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적 대상관계 변형을 위한 애도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심리상담 이해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심리상담을 대상관계와 애도 과정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이 무의식을 의식화하기 위해 강조한 개념이 전이와 역전이다. 정신분석은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대상관계를 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이로 인해 상담자는 무의식적 압력을 받게 되어 내담자에게 반응한다. 그렇기에 정신분석은 전이와 역전이 개념을 도입하여 지금 여기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분석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분석관계에서 구현되어 나타나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환상과 갈등, 그리고 내적 소원과 기대가 내담자의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효과적인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상관계의 성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신분석에서 중심 과제가 되었다. 결국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담자의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내적 대상을 떠내 보내도록 돕는 작업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상관계이론의 효시가 되는 논문 중 하나인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사례를 통해 내적 대상을 떠나보내는 애도의 과정이 어떻게 정신분석 심리상담에서 핵심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증」에서 상실의 경험 이후에 어떻게 외부 대상이 내면화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우울증의 정신 상태을 의미하며 병리적인 것으로 그는 이해했다. 하지만 이 내면화와 동일시의 과정은 발달상의 핵심 과제로 이해되었고, 그 내적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의 작업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 내적 대상은 상담 상황에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며, 정신분석 상담자는 그 내적 대상의 일부가 되어 다뤄줌으로써 애도의 과정을 돕게 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을 대상관계와 애도과정의 관점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들이 정신분석 상담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The core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The essential concepts that psychoanalysis emphasized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r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sychoanalysis has found that the patient reproduces the object relations internalized in his/her childhood in an analytic situation. Due to this transference, the analyst is unconsciously pressured and reacts to the patient in compliance with the pressure. Therefore, as psychoanalysis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here and now.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unconscious fantasies and conflicts, as well as internal wishes and expectations that were embodied in the analysis relationship, were an effective way to enter his or her unconscious. In that sens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object relations has become a central task in psychoanalysis. In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he work of helping the unconscious to be conscious and letting out the inner objects that exists deeply within the patient’s psychic world. This article shows how the process of mourning and letting the inner objects go is one of the important task in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by investigating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is recognized and analyzing various psychoanalytic cases. Freud describ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external objects after experiences of loss in “Mourning and Melancholia.” For him,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ost loved object meant a mental state of Melancholia which was understood as pathological. However,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began to be understood as a essential task in the child development and dealing with the internalized inner objects became a central theme in the work of psychoanalysis. The inner object reappears in the analytic situation, and the psychoanalytic therapist helps the process of mourning by dealing with the inner objec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oncept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as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hat it illuminates psychoanalysis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 사회불안장애 내담자를 위한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

        강효련 ( Kang Hyo R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6 No.-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가 사회불안장애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단일사례연구로 사회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내담자의 꿈의 변형과정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로 진행된 본 연구는 Kvale의 정신분석적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내담자의 심리 내적 변화와 증상의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자가 자발적이고 자연적인 자기(self)로 발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대상관계 형성하기와 안전기지 되어주기, 담아주기와 공감하기로 치료적 관계를 지향하고자 하였으며, 꿈 분석은 Freud의 자유연상법과 Jung의 확장법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꿈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꿈을 통해 내담자 자신이 의식하지 못했던 무의식의 신호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기 위함이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on a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dream of the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s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involved a Kvale’s psychoanalytic interview, and was intended to focus on the internal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transformation of symptoms of the client. The researcher intended to orien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y forming a new object relations, providing a safe base, embracing and empathizing with the client so that the client could develop into a voluntary and natural 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Freud’s free association and Jung’s expa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ream of the clien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which further aims to allow the client to be aware of the unconscious signals that the client was unaware of through the dream, and to guide them to better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 중년기 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프로이트 정신분석적 고찰

