. Fourth, the outer appearance of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consisted total of 36 pieces. And the embroidery pieces consisted of a total of 13 pieces among them. Fifth, as a result of rearranging the 13 pieces of embroidery pieces,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embroidery pieces.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butterfly pattern differs from that of the Princess Bokon’s cushion. And the question was raised that canopy patterns decorated on the wedding dress appeared after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의례용 복식(Ceremonial dress)의 발드릭(baldric)에 대한 연구

        한순자(Han Soon-Ja) 한복문화학회 2017 韓服文化 Vol.20 No.2

        The symbolism of clothes has been handed down in the tradition and culture. Even today, ceremonial dress has the historicity, expressing the authority and tradition. Pursuing the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with the periodic changes, embellishment of the ceremonial dress was reduced or came to have a special meaning only. Today, it may be seen mainly from a suit for ceremonial events. Besides, baldric may be seen from dress for traditional ceremonial or royal events. In particular, it remains itself from symbolic ceremonial dress including military uniforms and other splendidly decorated uniforms for ceremonial events like a coronation, protocol of a royal family, military parade and a graduation of the military academy. Baldric appeared from the 17 century"s men"s wear and originally it was a sash on the shoulders in the military uniform to carry a sword or a bugle. As a wide sash fastened from the right shoulder through under the armpit for the decorative and the practical, it was used together with accessories including a long sword, feathered hat and sash ribbons. After the 17th century, it appeared mainly from military uniforms under a process during which they changed and then disappeared from general dress but survived in ceremonial dress for a royal family, monarch and the militar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baldric for Korean Empire royal events in nations that have a royal family at present and expects applications considering its origin since it is used now as a multi-purposed sash. It aims at exploring the decorative meaning of baldric which prevailed in certain period of the history of costume and disappeared from general dress after that period but continued its tradition from ceremonial dress and it is expected to apply to contemporary fashion. Research ranges from the 17th century when it appeared to the Baroque period it prevailed in various modes and examines in the connection with fashion-related materials and periodic social aspects. As for research methodologies, it examines decorative and social meanings of dress through realistic portraits and pictures considering period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장서각소장 왕실발기로 보는 순종 가례 복식연구

