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의본翟衣本 신자료 소개

        안보연(An Bo yeon),유지은(Yoo Ji eun) 국립고궁박물관 2012 古宮文化 Vol.- No.5

        Jeoguibon is a pattern for making jeogui . As the highest rank ceremonial robe for royal women, three pieces of deep-blue jeogui mad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a piece of jeoguibon have been known for remaining relics. But in November 2011, a piece of jeoguibon was additionally discovered during facilities construction of the Changdeok Palace. And there are also undisclosed jeoguibon among collections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ew jeoguibon materials are three pieces. First one is a twelve-tier jeoguibon which was transferred from the Changdeok Palace to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fter being discovered in 2011. Second and third one are a nine-tier jeoguibon and a jeogui dobon (圖本) which were transferred from the Changdeok Palace to the Royal Museum(the forerunner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1993. In this study, four pieces of jeoguibon including jeoguibon and pyeseul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introduced, and each relic s collecting background and features are researched and compared. As a result of researching relic records, it is revealed that four pieces of jeoguibon including a twelve-tier one collec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all from the Changdeok Palace. In the process of tracing relic records, an envelope which put the twelve-tier jeoguibon into was confirmed. Also, through Chinese words written on the envelope, the fact that the twelve-tier jeogui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paired in 1959 is confirmed. A twelve-tier jeoguibon discovered in Changdeok Palace Daejojeon (大造殿) is similar with a twelve-tier jeogui collected in Sejong University in aspect of costume composition. Openmouthed pheasant is characteristic, pheasant pattern and tiny wheel flower pattern are nearly same with pyeseul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o, the possibility that those two(jeoguibon and pyeseulbon ) were originally a set is high. Considering pencil lines, Arabic numerals, and calligraphic papers written in Japanese, the jeoguibon is assumed as a relic after 1910. Especially, Changdeok Palace Daejojeon where the relic was found is a structure which was rebuilt in 1920, and it was close to 1919 when the wedding of Imperial prince Yeong was held. In that sense, the jeoguibon can be supposed to be made for the wedding of Imperial prince Yeong . The relic is composed with inside seop , inside gil , outside seop , and pieces of right(when it is worn) back gil . There is no seondan of cloud and dragon pattern. Through each part s surveyed datum and pattern position, length, armpit and width of the twelve-tier jeoguibon can be estimated. The best feature of the nine-tier jeogui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s having both sides sleeves. In compare with jeogui of princess consort of Yeong collect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the nine-tier jeogui collect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pattern placement and figure of tiny wheel flower are definitely different. So, we can know that the nine-tier jeogui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as a pattern for making another form of nine-tier jeogui . Features of cut and pasted patterns on ivory color Hanji (Korean paper), pencil line and red color line might look similar to the twelvetier jeoguibon found in Changdeok Palace Daejojeon and the twelve-tier pyeseulbon collec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ut, detailed expression of pheasant pattern and tiny wheel flower pattern are different. As the relic s components, inside gil , outside gil , both sides sleeves and pieces of right side(when it is worn) back gil are remained. Through researching those components, calculating datum about total length, sleeve length, and godae is possible, and relic s overall form also can be restored from that. 적의본은 적의를 만들기 위한 옷본이다. 왕실 최고의 여성 예복으로 대한제국 시기에 만들어진 심청색의 적의 3벌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적의본 1건이 전한다. 그런데 2011년 11월에 창덕궁 시설공사 중에 적의본이 추가로 발견되었으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중에서도 미공개 적의본이 있다. 적의본 신자료는 창덕궁에서 발견되어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된 창덕궁 대조전 12등 적의본, 1993년 창덕궁에서 궁중유물전시관(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신)으로 이관된 9등 적의본과 적의의 도본圖本이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적의본 및 폐슬본 등 4건의 적의본에 대해 소개하고, 각 유물의 소장 경위 및 특징을 정리 비교하였다. 유물 이력사항을 조사한 결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2등 적의본을 포함하여 4건의 적의본 모두 창덕궁에서 전래된 것이다. 적의본의 유물이력 사항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국립중앙박물관소장 12등 적의본을 봉입했던 봉투를 확인하고, 이 봉투에 적힌 묵서를 통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2등 적의본이 1959년에 보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덕궁 대조전에서 발견된 12등 적의본은 세종대학교 소장 12등 적의와 복식 구성적인 측면에서 유사하다. 입을 벌리고 있는 꿩이 특징적이며, 적문 및 소륜화 등 국립중앙박물관 폐슬본과 거의 일치하여 일습一襲일 가능성이 높다. 연필선, 아라비아 숫자, 일본어 표기된 묵서편도 확인되어 1910년 이후의 유물로 추정된다. 특히 유물이 발견된 창덕궁 대조전은 1920년에 재건축된 건물로, 시기적으로 1919년에 근접하여 영친왕의 혼례를 위해 제작한 적의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물은 안섶, 안길, 겉섶, 그리고 착장 시 오른쪽 뒷길 부분 편으로 구성되며 운룡문의 선단은 없다. 실측 가능한 각 부분의 제원 및 문양의 위치를 참고로 하여 12등 적의본의 길이, 진동 및 품의 추정이 가능하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9등 적의본은 양쪽 소매가 달려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친왕비 적의 및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9등 적의와 비교하여 문양 배치 및 소륜화의 형태가 확연하게 차이가 나므로, 또 다른 형태의 9등 적의를 제작하기 위한 적의본임을 알 수 있다. 미색의 한지에 문양을 오려 붙이고 연필선, 붉은 색선도 확인되어 창덕궁 대조전 12등 적의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2등 폐슬본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적문 및 소륜화의 세부 표현이 다르다. 유물의 구성은 안길, 겉길, 양 소매 그리고 착장 시 오른쪽 뒷길 부분 편이 확인되어 적의본의 총길이, 화장, 고대 등의 제원조사가 가능하여 유물의 전체적인 형태 복원이 가능하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적의의 도본은 옷본이라기보다는 적의제도를 설명하고 있는 도설 성격을 띤 유물이다.『대명회전』의 휘의도와 전체적인 배치 및 형태가 동일한 채색그림인데 마주보는 꿩을 한 쌍으로 하며, 대한제국의 이화문 형태를 소륜화로 표현한 것이 다르다. 각 문양의 채색이 매우 정교한 것이 특징이며, 특히 꿩의 목을 청색으로 표현한 것과 운룡문 외에 꿩의 깃털 등 세부표현에 니금칠 한 것, 먹으로 밑그림을 그린 것은 적의의 도본에서만 확인된다. 먹 대신 연필을 사용한 폐슬본, 창덕궁 대조전 12등 적의본, 9등 적의본보다 시기적으로 이른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대한제국 초기에 새로운 적의제도를 정하고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 국립중앙박물관의 12등 적의본 외에 창덕궁 대조전 12등 적의본, 9등 적의본, 적의의 도본은 적의가 왕실 복식 연구에 있어 핵심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그 실재實在에 대한 보고만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 대한제국이 황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적의제도를 마련하면서 여러 벌의 적의본이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새 제도에 대한 실천의지와 함께 왕실 복식의 품격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의궤 도식 목판

