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자니아의 토지 횡령 원인 분석

        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2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8 No.-

        Due to the global crisis since the 2000s, foreign investors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s have increasingly acquired African land to grown food and biofuel crops, often resulting in the displacement of African people. Thus, foreign investors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s are often seen as land grabbers in Africa.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ee African governments and chiefs acting as land grabbers in Africa. Hence, by using Tanzania as a case study,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the main cause of land grabbing in Africa i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legal environment that legalizes land grabbing in the contin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land law from colonial times to the present and analyzes changes in customary land rights of ordinary Tanzanians throughout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two main factors that make ordinary Tanzanians vulnerable to land grabbing. First, under the dual land tenure system, customary land rights is weaker than statutory land rights. Second, Tanzania’s land laws, enacted during the British rule and after Tanzania’s independence, allow the government to convert indigenous people’s land to other types easily. And the reason why these elements persist is that Tanzania’s land laws from th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are closely connected to promoting nat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securing indigenous people's land right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aspects of national development should be kept out of law as much as possible in Tanzania in order to stop the legalization of land grabbing and focus on strengthening the customary land rights of ordinary Tanzanians. It will free ordinary Tanzanians from the risk of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and lead them to engage in more productive activitie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anzania. 2000년대 들어오면서 전 세계는 식량과 에너지 그리고 금융 위기에 직면한다. 이를 기점으로 북반부 국가의 기업과 투자자가 식량 작물, 바이오 연료 작물, 광물 등을 재배 및 생산하기 위해 아프리카에 진출하여 대규모 토지를 임대하는 토지거래 수가 급증했고, 그 과정에서 토착민이 강제 이주하는 토지 횡령 문제가 이슈화되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 토지 횡령에서 외부 투자자와 기업이 토지 횡령자로 지목되었다. 하지만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 사례를 분석하면 정부의 농업 계획, 족장의 부패 등 내부적 토지 횡령 요인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아프리카에서 토지 횡령이 빈번한 것은 토지 횡령이 합법화되는 법적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탄자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식민 시대부터 현재까지 제정 및 개정된 토지법을 분석하여 탄자니아 일반인의 토지권 보호 수준 변화를 도출한다. 본 연구 분석 결과, 탄자니아에서 토착민이 토지 횡령의 피해자로 전락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영국 식민 시대부터 공식화된 이중 토지 토지권 체계에서 관습 토지권이 법적 토지권보다 약하다는 것이다. 둘째, 영국이 제정한 토지법에서 주지사가 공동 이익을 위해 토지를 관리할 권한이 있다는 조항 등 정부가 토착민의 토지를 다른 유형의 토지로 전환하고 그들을 쫓아낼 수 있는 요소가 독립 후 제정된 탄자니아의 토지법에 그대로 계승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가 존속하는 이유는 식민 시대부터 현재까지 탄자니아의 토지법이 농업발전 혹은 경제 성장 등의 국가 발전을 중심으로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탄자니아가 토지 횡령이 합법화되는 환경을 제거하기 위해서 국가 발전 측면을 토지법 구성에서 최대한 배제하고, 일반 탄자니아인의 관습 토지 점유권 강화에 초점을 맞춰 토지법이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일반 탄자니아인이 ‘탈취에 의한 축적’의 위험에서 벗어나 그들이 더욱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게 이끌어 전반적인 탄자니아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독립 후 탄자니아 초등교육 형성 과정에 나타나는 사립학교의 역할 탐색