        이지민 ( Lee Ji-mi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현대의 한국 중년기 여성들은 다른 세대와 달리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급류에 휩쓸리듯 성장해 왔다. 그녀들의 발달과정은 현대의 다른 세대들과 달리 왜곡된 가부장제의 영향으로 표현에 서툴렀던 아버지와 남존여비 사상의 영향을 받은 어머니 아래 양육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원가족 양육 환경은 현대의 많은 중년기 여성들에게 차별과 편애 및 부모화 강요를 경험하게 했다. 수치심은 무엇보다 쉽게 세대 전이될 수 있는 감정이며 특히 여성에게 더욱 취약하다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의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병리적 수치심을 야기시키며 병리적 수치심은 인간의 영혼을 병들게 하는 치명적인 정서이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상태수치심과 달리 대개 유아기부터 중요한 대상들에게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경험된 수치가 내재화 되어 형성된 정서이다. 수치심은 그 어원에 걸맞게 숨기고 가리는 특징이 있다. 이는 정신분석학에서는 ‘억압’된 감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억압된 수치심은 우리의 무의식에 잠재되어 개인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설명할 때 정신분석은 그 어떤 이론보다 수치심의 특징을 뚜렷하게 설명할 수 있다. 프로이트(Freud, 1856-1939)에 의하면 지정학설, 성격 구조론, 불안에 대한 세 가지 정의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수치심이 언급된 바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수치심은 리비도에 의한 추동 과정에서 항문기를 어떻게 부모가 대응하는지에 따라 아동은 수치심이 내재화되거나 혹은 주도성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간의 갈등에서 파생되는 신경증적 불안에서 수치심은 원초아(id)의 욕구 충동을 억제 시키는 기능으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에게 강렬히 경험되는 수치심으로 남근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시기가 있다. 이는 여아가 남근 선망으로 인해 자신의 여성성을 무시하고, 열등감으로 어머니를 증오하며 질투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정리하자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의 여성의 수치심은 세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발달과정에서 부모 양육 태도로부터 경험되는 수치심 둘째, 사회 적응을 위해 부적절한 욕구를 억제하기 위한 수치심 셋째, 자신의 존재에 대한 수치심이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의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은 먼저 왜곡된 유교 문화와 가부장제의 문화적 영향으로 당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는 과정에서 수치심이 더욱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와 더불어 중년기 여성들은 성장 과정에서 남아선호 사상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아 왔다. 이는 여성 존재 자체에 관한 수치심으로 내재화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결과적으로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은 그녀들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유발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고, 억압된 수치심을 의식화하여 수치심으로 억눌린 자아에 동조적 상담을 제공함으로 치유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것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세대 전이를 예방할 수 있고 가족의 안녕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Unlike other generations, modern middle-aged Korean women have grown as if they were swept away by rapid currents in a rapidly changing era. Unlike other modern generations, their development process experienced parenting under their father, who was poor at expression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patriarchy, and their mother, who was influenced by the idea of male support. This family-of-origin environment has experienced discrimination, favoritism, and coercion into parenting for many middle-aged women toda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lized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the sense that shame is an emotion that can easily be transfer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specially to women. Internalized shame causes pathological shame, and pathological shame is a fatal emotion that makes the human soul sick. When explaining internalized shame, psychoanalysis can explain its characteristics more clearly than any other theory. In summary, women’s shame in classical psychoanalysis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shame experienced from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cond, shame to suppress inappropriate desires for social adaptation, third, shame on one’s existenc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viewed from a classical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was firstly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and repressing their desires to adapt to the society at the time due to the distorted Confucian culture and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middle-aged women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ference for boys in the process of growth. This suggests that it may have been internalized as a shame about the existence of women themselves. As a result, providing therapeutic help by effectively interpreting the internalized shame that causes their various psychopathologies and providing sympathetic counseling to the self suppressed by shame by making the repressed shame conscious is not only personal growth but also generational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disease and to provide the well-being of the family.

