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sychology of the Self for Ethics

        Yong Sup Song(송용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90 No.-

        본 논문은 윤리학과 심리학과의 학제간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찰스 큐란과 라인홀드 니버 및 하인즈 코헛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사회 관계속에서 도덕적 행위자의 자기 초월 가능성을 주장하는 큐란의 사상을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의 구분을 주장한 니버의 사상과 비교하면서, 본 논문은 두 사상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 윤리학 이론에 심리학이 진지한 학술적 대화의 상대가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현대 윤리 이론들의 한계에 대응하는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큐란은 사람을 개인 및 사회관계 속에서 일치된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도덕적 행위자요 주체로 강조하지만, 니버는 개인적으로 아무리 도덕적인 사람이라도 사회관계 속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초월하는 윤리적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렇게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의 영역를 엄밀히 구별한 니버의 사상이 아무리 설득력 있다 하더라도, 집단 이기심을 강조한 그의 사상 속에는 드물게나마 집단 이익을 초월하는 자기희생적 도덕 행위의 가능성과 조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찾기는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심리학, 특히, 공감의 개념이 큐란과 니버의 윤리 사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주요한 보완 및 화해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강조한다.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가치있는 통찰력과, 도덕적 자아와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설득력 있는 분석과, 전통적 윤리 이론들이 아직까지 제시하지 못한 개인과 사회관계속의 다양하고 예외적인 윤리 행위들에 대한 해석의 틀을 윤리학 분야에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윤리학에는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적용될 수 있는 많은 세부 분야가 있다. 현대 윤리가 도덕적 행위자요 주체로서의 개인에 대하여 희망을 잃지 않는 한 윤리학 내의 이러한 영역은 점차 증가하고 확장될 것이다. 본 논문은 윤리학과 심리학과의 학제간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찰스 큐란과 라인홀드 니버 및 하인즈 코헛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사회 관계속에서 도덕적 행위자의 자기 초월 가능성을 주장하는 큐란의 사상을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의 구분을 주장한 니버의 사상과 비교하면서, 본 논문은 두 사상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 윤리학 이론에 심리학이 진지한 학술적 대화의 상대가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현대 윤리 이론들의 한계에 대응하는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큐란은 사람을 개인 및 사회관계 속에서 일치된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도덕적 행위자요 주체로 강조하지만, 니버는 개인적으로 아무리 도덕적인 사람이라도 사회관계 속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초월하는 윤리적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렇게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의 영역를 엄밀히 구별한 니버의 사상이 아무리 설득력 있다 하더라도, 집단 이기심을 강조한 그의 사상 속에는 드물게나마 집단 이익을 초월하는 자기희생적 도덕 행위의 가능성과 조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찾기는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심리학, 특히, 공감의 개념이 큐란과 니버의 윤리 사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주요한 보완 및 화해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강조한다. 본 논문은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가치있는 통찰력과, 도덕적 자아와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설득력 있는 분석과, 전통적 윤리 이론들이 아직까지 제시하지 못한 개인과 사회관계속의 다양하고 예외적인 윤리 행위들에 대한 해석의 틀을 윤리학 분야에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윤리학에는 코헛의 자기 심리학이 적용될 수 있는 많은 세부 분야가 있다. 현대 윤리가 도덕적 행위자요 주체로서의 개인에 대하여 희망을 잃지 않는 한 윤리학 내의 이러한 영역은 점차 증가하고 확장될 것이다.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KCI등재

