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ICT 기업의 동북부 아프리카 주요국 진출에 대한 연구: ICT 기업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진상(LEE, Jin-sa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2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9 No.-

        본 연구는 한국의 ICT 기업의 동부아프리카 주요국가 진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0년 이후 아프리카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ICT 분야 투자와 외국기업 진출이 늘고 있다. 그러나 한국기업의 진출이 미진한데는 내부적인 요인(Internal Factors) 와 외부적인 요인(External Factors)로 구분하여 요인을 분석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내부적인 요인에 대해 중점을 두고자 한다. 해외진출의 장애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 주요 ICT 기업 대상으로 해외 진출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는 기업관점에서 해외 진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근거로 동부아프리카 국가에 진출하는데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했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ICT 부문의 발전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ICT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많은 투자비와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 재원은 주로 다자개발은행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미국 및 중국 ICT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은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ICT 기업의 동부아프리카 진출은, 대상 국가의 ICT 인프라의 발전 정도, 정부 정책, 시장변화에 따라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의 ICT 인프라는 대부분 다자개발은행 및 ODA 사업으로 마련되며, 한국 ICT 기업이 이들 ICT 인프라 개발 참여하는 것이 추후 이어지는 ICT 사업 참여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ICT 기업의 국제화 경험 축적 및 국제 경쟁력 강화, 현지에 대한 이해 증진, 현지 사업자와의 협력강화 등을 제시하며, 한국 정부는 ICT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제도 마련 및 민관협력사업 활성화 등이 아프리카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ICT industries could take part in projects in the East Africa region. It includes some cases five East African countries including Ethiopia, Kenya, Tanzania, Uganda and Rwanda. Some characteristics of ICT policies and projects in selected East African countries were analyzed and brought suggestions to Korean ICT industries. A survey results were reinterpreted in the African cases. Korea ICT companies have tendency of investing in Africa but has not been active as there were only a few cases of investing in ICT such as Rwanda by the KT and was stopped for few years after that. The survey was focused on barriers of investment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comparative advantages of Korean ICT industries. It shows that how the government could strengthen the ICT industries to invest in ICT projects. The Korean ICT sector is well established and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but the Korean ICT industries are not active in international project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Korean ICT companies should build capacity to execute international projects by improving human capital and could join with the public sector in a form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his study included some suggestions the way in which Korean ICT companies actively participate in MDB ICT infrastructure projects so that could move on further investment in ICT such as e-commerce.

      • KCI등재

        아프리카의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현황과 발전 방향 모색

        베텔(Bethel Ghebru),양지선(Ji Sun Ya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6 No.-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 성장과 국제 질서 내 위상 강화 및 한류의 영향으로 인하여 한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른 기대와 관심이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한국 정부의 국책 지원 정책에 따른 한국(어)학 보급 및 확산이 아프리카 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고 아프리카의 미래 성장성과 한국(어)학의 보급 확산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프리카를 5개 권역별로 나누고 북부, 동부, 서부, 중부, 남부아프리카에서 한국(어) 학이 진행되는 국가를 살펴보았다. 아프리카 내에는 한국(어) 학 교육에 대해 정부산하기관 외 대 학기관, 시민사회단체를 포함한 민간단체 및 종교 후원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부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과 아프리카는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내 한국(어)학에 대한 관심이 꽃피기 시작하였지만, 내전 등 치안상의 문제로 인하여 타국가에 비해 한국(어)학의 전파와 보급이 가장 늦게 시작된 대륙이지만 국내 아프리카 유학생의 수는 3,000명에 가깝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보급 또한 아프리카 내 7개 국가에서 실시되며 매년 응시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아프리카 내 한국(어)학의 수요가 높아지고 그만큼 한국어의 활용가치가 커짐에 따라 한국도 아프리카와의 교류와 협력을 심화 확대시킬 필요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프리카 내 한국(어)학의 전파와 보급을 확산하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e spread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Africa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government’s national policy, in response to the growing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the Korean culture and language which is a result of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and the changes in perception about Korea due to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study further examines the future growth potential of Africa and the need to spread the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we explore into the countries of Africa in which Korean language and Korea studies are actively in progress by dividing them in to the five regions of Northern, Eastern, Western, Central and Southern Africa. There are many governmental affiliated universities, private institutes including NGO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s well as religious patronage by which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s being carried out in Africa. Nonetheles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government affiliated institutions. Even though Korea and Africa are geographically distant,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Africa has begun to bloom, but it is the slowest continent for the start of the propagation and dissemi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mainly due to security issues such as civil war and political unrest. the number of African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Korean universities is close to 3,000, and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s being conducted in seven African countr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need for Korea to deepen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Africa as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s on the rise.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esent a strategic plan for the propagation and dissemi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Africa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