        이민주 ( Min Joo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950여 점의 왕실발기가 소장되어 있다. 그 중에서 1882년에 치러진 왕세자 척(후일 순종)의 가례와 관련된 발기 자료는 75건이 있으며, 혼례와 관련된 발기는 58건이 있다. 왕실발기는 전례서나 의궤, 등록 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실제 왕실혼례를 위해 준비한 구체적인 물목을 기록하고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혼례복식과 관련된 22건의 발기 자료를 중심으로 초간택에서 간택 후 별궁으로 갈 때의 복식과 혼례를 위해 준비한 이불, 베개, 비녀, 노리개, 보자기 등의 물목을 통해 순종가례의 복식문화가 갖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하는 < 임오 정월 가례시 간택처자 의차 >를 통해 간택처자들의 복식이 하사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조선왕실에서는 간택처자들의 의복으로 명주나 모시이상을 넘지 못하도록 여러 차례 규제하였다. 그러나 잘 지켜지지 않았으므로 순종가례 때에는 간택처자들의 복식을 제공하여 규제에 그친 것이 아니라 실제 옷감을 내려줌으로써 실천하는 왕실의 혼례문화를 보여준 사례라고 생각한다. 둘째, 조선왕실 혼례의 하이라이트인 동뢰연을 치를 때 왕세자는 면복을 벗고 상복을 입지만 왕세자빈은 적의를 벗는다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복식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 임오 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빈궁마누라 의□긔 >에 기록된 홍장삼을 통해 동뢰연 복식으로 홍장삼을 생각해 볼 수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셋째,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 壬午千萬世 東宮마마 嘉禮時 衾 □衣 件記 >의 한자본과 < 임오 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기소 쳔의 □긔 > 한글본은 동일한 발기자료이다. 이를 통해 납작누비는 중누비임을 알 수 있었다. 또 이불은 깃, 동정, 안감, 홑이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자로는 금(衾)이라하고 한글로는 ‘기소’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천의는 기소보다는 가벼운 이부자리이며, 덮개가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면(綿)은 솜을 뜻하기도 하며, 석웅황은 댕기에 다는 보석만이 아니라거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왕실발기에 대한 연구는 왕실의 혼례문화를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owns a collection of more than 950 volumes of ‘Balgi’. Among them, there are 75 volumes related to an auspicious ceremony of King Sunjong on 1882 and 58 volumes of his marriage. ‘Balgi’ includes the exclusive and specific list of items which are prepared for royal marriage other than liturgy, the royal protocols ‘Uigwe’ or ‘Deunglok’. This study has been made through the 22 volumes of ‘Balgi’. On the list, costume worn during the process of selecting princesss and items for wedding-bedding, pillow, ornamental hairpin ‘Binyeo’, clothe ornaments ‘Norigae’, wrapping cloth- were written down. From the records, this study would like to find out the meaning of dressing culture on King Sunjong``s auspicious ceremon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that candidates for princess might receive the clothes from the palace, based on the book < Imoh Jungwol Garyesi Gantaekcheja Uicha > (< 임오 정월 가례시 간택처자 의차 >). In the joseon dynasty, the palace regulated the fabric of candidate ladies`` clothes only allowing silk and ramie cloth. However it seems that the regulation wasn``t observed well so the palace bestowed allowed clothes for the candidate ladies. And It seems that the palace took the head in supporting the regulation. Second, At ‘Donglaeyeon (동뢰연)’ the highlight of the royal wedding, existing records and studies found that prince changed the costume from Myunbok to Sangbok. Yet there were not enough records found what prinsess wore, However Balgi < Imoh Chunmansae Donggungmama Garyesi Bingungmanura Yuidae > (< 임오 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빈궁마누라의□ □긔 >) recorded the extraordinary item red ‘Jangsam’ so it is assumed that red ‘Jangsam’ might be worn by princess at the wedding. At last, among the royal ‘Balgi’, < 壬午千萬世 東宮마마 嘉禮時 衾 □衣 件記 > wriiten in Chinese version and < Imoh Chunmansae Donggungmama Garyesi Giso Cheonui Balgi > (< 임오 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기소 쳔의 □긔 >) in Korean version is the sam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determines that ‘Nabjak nubi’ is ‘Jungnubi’. And the royal bedding is composed of ‘Git’, ‘Dongjung’, ‘Angam’ and single blanket as ‘Hotyibul’. It was recorded as ‘Geum(衾)’ in Chinese letter and called ‘Giseo’ in Korean. ‘Cheonui’ is lighter and more casual bedding than ‘Giseo’ with a cover. On the records ‘Balgi’, the word ‘Myun(綿)’ -cotton- was used as meaning of batt. And it seems that orpiment was used not only for an ornament on hair ribon ‘Daenggi’ but also for mirrors. This study affirmed the value of ‘Balgi’ as important channel studying the royal wedding culture. I hope the study and research on ‘Balgi’ continues steadily.