        사용자의 자기대상 경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이진이(Lee, Jin Yi),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미래 산업을 위한 현재의 기술 발전 경향성은 제품/서비스가 겉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작동 방식과 사용구조만을 중심에 두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인간적인 인터페이스의 등장을 예고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고찰하고, 이를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이론에 대입하여 해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개념과 범의를 재정의 하였다. 재정의된 내용에 따라 본 연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하는 주체인 사용자가 인간적 인터페이스 자체가 될 수 있으며, 입 · 출력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내 · 외현적 사용자-인터페이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자기심리학에 의하면 자기와 경험 대상과의 관계에서 공감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와 대상이 분리되지 않고 자신의 일부 또는 확장된 상태로 경험하는 것을 ‘자기대상 경험’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에서도 사용자 자기 자신이 인터페이스의 내 · 외현적 입 · 출력을 담당하면서, 대상(제품/서비스)를 자신과 분리된 상태가 아닌 일부로 경험하고, 자기애(자기와 대상을 향한 애착 및 욕동에너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험이 사용자 개인의 삶 속에서 자기다움을 형성하며 지속적으로 융합되어 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과대 · 핵심 · 이상화 자기대상(자기애)’ 역할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 또한 동일하게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비교 · 분석을 통한 해석 연구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나아가서 사용자 경험 과정에 따른 자기대상 인터페이스 유형별 최적의 반응 요소를 정의하고 ‘자기대상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경험 모델’을 도출하였다. Progress trend of the current technology for the future industry notice the appearance of the dimension what is different from the human interface means product/service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only human behavior or use structure on the surface. In this study, this kinds of trends discussed and analyzed research which was assigned to the theory of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This was redefining the concept and the range of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redefinition has been content, this study attended a user who is a subject to experience is possible to be an interface itself, and it act to be an internal · an external user interface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composed input · output. In the self psychology, the experience not as the separation existence buy as an extended status of the self, through empathic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bject call the ‘selfobject experience’. In this way, the narcissism (Libido tend to the self and the object) is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part of the self as the object (product/Service) rather than separated with itself, because the user itself charge of the internal · external input · output on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experience. These experiences to form the user’s own selfhood in the personal life of the user, and it can go continuously fusion.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was derived the similarity for the role types of the ‘Grandiose · Nuclear · idealized selfobject (the narcissism)’ and the role of the user interface as ‘the object’ through analysis study of the comparison and analyze.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the elements of the optimal reaction and ‘the user experience model on the selfobject interface’ by the types of the selfobject interfaces.

      • KCI등재

        새로운 문화-자기관 이론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의 자기관

        한민,이누미야 요시유키,김소혜,장웨이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The most powerful model of self-construal, namely independent self and interdependent self seems useful only when it is related to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is somehow insufficient to illustrate the psychological diversity among countries sharing the same culture. Researchers of current study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self-construal (SOA model) to find out a better frame tha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model.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istinguish the subtle differences of self-construal among 3 countries within same collectivistic culture, which were hardly explained by the dichotomous model. The data of 462 participants was used for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Chinese had similar scores in Subjectivity (S) and were both higher than Japanese students, while in the respect of Objectivity (O), Japanese students’ score was highest, followed by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pattern related to Autonomy (A) was similar to that of subjectivity.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three factors of SOA, different patterns occurred among these countries. For Korean, subjectivity and autonom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objectiv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Japanes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ity and self-esteem as well 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bjectivity and self-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elf-esteem on Japanese samples. As to Chinese, the patterns of correlation were similar with those of Korean participants.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comparison among western countries are required to testify the SOA model one step further. 본 연구는 이누미야와 김윤주(2006)가 제안하고 이누미야, 한민, 이주희, 이다인, 김소혜(2007)가 개발한 문화-자기관 척도를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국에서 평가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간 비교문화심리학에서 폭넓게 통용되던 Markus와 Kitayama(1991a)의 상호독립적 자기-상호협조적 자기 이론은 서양 vs 동양이라는 과도한 이분법적 전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동일 문화권 내의 문화적 편차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녀왔다. 한, 중, 일 3국의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이누미야 등(2007)이 개발한 자기관 척도 및 자기개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자기관의 구성요소인 주체성, 대상성, 자율성의 점수와 비율에서 국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요약하자면, 자기관 요소들 중에서 한국은 주체성 자기가, 일본은 대상성 자기가, 중국은 자율성 자기가 각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까지 동양 집단주의문화권으로 뭉뚱그려 논의되던 한국, 중국, 일본의 자기관이 질적으로 다르게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각국의 문화 차이를 연구하는 비교문화심리학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개발된 심리학 이론을 자국에 적용시키는 문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의 문제행동 감소와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 사례

        박재신,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1

        This thesis is to examine out the effect of the self-psychological art therapy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the man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 object of study is 45-year-old man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ho lives in G city. He took part in the self-psychological art therapy program, which was held in two step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ols and results, self-esteem scale test was carried out, and specific changes in his behaviors and attitud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were observed and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step therapy, and after the second step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ints of the specific changes in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ten item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sexual problem behaviors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self-psychological art therapy reduces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lient. It was shown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been reduced eminently, and the sexual problem behavior, voyeurism had been removed completely since the ninth session of the first step art therapy. Secondly, the points of the self-esteem scale test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psychological art therapy improves the self-esteem of the client. It was shown that his self-esteem had been improved, and especially the points of the negative items had been improved eminently. Judging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certain that the self-psychological art therapy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the man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본 연구는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도 G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인 45세 성인 남자이며, 전체 2단계로 진행된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연구도구 및 결과 분석을 위하여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인 성인 내담자에게 1단계 사전, 사후와 2단계 사후에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자기애성 문제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행동 및 태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연구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인관계와 성적 문제행동에 관한 10가지 항목의 구체적인 행동 및 태도의 변화에 대한 점수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의 문제행동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성적 문제행동인 관음증은 1단계 9회기 이후부터 완전히 소거되었다. 둘째,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연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척도 검사에 대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부정적인 문항의 점수가 크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 방향