      • 투사적 동일시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

        권현지 ( Kwon Hyun Ji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7 No.-

        투사적 동일시는 멜라니 클라인이 편집 분열자리에서 언어기 이전 유아의 무의식적 환상세계에서 이루어지는 방어와 공격의 기제로써 처음 개념화하였다. 즉 충족되지 못한 유아의 소망이 반영된, 병리적이고 폭압적인 형태로 묘사된다. 그리고 이후 비온은 클라인의 개념을 확장하고 명료화하여 정상적이고 발달된 무의식적 의사 소통 방법으로서의 투사적 동일시에 대해 개념화하였다. 투사적 동일시를 담아주는 엄마의 역할인 알파기능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알파기능을 만들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비온의 투사적 동일시 개념은 담아주는 어머니와 분석가의 능력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비온은 특별히 언어적인 소통이 힘든 그의 정신증 환자와의 임상에서 회기 내 이루어지는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환자를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이 개념은 정신증 환자에 대해 정신분석이 불가하다고 여긴 프로이트의 전통적인 견해에 반(反)하는 것이지만 정신분석의 영역을 크게 넓히는 혁신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투사적 동일시에 대해 클라인과 비온학파뿐 아니라 여타의 많은 학자들도 연구하였고, 현대 정신분석학과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이것이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분석적 도구로서 간주하게 되었다. 현대 정신 분석가들은 오히려 언어적 소통보다 내담자를 이해하는 더욱 중요한 단서로 여기기도 한다. 그 중 한 명이 최근 정신분석학의 주류라 말할 수 있는 상호주관성 이론의 대표학자로서 자리매김한 옥덴이다. 그의 이론은 프로이트의 근본개념으로써 설명한 클라인의 투사적 동일시와 이를 확장시킨 비온의 투사적 동일시 개념이 주요 골격을 이룬다. 이러한 이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상담자들은 투사적 동일시가 어렵고 신비스러운 과정으로 여기고 있어 임상에 적용하는 사례가 드물게 보인다. 투사적 동일시에 관한 이해는 정신분석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전이와 역전이에 대한 이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프로이트로부터 비온에 이르기까지 투사적 동일시와 연관된 용어와 개념들을 정신분석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상담자들에게 투사적 동일시에 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이를 통한 사례 개념화가 용이하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Projective Identification was first conceptualized by Melanie Klein as a mechanism of offense and defense which is processed in the unconscious illusion of a prelinguistic period infant at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It is described into violent and abnormal shape which reflects the unsatisfied desire of an infant. Later, Wilfred Bion expanded and clarified the concept of Klein, therefore conceptualized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capacity of normal and developed unconscious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the α-function of mother, which ‘contains’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an infant can make his own α-function. Thus, the containing capacity of mother and the analyst are regarded as important elements in Bion’s concept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clinic between his psychosis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linguistic communication, Bion got to think that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which is fulfilled through the session, can enable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n the patient. Therefore, this concept opposes the traditional thought of Freud, who considered the psychoanalysis on psychosis patients is impossible, but it innovatively expanded the field of psychoanalysis. Not only Kleinian and Bion’s Psychoanalysis but also many other scholars studied about this kind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in modern psychoanalysis and object relation theory, this concept got to be an important method of analysis. Some of modern psychoanalysts regard this method more important than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when understanding counselee; One of them is Ogden, who was established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intersubjectivity theory, which is the mainstream of the recent psychoanalysis. His theory is mainly framed with Klein’s projective identification, which was explained as Freud’s basic ideas, and Bion’s projective identification, which is expanded from Klein’s concept. Despite the theoretical development, still many counselors rarely apply the concept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ir clinically case as they consider it difficult and mysterious. Understanding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can articulate the comprehension on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the most essential elements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Thus, the author closely seeks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from Freud to B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acilitate case conceptualization in diverse clinical situations by providing counselors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동의보감의 정신치료