        김정임(Kim Jung im) 국립고궁박물관 2008 古宮文化 Vol.- No.2

        An uigwe would be compiled and published immediately after each official palace banquet after King Jeongjo period. An uigwe is a collection of texts and a variety of illustrations and schemas. Images of important moments of events, implements needed, and dances performed at the banquet were carved into woodblocks and printed. Today, nineteen types of palace banquet uigwe remain. Of these, fourteen contain schemas. Various schemas are illustrat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event. Four woodblocks for schemas contained in uigwe are still extant: one in the collection of Woodblock Prints Museum in Wonju, and three in the collection of Cheongju National Museum. These woodblocks are extremely valuable for the study of royal print and uigwe as they provide details of the wood engraving techniques and printing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ntroduces four woodblocks for schemas of uigw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at were newly discovered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ed woodblocks for uigwe. Noteworthy is that the schema part of these woodblocks remains as a separate form. It is not in the form of a woodblock with pansim(center folded outer edge) and handles. On the face and back of the woodblocks are engraved six schemas: illustrations of the four court dances of hakmu(crane dance), yeonhwadaemu(lotus blossom dance), abak(ivory clappers dance), and chunaengjeon(dance of the spring nightingale), and two colored illustrations of artificial flowers of icheungsuparyeon and sagwonhwa. However, the pansim, which show the dates of production of these woodblocks, are lost, rendering any effort to determine the exact year of production of the woodblocks very difficult. This paper ascertained the years of production of the schema woodblocks in the collection of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rough comparison with woodblock printed illustrations of other extant uigwe. It was confirmed that out of the six schemas, four(hakmu, yeonhwadaemu, abak, and icheungsuparyeon) are exactly the same schemas used for Jeongchuk jinchan uigwe, which recorded the ceremony to celebrate the seventieth birthday of Queen Sinjeong in 1877, or Jeonghae jinchan uigwe, which recorded the ceremony to celebrate the eightieth birthday of Queen Sinjeong in 1887. Of the remaining two schemas, the one for sagwonhwa matches the schema on the left of the two sagwonhwa schemas contained in the Heonjong musin jinchan uigwe, which recorded the banquet thrown by King Heonjong to celebrate the sixtieth birthday of the queen dowager in 1848. However, I could not find a schema in chunaengjeon identical to any in other uigwe available. Palace banquet uigwe recorded the whole process and list the goods and implements needed in such detail that the event at the time can be faithfully reproduced today in its entirety, which makes uigwe extremely useful in research on palace banquets. The schemas in uigwe are especially valuable for studying the court dances and implements used for the event and understanding the print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Sadly, only a few woodblocks for schemas to print uigwe remain today. I hope that the woodblocks for schema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troduced in this paper will be used for the study of court print culture, and I expect that more schema woodblocks will be discovered in the future. 궁중 연향과 관련된 의궤는 행사가 끝난 이후 활자로 만들어 여러 부수를 찍어 간행하였다. 이때 행사의 주요장면, 소요 물품, 잔치 때 행해지던 춤 등을 간략한 그림으로 기록한 의궤(儀軌) 도식(圖式)은 목판에 새겨 찍었다. 현재 남아있는 19종의 연향 관련 의궤 중 도식이 그려져 있는 것은 14종이며 각각의 행사에 따라 다양한 도식들이 수록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의궤 도식 목판은 원주 고판화박물관에 1점, 국립청주박물관에 3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 목판들은 조선 왕실의 판각 기술이나 인쇄술 등 왕실 판화와 의궤 연구에 있어 아주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알려진 의궤 목판 외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의궤도식목판(4점)을 새롭게 소재하였다. 이 도식 목판들은 판심과 손잡이가 있는 목판의 형태가 아니라 도식 부분만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남아 었다. 앞ㆍ뒷면에 모두 6개의 도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정재도의 학무(鶴舞), 연화대무(蓮花臺舞), 아박(牙拍), 춘앵전(春鶯囀)이, 채화의 이층수파련(二層水波蓮), 사권화(絲圈花)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연대를 알 수 있는 판심이 결실되어 있어 정확한 제작 연대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현재 전하고 있는 다른 의궤도식 판본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국립고궁박물관소장도식 목판의 제작시기를 파악해보았다. 이를 통해 6재의 도식 중에 4재의 도식[학무(鶴舞), 연화대무(蓮花臺舞), 아박(牙拍), 이층수파련(二層水波蓮)]은 1877년에 거행된 신정왕후(神貞王后) 칠순(七旬) 경축연(慶祝宴)을 기록한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또는 1887년에 거행된 신정왕후(神貞王后) 팔순(八旬) 경축연(慶祝宴)을 기록한 『정해친찬의궤(丁亥進饌儀軌)』에 수록된 도식과 동일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사권화(絲圈花)는 1848년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에 그려진 2개의 사권화 중 왼쪽도식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춘앵전 도식은 현재 확인할 수 있는 활자본 의궤에는 찾아볼 수 없었다. 연향 의궤는 당시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을 만큼 모든 절차와 소요물품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궁중 연향의 전모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특히 의궤에 삽입되어 있는 도식은 당시에 행해진 궁중무용이나 행사용품 등 당시 궁중문화 연구와 왕실 인쇄문화의 이해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왕실판화의 대표작인 의궤를 간행하는데 사용했던 도식 목판이 많이 현존하고 있지 않아 아쉬움을 주고 있다. 이번에 소개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도식 목판이 새로운 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하여 앞으로도 또 다른 의궤 도식 목판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2) - 순종 대 이후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두 번째 편이다. 