        박채원(Park, Chae-Won),신민경(Shin, Minkyung),강예린(Kang, Yerin),유성상(Yoo, Sung-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1961년 독립한 탄자니아는 1970년대 초등교육의 팽창이 정점에 이르나 1980년대 이르러 쇠락하다가 1990년/2000년대 국제사회의 초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등교육의 안정화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탄자니아의 이러한 초등교 육 변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토대 연구로써, 1960-1970년대 탄자니아의 초등교육형성 과정에 주목하고, 그 가운데서도 사립학교의 역할을 탐색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1960-1970년대 탄자니아 정부에서 발간한 1차 문서와 동 시대를 연구 배경으로 한 2차 사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한다. [연구결과] 1960-1970년대 탄자니아의 사립학교는 지역사회 주도의 사립 초등학교 팽창, 정부의 사립 초등학교 수용, 사립 초등학교의 국영화의 세 시기로 특징지어진다. 동 시기를 거치며 사립 초등학교는 독립직후 열악했던 정부의 학교 운영 능력과 재정 능력을 보완하였으며, 국가의 주요 교육 정책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결론] 탄자니아 정부가 실시한 사립 초등학교의 국영화는 탄자니아 교육이 직면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기반 한 공동체를 구축하려는 대안적이고 실천적인 움직임이었다. 이를 통해 탄자니아는 1970년대 안정적인 보편적 초등교육 정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역사를 통해 오늘날 아프리카 교육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의 시발점이며, 향후 지역 연구 혹은 비교 연구로써 아프리카의 교육을 이해하거나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그것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In Tanzania, the expansion of primary education peaked in the 1970s, but declined in the 1980s.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me interested in primary education, however, in the 1990s and 2000s, the expansion of primary education became stable again.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primary education in Tanzania, focusing on the process of primary education formation in Tanzania in the 1960s and 1970s and exploring for the role of private schools in that proces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documents published by the Tanzanian Government and secondary literature on the corresponding period. [Results] Tanzanian private schools in the 1960s and the 1970s are characterized by three different periods: 1) private primary school expansion led by community-based societies, 2) private primary school acceptance by the Tanzanian Government, and 3) private primary school nationalization. Passing through these periods, private primary schools supplemented the Government’s poor capability of school operation immediately after independence. Moreover, they contributed to implementing the main national education policies. [Conclusion] Private school nationalization led by the Tanzanian Government was not only a way to overcome practical limitations faced by Tanzanian education itself, but also an alternative and a practical movement which tried to establish a community-based society. As a result, it allowed Tanzania to implement a stabl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policy in the 1970s. This study is the starting point of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education of Africa through history.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significance for studying education in Africa and for the field of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 a regional study and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탄자니아 교육 정책의 변동을 둘러싼 정치적 동학과 주요 이슈

        이혜원 ( Lee Hae Won ),김성수 ( Kim Sungsoo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3 국제지역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독립 직후부터 탄자니아 정부가 추진해 온 교육 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변화의 방향과 내용에 대해 특히 교육 정책의 방향이 바뀌게 된 두 번의 중요한 시점 - 1967년 아루샤 선언과 1986년 IMF와의 협정 체결 - 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탄자니아는 독립 직후부터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초기 강력한 국가 주도의 ‘자립을 위한 교육’ 정책 아래 국민들의 요구, 정부의 의지와 리더십 그리고 국제사회의 지원에 힘입어 성인문해율 향상, 보편적 초등교육 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시기별로 그 등락이 극명하게 갈리는 현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 두 시점에 체제의 변화를 겪으며 탄자니아 정부가 교육 분야에서 어떠한 정책적 선택을 했고, 이에 따라 어떤 결과들이 나타났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또한 오랜 식민지 기간을 거친 탄자니아가 독립 직후부터 목표로 삼았던 탈식민주의와 자립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당면하게 된 딜레마와 그러한 딜레마가 가장 잘 드러나는, 현재 탄자니아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두 가지 이슈 - 교육 언어로서 영어 사용, 사립학교의 증가 - 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Since its independence, Tanzania has made various policy efforts to improve its education. With the state-led ‘Education for Self-Reliance’ policy, Tanzania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adult literacy and universal primary education. However, the achievements did not sustain and rather fluctuated greatly from period to period. The fluctuation in terms of its performance may be explained by different education policies of each period. This article traces the changes of educational policy in Tanzania since independece and examines why and how the policy has changed. The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two turning points - 1967 Arusha Declaration and signing an agreement with IMF in 1986. In addition, the article discusses two current issues that reveals Tanzania’s long-time dillema in education - the use of English as a language of instruction and the increase in private schools. Tanzanian case well illustrates how many young African countries’ goal of decolonization and self-rerliance have been pursued, achieved or frustr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탄자니아산 루비의 열처리에 의한 보석·광물학적 품질개선 연구

