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심유화,정미경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군사회복지학 Vol.8 No.2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 직업군인 2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PASW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생태학적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체 변인은 직업군인의 군복무기간이 짧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맞벌이를 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은 결혼생활과 직무에 만족할수록 기능적이었고, 중간체계변인은 이웃과의 유대가 강하고, 동네조직에 덜 참여할수록 기능적이었다. 외체계변인은 사회로부터 평가적 지지가 많을수록 기능적이었고, 지역의 공식적인 모임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수록 기능적이었다. 거시체계변인은 직업군인에 대한 공직성과 군직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둘째, 직업군인의 전체적인 가족기능과 3개의 하위 영역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생태체계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이었다. 이는 미시체계가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생태학적 모든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생태체계는 미시체계 변인군이다.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는 점과,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보다 내실 있고 명실상부한 군인가족복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ables influencing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by employing Bronfenbrenner’s Eco-systematic approach. 262 married professional soldi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by using PASW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eco-systematic variable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In terms of the organism factor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horter period of service, higher income per month, and a dual income. Regarding the microsystem variable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higher satisfaction on the marriage and the job, and for the mesosystem variables, it show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tronger bond with its neighborhood and participates less in community organization. Besides, for the exosystem variables, the better family function can be predicted by having better social evaluation and less responsibility on any official community meeting, and when it comes to the macro system, highe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dentified as the predictor. Second, the microsystem variable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overall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three subsets. The result could be interpreted in the sense of Eco-systematic perspective that all of the system have the effect on family function while the microsystem has the highest level out of the ot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relative effect by employing Eco-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actical and political direction can be further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family welfare of professional soldiers.

      • KCI등재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 비교 분석 연구

        김병찬(Kim Byeong Chan),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적 우수한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갖추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대만, 영국 등 다섯 나라의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요 국가에서는 직업군인 본인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전역 후 직업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군인 가족 지원과 관련해서는 가족 교육을 위한 무상학비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직업군인 복지제도 측면에서는, 우선 재정적 안정을 위해 연금제도를 공통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주거지원 측면에서는 안정적 주거를 중요한 문제로 보고 적극적으로 주거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지원 측면에서는 대부분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갖추고 있었으며, 여가생활지원 측면에서는 여가생활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해,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를 전담할 전담 부서 설치가 필요하며, 직업군인의 전역 후를 대비한 직업교육을 좀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확대하고, 군인들의 다양한 여가생활을 위한 여가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For that purpose,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my’s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The education programs for soldier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are focused o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discharged soldiers. And they commonly support the school tuition for soldiers’ children. Based on the lateral view of social welfare for soldiers, those conutries are operating the pension system for soldiers to stabilize the financial livings. They also support the dwelling for soldiers for stable living. Those countries mostly have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nd they expand the supporting for soldiers’ leisure life. From this research, we get some hints for development of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ystem. We need the organization for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We need also to reinforce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soldiers. And we have to expand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e also need to develop the leisure program for soldiers.

      • KCI등재

        군 직업안정성과 지속성 보장을 위한 임금피크제 적용방안 연구

        정종진,박효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정년제도가 직업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임금피크제 도입의 수용성 여부를 분석하여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군에서 장기복무하고 있는 직업군인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정년제도는 직업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정년제도 연장은 자녀교육과 결혼자금 마련, 군인연금의 재정적자 완화 및 우수인력의 조기유출 방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직업군인의 정년제도 연장은 임금피크제 도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임금피크제 도입을 적극 검토할 시기가 도래되었다. 셋째, 직업군인의 계급 및 복무기간과 전역제도의 다양화 관계는 복무기간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간이 길수록 긍정적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군의 직업안정성 보장과 노후보장을 위해 정년연장은 반드시 필요하고, 임금피크제와 선택정년제 도입 등 다양한 정책의 시행이 요구되었다. 또한 임금피크제를 도입과 더불어 불성실 복무자를 도태시키고 전문성을 활용한 복무의욕 고취방안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추세를 그대로 반영한 제도의 전면적인 도입보다는 다른 집단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단계적 적용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nstructive alternatives by analyzing that the retirement system for the career soldiers impacts on job security and weather adopting the salary peak system is acceptable or no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e surveyed 305 people who are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serving in the arm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tirement system of the professional soldiers was to affect the job security, also to influence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marriage of funding, a relaxation of military pension deficit and early loss prevention personnel of Excellence. Second, the extension of retirement system has affected a salary peak system introduced, and it is time to give positive consideration to introduce the salary peak system. Third, remove the soldier's rank and served in the occupation period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longer period of the service relationship duration difference appeared positive.