        황규득(Hwang, Kyu-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7 No.-

        국제사회에서 아프리카의 부상과 변화된 맥락 속에서, 특히 2000년대부터 아프리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와 함께 국내 아프리카 지역연구는 과거에 비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시민사회에 끼친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의 기여도는 여전히 미력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국내의 아프리카 연구자 수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고 제도적으로 아프리카를 교육 및 연구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이 미비한 현실에 기인한다. 시민사회 또한 복잡 다양한 아프리카의 현실을 지나치게 단순화 시키는 접근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지속화 하고 있는데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이 글은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가 그 동안 어떤 과정을 통해 태동•발전되어 왔으며, 최근까지 국내 아프리카 연구자들과 이들의 학술연구 분야가 어떠한 구성분포를 형성해 왔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궁극적으로 국내의 아프리카 지역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향과 몇 가지 중요한 제언을 제시한다. Within the context of rising Africa in international society, the quantitative growth of African studies in Korea has been unfolded since particularly 2000. Despite such a growth of African studies, the degree of its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circle and civil society still remain meager. This situation is mainly ascribed not only to a small number of Africanists committed to African studies but also to the deficient reality of fragile academic foundations related to research and education on African studies in Korea. Moreover, the tendency of civil society to overgeneralize the state of African societies worsens the misperceptions and preconceptions about the African continent. In this sense, this paper tries to depict to what degree and scope the African studies in Korea have evolved and attempts to examine how the Korean Africanists’ research fields and issue-areas have been dealt with. Ultimately, as a result of this process of examination, the paper is to propose some of important ways forward for the development of African studies in Korea following the exploration of problems and challenges African studies in Korea face.

      • KCI등재

        아프리카 민간부문(Private sector) 특성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박영호(Park young h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6 No.-

        2000년대 들어 현재까지 아프리카가 보여준 경제성적표는 분명 괄목할만한 성과이지만, 일자리와 소득 창출로 이어지지 못해 빈곤 해소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아프리카 경제는 여전히 저효율 구조와 소수의 일차산품에 의존하는 단작경제(mono-culture economy) 틀 속에 갇힌 채, 부가가치 산업의 창출은 고사하고 오히려 탈공업화(deindustrialization)를 겪고 있으며, 경제전환의 정상경로(normal process)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아프리카에서는 매년 1,500만 명의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노동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이들을 흡수할 수 있는 산업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이 지역의 청년 실업률은 이미 사회적 위험수위를 넘어선 상태이다. 민간부문(private sector)은 빈곤해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민간부문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민간부문이 일자리와 소득 창출을 위한 산실이기 때문이다. 종전까지는 주로 교육, 보건 등 사회개발에 개발협력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민간부문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이를 통한 빈곤해소에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아프리카 민간부문은 소농, 초소형 기업에서부터 중소기업, 대기업, 다국적 기업에서 이르기까지 그 주체가 매우 다양하며, 총생산의 80%, 고용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 민간부문은 열악한 생산성과 경쟁력 등으로 국가경제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동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개발협력의 대상 분야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아프리카 민간부문개발(PSD: Private Sector Development)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개발협력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개발협력의 다양화와 효과성 제고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민간부문과 빈곤문제는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민간기업의 활성화는 미시적(일자리→소득증대→빈곤완화)으로나, 거시적(세수 증대→교육, 인프라 등 공공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빈곤층의 생산성 및 역량 제고)으로나 빈곤해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아프리카 민간부문 현황 및 특성을 짚어 본 다음에 제반 제약요인들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이어 아프리카의 개발협력 수요와 한국의 공급 능력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의 협력우선분야를 도출하고 각각에 대해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적정기술 활용을 통한 맞춤형 창업지원으로 일차적으로 적정기술 통합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을 제안하였다. 둘째, 아프리카가 섬유 및 의류 등 경공업의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한국형 경공업 산업단지 조성 지원을 들었다. 마지막으로는 직업 불일치(job mismatch)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산업-교육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ivate sector is arguably the most effective sector in terms of contribution to the eradication of poverty, and job creation through private sector is increasingly seen as the new paradigm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has hitherto been focused on social developments like education or public health; recently, however, the emphasis has increasingly shifted to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sector, and from it, the goal to eradicate poverty. Stemming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is about private sector development (PSD) in Africa, which is a sector of increasing importance and necessity as a target of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viable options for an increase in the variety and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cooperation efforts being undertaken by Korea. The private sector and poverty can be said to be directly linked to each other in that the private sector can be said to be the most effective agent in the eradication of poverty, either through a microeconomic approach (jobs → increase in income → alleviation of poverty) or a macroeconomic approach (increase in tax revenue → increase in public investment such as education or infrastructure → increase in productivity or the capacity of the poor). In this aspect,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ector in Africa and analysed its details and limitations from various angles. Next, priorities for Korean cooperation with Africa were drawn from the exploration of needs in Africa and the capability of support from Korea. This study has narrowed down the prospective option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to three areas, with the goal of providing a definite option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mind, but the size of the discussion has regrettably resulted in a surface-level theoretical exploration of policy options. However,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 pioneering work in PSD co-operation in Africa, and successive studies are anticipated to capitalize on the basis of this study to achieve greater scale and uti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아프리카 사회통합의 저해 요인에 대한 함의 -아프리카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고찰-