        김선옥,왕수균,오설미,박희율,박맹언,Kim, Seon-Ok,Wang, Sookyun,Oh, Sul-Mi,Park, Hee Yul,Park, Maeng-E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6

        루비는 유색보석 중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보석인 동시에 열처리에 의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어 학문적인 연구 대상으로서도 그 관심이 높다. 세계적으로 많은 지역에서 루비가 산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천연 루비는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탄자니아 등 일부 제한된 국가에서만 산출되며, 오랜 기간 채광으로 인해 고품질의 원석이 고갈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산지가 확인되어 관심이 높은 탄자니아산 루비 원석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단순 열처리방법과 화학적 열처리 방법에 의한 광물학적 및 보석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열처리에 의한 탄자니아산 루비의 품질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미얀마의 Mogok산과 Mong Hsu산 루비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단순 열처리 실험은 T=$1,600^{\circ}C$에서 6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균일한 암적색을 지닌 탄자니아산 루비의 색상과 투명도는 색채 색차계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UV-Vis Spectrometry) 결과, CIE 1931 color space 상의 적색과 청색의 좌표값(X, Y)이 원시료 (0.365, 0.321) 및 (0.346, 0.363)에서 (0.337, 0.322)로 감소함이 확인되어, 전통적인 단순 열처리 방법이 탄자니아산 루비의 품질개선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순 열처리를 수행한 탄자니아산 루비의 X-선형광분석(XRF) 결과, 루비의 적색을 발현 시키는 $Cr^{3+}$함량이 0.72~1.04 wt.%로 증가 되었으나, 갈색의 보조색상을 발현시키는 Fe의 함량이 함께 증가되어 순수한 적색이 아닌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 열처리에 의해 루비에 함유되어 있는 $Fe_2O_3$의 응집현상으로 어두운 색으로 변한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열처리에 의해 $SiO_2$의 함량이 특징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열처리 과정동안 용융되었다가 다시 재결정화 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투명도의 개선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탄자니아산 루비 중 표면에 균열이 있는 시료를 선별하여 납(Pb)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한 열처리 실험 결과, 색상 뿐 만아니라, 투명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CIE 1931 color space 상의 적색과 청색의 좌표값이 원시료 (0.386, 0.304) 및 (0.395, 0.313)에서 (0.405, 0.308)로 적색영역에 도시되었다. 이는 첨가제가 열처리 과정동안 용융되어 루비의 균열부분을 채워준 것으로 확대경으로도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루비의 표면과 균열부분에 대한 전자현미분석(EPMA)의 선분석(line scanning)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이 첨가제는 균열부분을 충진함으로써 내구성과 투명도가 개선되었다. 첨가제의 용융체는 루비와 굴절률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입사된 빛이 루비 내부로 더 쉽게 통과하여 전반적으로 색상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화학적 열처리가 탄자니아산 루비의 품질향상에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파이어 등 강옥군 광물의 유색보석에 대한 색과 투명도 개선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Ruby is one of the most favor colored gem, for beautiful red tone, be high in scarcity value. However, rubies with high quality are produced in restricted regions, such as in Thailand, Sri Lanka, Myanmar, and Tanzania etc., and they have been gradually exhausted by mining for a long period. Therefore, improving qualities of low level rubies with various treatments is arising an alternative way to obtain better rubies. Gemolog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natural ruby from Tanzanian were studied with heat treatments. Tho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only heat and adding flux materials under heating. Tanzanian raw rubies were applied a heat treatment ($1,600^{\circ}C$ for 6 hours). However, chromameter and UV-Vis analyses found that a simple heat treatment is inappropriated for the Tanzanian ruby. Although $Cr^{3+}$ containing for red color in the ruby increased with heat treatment, the ruby displays dark medium red because of Fe in the ruby as a form of $Fe_2O_3$. The low transparency after heat treatment is attributed to the recrystallization of $SiO_2$ which has a low melting point. Chromameter confirmed adding Pb-containing flux under heating greatly improves the clarity and color of Tanzanian rubies with micro-fractures and cavities on the surface. EMPA results show that Pb as an additive fills the cavities and cracks on raw Tanzanian rubies during the heat treatment. As a rewult of it, the quality of the Tanzanian ruby raw dramatically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eat treatment with an additive (Pb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way to obtain better quality of the Tanzanian ruby.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a suitable metho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Tanzanina rub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pgrade the qualities of similar gem stones such as corundum and sapphire.