      • KCI등재

        직업군인제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 분석 : 육군 장교 인사관리제도를 중심으로

        최병순(崔炳淳),문영세(文永世) 한국정책과학학회 200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0 No.1

        본 연구는 직업군인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인사관리 측면의 정책적 대안 제시와 그 실행가능성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직업군인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직업군인제 발전과정을 살펴 보았으며, 직업군인제 확립을 위한 핵심요건인 군사 전문성과 직업성 보장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육군 직업군인 장교들의 현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 나타난 현행 인사관리제도의 구조적 한계와 직업 안정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직업군인들의 군사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대안으로 진출목표를 제한하되, 정년을 50세 이상 보장하는 가칭 「참모형 장교제도」를 도입하고, 직업군인 장교들을 일반형, 정책형, 특수형 및 참모형의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차별화된 인사관리를 하는 방향으로 육군의 인재유형별 인사관리제도를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책대안에 대한 실행가능성 분석과 영향평가를 통하여 대안의 현실적 수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 KCI등재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 경기도 군 직장 어린이집 유아 대상 -

        이미성(Lee Mi-Seong),조성심(Cho Sung-S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군 직장 어린이집에서 유아 공감능력을 발달시키는데 필요한 부모교육과 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군 가족 복지제도는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군부대 어린이집 직업군인 아버지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군인아버지의 일반적 배경 변인 중 병과와 계급에 따른 양육태도에서 거부적 태도와 전체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와 유아 공감능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유아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감능력을 발달시키는 결정적인 유아기에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ing attitude of professional fathers liv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which the empathy counts influences child s empath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to have proper parenting attitude and recognize importance of parents role when the soldier fathers with their children perform their roles, especially as their children has developed empathy.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hildcare centers in the military camp make use of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professional fathers who were occupational nurseries of military units in the Gyeonggi-do. First, among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fa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of parenting according to the class and class in the attitude of rejection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ffectional attitudes of professional fathers and the empathy of infants. Third, the rearing attitude of professional fathers of the occupational group was found to affect the infant empathy ability. Third, the professional father s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the infants empathy ab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fessional father s parenting attitude of the occupational group is very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 고립감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재엽 ( Kim Jaeyop ),김동현 ( Kim Donghyeon ),장대연 ( Jang Daeye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립감의 매개 효과와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육군, 해군, 공군에 속해 있는 장기근속 장교 및 부사관과 군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1,000여 명의 사례가 조사되었다. 이 중 장기근속 직업군인의 여성 배우자 237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7.0과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1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립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Process Macro 모델 14를 통해 이러한 매개효과가 긍정적 의사소통(TSL)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군인 아내의 25.1%(58명)는 지난 1년간 배우자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으며, 배우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직업군인 아내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우울 증상이 2배 이상 높았다. 둘째, 직업군인 아내의 고립감은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배우자폭력 피해가 고립감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의사소통(TSL)에 의해 조절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가 고립감을 거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군인 아내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배우자폭력과 고립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긍정적 의사소통(TSL)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iso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ed effects of positive communication (TS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pouses of professional soldiers who have served over 5 years in the Army, Navy, or Air Force. A total of 237 ca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First, 25.1% of spouses were expos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the past year,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expos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Second, iso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Third, the impac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depression through isolation was moderated by positive communication (TSL). The association between isolation and depression weakened with increased positive communi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impac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depression through isol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positive communication (TSL) among spouses of professional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 만족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승용,임재욱,권혜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The selection variables that affect securement of Elite Military Resources, in Volunteer System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plan was research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duce required changes of the organization by suggesting future development idea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were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was examined.