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및 전망

        全優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4 No.-

        1999년 11월 한중일 3국 간 첫 정상모임이 시작되어 3국 간에는 연례적으로 정상회의를소집하게 되었다. 제3차 한ㆍ중ㆍ일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들이 아시아 지역의 연대와 통합, 갈등 해소를 위해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프로그램을 3국 간 신규 협력 사업으로 채택하였다. 필자는본고에서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프로그램의 한 개 사업단의 실무자로서 실제 쌓은 경험과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프로그램의 현황과과제 및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프로그램은 유럽의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의 한 개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유럽연합은 경제적 통일을 바탕으로 정치적 통일의 실현을 향해 도약하는 한편 교육교류를 통해 유럽통합의 토대를 강화하였다.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은 단순한 학생교류 차원에서 시작해 공동학위과정이나 다국 간 프로젝트를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해 왔다. 유럽은 장기간에 걸친 대학생 교류 경험과 역량 축적을 통해제도적 안정을 이루었다. ‘한ㆍ중ㆍ일 대학교 Campus Asia’ 역시 3국 간의 대학생 및 교수등 인적교류를 통하여 아시아의 현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3국간의 경제적 협력과 정치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학생 및 교수 교류 프로그램’이될 것이다. The coming of the times without frontier: the present condition, task and prospect of CAMPUS Asia since 1999 summit meeting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 summit meeting in three countries has been held annually. On the third summit meeting, the three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a program called CAMPUS Asia for solidarity, integrity and conflict settlement of Asia and adopted Campus Asia as their new cooperate project. The writer of this article wrote this article based on the experience as a director of CAMPUS Asia program of one high school. CAMPUS Asia is very similar to the ERASMUS program of Europe. EU strived to accomplish political integrity based on the economical unity, while on the other hand, struggled for reinforcement of European bond via educational interchange. The ERASMUS program developed fro m a simple for m of student-exchange level to the level involving multinational project or multinational joint degree project. Europe achieved their institutional stability by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capability through student-exchange programs. CAMPUS Asia, like Europe, is an outstanding program capable of fostering leaders for future regional problems while establishing economical and political bond and stability in three executing countries.

      • KCI등재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이경,조은샘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3

        CAMPUS Asia 확장사업은 2010년 한국, 일본, 중국 3국 정상회의의 합의에 따라 한국, 일본, 중국 간 학생교류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이래, 2021년에 ASEAN 국가를 포함하는 확장사업으로 전환되면서 동아시아 범위를 넘어 범아시아 고등교육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CAMPUS Asia 확장사업 전환 이후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문화적 친밀성이 중요하다는 가정하에, 학생들의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범아시아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미치는 매개 효과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에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CAMPUS Asia 확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국내ㆍ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데이터 중 157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단순 회귀,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문화적 친밀성에 기반한 참여 동기는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만족도는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와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AMPUS Asia 확장사업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학생 선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식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itiated in 2010 as a student exchange initiative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under the auspices of the their respective leaders, the CAMPUS Asia project was expanded in 2021 to include ASEAN countries, with the objective of cultivating a pan-Asian higher education community that extends beyond East Asi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students’ cultural affinity-based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pan-Asian community identity, and explores the rol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sim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7 participants of the CAMPUS Asia Plus program, spanning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2. The findings reveal that cultural affinity-based motiva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tudents’ perceptions of a pan-Asian community. Additionally,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ffinity-bas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sense of a pan-Asian community. These results offer critical insights into student selection and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that could enhance the efficacy of the CAMPUS Asia Plus project in achieving its educational and policy objectives.