첫 번째 편에서 다루지 못한 순종 대 이후의 왕실발기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 20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긔미윤칠월십뉵 됴셕 샹식ᄇᆞᆯ긔【이십일디】(고궁2419-1)>와 <긔미십월 효덕뎐 망다례 단ᄌᆞ(고궁2419-2)> 2점은 1919년에서 고종高宗, 재위 1863~1907과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다례에 올려진 음식 목록을 적은 다례발기와 상식발기이다. 1919년 다례발기와 상식발기 중 기존에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자료들이다. 따라서 <고궁2419> 두 점의 존재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다례 관련 왕실발기가 온전한 자료로써의 가치를 인정받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의ᄃᆡ목록(궁중346)>과 <반상목록(궁중347)>은 1932년에 진행되었던 영친왕英親王, 1897~1970의 둘째 아들 이구李玖, 1931~2008의 돌잔치 때 작성된 복식발기와 기명발기이다.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왕실발기가 1932년까지도 제작되었음을 실증해 주는 자료이다. 또 표지를 붉은색 바탕에 연꽃 무늬 비단으로 만들어 매우 화려한데,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이와 같이 제작된 예가 없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례단자(고궁2227-2)>와 <다례단자(고궁2227-3)>는 그간 ‘연대 미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례단자(고궁2227-2)>는 1896년(고종 33) 7월 27일 명성황후의 다례와 관련하여 진설된 음식을 기록한 것이며,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과 내용이 동일한 자료임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다례단자(고궁2227-2)>이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의 수정사항을 모두 반영하여 정서한 최종본임이 확인되었다. <다례단자(고궁2227-3)>도 본 연구에서 1905년(광무 9) 8월 19일에 명성황후의 다례 때 제작된 <을팔월십구일 긔신 홍능 다례 ᄇᆞᆯ긔(1366)>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료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는 총 32점이 전한다. 32점 중 한글본이 28점, 한자본이 4점으로 한글본이 압도적으로 많고, 시기상으로는 고종 대의 왕실발기가 9점으로 가장 많은데 이는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왕실발기와 동일한 양상이다. 현재 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시기가 앞선 1732년(영조 8) 영조 때 왕실발기와 시기가 가장 늦은 1932년 왕실발기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하고 있다. 이중 기명발기가 4점 전하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950여건 중 기명발기는 40여 점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기명발기 4점은 기명발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constitutes the second segment,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contents of the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list of royal items) archiv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this second part, an examin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royal item lists following the reign of Emperor Sunjong (r. 1907-1910) and 20 undated lis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first installment. Amongst the royal item lists written during and after Emperor Sunjong’s reign, a list labelled as Gogung2419 records the food served at a tea ceremony conducted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Sunjong in 1919. In the lists pertaining to 1919, a noticeable absence is found specically in the entries of the month of October, and Gogung2419 corresponds to that missing section. Therefore, the presence of Gogung2419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Wangsil Balgi related to the tea ceremony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Myeongseong, as it serves as a complete and integral source of information. Gungjung 346 and Gungjung 347 are Boksik Balgi(服飾件記,list of attire) and Gimyoeng Balgi (器皿件記, a list of tableware) made in 1932 for the rst birthday banquet for Yi Gu (1931-2005), the second son of Imperial Prince Yeong (1897-1970). As one of the most recently documented royal item lists, it serves as tangible evidence that such records were still being produced until 1932. Additionally, the cover, made of vivid red silk adorned with lotus ower patterns, is exceptionally ornate. Among the extant royal records,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examples featuring such elaborate craftsmanship, making it particularly noteworthy. Gogung2227-2 and Gogung2227-3 have been known as “date unknown”. 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ogung2227-2 records the food served at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July 27, 1896, and has the same content as Jangseogak138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ng2227-2 is the final version that reflected all the revisions of Jangseogak1381. Gogung2227-3 is also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Jangseogak1366, which was issued for the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August 19, 1905.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ouses a total of thirty two pieces of Wangsil Balgi. Of all the pieces, twenty eight are in Korean and four in Chinese. e number of Korean versions is overwhelmingly large. In terms of its production timing, the largest number of Wangsil Balgi were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with a total of 9. Among the Wangsil Balgi stored in the Jangseogak Archive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also more Korean versions than Chinese ones, and the most numerous are those written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Currently, both the earliest of the Wangsil Balgi, written in 1732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 1724-1776) and the latest issued in 1932, are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Four out of thirty-two Wangsil Balgi stor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Gimyeong Balgi. Considering that there are only forty Gimyeong Balgi out of nine hundred fifty Wangsil Balgi in the Jangseokgak Archive’s collection, the four Gimyeong Balgi in the NPMK’s collection are of important value for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Gimyeong Balgi.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寫字官廳謄錄』의 사료적 가치