        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2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캐릭터의 자기심리학적 의미 분석과 미술치료로의 적용

        최승이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등장하는 가오나시 와 유바바, 그리고 제니바를 자기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미술치료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로 실시되었다. 자기심리학적 관점에서 가오나시와 유바바는 자기대상이 충족 되는 두 개의 축인 이상화와 과대자기의 원시적 자기애를 상징한다. 제니바는 이 두 개의 축이 자아의 망에 통합되어 성숙한 자기애로 자기대상이 되어줄 수 있는 치료사의 상을 보 여준다. 이들 캐릭터의 특성과 선택, 갈등 극복의 과정에 대한 동일시와 이야기 재구성은 건강한 자기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공감과 해석, 역전이 사용, 변형적 내재화를 제 공하여 건강한 자기애를 촉진할 수 있는 창조적이고 안전한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에 연구 자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미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aonasi, Yubaba and Jeniba, which were the characters in Miyajaki Hayao's animation film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from the perspective of self-psychology and apply them as a basic data to the field of art therapy. In the self-psychological point of view, Kaonashi and Yubaba symbolize the primitive narcissism of idealization and grandiose self, the two axes on which self object is fulfilled. Jeniba shows the image of therapist who has mature narcissism by integrating the two axes in the net of self and thereby can be a self object. Identification and story reconstruction of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selection, and process of overcoming conflict can promote healthy development of self. It can also serve as a creative and safe pathway to promote healthy narcissism by providing empathy, interpretation, use of countertransference, and transformative internal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s made practical suggestions to apply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to art therapy.

      • KCI등재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그 목회상담적 함축 -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홍이화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3

        본 논문은 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대한 진단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원인을 자기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 자기심리학적 통찰이 주고 있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보다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DSM-IV의 진단기준에 기술되어 있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은 자기애의 과대성으로 인한 자기과시와 과도한 자기 중요성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러한 진단적 특성들은 자기애가 나타나는 유형 중에서 드러난(무감각형, 과대적) 자기애의 특성만을 반영하고 있고 잘 드러나지 않는 은밀한(과민형, 취약한) 자기애의 특성, 즉 낮은 자기 신뢰감이나 자기주도성의 결여, 우울함이나 소심함 등으로 드러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성들은 가려내지 못하고 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대한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적 관점은 이 두 유형의 자기애 모두의 양상들을 포괄하고 있으며 그 두 유형의 공통적인 원인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통찰을 주고 있다.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는 자기의 병리, 즉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원인은 자기애의 발달과정에서 건강한 자기의 구조를 구축할 수 없었던 발달의 결핍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생기는 자기의 결함은 부모의 충분히 공감적인 자기대상 기능의 심각한 결핍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가진 이들의 목회적 돌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돌보는 이의 공감과 하나님의 사랑을 통한 자기대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broaden the diagnostic understanding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to explore strategies more inclusive and effective for a pastoral care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by analyzing the caus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self psychology. The essential featur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at is described in the DSM-IV criteria is a pervasive pattern of grandiosity, which leads to a direct expression of exhibitionism and self-importance. This feature only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overt (oblivious, grandiose) form of narcissism but not the features of covert (hypervigilant, vulnerable) form of narcissism, which is marked by lack of self-confidence and initiative, vague feelings of depression, and an absence of zest for work. The perspective of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o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recognizes and comprehends two types of narcissistic disorders and provides an useful insight in analyzing the common causes of them.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the cause of psychopathology of the self, i.e., the caus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s related to the deficits of self structure in the narcissistic development of the self, which result from the failure of the developmental opportunities of narcissistic needs. Defects in the self occur due to serious empathetic failure of the selfobjects accordingly. Therefore, selfobject functions via the caretakers' empathetic response and love of God are crucial for a pastoral care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KCI등재