      • KCI등재

        CLO를 활용한 1848 무신년 진찬 정재여령의 가상 의상 재현 연구

        이민정,이희정,이연,김은선,한수경,김지은,최봄이,장유진 한복문화학회 2024 韓服文化 Vol.27 No.1

        본 연구는 1848 무신년(헌종 14) 진찬연에 공연한 각무정재여령, 무고정재여령, 선유락집사여령, 검기무정재여령, 춘앵전정재여령의 복식을 가상착의 프로그램인 CLO를 활용하여 디지털 가상 의상으로 복원한 사례 연구이다. 2023년 가을 (사)한복문화학회가 개최한 “한복과 디지털패션쇼의 만남-궁중연향 정재복식 전시-”에서는 의상전 실물 제작팀이 무신진찬의궤 와 <무신진찬도병>을 토대로 여령 복식을 고증하여 도식화, 소재, 색상을 도출하였으며, 가상 의상 제작팀에서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여령 복식을 3D 가상 의상으로 재현하여 착장 시뮬레이션까지 진행하였다. 재현된 품목은 (일반) 황초삼, 춘앵전 황초삼, 홍초상, 4색 쾌자, 검기무 쾌자, 협수, 철릭, 하피, 수대, 춘앵전 수대, 전대, 광다회, 비구, 한삼 2종(옥색, 오색), 주립, 수화자, 받침옷(견마기, 남색상, 단속곳)의 20종이다.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으로 조선 후기 여령 복식을 재현하면서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는 능숙도도 중요하지만, 당시의 착장 방법, 실제 원단과 소재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재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 복식을 3D 가상 의상으로 만드는 작업은 실물 고증 재현 전에 진행되는 보조적 사전 시뮬레이션 역할을 넘어서, 시간과 비용의 자원이 제한적일 때 고비용의 수공예적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실물 복원품을 대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각적 결과물로 기능할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IT 기술을 융합한 다양한 전통 복식의 현대적인 콘텐츠 구현 방법과 복식 유물의 보존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five dance costumes for Gakmu-jeongjae, Mugo-jeongjae, Seonyurak-jeongjae, Geomgimu-jeongjae, and Chun'angjeon-jeongjae, which appeared at the party in the palace in the 14th year of King Heonjong (1848) of the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The workflow for restoring the 3D virtual costumes using the CLO program was organized and documented. At the "Meeting of Hanbok and Digital Fashion Show: Gungjoongyeonhyang Jeongjae Costume Exhibition" held by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autumn 2023, the physical costume production team drew flats, and selected materials and colors based on Uigwe and contemporaneous folding screens. Meanwhile, the virtual costume production team reproduced the costume in 3D and digitally revived it. The restored items include two types of Hwangchosam (short-sleeved and long-sleeved), four-colour Queja(long vest), Hyupsu, Chollik, Hapi, Sudae, Jeondae, Gwangdahoe, Bigu, two types of Hansam (jade-color, five-colored), Julip, Suhwaja, and four types of basic dress (Gyunmagi, Namsaek-sang, Hongcho-sang, Dansokgot). While recreating the costumes using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proficiency in the program is vital in understanding how to dress actual fabrics and materials of the time. This study also found that creating 3D virtual costumes of the traditional dress has the potential to go beyond its role as an auxiliary pre-simulation before the recreation of authentic artifacts. It can function as a meaningful visual outcome that can replace costly, handcrafted, time-consuming physical reconstructions when time and financial resources are limited. Based on this study, we plan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o recreate various traditional dresses incorporating new technologies, preserve dress artifacts, and inherit traditional techniques.

      • KCI등재

        조선후기 왕조례(王朝禮)와 사가례(私家禮)의 변주 ―국휼(國恤) 중 사가례 논의를 중심으로―

        김윤정 ( Kim Yun-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9 No.-

        조선후기 국휼은 사대부의 가례 실천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吉한 의례인 관례·혼례·제례의 시행은 국휼로 인한 슬픔의 표현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상례 역시 왕에 대한 尊尊과 부모에 대한 親親의 조율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국조오례의』 계령조에는 혼인과 제사 금지 규정이 있었지만, 16-17세기 사대부의 예학적 지식에는 어긋나는 측면이 많았다. 혼인의 경우, 주자의 「군신복의」를 토대로 관품에 따라 차등을 두고자 했다. 그러나 官制의 차이로 인해 「군신복의」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웠고, 『국조오례의』를 수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학문적인 논의에 그칠 뿐이었다. 제사의 경우, 국가의 제사를 정지하는 상황에서 사가의 제사를 지낼 수 없다는 명분이 중시되었다. 자체적으로 시제를 금지하고 기제와 묘제를 간략히 지내는 등 평소의 行禮와는 차이를 보이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는 국휼로 인한 변례의 상황에서 사대부들이 스스로의 行禮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국가의 공식적인 규제와는 분리되어 있었다. 18세기 『국조상례보편』의 편찬은 사가례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동시에 사대부의 예학이 왕조례에 반영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혼인의 경우 숙종상을 계기로 「군신복의」에 따른 상복 개편이 이루어지고, 허혼의 차등화가 규정되었다. 『국조상례보편』에서는 조선의 현실에 맞추어 내용이 수정되었고, 대상·내상·소상·소내상에 따른 구분이 명시되었다. 상례의 경우 장례는 국휼 중이라도 그대로 시행되었는데, 喪祭의 시행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였다. 『국조상례보편』의 편찬과정에서 영조는 상례란 효의 실천임을 강조하며 상제를 그대로 허용할 것을 주장했지만, 사대부의 예설과 인현왕후상 이후의 전례를 모두 부정하기는 어려웠다. 1720년 숙종상에서 사가의 제사는 국가가 규제하지 않고, 다양한 예설에 따라 자체적으로 거행하도록 결정되었다. 그런데 1758년 『국조상례보편』에서는 국휼 졸곡 전 기제와 묘제를 금지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國制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이러한 규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는 해석의 차이를 두고 새로운 차원의 예학 논의들이 진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royal funeral was a variable for family rituals, because people were in sadness. Nevertheless literary noblemen tried to do the right rites. The clause of warning about wedding and worship in Gukjo-oryeu was against the knowledge of ritual in 16-17th century chosun. Literary noblemen tried to follow ZhuXi's opinion on mourning dresses of sovereign and subject to grade in marriage and to stop worship before Jolgock of national funeral. But their dispute controversy was a personal, non-official claim. 18th century, the clause of warning about wedding and worship was changed according to literary noblemen's knowledge of ritual. This provision was more specific and refined, and was legalized in Gukjo-Sangryebopyeon. It was be said that it was a part of the legal system maintenance project and the practical direction due to the development and accumulation of ritual study.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궁중복식 속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헤어 장신구 디자인 개발