        장훈태(Chang, Hun T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8 No.-

        아프리카 대륙은 전 세계적으로 천연자원과 인구 모두가 풍부한 대륙이다. 그러나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곳, 기후변화로 인한 고통을 겪는 곳이라는 인상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아프리카는 숱한 내전과 전쟁 그리고 식민 지배를 겪었고, 이러한 역사로 인해 희망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아프리카 정권의 부패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으며, 국민은 부패로 인해 지쳐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프리카의 현재 상황에 대한 원인과 아프리카의 미래를 변화시킬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아프리카의 미래에 대해 함의하고자 한다. 아프리카 대륙에는 3천여 개 이상의 종족이 어울려 살고 있으며, 각 종족은 다양성과 동질성을 가진 자신들만의 종족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프리카 종족 사회에 16세기 무렵부터 불어 닥친 서구의 문화 침탈과 변혁은 종족 사회에 가장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서구 열강들이 아프리카를 점령하여 식민 통치를 하는 동안 아프리카 대륙은 많은 고통을 겪어야만 했다. 아프리카는 가난, 할례, 피부색에 대한 차별 등 커다란 아픔을 겪고 있다. 아프리카의 아픔이 발생하는 원인은 갈등에서 비롯된다. 이 갈등으로 인해 생긴 ‘마음의 장벽’은 아프리카 사회가 통합될 수 없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오늘의 아프리카 사회가 통합되지 않고 끊임없는 종족 갈등과 테러, 폭력이 나타나는 것은 소득과 부의 양극화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박탈감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격차와 분열은 종족주의와 반정부운동을 표방하는 테러와 폭력을 불러오고 있다. 아프리카의 밝은 미래 전망을 위해서는 아프리카 54개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현실 위기’에 대한 정확하고 정직한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보다 깊이 인정하고, 올바른 해결책의 선택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이 같은 현실에서는 이데올로기적인 정치구조와 체계가 아닌 정부와 의회의 정치적 의지, 분열된 사회의 통합능력, 국민의 이익을 위한 정책을 실행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2050년도의 아프리카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고 발전할 것인가를 예상하고 대비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때 다른 국가들의 우수한 사례를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비책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평등, 사회적 서열의식의 파괴, 종족 우월주의 파괴 등 사회 통합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합된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야말로 아프리카의 핵심적인 장기 과제가 되어야 한다. The African continent is the rich in both natural resources and population around the world. However, it is the world’s poorest place and also the one that suffers from climate chang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frica has suffered numerous civil wars, wars, and colonial rule, and it seems to have been disappeared hope because of this history. Today, Africa is increasingly corrupt of government, and its people are tired of it. So this paper will look at the cause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Africa and how to change the future of Africa, and see the future of Africa based on it. There are more than 3,000 tribes in the African continent, and each tribe has its own ethnic culture having diversity and homogeneity. Western cultural invasions and transform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se African tribal societies since the 16th century have come as the biggest shock to ethnic communities. While the Western powers occupied Africa and colonized it, the African continent had to suffer a lot. In addition, Africa suffers greatly from poverty, circumci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skin color. Africa’s pain causes from conflict. The ‘heart barrier’ created by this conflict is why African society can not be together. Why today’s African society is not integrated, and constant ethnic conflicts, terrorism and violence emerge is because there is a polarization of income and wealth. Social gaps and divisions arising from the sense of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deprivation have led to terrorism and violence advocating the pro-democracy and anti-government movements. For the bright future prospects of Africa, Political leaders in Africa 54 countries need to start to have accurate and honest perception about ‘real crisis.’ They also should more deeply acknowledge responsibility for current problems, and seek for the positive changes and development through choosing the right solution. Above all, in this reality, political will of the government and parliament, integrative capacity for a divided society, and the will to carry out policies for the interests of the people are important not ideological political structure and the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Africa in 2050. It would be a good way to refer to the best examples of other countries for this. In order for these provisions to operate effectively, however, social integration must be pre-requisite: equality, the destruction of social hierarchy and the destruction of ethnic chauvinism. Therefore, implementing an integrated society should be a key long-term challenge for Africa.