      • KCI등재

        동서대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에 대한 이해

        김선주(金善珠),전재은(田才恩),유은지(柳銀志)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한중일 캠퍼스 아시아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10개 프로그램 중 이동식 국제공동캠퍼스라는 독창적인 국제학생이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동서대-광동외어외무대-리츠메이칸대 사업단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동서대 사업단 프로그램을 글로벌 생활-학습 연계형 프로그램(글로벌 LLP)으로 유형화하고, 동서대참여 한국학생들이 글로벌 LLP의 공동생활과 공동교육과정 참여를 통해 어떠한 학습경험을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캠퍼스 아시아 사업에 참여한 10명의 동서대 학생에 대한 심층면접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동서대 학생들은 한중일 3국에서 중국, 일본학생들과의 공동생활을 통해 글로벌 우정을 키우고, 갈등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고, 갈등 속에서 다름을 인정, 배려하면서 성장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서대 학생들은 한중일 3국을 순환하는 공동캠퍼스 및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3개 국어를 능숙히 활용하고, 동아시아 역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입체적 사고’를 키우며, 한중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해가는 학습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동서대 학생들의 경험을 접촉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동서대 사업단,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 한국의 국제고등교육분야에서의 역할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searched one of the 10 consortia from the CAMPUS Asia(CA) project, the Dongseo University(Korea)- Guangdong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China)- Ritsumeikan University(Japan) consortium. This consortium introduced the innovative ‘international mobility campus’ among three countries. Categorizing this Dongseo University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global living-learning program(LL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orean students from Dongseo University participating in the CA program learn from living together and learning together the common curriculum with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10 Dongseo University participating students. Findings showed that these Korean students developed global friendship, played the role of mediator for conflict, and grew to accept and consider differences amid conflict from living together with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in the same consortium. Findings also showed that Dongseo University students learned to utilize three Asian languages fluently, develop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oward history among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form the East Asian community perception from studying on the international mobility campus and learning the common curriculum. Applying contact theory to explain aforementioned participants’ experiences, implications for the Dongseo University consortium, CA project, and the role of Korea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The Reg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Northeast Asia

        변기용(Kiyong BYUN),엄상현(Sangheon U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에서의 고등교육 지역화의 최근 동향을 개관하고, 이와 관련한 주요 이슈들을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중일간 무역 의존도와 고등교육 교류 활동은 2000년대 초반이후 급속도로 확산되어 일정 정도 지역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지만,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정치ㆍ경제 문화적 다양성과 서로 다른 고등교육의 발전 단계로 말미암아 동아시아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고등교육 지역화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소한 당분간은 동아시아 전역 보다는 동북아시아라는 하위 지역중심의 고등교육 지역화 노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것을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동북아시아 지역의 고등교육 지역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1) 중국과 일본간에 존재하는 동북아 지역 리더십 경쟁에 따른 알력, (2) 고등교육 서비스의 상품화 현상과 지역내 국가간 교육수출 경쟁의 심화, (3) 지역내에서 발생하는 국경을 넘는 교육서비스의 질 보장과 학위/자격 인증의 문제 등 산적한 난제들이 각국 정부들의 노력을 통해 먼저 해결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recent developments in the reg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Northeast Asia, and to investigate related issues, particularly focusing o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crucial features of the three Northeast Asian economies, and shows how they currently depend on each other in terms of intra-regional trade and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activities.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although the reg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this region has drastically increased since the early 2000s. East Asia’s extreme diversity and uneven level of economic and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has made it difficult to achieve a region-wide approach. Therefore, at least in the near future,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are likely to continue focusing their efforts on establishing a more solid cooperation framework at a sub-regional level than at a pan-regional level. In this process,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regionalizaton of higher education in this region, the governments i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should tackle some tricky issues at hand, such as a rivalry competition between newly emerging China and Japan, the evolving nature of market-driven cross border higher education provision, and last but not least the issue of quality assurance and recognition.

      • Missional Strategy of Adventist Colleges in Northern Asia-Pacific Division

        ( Un Bae Kim ) 삼육대학교 선교와사회문제연구소 2015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and analyzing the missional situations of four Adventist Colleges in Northern Asia- Pacific Division--Taiwan Adventist College in Taiwan, Hong Kong Adventist College in Hong Kong, Saniku Gakuin College in Japan, and Sahmyook University in Korea--and suggesting effective missional strategies for them in the Postmodern era. This study suggests five paradigm shifts for effective campus ministry: (1) from Bible studies/small groups to missional communities, (2) from head counting to seed spreading, (3) from assumptions about students to personal knowledge of students, (4) from minister-centered mission to professor-centered mission, and (5) from evangelism as merely a program or activity to holistic way of life evangelism.