        이상백(Lee Sang Baek) 국립고궁박물관 2021 古宮文化 Vol.- No.14

        이 논문에서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입수한 『사자관청등록』의 사료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사자관청등록』은 조선 말기 1877년(고종 14) 에서 1881년(고종 19) 까지 6년간 짧게 작성된 관청일지이지만 사자관의 연구가 부진한 상황에서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조선시대사자관과 사자관청의 직제와 운영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등록의 서지적 특징을, 후반부에서는등록이 지닌 사료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조선시대 사자관청은 승문원의 속사로서 조선 중기인 중종 대에 도입, 운영되기 시작하였고숙종 대에 40명으로 정원이 확정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자관은 초기에는 정2품부터 종6품까지참상관 이상인 자도 역임하였으나 점차 수가 줄어 영조 대부터는 하위직이 본업인本業人으로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사자관청등록』에는 592개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여타 등록과 달리1인칭으로 작성된 기사가 다수 확인되며 작성자는 사자관청의 중간 간부급인 장무관일 가능성이크다. 등록에서 확인되는 사료적 가치는 사자관의 직제와 조직 문화, 사자관의 서사 활동으로 나눌수 있다. 전자에서는 첫째, 사자관의 직제, 둘째, 사자관청의 입속 과정, 셋째, 사자관의 업무 시작부터 수련, 죽음까지, 넷째, 친족으로 얽혀 있던 사자관청의 조직 문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자에서는 첫째, 사자관의 외교문서 작성 활동, 둘째, 왕실 기록물 작성 활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번역의 한계로 전체 등록을 완전히 구조화하지는 못하였고 관련 사료들을 면밀하게 연계해서 살펴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그간 부분적으로 연구된 사자관의 직제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국립고궁박물관이 입수한 『사자관청등록』의 가치를 효과적으로소개함으로써 향후 사자관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ing the historical value of the Record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collect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Record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is the document created containing records for 6 years from 1877 to 1882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an important source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on the official writer in Joseon is not active due to a lack of historical data.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in the Joseon Dynasty,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cords were examined. In the second half, the historical value of registration was review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official writer office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subordinate government office of the Office of Diplomatic Correspondence in 16th century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number of employee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was fixed at 40 in the 17th centur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official writers included high-ranking officials, but from the 18th century, it seems that low-ranking officials were mostly in charge of the official writers as their main occupation. The Record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contains 592 articles. Unlike other governmental records, there are many articles written in the first person in the Record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and the authors are likely to have been mid-level executives in the organization. There are two historical values identified in the records. The first is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The second is the writing activity of the official writer. In the former, first, the organization of the official writer, second, the process of entering the office, third, from the beginning to the death of the official, four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ffice, which was intertwined with relatives, were reviewed. In the latter, first, the activities of writing diplomatic documents of the official writer, and second, the activities of writing royal records were examined. In this pap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ranslation, the entire records could not be completely structured and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could not be closely linked. However, it was possible to fully convey the meaning of, and to provide new clues for future research of the official writer by reviewing the overall organization of the official writer, which has been partially studied, and effectively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value of the Records of the official writer office collect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김찬송(Kim Chan song) 국립고궁박물관 2018 古宮文化 Vol.- No.11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박물관은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이다. 이 박물관은 대한제국기에 설립되어 일제강점기까지 운영되면서 약 40여 년 간 존속하였으며 그동안 제실박물관, 이왕가박물관 등으로 불려왔다. 대한제국기인 1908년에 순종황제가 창덕궁으로 이어하면서, 창경궁에는 동ㆍ식물원과 함께 박물관의 설립에 대한 계획이 세워졌다. 궁내부에 어원사무국을 신설하여 박물관의 설립 준비부터 운영까지 체계적으로 진행하였다. 한일병합 이후에는 창경궁이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박물관은 전문성과 특수성을 인정받아 이왕직 내의 단독 관리 부서를 통해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내 박물관은 고종ㆍ순종의 승하에 따른 이왕직의 축소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등으로 인해 존폐위기가 거론될 만큼 점차 입지가 불안해졌다. 결국 일제강점기 말, 창경원의 이왕가박물관은 덕수궁의 이왕가미술관으로 이전 및 변경되어 운영되었고, 광복 이후인 1969년에 이르러 국립박물관으로 흡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The Changgyeonggung Museum, the first modern museum in Korean history, was establish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1987-1910) and last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over 40 years. The Museum was also known as the Korea Imperial Museum, or Yi Royal Family Museum. The plan to establish the museum, along with an the Zoological and the Botanical Gardens, was initiated in 1908, as Emperor Sunjong moved to Changdeokgung Palace. The Imperial Garden Office (Eowon Samuguk) was established in the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Gungnaebu) in order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foundation processes and management of the museum. Follow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hanggyeonggung palace ground went through a series of transformation, including its demotion to a mere park, Changgyeongwon. Only the museum was run separately by a specialized department in the Office of the Yi Royal Family, since its specialty was considered to demand expertise in management. Following the death of the last Korean kings, the subsequent collapse of Office of the Yi Royal Famil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owever, the museum’s standing also declined gradually to the extent of debates on its abolishment. By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museum in Changgyeonggung Palace was finally transferred to Deoksugung Palace ground under a new name, Yi Royal Family Museum of Art, and becam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ince it was merged into the National Museum in 1969.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1) -고종대 이전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2 古宮文化 Vol.- No.15