      • KCI등재

        Reviewing South Africa’s Economic Role in Africa

        Hwang, Kyu Deug(황규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9 No.-

        1994년 첫 민주선거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은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민주정부로 인정을 받아 아프리카 역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대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 있어 서 남아공은 해외투자와 무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남아공은 자본, 상품, 인구이동을 촉진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서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주도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는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이 과연 어떠한 성격과 양상을 띠며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1994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인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첫10년 기간을 중심으로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이 아프리카 대륙에 제기한 기회와 도전에 주목하면서 남아공-아프리카 경제관계를 재고찰하는데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국제사회로부터 따돌림을 받은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서 정당성을 입증 받은 민주국가로의 재부활은 남아공 정부에게 국제사회와 특히 아프리카 역내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 받고 있다. 이러한 틀 속에서 남아공 경제계는 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 있어서 광산과 에너지 영역을 뛰어 넘어 소매업, 건축, 제조업, 교통, 통신을 포함한 보다 폭넓은 영역에서의 주도적인 역할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아프리카에서 남아공의 이러한 경제적 역할 부상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복잡한 이해와 도전을 제기하였다. 비록 이 시기 남아공은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주요한 해외 투자국으로 부상하였으나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은 그 성격, 본질, 및 특징 면에서 비평적 재고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 하에서 특별히 남아공-아프리카 간 무역과 투자 관계의 성격과 특징을 중심으로 상기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Following its first democratic elections in 1994, South Africa officially rejoin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nations and immediately encountered expectations that it would provide leadership on the African continent. In terms of economic dimension, in particular, South Africa has asserted its presence on the continent through foreign investments and trade in Africa. In doing so, South Africa has become an important player in driving the flow of capital, goods and people on the continent. However, it is important to raise such a question that whether and how South Africa as the strongest economy in Africa has played its economic role on the continent. In this context, the paper attempts to reflect on South Africa’s economic role in Africa since the end of Apartheid era until the middle of 2000s with focusing on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the role has created. Experiencing the transition from pariah to legitimate player, thus, the international prestige attached to South Africa’s democratic transition has conferred a new leadership role on the region’s prospects and projects. In this sense, the paper argues that South African businesses have emerged as the leading investors on the continent let alone the mining and energy sectors. In addition, South African businesses have been involved in various economic sectors including retail, construction, manufacturing, transport and telecommunications. However, the prominence of South Africa as a new economic player in Africa has proposed complex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post-Apartheid South Africa’s role on the continent. Although South Africa has been an active foreign investor in many African countries in the post-Apartheid period, yet, South Africa’s active economic involvement in the continent needs to be critically re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of the nature, character and type of South Africa’s economic relations with the other African countries. Thus, the paper tries not only to illuminate the character of South Africa’s trade relations with the rest of Africa but also to deal with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South Africa’s investment in Africa.