      • KCI등재

        탄자니아 보건 및 교육 서비스에서의 조용한 부패와 사회적 책임: 탄자니아에서 조용한 부패가 어떻게 해석되는가에 대한 연구

        라디그라시아리아쿠르와 ( Ladigracia E. Lyakurwa ),김판석 ( Pan Suk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탄자니아 시민과 탄자니아 반부패기구가 조용한 부패(Quiet Corruption, QC)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시민들간에 사회적 책임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질적 분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조용한 부패는 일선 관료들에 의해서 행해지는 다양한 부패와 과실을 의미하며, 주로 결근이나 유령근로자와 같은 형태로 발생하지만 반드시 현금 거래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 SA)은 공무원과 서비스 제공자가 그들의 결정이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탄자니아의 도도마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며, 포커스 그룹 토의와 대면 인터뷰를 통해 조용한 부패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교분석방법을 활용했다. 탄자니아에서 조용한 부패의 발생률은 건강과 교육서비스 등에서 만연해 있으며 거의 삶의 일부가 되었다. 정부주도의 사회적 책임은 공적 서비스, 특히 보건과 교육서비스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부패는 사회 속에 묻혀있는 것이어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용한 부패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공무원의 재량권 감축, 사회적 가치 재구성, 권력구조 조정, 정부의 의사결정에 윤리적 사회지도자 참여, 강력한 현장 감시 체제 구축, 그리고 대형부패에 대한 엄격한 징계조치 활용 등을 제안한다. The study provides a qualitative analysis of how Quiet Corruption (QC) has been perceived by citizens and the anti-corruption agency in Tanzania, as well as the factors hindering social accountability (SA) among ordinary citizens. Generally, QC is various malpractices committed by street-level bureaucrats, which mainly occur in forms such as absenteeism or ghost workers, but not necessarily involving cash transactions. Enabling citizens to hold public officials and service providers accountable for their decisions or behavior is known as social accountability (SA).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Dodoma region of Tanzania. Focus group discussions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on QC and SA.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to categorize instances from focus group discussions and analyze the data. The incidence of QC is widespread in health and education and has become normalized as a part of life. State-led SA c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public services, particularly in health and education services. Corruption is embedded in the society; thus corruption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o combat QC effectively, this paper suggests reducing public officials` discretion, reshape societal values and power restructuring, involving ethical leaders and introducing robust local monitoring mechanisms and strict measures against grand corruption.