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surveys conducted on actual serving soldi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factor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ffected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Moreover,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job selection satisfaction has all been significant. It can be inferred that if the factors considered to select career soldiers are satisfied, they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choosing career applicants and thus lead to the achievement of superior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termined to provide more empirical and objective information to enable vocational officers to select careers for career applicants by increasing vocational choice of career soldiers. In Addition, when recruiting military personnel in the future, the military may provide basic data for extracting the necessary changes in securing personnel. 조직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인적자원 확보와 관련된 정책 및 전략 수립은 해당 조직의 발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최근 군에서도 우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책을 모색해야 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특히 간부 지원율 감소, 저출산에 따른 적정 병력확보 제한, 국방개혁 및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적정 군사력에 대한 고려 등 최근의 사회적인 변화들로 인하여 군에서의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병제 도입 시 군 우수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변수들이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확인하고, 이 변수들과 직업 선택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군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변화 필요사항 도출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를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의 5가지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직업선택 만족도와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역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인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이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선택 만족도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군인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선택요인들이 충족될 경우 직업선택 만족도를 높여주고 군 차원에서는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생들의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규명함으로써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인원을 증가시켜 군의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향후 군 모병제 도입 시 군이 우수자원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변화사항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정철영,민무숙,방재현,주홍석,임효신,김보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is study has researched concept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support polic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a policy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to prepare institutional base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to make a strategy to expand system. Vision of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of professional soldiers was chosen to "balanced life of work and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Purpose of the policy is (1) "to expand parent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professional soldiers", (2) "to build family-friendly circumstance to build a healthy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3)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rmy members and family for professional soldiers'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4) "to vitalize support policies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3 sections of policy and the detailed plans has been made. The first section is "support for birth/parenting and the detailed plan consists of (1) to offer prior opportunity to enter day care center, (2) to build more day care centers in army, (3) emergency support in parenting service, (4) support for going see a obstetrician regularly. The second section is "family support" and the detailed plans are (1) offer mentoring for soldiers' children, (2) provide information for parenting and education, (3) consult soldiers' children, (4) offer family harmony program. The third section i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support", and (1) support Return-to-Work program for users of Parental Leave, (2) offer a progra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for Military Commanders, (3) to make good examples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promotion, (4) DB management and monitoring circumstance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5) to create manual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distribution, (6) to operate a support system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have been proposed. 이 연구는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인 일-가정 양립의 개념 및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의 의의·지원정책 현황·지원요구 등을 분석하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비전으로는「직업군인의 일과 가정의 조화로운 삶」으로 선정되었다. 정책방안의 목표로는 ①「직업군인의 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확대」, ②「직업군인의 건강한 가족 형성을 위한 가족친화 여건 조성」, ③「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군 구성원 및 군인가족의 인식 제고」, ④「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 활성화」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영역과 영역별 세부 추진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영역은 「출산/육아·보육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보육시설 입소 우선권 제공, ② 군내 보육시설 운영 확대, ③ 긴급 보육서비스 지원, ④ 부인과 통원진료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영역은 「가족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군 자녀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② 자녀양육 및 교육정보 제공, ③ 군 자녀 상담제공, ④ 가족화합 프로그램 제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영역은 「조직문화 및 환경지원」이며, ① 육아휴직자 복귀지원 프로그램 운영, ② 상급지휘관 일-가정 양립 인식 개선 프로그램 제공, ③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 ④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현황 DB 관리 및 모니터링, ⑤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매뉴얼 개발 및 배포, ⑥ 일-가정 양립 지원 시스템 운영을 새로운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 연구