        황주연 ( Ju-yeon Hwang ),김성남 ( Sung-nam K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1

        과학의 발달로 인한 통신수단의 진화는 문화의 교류를 촉진시키고 각국의 정보를 쉽게 접하게 한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사회적으로 재생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현대인들의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구촌이 하나로 사회화되어 함께 문화를 생산·소비하고 있다. 각 나라들은 자신들의 문화와 자연, 역사, 유물 등을 상품화하여 세계인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미국의 헐리우드 영화는 문화상품을 넘어 산업화되었으며, 디즈니사의 만화 영화 캐릭터들은 전 세계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으며 장난감, 생활용품, 학용품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 한국의 K-Pop, K-Beauty는 전 세계적으로 훌륭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고로 한국의 궁중의상과 궁중의상속의 전통문양을 고찰하여 헤어 장신구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개발에 앞서 조선의 궁중복식과 궁중복식속의 전통문양 자료를 연구·고찰하여 전통문양의 종류와 각 문양 속에 깃든 의미와 그 의미들이 가지는 상징성과 특성들을 알아보고 평면적인 전통문양을 조형미를 가미한 입체 형태로 재해석하여 헤어 장신구로 개발 가능한 7가지 문양을 선정·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조선 궁중복식 속의 문양을 활용하여 입체적인 헤어 장신구 디자인을 개발해 우리나라 전통의 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K-Pop, K-Beauty와 함께 알릴 기회와 가능성을 높이고 한국의 전통과 자연이 담긴 헤어 장신구 디자인 개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promotes cultural exchanges and facilitate access to information from each country. It reproduces various forms of culture socially. Information greatly affects modern people's thinking, and the global village is socialized as one, producing and consuming culture together. Each country is bringing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by commercializing its culture, nature, history, and relics. Hollywood movies of the U.S. have been industrialized beyond cultural products, and Disney's cartoon characters are loved by children all over the world and sold as toys, household goods, and school supplies. Korea's K-Pop and K-Beauty are creating great results around the world.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hair ornaments by considering the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n royal costumes and royal inheritance. Prior to the design development, this work is produced by researching and examining traditional patterns of Joseon and royal costumes, identifying the types of traditional patterns,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reinterpreted the flat traditional patterns into a three-dimensional form with formative beauty, and produced seven patterns that can be developed as hair orna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ree-dimensional hair ornament designs using patterns in the royal costumes of Joseon and to interpret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s in a modern way, thereby enhancing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to promote the excellence and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with K-Pop and K-Beauty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hair ornament designs containing Korean traditions and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미수 허목의 예송관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Succession of Confucianism regards succession of eldest son in the clan rules system as important. Succession of eldest son that carries on a family line is based on filial duty. With carries on a family line, Family lineage and the Royal line is cosidered nobility. If object of nobility carried on line, It would appear concretely. In the original home object of nobility carried on line. but in the royal family is different with normal case. Becaus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regards preferentially, In royal family has twoflod. So there is case that the throne is succeed in eldest son. In the case The not eldest son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there is many case. Kihaeyaesong is problem that Queen of Jayi is how to wear when Hyojong is dead. Before Hyojong sits on the throne, Sohyun already was proclaimed the crown prince and he was dead later. Problem of being in black is problem that recognition Sohyun as eldest son or recognition as Hyojong as another person. Misu Hu-molk assert that Queen of Jayi has to wear Jache Samnyun dress because Hyojong i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son. Being decided Kinyun dress is wrong. 