      • KCI등재

        The conflict of Polygamy and Monogamy in the Church of Tanzania -A Biblical and Reformed Approach-

        ( Eliud Esseko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일부다처제는 탄자니아 교회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일부다처제는 죄이며 간통이나 간음과 동등하다는 교리에 동의하지 않는 많은 일부다처의 가정들이 교회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일부다처제는 격렬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교회 안에서는 실천적으로 일부다처제를 지지하는 이들과 거부하고 반대하는 이들 사이에 긴장이 발생한다. 교회는 일부다처제가 성경적으로 틀렸다고 가르치면서도, 동시에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일부 다처제가 성경적인 근거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는 대립과 모순이 존재한다. 일부다처제가 죄라는 주장은 사실인가? 일부일처제 또는 일부다처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무엇인가? 성경은 창세기 2:21-24에서 아담과 이브 사이에 있었던 최초의 혼인 관계에 대해서 묘사한다. 특별히 24절은 한 사람이 가족을 떠나 그의 아내와 연합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는 혼인 관계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첫째, 이 혼인 관계는 남자와 여자의 관계이며, 둘째, 일대일의 관계라는 점에서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다. 탄자니아 교회는 이러한 관점을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성경적 근거로 삼는다. 신약에서도 예수 그리스도와 복음서 및 서신서를 기록한 제자들이 일부다처제를 비판한 적이 없다는 사설을 발견한다. 오히려 구약의 존경 받는 족장들 -예를 들어서, 아브라함, 야곱, 다윗, 솔로몬 등 대부분은 일부다처제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점들은 탄자니아 교회에서 일부다처제 결혼의 옹호자들에게 강력한 논거가 된다.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를 제정하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구약성경 어디에서도 우리는 일부다처제가 죄라는 구절을 찾을 수 없다. 하나님은 일부 다처제를 정죄하지 않으셨다. 이 사실은 하나님이 일부다처제가 자신의 뜻과 계획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다처제를 허용하셨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탄자니아와 아프리카의 일반 교회는 한 명 이상의 여성과 결혼하는 이들에게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어려움에 봉착 해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그리스도교로 회심하기 이전에 다수의 아내와 결혼한 사람을 아내들과 이혼하도록 해서는 안 되고, 여러 아내들 중에 한 사람을 택하도록 해서도 안 된다는 점을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교회는 세대 전환의 흐름 속에서 일부다처제를 경감시키거나 근절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한 남자와 한 여자 즉 아담과 이브 관계에 근거한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가르침을 정식화해야 한다. 이러한 필자의 논점은 아브라함과 야곱 다윗 솔로몬 등과 같은 사람의 욕구가 하나님의 본래 계획을 전복시킬 수 없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여호와는 변함없으셨고 여전히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자신의 계획에 변함없으시기에, 가정 관계와 결혼의 모형이사다. Polygamy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church in Tanzania. It is a burning issue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olygamous families in the church who refuses to agree with the doctrine that polygamy is sin, and it is equivalent to adultery or fornication. There is a tension in the church between those who affirm practically and those who decline and oppose it. The church teaches that polygamy is biblically wrong; at the same time some Christians argue that polygamy is biblically right. Hence there is conflict and contradiction. Is it true that polygamy is sin? What is the biblical justification of either monogamy or polygamy? The Scriptures from the Holy Bible informs us on the first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Adam and Eve Gen. 2:21-24: In verse 24, it is indicated that a man will leave his family and be united with his wife. From this background we can trace the will of God as far as marital relationship is concerned. First it is a male and female relationship, second it is one by one relationship and hence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This serves as a biblical justification of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in the church in Tanzania. In the Scriptures we find that, neither Jesus Christ nor his disciples who authored the Gospels and the Epistles ever critiqued polygamy. On the contrary, it was widely practiced by most of the revered patriarchs in the Old Testament; for instance Abraham, Jacob, David and his son Solomon, etc. This stands as a strong argument for proponents of polygamous marriage in the church in Tanzania. Some says that the Lord God instituted a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But in the Old Testament we cannot indicate that polygamy is sin. God did not condemn it. This suggests that He permitted it although it was no His will and plan. Therefore, the Church is Tanzania and Africa at large is in dilemma on what to do with Christians who are married to more than one woman. In this study I propose that a man, who was married to several wives before his conversion into Christianity should not be forced to divorce them, neither is he to be forced to choose one out of his multiple wives. The church should focus in alleviating or eradicating polygamy with generation change. In Christian education program, the church should formulate teachings on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one man and one woman i.e., Adam and Eve. The emphasis should be on the fact that the original plan of God cannot be overthrown by the desire of man say Abraham, Jacob, David and his son Solomon, etc. Yahweh was right and remains right in His plan for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and hence the model for family relationship and marital affairs.