      • KCI등재

        동북아시아 유학생의 상호인식 -사회적 거리감과 국가 정체성

        황정미 ( Jung-mee Hw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4

        동북아 역내 국가 간 상호의존성이 점차 심화되는 현상은 경제와 무역 분야 뿐 아니라 대중문화, 여행, 취업 등 일상생활에서도 체감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중일 유학생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동북아 국가 사람들의 상호인식과 국가정체성의 양상을 ‘아래로부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한.중.일 유학생들이 이웃 나라 국민, 그리고 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비교한 결과, 미국인을 상대적으로 더친근하게 느끼는 ‘미국인 선호’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사회적 거리감이 접촉 경험, 감정적 평가, 그리고 정체성 요인들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유학생들이 현재 유학 중인 거주지 사람들을 보다 친근하게 느끼는 이른바 접촉 효과는 일본인에 대한 거리감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웃 국민에 대한 감정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드는 효과도 나타났다. 정체성 요인을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자국중심 정체성이 강할수록 미국인과 중국인에 대한 거리감은 좀 더 멀어지는 반면, 국제협력과 공존을 중시하는 세계인 정체성이 강할수록 역으로 미국인과 중국인에 대한 거리감이 좁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중심적인 민족주의가 여전히 강하고 이른바 ‘부재하는 현존’으로써 미국(서구)적 가치를 따라잡기 위해 국가간 경쟁을 당연시해온동북아 지역에서 역내 협력과 상호 이해의 가능성과 지향점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국가간 관계의 차원 뿐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사회문화적인 접촉의 증가, 특히 역내 유학의 확대가 이른바 ‘사회적 아시아’(social Asia)를 활성화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잠재력을 주목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적 노력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Interdependency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 Korea, Japan, and China - has been expanded not only in inter-government relations and trade areas but also in various aspects across everyday lives such as mass media, tourism and lifestyle trends, and personal relations like intercultural marriages. Recognition on intra-regional relations and regional identities in Northeast Asia needs to be analysed based on a “bottom-up”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observes a survey result of Northeast Asia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adjacent countries, and analyzes social distance and related attitudes toward national/transnational identities among these students. Measured by Borgadus scales, Northeast Asian students commonly express closer feelings toward Americans than adjacent regional residents. Respondents who are studying in Japan tend to present more intimate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than those who are studying in Korea and China. This means so-called ‘contact hypothesi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s only applicable to Japanese case. In terms of national and transnational identities, we find that the strong sense of national identity tend to extend social distance against Chinese and Americans.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who positively internalize international and cosmopolitan attitudes incline to feel closer to Chinese and Americans. Whether the extension of intra-reg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s may contribute to activating ‘social Asia’ as bottom-up networks in sociocultur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n region needs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CAMPUS Asia 사업의 참여성과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김희연(Kim, Hee-Yun),전재은(Jon, Jae-Eun),강민수(Kang, Min-S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한중일 CAMPUS Asia 사업이 사업목표인 한중일 3국 대학생 간 상호이해 증진 및 동북아시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 차세대 리더 양성이라는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참여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CAMPUS Asia 시범사업에 참여한 10개 사업단을 통해 중국과 일본에 파견되었던 한국 학생 및 졸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학생은 한중일을 모두 순회하는 프로그램 또는 일본 대학이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CAMPUS Asia 사업의 참여성과 6가지 영역 모두가 사업단의 교육과정이 CAMPUS Asia 사업 및 해당 사업단 주제에 부합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AMPUS Asia 사업 참여학생은 같은 사업단 내 한국학생보다는 사업단 외 현지학생 및 외국인 유학생과 다양하게 교류할수록 참여성과가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을 진행할 때에는 사업 목표와 사업단 주제에 적절하면서도 풍부한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CAMPUS Asia 사업은 일반 교환학생 프로그램에서 기대할 수 있는 참여성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사업만의 특징인 한중일 3국이 참여하고 사업단별로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운영되는데 따른 참여성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복수학위 취득도 가능하여, 한중일 CAMPUS Asia 사업은 다층・다면적 참여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학생 국제교류 사업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AMPUS Asia Project has achieved its goals of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mong college students from China, Japan, and Korea, and educating future leaders who share the sense of community in East Asia,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n its curricula. Data were collected using survey with Korean participants who studied in China and/or Japan through CAMPUS Asia Project. Main findings include: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to study both in China and or Japan or studied in Japan only evaluated the curricula and programs they took positively. Second, as the curricula and programs met the purpose of the CAMPUS Asia Project and the specific theme of each consortia,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show the higher learning outcomes over all six domains. Third, Korean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r learning outcomes for all six of them, as they interacted more frequently with local and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outside the CAMPUS Asia Project. However, this was not true when they interacted frequently with other Korean students. Therefore, at the next stage of the CAMPUS Asia Project, focus needs to be put on running curricula and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he theme of each consortium. In addition, the CAMPUS Asia Project can be evaluated as the program with the multifaced and multilayered effects from participating in it.