        박선영 ( Park Sun Young ),정인모 ( Jung In Mo ),여한구 ( Yeo Han K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연구는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동의보감의 병리와 치료원리를 탐구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분석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대극의 원리가 동의보감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철학임을 알 수 있고, 동의보감에 나타난 정신치료 원리는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신의 작용은 에너지 균형과 순환을 나타내는 소장평형(消長平衡)의 원리로 모든 우주 만물이 형태나 성격이 바뀔 뿐 에너지는 사라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대극의 초월과 합일을 통해 계속 순환하는 만물의 생성과 소멸의 원리이다. 둘째, 정신병리는 대극의 불균형을 극복하려는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리로 에너지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이 심화되면 다시 반대쪽으로 에너지가 기울게 된다는 상호작용의 원리이다. 정신병리는 불균형을 만드는 에너지의 일방성과 에너지의 상호작용의 부재 및 부조화, 들고나는 에너지의 속도 차이에 의해 초래된다. 셋째, 정신치료는 불균형에서 조화와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며 치우침 없이 균형을 유지하는 중화(中和)의 원리로 설명한다. 중화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의 에너지 불균형을 다루는 정신치료 원리이며, 이는 마음을 다스려 양생(養生)을 돕는 음평양비(陰平陽秘)와 대극의 균형과 합일을 통해 치료적 작용을 돕는 치이권형(治以權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컨대 동의보감은 정기신(精氣神) 대극(對極)의 상호관계 속에서 신체와 정신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생리와 병리 및 치료의 원리를 다루고 있으며, 그 치료원리는 분석심리학적 관점의 대극의 합일과 개성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의학의 치료에서 분석심리학을 기초로 한 개입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pathology and treatment principles of Donguibogam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analysis psychology in order to explore psychotherapy principles inherent in Donguibog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nciple of opposing poles, a core concept of analytical psychology, is in line with Donguibogam. More specifically, three principles of psychotherapy are derived from Donguibogam. First, Sojangpyeonghyeong, a concept of the balance and circulation of energy, describes psychological functioning. Sojangpyeonghyeong, in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change only in forms or characteristics whereas their energy does not disappear but maintains its balance, is a principle of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things that circulate consistently through the unity and transcendence of two opposing poles. Second, Mulgeukpilban, a concept of overcoming the imbalance of opposing poles, accounts for psychopathology. It is a principle of interactions that, if energy is skewed to one side and its imbalance intensifies, the energy is tilted back to the other side. Psychological disorders develop if unilateral tendencies of energy create imbalance and occur from the absence and incongruity of interactions due to the confinement of energy and speed discrepancy in the ebb and flow of energy. Third, psychotherapy restores harmony and balance from imbalance, and is explained through JoongHwa, a concept of maintaining balance without bias. JoongHwa is a principle dealing with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imbalanc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parts. One is Yinpyeongyangbi that helps protection from psychological disfunction. The other is Chiygwonhyeong, which helps therapeutic action through balance and unity of opposing poles. In summary, Donguibogam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physiology, pathology and treatment where the body and mind ar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Jung (精), Qi (氣) and Shin (神) polarities. The treatment principl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ity and individualization of opposing pole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findings implicate the plausibility of the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to the interventions of Korean medicine.