        자기심리학의 기독상담적 비평과 통합가능성 조망: 하나님 자기대상과 영적으로 변형된 자기구조

        안인숙,최민영,김은미,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criticized the concepts of Self Psychology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and attempted to integrate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lfobject and self–structure: first, what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one understands God as selfobject?; second, does the experience of God as selfobject differ from that of humans as selfobjects?; third, does the self–structure of a person show any difference when he or she experiences God as selfo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uman experience of God as selfobject is limited to certain attributes of God, especially not including God’s transcendence. Second, the concept of selfobject needs to be extended to ‘God–selfobject’ i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The role of ‘God–selfobject’ includes confrontation, education, training, and discipline as well as the role of selfobject viewed in Kohut’s theory. Third, experiencing God as selfobject helps a person to fully accept himself or herself as a contradictory, partial, and small being and transforms his or her self–structure. The transformed self–structure works on behalf of God and others as God’s agent. 본 논문은 Kohut의 자기심리학의 자기대상과 자기구조 개념을 기독상담적 관점에서 비평함으로써, 기독상담과 자기심리학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이해할 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 하나님 자기대상과 인간 자기대상은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경험할 때 자기구조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경험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속성 중 하나님의 내재성의 일부만 경험하여 내면화하게 됨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초월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둘째, 하나님 자기대상은 Kohut의 자기대상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랑에 기초한 직면, 교육, 훈계 및 징계를 포함한다. 셋째, 하나님 자기대상을 경험할 때 인간은 죄인이면서도 의인인 모순적 존재이며, 부분적 존재이며, 작은 존재임을 깨닫고, 자기 사랑을 넘어서 하나님의 사랑과 타자 사랑을 향해 변화된 자기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기독상담자는 자기심리학을 상담 현장에 적용할 때 확장된 ‘하나님 자기대상’ 개념과 자기애적인 모습에서 하나님과 타인을 사랑하는 모습으로 발달해야 함을 알고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 유형에 관한 목회적 돌봄 - 자기심리학의 3가지 욕구를 중심으로

        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코헛의 자기심리학은 정신분석을 받게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정신병리 핵심이 자기결손(defective self)이라고 간주한다. 즉, 환자들의 자기는 약하고 조화롭지 않으며 파편화되기 쉬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자기 결손의 원인은 어린 시절 자기-자기대상 관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성장과정에서 자기대상으로 하여금 최적의 좌절을 경험하지 못하고 과도한 좌절을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 결과, 건강한 자기를 형성하지 못한 채 자기(self)의 성장이 멈춰지거나 왜곡된 상태가 된 것이다. 따라서 병리적 자기애적 자기를 가진 사람들은 평생 동안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채워보려고 필사적으로 노력을 한다. 자기심리학의 이론의 틀 안에서 치유하고 돌볼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바로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메울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것은 목회적 돌봄의 관점에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가 갖는 거울 자기대상 욕구와 이상화 자기대상 욕구 혹은 쌍둥이 자기대상 욕구를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반응하여 자신들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스스로 긴장을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자기대상과의 관계에서 자기대상 전이(selfobject transferences)를 형성하고, 자기대상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해 줄 때, 그들의 성장발달과정에서 받았던 상처가 다시 회복 되어 건강한 자기구조가 다시 새롭게 구축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랜달(Robert L. Randall)이 이해하고 있는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의 3가지 자기대상 욕구를 중심으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유형에 관한 9가지의 관계역동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목회적 돌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considers that mostly defective self is the psychopathological essence of people who get psychoanalysis. That is to say, patient's self seems easy to be weak, inharmonious and fragmented. And, the reason of such defective self is because in their childhood they had some troubles in self-selfobj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 while they were growing, they didn't experience optimal frustration but extremely hard frustration as selfobject. As a result, the state of self become distorted and stop growing without developing healthy self. Therefore people who have pathological narcissistic syndrome try their best to make up for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e most basic way to heal and care them in the frame of Self Psychology is considered to help them fill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at is to sympathetically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ir needs to be mirrored and idealized as selfobject which pastor and parish have in the point of pastoral care. And help them restore their confidence and possibility to control there strain themselves. This will develop selfobject transferences in selfobject, they will overcome hurt from their childhood and restruct healthy self. Therefore, in the focus of three selfobject needs in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Robert L. Randall inquires into nine dynamic features about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or and parish at church and studies pastoral care in the accordance with these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