      • KCI등재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집행과정 분석

        변기용 ( Byun Kiyong ),전재은 ( Jon Jae-eun ),홍세영 ( Hong Seyoung ),박예진 ( Park Ye-j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시행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와 집행과정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사업의 설계 및운영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집행 분석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한 문헌자료,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AMPUS Asia 시범사업은 참여 학생의 발달측면 그리고 정부 및 대학 차원의 교류 협력 기반 조성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여러 한계점도 드러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및 한계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을 정부 차원, 참여 사업단 차원,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다양한 방안들, 예를 들어, 사업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 정부 차원의 국가별 학사제도 차이 및 학점인정 문제 해결, 사업의 차별성 확립, 사업단별 교육과정 강화, 공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특화된 진로모델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utcom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from various stakeholders`` perspectives related to the CAMPUS Asia (Collective Action for Mobility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Asia) pilot project, and thereb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it. The pilot projet of the CAMPUS Asia lasted four years from 2012 to 2015. A hybrid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its implementation process, and diverse sources of data such as document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employed for analysis. Findings showed the accomplishment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for promoting participants`` development and building the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al and institutional levels, while various limit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at the governmental, institutional, and student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multiple suggestion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were provided, for example, to set up the ultimate goals of the project clearly, for governments to coordinate different academic systems by country and address the issue of credit transfer, to establish the uniqueness of the project, to strengthen the curriculum of each consortium, to co-manag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develop the specialized career paths.