      • KCI등재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미세조류(microalgae) 개발과 잠재적 기여도 분석

        배유진(Bae, Yuh-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2 No.-

        아프리카는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어 향후 대다수의 국가들이 더 많은 에너지 공급원을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환경오염 감소 부문은 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세계 국가들로 하여금 대체에너지, 또는 재생에너지 개발 및 투자를 증진하게 했고 이는 향후 에너지 안보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바이오 디젤을 추출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세조류(microalgae)는 대체 단백질원, 항생제, 폐수 정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사용도를 자랑하는 미세조류가 경제 성장, 사회적 통합, 환경 보호 등 복합적인 지속가능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추구하는 최근 세계적 동향에 적합한 자원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논문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있어 미세조류의 개발과 사용의 기여도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미세조류가 아프리카에서 바이오 연료 추출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소, 폐수 정화 등에 일조할 수 있는 청정 에너지원으로써 에너지 안보와 환경오염 감소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세조류 섭취를 통해 아프리카의 고질적 문제인 식량 안보와 HIV/AIDS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시사한다. 또한 SDGs의 틀에서 볼 때 22개의 세부 목표와 연관됨으로써 사회적 통합/발전(대목표 1, 2, 3, 6)과 환경보호(대목표 7, 12, 14, 15) 부문목표 달성에 직 ‧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특히 바이오 에너지원 측면에서 대규모 바이오 연료 추출이 기술적인 이유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생산비가 높아 경제적으로 실용적이지 않은 현실과 아프리카 국가의 부족한 연구 및 개발 능력을 볼 때 미세조류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아프리카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정확히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아프리카 국가들은 각 국가의 환경(예: 날씨, 지형, 수량 등)과 경제 현황에 적합한 미세조류를 규명한 후 연구 및 개발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본적인 단계를 기반으로 정부차원에서 미세조류의 사용을 각 국가의 자원, 경제 정책 등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개발했을 시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목표 달성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ny African countries have experienced both rapid economic and population growth which suggest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energy in the continent. Accordingly, coinciding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global pollution issues, the development 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in Africa and the rest of the world. Microalgae is one of the more recent alternative energy sources that has gained growing attention as it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green energy source which can be used to produce biodiesel. Microalgae is also used in various other dimensions as it contains essential nutrients for human, used as antibiotics, and wastewater purification. As Microalgae can be used in diverse ways, it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seen as a holistic approach in achieving diverse aims such as economic growth, social inclus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identify microalgae’s potential contribu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by looking at different benefits that can be derived from microalgae developm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is that; as microalgae can grow in a purify wastewater, using flue gas produced from various factories for its growth, it can be considered as a green energy source which can contribute to energy security matter and reducing pollution in Africa. Further, dietary microalgae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malnutrition/poverty and reducing HIV/AIDS. In the framework of SDGs, the use of microalgae is linked to 22 specific targets which directly/indirectly contribute to achieving social inclusion(target 1, 2, 4, 6) and environmental protection(target 6, 7, 14, 15). However, the use of microalgae, especially as a source of biofuel, is not currently at a sufficient level globally. Africa also lack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city regarding in this field making it unclear whether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materialized. Accordingly, it is crucial that suffici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an identify the most suitable microalgae for individual country’s environment and economic status first, and its use must be clearly included in resources, energy, economic policies in order to bring about microalgae’s potential to the highest level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 아프리카의 최근 정세와 당면 과제

        유종현 韓國아프리카學會 韓國外國語大學校 아프리카연구소 공동 2002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15 No.-