유가의 계승제는 종법제도에서 나타나는 적장자 계승을 중시하고 있다. 적장자 계승은 조상의 대를 잇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그 핵심적인 정신은 孝에 근거하고 있다. 그 계통을 잇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가통과 왕통에서는 尊을 중시한다. 즉 존의 대상이 바로 통을 승계할 경우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물론 일반가정에서는 적장자 계승을 전제로 하여 존의 대상이 승계되지만 왕가의 경우에는 왕통을 계승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계승하는 사례와 다르다. 왕위계승을 가장 우선적으로 보기 때문에 왕가에서는 일반인들처럼 적장자문제도 있고 왕위를 승계하는 이중적인 면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왕위를 일반인처럼 적장자로 계승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적장자는 아니지만 왕위를 계승한 경우에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기해예송은 효종이 승하하고 인조의 계비이자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가 효종을 위하여 상복을 어떻게 입을 것인가가 문제가 된 것이다. 효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소현세자가 이미 왕위계승을 전제로 하여 세자의 위치에 있다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상복을 입는 문제는 소현세자를 적장자로 인정하느냐 아니면 왕통의 측면에서 왕위를 계승한 효종을 별개의 문제로 보느냐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미수 허목은 효종이 조상의 정통을 계승하고 인조의 친아들이기 때문에 자의대비는 적장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재최삼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기년복으로 결정된 것이 잘못이라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미수 허목의 예송관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유가의 계승제는 종법제도에서 나타나는 적장자 계승을 중시하고 있다. 적장자 계승은 조상의 대를 잇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그 핵심적인 정신은 孝에 근거하고 있다. 그 계통을 잇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가통과 왕통에서는 尊을 중시한다. 즉 존의 대상이 바로 통을 승계할 경우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물론 일반가정에서는 적장자 계승을 전제로 하여 존의 대상이 승계되지만 왕가의 경우에는 왕통을 계승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계승하는 사례와 다르다. 왕위계승을 가장 우선적으로 보기 때문에 왕가에서는 일반인들처럼 적장자문제도 있고 왕위를 승계하는 이중적인 면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왕위를 일반인처럼 적장자로 계승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적장자는 아니지만 왕위를 계승한 경우에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기해예송은 효종이 승하하고 인조의 계비이자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가 효종을 위하여 상복을 어떻게 입을 것인가가 문제가 된 것이다. 효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소현세자가 이미 왕위계승을 전제로 하여 세자의 위치에 있다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상복을 입는 문제는 소현세자를 적장자로 인정하느냐 아니면 왕통의 측면에서 왕위를 계승한 효종을 별개의 문제로 보느냐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미수 허목은 효종이 조상의 정통을 계승하고 인조의 친아들이기 때문에 자의대비는 적장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재최삼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기년복으로 결정된 것이 잘못이라는 것이다. Succession of Confucianism regards succession of eldest son in the clan rules system as important. Succession of eldest son that carries on a family line is based on filial duty. With carries on a family line, Family lineage and the Royal line is cosidered nobility. If object of nobility carried on line, It would appear concretely. In the original home object of nobility carried on line. but in the royal family is different with normal case. Becaus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regards preferentially, In royal family has twoflod. So there is case that the throne is succeed in eldest son. In the case The not eldest son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there is many case. Kihaeyaesong is problem that Queen of Jayi is how to wear when Hyojong is dead. Before Hyojong sits on the throne, Sohyun already was proclaimed the crown prince and he was dead later. Problem of being in black is problem that recognition Sohyun as eldest son or recognition as Hyojong as another person. Misu Hu-molk assert that Queen of Jayi has to wear Jache Samnyun dress because Hyojong i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son. Being decided Kinyun dress is wrong.