      • KCI등재후보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추진과정과 운영실태 분석

        정일환,이영호,김정희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CAMPUS Asia(Collective Action for Mobility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Asia) project background of policy formation, analyze it based on policy agenda setting model which Cobb, Ross, and Ross(1976) provided as a theoretical model for agenda setting of educational policy, and provide policy direction for future of it analyzing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in operation of it. According to policy agenda setting model explained by Cobb, Ross, and Ross(1976), the CAMPUS Asia project is policy made as a policy agenda by direction through the agreement of political leaders and received the support of office of foreign affair secretary and office of education secretary, in charge of office of Blue House’s national task. It became government agenda approaching to the highest policy decision-maker being leaded by bureaucratic group(President and related office of chief secretar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bureau in Ministry of Education) in governmental institution for making effective policy. Therefore, it is work made as policy agenda by mixed formation of mobilization and internal approach type. Based on the analysis of process and operational situation of CAMPUS Asia project, the study provided some directions for development for enlarging and pushing it as pan-asian college student exchange program like ERASMUS program in Europe and for making the improvement of inter-understanding among three countries and basement for activating exchange between university in Asia through the exchang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in East Asia and activation of joint and dual diploma among three countries’ univers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중・일 3국이 CAMPUS Asi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정책의제형성의 배경 및 특성을 규명하고, 운영 실태 분석을 토대로 이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사업의 도입배경 및 추진과정을 정책의제형성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1차 시범사업 운영현황 분석을 토대로 이 사업의 지속성과 추진동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법적・제도적・운영 측면에서 문제점 등을 분석・제시한다. CAMPUS Asia 사업은 Cobb, Ross 및 Ross(1976)에 의해 설명된 정책의제설정 모형에서 보면, 정치지도자들의 합의에 따른 지시에 의해 바로 정책의제화된 정책이며, 청와대 국정과제담당관실에서 주관하면서 외교비서관실, 교육비서관실의 공조를 받았다. 이를 효율적으로 정책화하기 위해 정부기관내의 관료집단(청와대 대통령 및 관련 수석실, 외교부 및 특히 교육부 담당국)에 의해 주도되어 최고정책결정자에게 접근하여 정부의제화되었다. 따라서 동 사업은 동원형과 내부접근형의 혼합 형태로 정책의제화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CAMPUS Asia 사업의 추진과정과 운영 실태 분석을 토대로, 이 사업이 동아시아 한중일 대학생 교류 및 3국 대학 간 공동・복수학위 활성화를 통하여 3국 간 상호이해 증진 및 아시아 대학 간 교류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고, 유럽의 ERASMUS 프로그램과 같이 범아시아권 대학생 교류 프로그램으로 확대・추진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일중 캠퍼스아시아 사례를 통한 3국의 고등교육 교류협력 분석과 지역화 탐색

        김윤희,김선주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0 글로벌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CAMPUS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regionalization and co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in East Asia through student exchange (mobility),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CAMPUS Asia to expand to pan-Asia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goal, first of all, grasps the meaning of co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the reg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Next,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necessity and function of CAMPUS Asia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Japan-China and suggesting the expected effect from the view of the three countries via CAMPUS Asia by using reinterpreting the importance of student mobility with region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confirms that the aim of CAMPUS Asia, which is an extension of mutual exchange between students, gained a foothold to investigate common interests i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Second, the paper comprehends that multilateral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began to start with the expected effect that it will connect to regionalization.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that the three countries have ties with each other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private sectors to fulfill cooperation. Drawing on the discussion above, the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that Korea-Japan-China is required to strengthen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al level through settled and stable joint degree program. Not only that, but the CAMPUS Asia program also needs to establish and apply for the joint operating framework to facilitate credit transfer and credit recognition among three countries to invigorate further. 연구의 목적은 캠퍼스아시아 사업을 학생교류(이동성)를 통한 동아시아의 고등교육 협력과 지역화 추진이라는 관점에서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캠퍼스아시아 사업이 범아시아로 확대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캠퍼스아시아와 관련된자료들에 관한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우선 고등교육의 국제화의 환경에 있어 고등교육 협력의 의미와 학생이동을 통한 고등교육 지역화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일중 3국 협력에 있어 캠퍼스아시아의 필요성과 기능을 분석하고 학생이동의 의미를고등교육 지역화라는 틀을 통해 재해석하여 한일중 3국이 캠퍼스아시아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효과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중이 공동으로기획하고 운영하는 캠퍼스아시아 사업단의 사례를 통해 사업단의 목표인 고등교육을 통한 학생간 상호교류 확대가 단순한 학생 교류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한일중 공통 관심사에 관한 연구를정치·경제·사회·문화 분야로 확대하여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3국의 학생 상호교류를 이용한 다자협력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정부·대학·민간이 연계하여국제협력과 지역화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캠퍼스아시아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3국이 공동학위프로그램(joint degree) 정착을 통해정부차원의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학생들이 캠퍼스아시아 프로그램의 결과 취득한 학점의 전환과 인정을 용이하게 하는 공동 프레임워크 구축과 적용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