      • KCI등재후보

        전자정부 ODA의 지속가능성 사례 연구: KOICA 사례 비교 중심으로

        홍성걸,박광욱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auses of short-term success and long-term failure of e-Government ODA projects. In this study, the authors select e-Customs systems introduced to Tanzania and Mongolia with the help of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Because Tanzania and Mongolia adopted basically the same system from Korea, the results and satisfaction that the interested parties have felt were sharp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we adopted J.S. Mill’s indirect method of difference for two similar case comparison with different outcomes. After shaping the research framework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Tanzania’s e-Customs system has had higher sustainability than that of Mongolia. Main reasons for this were as follows. The government of Tanzania had higher ownership and stronger willingness to pursue the project than Mongolia, and thus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al mechanism to support e-Government policies, especially e-Customs project. Thus the government of Tanzania had demonstrated stronger willingness to pursue e-Customs project by securing additional fund from World Bank. Political and policy leadership were also stronger in Tanzania, and therefore the government of Tanzania had straightened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made appropriate plans, prepared necessary budget, and as already mentioned, secured additional loans from the World Bank.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Mongolian Customs Office had tried similar efforts,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not high enough and it could not continue to mobilize necessary budgets to maintain and upgrade the system. In addition, the system itself was not welcome compared to that of Tanzania to the customs officials and users. 이 연구는 전자정부 ODA 사업의 성과가 단기적으로는 좋으나 중장기적 지속가능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전자정부나 ICT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사례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 저해요인을 찾아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특히 행위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맥락지향적 접근을 통해 몽골과 탄자니아의 유사사업 도입 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성과의 차이를 발생시킨 요인을 J.S. Mill의 간접적 차이법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탄자니아의 관세행정정보시스템 사업이 몽골의 유사사업에 비해 지속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주된 이유는 탄자니아의 상위정부기관의 사업 추진 의지가 높고 정부 부처 내 조정역할이 명확히 수행되었으며, 전자정부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행동에 옮기는 실행력을 보여주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높은 정치적 및 정책적 리더십은 사업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계획을 수립하며 예산을 확보하는 데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서는 수원국과 수원기관의 높은 주인의식이 필요하고, 수원기관이 자체 예산의 확보 등을 통해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공여국은 초청연수를 포함한 ICT 기술인력의 역량 강화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수원기관의 전문인력 역량강화에 노력해야 하고, 사업기획 단계부터 수원국 및 수원기관간의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도입 대상 전자정부 시스템의 잠재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탄자니아의 경제 개혁과 빈곤 퇴치 전략

        김영제,이규재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1 地域發展硏究 Vol.20 No.1

        본 논문은 탄자니아의 경제 개발 과정을 통한 경제 개혁과 국가 빈곤 퇴치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탄자니아에 대한 여러 가지 시계열 자료와 지역별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국가 차원의 공공 지출과 경제 성장 그리고 빈곤 퇴치 전략에 대한 부분별 개혁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하지만 많은 아프리카국가들이 공통적으로 그러하듯이 탄자니아 역시 동아프리카 최빈국으로 국가 개발의 대부분의 예산을 국제 원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경제 성장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성장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가 공공 지출별 추이만 보더라도 농업 부분, 도로, 교육에 대한 투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제성장를 통한 빈곤 퇴치에는 국제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탄자니아의 경제 개혁을 통한 빈곤 퇴치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소득 향상과 삶의 질의 개선 향상, 좋은 거버넌스 구축 및 부패방지, 민관의 상호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국가 재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아프리카 사파리 관광 동향 분석: 탄자니아 영문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이재현,정원지,김성수,정철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6