        아프리카대륙에는 UN 회원국(총 189개국)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54개국이 존재한다. 단일 대륙으로는 가장 많은 국가 수를 형성하고 있다. 인구면에서는 세계 인구 63억의 12%에 해당하는 약 7억의 주민이 아프리카대륙의 거주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모두 대외적으로 국가 주권을 행사한다.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는 정치적 안정과 자원 보유 등 경제력이 있는 10여 개 국을 제외한 대다수의 국가들의 주민은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빈곤 때문에 매우 어려운 나날을 살아가도 있다. 이처럼 아프리카 국가들이 다른 대륙에 비해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프리카는 정치적 불안정에 처해 있다. 대륙의 여러 나라에서 빈발하고 있는 쿠데타와 독재 장기 집권 그리고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있는가 하면 곳곳에서 내전과 분쟁, 이로 인한 난민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합병증과 같이 발생하여 정세는 매우 불안하다. 둘째, 최악의 경제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대륙의 총 54개국 중 북아프리카, 남아공화국, 나이지리아, 케냐 등 경제적 잠재력이 있는 10여개국을 제외하고는 빈곤에 처해 있다. 34개국이 UN에서 지정한 최빈국(the least developed countries)으로서 이들 국가의 주민들은 연간 개인소득이 미화 800불 미만으로 살아간다. 하루에 한 사람이 미화 2불미만의 생계비라는 계산이다. 따라서 빈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각국별 경제개발계획은 물론 지역별 각급 경제협력기구와 OAU, UN, OECD등 국제기관 그리고 선진국들의 지원으로 오래 전부터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도 뚜렷한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대륙 전체의 제1차 산품이 수출부진에 직면하여 농산물 생산은 현저히 감소되고, 지하경제가 번창하는 등 민생고는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셋째, 이와 같은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문제로 인한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는 점이다. 빈곤, 기아, 질병(AIDS 포함), 그리고 무기와 마약의 밀매, 아동 강제노동, 매춘, 소년병 차출 등 심각한 문제가 곧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말미암아 앞으로도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허울좋은 주권행사에 그칠 뿐 주민들의 생존은 계속 위협을 받을 것이며 당면한 현실적 과제의 해결이 결코 쉽지 않으리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이러한 비관적 견해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자체의 자구노력과 외부의 원조 등이 지속되고 있어 그 언젠가는 회생할 희망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아프리카의 발전은 다른 대륙에 비하여 느리기는 하지만 결코 멈추지는 않을 것이다. 바야흐로 21세기 세계화의 추세는 아프리카를 지구촌의 한 마을로 받아들이고 있다. 향후 10-20년 이후에는 아프리카에 대한 선진국 및 국제기구의 원조도 배증될 것이며 아프리카 자체의 노력도 현저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프랑스아프리카의 단일통화인 세파프랑(CFA)에 관한 연구

        우영환 韓國아프리카學會 韓國外國語大學校 아프리카연구소 공동 2002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15 No.-

        본 연구는 구프랑스령이었던 검은 아프리카에서 혼용되고 있는 단일 통화인 CFA 프랑을 주제로 택하였다. 14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데 화폐는 원칙적으로는 2개로 분리되어 있다. 먼저 중앙은행이 세네갈의 다카에 있고 발행되는 화폐의 이름은 세파 프랑이다. 원어로는 'franc de la communaute´ financie`re en afrique centrale'이라고 하며 아프리카 재정 공동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의 중앙은행은 콩고의 브라자빌에 두고 있느데 franc de la coope´ration en afrique centrale 라는 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의미상으로는 중부아프리카의 재정협력체의 프랑이 되어 앞의 것과 구별되기는 한다. 그러나 2개의 화폐는 가치가 동일하여 구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CFA 프랑의 가치는 프랑화와 50대 1의 고정 환율로 운영되고 있다. 화폐의 가치가 자동적으로 선진국과 같이 안정되어 있어 1980년대 중반까지는 경제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단일 통화 제도는 14개국의 부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국가들은 경제가 수출 지향적으로 되어있다. 폐가치의 안정은 수출경쟁력의 상실로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일시적이었다. 살펴본 봐와 같이 CFA 프랑은 선진제도인 것은 사실이나 4개국의 경제발전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그렇지만 단일화폐제도로서의 CFA 프랑은 주목하여야 한다. 그 첫 번째 잉로는 유로보다도 40년이상 앞서도 단일통화제도를 시행한 경우이고, 다음으로는 후진경제에서 단일화폐제도를 50년 이상 시행하여본 선례를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에 관한 실증적인 검증도하고 이론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프리카 교육 ODA를 위한 ADEA와의 협력방안

        박환보(PARK, Hwanbo),이유리(LEE, Yoo Ri)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6 No.-

        한국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협의체와의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해왔다. 2012년부터 대한민국 교육부가 아프리카교육발전협의회(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이하 ADEA)의 공식 운영위원회로 활동해왔던 것이 그 대표 사례이다. ADEA와의 협력은 지역 국제기구를 활용하여 양자협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프리카의 교육발전을 위한 협력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해당 기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협력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아프리카 교육발전을 위한 지역협의체인 ADEA의 특징과 주요 활동을 분석하고, 향후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단기간에 원조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도약한 국가로서 한국이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stantly exerting it’s effort to promote education development in Africa through regional arrangement.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strategy above is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s an official steering committee of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ADEA) since 2012. Cooperation with ADEA implie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onquest its limita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long with procuring its bridgehead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development of Africa. However, due to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its efficacy and specific cooperation method seems opaque at present. Based on such awareness, this paper analyzes main features and major activities of ADEA, drawing political implications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Ultimately, this paper will assist South Korea to contribute on pursuing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s a country which transformed itself from beneficiary to donor country in short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