        This article is the first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a list of royal item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Until now,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was not well known. Therefore, it was written twice to introduce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o the academic world. Currently there are 32 Wangsil Balgis in total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his paper, the first volume, 12 Wangsil Balgis written up to King Gojong(高宗) were targeted. First, 〈Gogung 1741〉 is a list of brass bowls and wooden objects prepared in connection with the marriage of Princess Hwasun(和順翁主, 1720-1758), written by Naesussa(內需司) in 1732, and is the oldest of the Wangsil Balgi. Regarding Wangsil Balgi written before the 19th century, they exist only as a record, and the actual material has not been confirmed.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Wangsil Balgi written in the 18th century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existence of 〈Gogung 1741〉. There are three Wangsil Balgis written during Heonjong(憲宗) and Cheoljong(哲宗): 〈Gogung 2214〉 written in 1846, and 〈Gogung 2213〉 and 〈Gogung 2522〉 written in 1851. All three of these cases are related to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御眞 奉安) and are data showing the reality of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 in the 19th century. Eight pieces of Wangsil Balgi from King Gojong(高宗) are in the collection. 〈Gogung 2216〉 was written by Naesussa in 1864, and it is a list of cloths sent to the Original Palaces(本宮) in Hamheung(咸興) and Yeongheung(永興) . 〈Gogung 2220〉 and 〈Gogung 2221〉 are lists of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of Queen Shinjeong(神貞王后). 〈Gogung 717〉 is a list of court ladies who were active at the wedding of Uihwa-gun(義和君, 1877-1955) in 1893. And 〈Gogung 2215〉 is a list of food prepared during the Iandarye(移安茶禮) and Judarye(晝茶禮) in 1896. 〈Gogung 2211〉 is a list of food for a tea ceremony(茶禮) held in the royal mausoleum in 1898 and 〈Gogung 2223〉 is a list of items sent to each place during the ancestral rites in Jinjoen(眞殿) in 1905. This paper has only briefly introduced these materials, bu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n-depth research in related fields will progress in the future.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첫 번째 편으로, 그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 현황조차 제대로 알려진 바 없어 두 번에 걸쳐 그 현황을 학계에 소개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발기는 총 32점으로, 첫 번째 편인 본고에서는 고종대 이전에 작성된 왕실발기 12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8세기 초인 1732년에 화순옹주 길례 때 내수사內需司에서 작성한 왕실발기 〈ᄂᆡ슈ᄉᆞ 화슌옹듀 길녜시 소용 각양 유긔 목믈 ᄇᆞᆯ긔(고궁1741)〉는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오랜 것이다. 19세기 전의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간 기록으로만 존재할 뿐 자료 실물이 확인된 바 없었는데 이로써 18세기에 실재한 왕실발기가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辛亥五月十七日 眞殿第六室 器皿(고궁2213)〉, 〈신ᄒᆡ오월십칠일 봉안시(고궁2522)〉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신ᄒᆡ오월십칠일 환안시(장서각1880)〉과 함께 철종대의 어진 봉안 의례 및 그 의례와 관련하여 어떤 왕실발기가 작성되었는지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간 어진 봉안과 관련된 왕실발기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연속성을 갖는 실증적인 자료가 확인된 것이다. 고종대 왕실발기 8점 중 〈갑ᄌᆞ구월 위시 냥 본궁 의ᄃᆡ소입(고궁2216)〉은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에는 본궁에서 지낸 제례와 관련하여 별건으로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또 신정왕후의 제사와 관련된 〈신묘ᄉᆞ월십칠일 됴샹식 겸ᄒᆡᆼ 샹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0)〉과 〈신묘십이월초뉵일 탄일 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1)〉나 의화군 길례 때 작성된 〈의화군 길례시 자비내인 발기(고궁717)〉 등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과 함께 관련 의례를 촘촘히 재구성하고 왕실발기의 제작 과정을 밝히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왕실발기는 기록된 왕실 물명을 통해 18, 19세기 왕실언어의 특징 또한 살펴보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 소개한 각 왕실발기의 작성 시기와 내용이 바탕이 되어 이후 관련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금보의 재질 특성 및 제작 기법 연구