      • KCI등재

        太平宰相의 초상 -채제공 초상화의 제작과 함의에 관한 재고

        이경화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39

        Chae Jegong (1720∼1799) is an eminent official who led reform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r. 1776∼1800). He left remarkable traces in art and literature of the time. He is the subject of nine portraits, including six completed portraits and three drafts. Most of them were painted by Yi Myeong'gi (1756∼after 1802), a renowned court painter specialized in portraiture active in the court of King Jeongjo. Previous research on Chae Jegong's portraits focused on realistic portraiture of Yi Myeong'gi, including meticulous brushwork and Western shading techniques. This study will question the way Chae Jegong, as a commissioner of his portraits, gave shape to his inner self in those portraits. In 1784, Chae Jegong at the age of 65 commissioned two portraits of himself in two different official costumes : one in a black official robe and one in a ceremonial court dress with a golden crown. These portraits reveal his status at the top of the bureaucratic system and self-respect for his achievement. Chae Jegong in the early 1780s was in serious political crisis in contrast to these images showing off his power in the court. Despite Chae's political opponents consistently demanding his expulsion out of court, King Jeongjo finally appointed him the first vice-premier with great confidence in 1789. In 1791, the King ordered to produce a new portrait of Chae Jegong to replace his previous portraits with a depressed look from 1784. The new portrait featuring Chae Jegong at the age of 71 shows temperate facial expression and dignified posture close to the frontal view and embodies his current figure as the powerful premier. In 1789 and 1792, Chae Jegong commissioned two portraits of himself dressed in sibok, a pink court robe without embroidered rank insignia. One of the remarkable features of the portrait from 1792 is the three accouterments disposed around him : a folding fan in his hands, an embroidered fragrance box clinging to the fan, and a yellow pouch exposed in the shadow of his left sleeve. Chae wrote a poem on the painting to reveal that those objects are the gifts from the King. The yellow pouch also appears in the portrait from 1789. In the portrait from 1789, Chae inscribed on the pouch three Chinese characters “臣謹封” (singeunbong), meaning “Your subject shall courteously seal up it.” This inscription suggests that the pouch contained a myeongso, a pass to produce for royal summons. It is likely that Chae Jegong carefully decided to include a myeongso in the portrait to highlight his close relationship with King. In his lifelike images, Chae Jegong demonstrated the intimate and confidential relationship he had built with King Jeongjo beyond the ordi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subject. Chae's portraits epitomize his self-awareness as the premier in the Age of Grand Peace (Taepyeong). 채제공(1720∼1799)은 정조의 국정에 조력하여 개혁 정치를 전개하였던 명재상이었다. 그가 역사에 남긴 자취는 정치뿐 아니라 미술과 같은 문화의 영역에서도 확인된다. 채제공은 9점에 이르는 다채로운 초상화의 주인공이다. 본 연구는 그간에 서양화법의 영향을 받은 사실적인 표현 방법으로 주목받았던 이들 초상들을 주인공인 채제공을 중심으로 다시 조명하고자 한다. 채제공의 첫 번째 초상화는 1784년에 제작된 흑단령과 금관조복 차림의 초상이다. 서로 다른 관복을 착용한 두 초상은 관료 체계 내에서 정점에 위치한 채제공의 사회적 위상과 관료의식을 표현한 그림이었다. 화려한 관복에 보이는 과시적인 면모와 달리 당시 채제공은 심각한 정치적 위기에 처해 있었다. 그는 끊임없는 정치적 공세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전적인 신임과 비호를 받았으며 결국 국정을 이끄는 재상의 자리에 서게 되었다. 1791년 정조는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65세 초상을 재상이 된 현재의 상황을 반영하여 다시 그리도록 명령하였다. 흑단령 차림으로 제작된 72세 초상에 담긴 온화한 표정과 정면에 가까운 당당한 자세는 명재상 채제공의 권위를 시각이미지로서 구현하고 있다. 국왕의 명령에 따라 공적인 목적의 초상을 제작하는 한편에서 채제공은 비교적 사적인 성격이 강한 시복본 초상을 연이어 제작하였다. 시복본의 초상에서 그는 직접 찬문을 적고 기물을 곁들이는 등 한결 자유로운 표현을 시도하였다. 1792년에 완성된 73세의 시복 초상에는 국왕이 하사한 부채, 향합, 그리고 명소 주머니를 곁들였으며 자신이 지은 찬문에서는 이들이 모두 임금의 하사품임을 밝혔다. 각별한 의미를 지닌 기물을 자신의 초상에 그려 넣음으로써 채제공은 국왕과 자신의 사이에 존재하였던 정치적 신뢰와 인간적 친밀감을 그림에 담았다. 이러한 방식으로서 채제공이 자신의 초상에 구현되기를 바랐던 바는 ‘태평한 시대의 재상’의 진정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채제공의 다양한 초상화는 제작 당시 그의 정치적 처지를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예술적 수단으로 내면의 메시지를 표출하였다. 우리는 채제공을 통하여 초상화를 내면 표출의 매체로 활용하였던 조선의 초상화 문화의 심층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