        양안나,정철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job transition of veterans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dynamism of the mechanism and subject for job transition. Job transition of veterans includes a series of events such as the awareness on retirement, job seeking, employment, and occupational and social adjustment at the same time. There were two types of preparation for job transition. These two types were based on dynamics of the subjects of job transition on job transition structure and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activities and results of job transition. In the case of extending career life after military discharge, those moved to new jobs linked to their military career. Their job transition was successful helped by their military background as they attempted to link between military career and non-military occupation focusing on their own capability or set up their career targets in consideration of military experience. This study carried out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10. The main method for data collection was in-depth interviews and relevant literature and material provided by informants were additionally used. In-depth interview consisted of three phases including warm-up and in-depth research and 14 veterans participated as major informants. 이 연구는 연금수혜 장기복무 제대군인이 전역 후 사회의 직업을 찾아가는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직업전환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통해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전직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직업전환의 설계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직업전환 전략은 무엇이고, 직업전환 설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셋째, 직장생활은 어떠하며 그것은 직업전환의 설계, 전략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주목하고 전환 주체자의 체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조사와 본조사 3차례를 실시하였으며, 주요제보자는 13명이었다. 연구결과, 제보자들의 직업전환 설계는 전역에 대한 관점, 일 지향, 목표, 군 경력에 대한 태도에 따라 ‘직업생애 확장’과 ‘제대군인 적합직종 탐색’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직업생애 확장’의 제보자들은 ‘체험하기’, ‘인맥창출’, ‘포장하기’, ‘바꿔쓰기’의 전략을 활용했고, 두 양상에 따라 ‘제대군인 적합직종 탐색’의 제보자들에게서는 ‘눈높이 낮추기’, ‘거리두기’, ‘기존 인맥 의존’이 나타났다. 직업전환 설계와 구직 활동을 통해 제보자들은 자신의 군 경력을 기반으로 취업을 하거나 취업한 뒤 일에 대한 갈등으로 전직을 하기도 했으며, 직장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하며 사회의 직장인이 되어가고 있었다. 연구 결과,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군 경력을 연계한 직업전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그것은 직업전환지원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 이전에 전직지원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전직지원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우리나라 군가족의 사회복지지원에 관한 연구

        황희숙(Hwang Hee So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현재 군복무를 하고 있는 영관장교를 대상으로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 정도와 욕구를 분석하여, 향후 더 좋은 군인가족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방대학교 합동참모과정 영관장교 126명을 대상으로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 만족도와 욕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생활의 만족도는 직업군인 대부분이 대체로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육군이 해,공군보다도 불만족하였다. 건축상태가 20년 이상 노후되고 공간의 크기가 가장 불만족하였다. 둘째, 건강 및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군 의료서비스 지원상태가 가장 불만족하였다. 특히 농어촌지역에 근무하는 부대일수록 의료서비스 혜택을 잘 받지 못하였다. 셋때, 직언군인 배우자를 위한 여가지원프로그램(스포츠, 문화강좌등)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대음으로 별거가족 지원서비스, 방과후 교육이었다. 넷째, 자녀교육은 잦은 이동에 따른 자녀의 환경부적응과 재정적 문제, 교육여건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가족복지서비스 필요성 중 가장 시급분야는 자녀교육, 주거시설, 배우자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안정과 자녀교육의 안정, 가족지원활동과 문화 복지활동을 할 수 있는 군 숙소 단지화 및 복지타운화가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민간병원을 군과 협약하여 군인 및 군인가족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군인가족들이 참가해야 한다. 군 가족간 폐쇄적 커뮤니티활동에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개방적 커뮤니티활동으로 영역확대 하여야 한다. 이처럼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가 향상될 때 군인은 직업에 대한 강한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되어 '신바람 나는 직장생활'로서 군무에 전념할 수 있고, 이는 군의 사기와 직결되어 전투력증강에 크게 기여하리라 확신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래에 들어 사회복지학계와 국방부에서 군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일부 기초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필요성에 비하여 아직도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 측면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적절한 연구체계나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군사회복지학계와 국방부는 직업군인 가족복지서비스 향상 방안에 대한 실천 방법과 정책을 개발 하는데 많은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When this study was study the social welfare support for military families presented a plan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or the military family welfare services based 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stable housing and children's education stable group that can support a family and cultural outreach activities should only be done Housing angry and upset Welfare Town. And by the private hospitals and the military agreements must ensure that soldiers and military families can use and shall participate in military families in the various programs being conducted in the municipalities. Military families should be expanded area open to community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e liver closed community activities. Thus is it has a strong self-esteem and pride of a job when the soldier improve family welfare services and professional soldiers to concentrate on choreography as a "great career", which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morale of the group are confident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nhancing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