        강승희,박대우,김민지,권혁남 국립고궁박물관 2022 古宮文化 Vol.- No.15

        There are a total of 322 royal seal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ich were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from the 15th to the 20th century. In this study, surface observation, internal structure investigation, and compositional analysis of 155 gold seal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gold seal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oyal seals recorded in the royal books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used for the gold seals showed change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Gold seals were cast with copper alloy, silver alloy and tin alloy and then amalgam plated. About 93% of gold seals were made of copper alloy, and the zinc content varies by period. Gold seals produced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contained no more than 10% of zinc, but the zinc content of gold seals produced after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ranged from 10~30%. Especially in the 19th century, many gold seals with a higher content, 20~30%, were produced. The handle form is divided into turtle, dragon, and no character. Among them, the turtle-shaped seals are representative of those produced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and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ppear in the turtle pattern. Most of the seals do not have a pattern inside the turtle shell, but the decorative pattern inside the back of the turtle appears in seals made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lso, the seals were cast all at once until the 18th century, but after that, they we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welded.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어보는 총 322점으로,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조선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155과 금보의 표면 관찰, 내부 구조 조사, 성분 분석을 하였다. 금보 분석 결과는 조선왕조 의궤에 기록된 어보 제작 시기를 바탕으로 정리하였으며, 시대 흐름에 따라 금보에 사용된 재료 및 제작 기법에서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보는 구리 합금, 은 합금, 주석 합금으로 만든 주물에 수은 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하여 제작하였다. 금보는 약 93%가 구리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시기별로 아연 함량이 달라진다. 15세기부터 18세기 초기까지 제작된 금보는 아연 함량이 10% 초반을 넘지 않으나, 18세기 중기 이후에 제작된 금보의 아연 함량은 10~30%로 넓게 분포하며, 특히 19세기는 20~30% 이상의 함량을 지닌 금보가 많이 제작되었다. 금보의 보뉴 형태는 귀뉴, 용뉴, 직뉴로 구분되며, 이 중 귀뉴형 금보는 15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제작된 대표적인 금보로 귀갑문에서 시기별 특징이 나타난다. 대부분 금보의 귀갑문에는 문양 없이 귀갑만이 새겨져 있으나, 17세기 후기부터 19세기 초기까지 제작된 금보에서만 귀갑 내 장식한 문양이 나타난다. 또한, 금보는 18세기 후기 이후에 보뉴와 보신의 제작 방법이 일체형 주조에서 분리형 주조로 변화되는 양상이 관찰된다.

      • KCI등재

        적의(翟衣) 유물의 색과 금사 분석

        정용재(Chung Yong Jae),유지아(Yu Ji A),정선혜(Jeong Seon Hye) 국립고궁박물관 2011 古宮文化 Vol.- No.4

        본 연구는 소장처 및 형태가 다른 적의 유물(국립고궁박물관 적의, 세종대학교 박물관 적의,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금사의 성분과 색도를 분석하고, 각 3점의 과학적 분석 결과에 대한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첫째, 적의 유물 부위별 금사의 형태적 분석으로 디지털 영상현미경을 이용하여 금사의 꼬임 횟수 및 너비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휴대용 합금분석기(portable XRF)을 이용하여 적의에 사용된 금사 성분을 분석하였다. 셋째, 색도계를 이용하여 적의의 각 부분별색도 분석과 함께 적의 3점의 색도 비교를 통하여 정확한 색의 기록 및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형태적 분석 결과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에서 금사의 꼬임 횟수 및 폭, 금박의 폭이 다른 2점과는 차이점을 보였고, XRF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는 금사에서 금(Au)이 검출되어 금사로 확인되었으나,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의 경우 구리(Cu)가 검출되어 금속사로 확인되었다. 하피에 위치한 금박의 경우 전부 금이 검출되어 금박으로 확인되었으며,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의 폐슬에 사용된 금사 역시 금이 검출되어 금사로 확인되었고 금속의 경우 은과 금의 합금(Au-Ag)으로 추정된다. 적의 유물 3점의 색 분석 결과, 적의 유물과 하피 유물의 청색 색도에서 서울역사박물관 적의·하피 유물의 청색 색도와 다른 2점의 청색과는 거의 다른 계열의 청색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유물 및 색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어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적의 유물 3점에 대한 금사의 형태적 통계 및 성분분석 통계, 색도 통계를 산출하고 비교함으로써 향후 금사의 과학적 규명 연구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study for three pieces of jeogui(collected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Seoul Museum of History) through componential, chromaticity analysis. First, we analyse a twist number, width of gold thread through a digital microscope to know each part of gold thread. Second, we use a portable XRF to analyse component of gold thread. Third, we use a color-difference meter to compare each parts of jeogui textile.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to twist, width of gold thread in other two jeogui’s. In jeogui’s which are owned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XRF analysis can detect gold(Au). But in jeogui which is owned Seoul Museum of History, XRF analysis can detect copper(Cu). So we could know jeogui’s which are owned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is composed a gold thread, and we could know jeogui which is owned Seoul Museum of History is composed a metal fiber. gilt located in hapi is illuminated gilt because gold detected. Also pyeseul located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jeogui, Sejong university museum jeogui identified gold thread because gold detected. And metal is presumed gold-silver alloy. As a result of color difference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to blue color in jeogui, hapi of Seoul Museum of History. And there is a very little difference in other color. By computing formal, components, and chromaticity statistics of three pieces of jeogui’s gold thread and comparing domestic gold thread cas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ocument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research of gold thread.