        아프리카 탄자니아는 사파리 관광을 활용하여 사회ㆍ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사파리 관광은 생태자원과야생동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광 대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관광자들은 동향 파악과 관광 대상의불확실성 감소를 위해 온라인 리뷰를 적극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탄자니아 사파리 관광 상품에 대한 인식의주요 토픽과 동향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afaribookings의 영문 온라인리뷰 데이터를 스크래핑 하였으며,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규명하기 위해 시계열적 흐름과 동향 분석에 적합한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DTM)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파리 관광 추천, 야생동물 관광 경험, 이동수단 지불 경험, 호텔 및 항공 예약 경험, 킬리만자로산 관광 경험, 잔지바르 및 셀루스 지역 관광 경험에 해당하는 주요 6개의 토픽을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두 동향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이라는 알고리즘을 활용해시계열적 한계 극복과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확대와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이 체계적인연구방법임을 시사한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파리 관광 마케터 등과 같은 이해관계자들에게 탄자니아 사파리관광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anzania in Africa is generating socio-economic benefits through safari tourism. Given that safari tourism centers on ecological resources and wildlife, tourists may feel less certain about what they will actually see or encounter. Tourists tend to utilize online reviews to reduce uncertainty and gain insights into trend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key topics and trend changes in perceptions of Tanzanian safari tourism products. English online review data from Safaribookings were crawl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Dynamic Topic Modeling (DTM) algorithm, which is suitable for temporal trend analysis, was utiliz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six major topics, all demonstrating trend changes: safari tourism recommendations, wildlife tourism experiences, experiences in transport payments, hotel and airline booking experiences, Mount Kilimanjaro tourism experiences, and tourism experiences in Zanzibar and Selous. The study results support that the DTM, which is used to overcome temporal limitations and implement systematic processes, is a systematic research method and can help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methodologies. Furth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an aid stakeholders, such as safari marketers, in establishing Tanzania safari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 카보 델가도(Cabo Delgado)의 테러와 초국가적 안보위기: 모잠비크-탄자니아의 다공성 국경과 난민 문제를 중심으로

        김계리 ( Kim¸ Kyeri ) 아프리카미래학회 2023 아프리카와 미래 Vol.3 No.0

        모잠비크(Mozambique)는 아프리카 남동부에 위치하며 국토의 동쪽 면을 인도양과 접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북단인 카보 델가도(Cabo Delgado) 주에는 천연가스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고 2017년 이래로 본격화 된 극단주의 무장 이슬람 테러 집단의 공격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는 곳이다. 본 연구는 모잠비크의 극단주의 무장반란 세력의 등장과 테러가 그 시작으로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발전하여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모잠비크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탄자니아를 중심으로 모잠비크 테러 세력의 확장과 난민의 대거 유입을 양국 간의 다공성 국경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모잠비크와 탄자니아 정부는 테러의 발생과 확장에 어떤 입장을 보이는지 그리고 정부의 그러한 입장은 어떤 배경에서 발생하였는지 알아본다. 이로써 모잠비크의 안보 불안이 비단 한 국가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이웃 국가와 대륙 차원 그리고 전 세계의 안보 문제와도 직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Mozambique is located in southeastern Africa, with its eastern side bordering the Indian Ocean. Among them, Cabo Delgado, the northernmost province, has abundant natural gas reserves and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e to attacks by extremist armed Isla mic terrorist groups that have been in full swing since 2017.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Mozambique's extremist armed rebellion and how terrorism has changed and developed since its inception and what impact it has had. And, focusing on Tanzania, which borders Mozambique, we examine the expansion of Mozambican terrorist forces and the massive influx of refugees, focusing on the porous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s of Mozambique and Tanzania on the occurrence and expansion of terrorism, and what background led to such governments' positions. This confirms that Mozambique's security instability is not limited to just one country, but is directly connected to security issues in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continental level, and around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