      • KCI등재

        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심연옥(Sim Yeon Ok) 국립고궁박물관 2011 古宮文化 Vol.- No.4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적의직물에 대한 문헌조사와 적의유물 3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병행하여 적의직물의 구성과 제직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한 규명을 위해 일본의 직조자료를 조사하고, 대한제국시기 왕실직물제직에 대한 기록과 유물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1. 대한제국시기 황제국으로서 위상을 확립하기 위하여 적의제도를 새로 마련하고 이 내용을『 대한예전(大韓禮典)』과『 예복(禮服)』에 담았다. 적의제도는『 대명회전(大明會典)』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적의 직물의 종류도 명대의 직물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적의에 적문(苧絲, 紗, 羅), 선단에 직금(織金)(苧絲, 紗, 羅)를 임의대로 사용하였다. 대한제국시기의『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22)에는 당시 실제 사용된 적의 직물명과 소요량을 적고 있다. 직물의 종류는 채적문필단, 직금운용문필단, 안감에 필단, 사를 사용했다. 2. 적의유물의 제직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적의 직물 3점은 모두 7매 수자조직의 채화단이며, 선단은 연금사(撚金絲)로 짠 직금직물로서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는 직금능이며 역사박물관 적의는 직금단이다. 고궁박물관과 세종대학교 유물은 문양과 구성에는 차이는 있으나 적의와 선단에 사용한 견사, 금사가 같고, 조직 및 제직특성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역사박물관 적의는 조직에 있어서는 고궁과 세종대 12등 적의와 같으나 경사의 짜임이 성글고 문위사가 가늘며 직물의 도안이나 제직상태의 완성도가 떨어진다. 선단과 안감의 직물도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제직환경에서 제직했음이 나타난다. 3.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해 고찰한 결과 고궁박물관 소장 영친왕비 9등 적의의 채적문단과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순정효황후 적의의 채적문단은 일본 쿄토 가와시마직물(川島織物)셀콘에서 제직한 것을 확인했다. 모두 4점의 직물샘플을 조사했으며 A샘플은 12등 적의 뒷길의 하단부분이며, B샘플은 12등 적의 폐슬의 부분이었으며, C샘플은 9등 적의 폐슬부분과 앞길, 뒷길이 이어지는 부분의 시직으로 판단되지만 문양의 간격에는 차이가 있어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D샘플 9등 적의의 소매부분의 샘플임을 확인했다. 정확한 제작연대나 경위 등에 대해서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4. 역사박물관 적의는 영친왕비 9등 적의와 순정효황후 12등 적의와는 제직특성상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것이 대한제국시기 국내에서 제직된 직물이라고 추정하였다. 대한제국 궁내부(宮內府)에 1904년 직조과(織造科)를 따로 설치하여 황실의 의복을 만들었으며, 어용 직조기(御用織造機)를 두어 황실의 직물을 제직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 9등 적의 제작시기는 궁내부 직조과가 설치되었던 1904년에서 한일합방되어 궁내부가 폐지되는 1910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때의 국혼으로는 순정효황후 윤씨의 가례가 있어 이때 소용된 복식이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좀 더 보완된 연구가 필요하다. 조선시대 후기 문직물 직조기술은 영조시대 사치를 금하기 위한 조처로 상방의 직기를 철폐시킨 이후부터 답보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직조기술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직조과를 새로 설치하고 황실의 복식을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직한 것은 황제국 체제 정비를 통한 자주독립국으로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세우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이었다.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form and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textil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documents and the textiles of the three pieces of jeogui relics. And by researching Japan’s weaving document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and researching the documents and relics of the Korean Empire Period’s royal woven textile, this research has resulted in gaining conclusion as below; 1. The Korean Empire had newly prepared a jeogui system to establish stature as emperor country. And left this contents in『 Daehan-yejeon(大韓禮典)』and『 Yebok(禮服)』. The jeogui system follows the contents of 『Da-Ming huidian(大明會典)』 and the type of jeogui textile uses the same name from Ming period. The ramie, gauze(苧絲, 紗, 羅) for jeogui, and Jikgeum(織金) for Sundan. In the Korean Empire’s『 Garaedogam(嘉禮都監儀軌)』, shows the textile name and demand quantity of jeogui used in that period. For the fabric type there were Dahn with pheasant(彩翟紋匹緞) and Dahn with Jikguem cloud and dragons(織金雲龍 紋匹緞) for the lining, Dahn and Sa was used. 2. Researched and compared the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relic. The three pieces of jeogui textile were all Dahn with flowers(彩花緞) of seven-end satin binding. Sundan is a Jikgeum textile woven by twisted-gold thread(撚金絲). The jeogu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are Jikgeum Nueng and the one in Seoul Museum of History is Jikgeum Dahn. The relic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show difference in pattern and composition, but the silk and gold thread used in jeogui and sundan are the same and so is the composition and weaving characteristic. The composition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but has loose warp threads, thin supplementary weft, and the execution of design and weaving status is depreciated. It shows that they were woven in a different weaving environment from the difference in sundan and lining fabric. 3. In researching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the Dahn with pheasant-patterned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Empress Yun’s jeogui at Sejong University Museum were woven in Kawasima-selcon(川島織 物) Kyoto, Japan. This study has researched total of 4 woven fabric sample pieces. A sample is the lower part of twelve-tier jeogui, B sample is part of twelve-tier jeogui’s pyeseul(蔽膝), C sample is judged to be the test weaving of the pyeseul part and connecting part of from the nine-tier jeogui. D sample is the sleeve sample part of the nine-tier jeogui. 4. The weaving characteristic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nine-tier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nd Empress Yun’s twelve-tier jeogui, so it is assumed to be made in domestic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 1904,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a government-patronized loom(御用織造機)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Empire Gungnaebu(宮內府) to produce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and fabrics. The production period of nine-tier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assumed to be from 1904 to 1910. There was a royal wedding for Empress Yun, and this might be the dressing used, but this theory needs more research. The weaving technology of late Joseon Dahn was an action to prohibit luxury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so the loom of Sangeuiwon(尙衣院) was abolished and after that everything was on standstill. The Korean Empire tried to set up its status as an independence country by establishing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weaving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 KCI등재후보

        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전나나(Jeon Nana) 국립고궁박물관 2020 古宮文化 Vol.- No.13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된 궁궐 중에는 정전의 좌우에 대형의 향로를 두는 경우가 있다.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에는 월대의 동서 끝 부분에 대형의 향로가 남아 있다. 이 향로를 의궤에서는 용향로라고 지칭하였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경복궁영건일기』에 따라 1866년에 만들어져 이듬해 완성되었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1902년 제작하였다가 불탄 후, 1905년경에 다시 제작한 기록이 의궤에 남아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1457년에 제작한 대종을 녹여서 제작하였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금속을 이용하여 새로 주조하였다. 특히 중화전 용향로는 제작에 소요된 물품과 장인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의미가 깊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를 제작한 직후 조선의 정권을 잡았던 흥선대원군은 청에 사행을 다녀온 관원에게 청 자금성의 규모와 형태에 관하여 문의하였다. 이때 자금성 태화전에는 향로를 두었고, 중화전에는 두지 않았던 내용을 상세하게 전달받았다. 조선 후기부터 연행록과 연행도를 토대로 청 자금성의 기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대형의 향로가 있다는 점이 조정에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청 자금성의 태화전 앞에 있는 대형 향로의 모습이 우리나라 정전 용향로와 문양과 형상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용향로는 조선 후기 18~19세기에 그려진 의궤 도설의 향로와 조선 후기 왕실 향로와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정전 용향로의 용 머리가 있는 뚜껑은 현대에 이르러 분실되었다.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의 의궤 도설에서는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용 머리가 있는 용향로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까지도 남아 있었지만, 1960년대 분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 경에 한 점을 분실하고, 한 점만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정전의 용향로는 뚜껑의 형상을 갖추었으며, 제례시 사용한 향로와 유사한 모습이다. 특히 정전 용향로는 고종 재위시 설치되어 조선 후기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는 상징성을 보인다.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1392-1897) and Daehan Empire(1897-1910) ha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to the throne hall. Of them, only two pairs are remaining today, one at the Moon Terrac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other is from Junghwa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These large incense burners were called “dragon Incense Burner(yonghyangno)” due to the dragon motif used to decorate then. According to The Diary of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Gyeongbokgung Yeonggeon Ilgi),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in 1866 while,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uigwe),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were first made in 1902 but had to be made again three years later due to the fire that destroyed them. Th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by melting a large bell produced in 1457, those of Junghwajeon Hall with molten metal. The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in particular are highly regarded as a source for the study of the political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imperial court thanks to the details of records made regarding their production, materials used and the artisans who made the burners. Following the production of the incense burners for Geunjeongjeon Hall, Lord Heungseon Daewongun(1820-1898), chief of the government of Joseon at the time, asked the Joseon envoys sent to the imperial court of Qing about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Forbidden City, the imperial palace of Qing. The information he obtained from the envoys included the fact that there were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at the front of the Hall of Supreme Harmony(Taihedian), the imperial throne hall of the Forbidden City, while there were none at Junghwajeon Hall. It appears that it was after the report that the Korean imperial court studied the early records and drawings of the imperial palace of Qing documented by the Joseon envoys, finding that the Qing court use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for the adornment of the imperial throne hall. The incense burners at Taihedian Hall of the Forbidden City are uniquely different from those at the Joseon and Daehan palaces in their size and form.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 and Daehan Empire share similarities with the incense burners traditionally used by the Joseon court as shown by the illustrations contained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 publish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throne halls were originally complete with the lids carved with dragon heads as shown by the uigwe illustrations produced in the Joseon and Daehan Empire periods. Of the remaining burners, thos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lost sometime during the 1960s while those of Junghwajeon Hall in Deoksugung Palace only one lid is remaining today with the other lid lo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Korean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en complete with their lid, these incense burners feature the form similar to those traditionally used at state rit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newly adopted for the throne hall during the reign of Emperor Gojong we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