      • 경계성 성격 사례에서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적용과 한계

        이춘 ( Lee¸ Ch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Kenberg는 ‘전이 초점 심리 치료(Transference Focused pysychotherapy, TFP)’를 개발하였다. 경계성 심리의 장애가 되는 심리구조의 취약성을 변화시키고 통합하는 것이 전이초점심리치료이다. 본 연구는 경계성 성격장애 사례를 Kenberg의 전이초점치료 전략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관점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내담자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사례를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사례분석의 1단계는 만성적인 공허감, 혼란스러운 사고와 감정표현, 왜곡된 정서가 활성화되는 원시적 부분적 대상관계의 성격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과 가장 지배적인 정서를 파악하고 평가한 회기까지를 범주에 넣었다. 사례분석의 2단계는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의 측면에서 전이 안에서 형성되는 지배적인 대상관계를 상담자가 평가한 부분이다. 대상관계와 자기와의 상호작용을 명료화 한 회기까지를 2단계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3단계에서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갖는 내담자가 진정한 자기와 그의 내적 대상에 대한 개념이 통합되어가는 부분이다. 방어적으로 해리된 대상과의 통합을 돕고, 내재화된 대상관계, 자기, 그리고 대상들이 전체 세계를 통합하도록 개입한 범위까지를 3단계의 범위로 넣었다(컨버그, 2003). 전체적으로 경계성 성격장애와 전이치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내담자의 호소문제, 초기경험, 임상평가와 진단, 그리고 상담 진행 과정과 전이초점치료의 한계점까지 알아보았다. 이 사례는 기본적으로는 전이초점 심리치료로 진행되었으나 다른 기법들이 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Kernberg의 전이초점 치료와 임상현장의 치료적 역동성을 함께 살필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서 사례를 분석한 것을 보고 실질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ernberg develope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TFP)’. TFP is aimed at changing and integrating the vulnerability of the psychological structure which cause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is study offers an analysis of a cli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ccording to Kernberg’s schema of TFP: Three-stage strategy for transference analysis. The sessions of the first stage are directed to transform the primitive partial object relations of the client in which chronic emptiness, confused thoughts, and distorted emotions are activated, and grasp and evaluate the most dominant emotions. The sessions of the second stage are aimed at evaluating dominant object relations formed in transference in terms of self-image and object image and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self. The sessions of the third stage of analysis are intended for the client to integrate the concept of not only her true self but also her inner object. I aided her to integrate defensively dissociated objects, internalized object relations, and her self in her whole inner world (Kerberg, 2003). Overall, I in this study explain the theoretical review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FP, the client’s complaints and initial experiences, clinical evaluation and diagnosis of her, the course of analysis, and the limits of TFP. The analysis basically proceeded based on TFP, but other techniques were used in combin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Kernberg’s TFP and the therapeutic dynamics that occur in the clinical field. I believe that the case analysis according to Kernberg’s three-step strategy should be a help for other psychoanalysts in the clinical field.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노년기 우울증 여성의 통합적인 가족상담 다중사례

        김혜숙 ( Kim Hye Sook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0 No.-

        본 사례는 노년기 우울증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인 상담과 내담자의 딸의 개인 상담, 부부 상담으로 이루어진 다중사례다. 내담자의 우울 성향은 대인관계에서 원초적인 분노와 공격성으로 나오고 그 이후 후회와 자괴감, 비탄에 젖어서 텅 빈 공허감과 무의미함이 반복적으로 등장하였다. 이 사례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우울증에 대한 배경과 정신분석적인 통찰을 살펴보고 불안과 낮은 자존감, 공허감, 감정의 기복이 심한 분노 표출, 무기력감 등, 비현실적인 내담자가 어떻게 안전한 자기 세계를 구축해 가는지 변화의 과정을 밝히는 데에 있다. 또한 내담자의 우울 상태가 큰딸에게로 전이되어 큰딸도 어려움을 호소하여 관계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제로는 내담자가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대상 관계 경험들은 불안과 두려움으로 내면에 형성되었던 대상 관계 패턴은 이후 성인이 되어서도 나타나는 융합적인 관계 패턴이었다. 남자친구와의 관계와 큰딸과의 관계에서도 적절한 관계 형성보다는 반복되는 분노 표출과 자책으로 경계선 성격장애의 성향이 나타났다. 내담자의 우울증 양상은 남자친구와의 갈등이 폭행 사건으로 촉발되어 때로는 무기력과 공허함으로 때로는 공격적으로 나타났다. 본 사례에서 다루어지는 접근방식에 대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다. 다중사례로 내담자 전체 가족 상담 2회기, 개인 상담으로 20회기, 딸 개인 상담 1회기, 딸 부부 상담 2회기로 진행하였다. 코로나 기간에 지방에 거주하는 내담자와 해외 체류 중인 내담자 딸 부부는 모두 비대면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본 사례는 내담자의 우울증과 폭력사건으로 인한 위기개입으로 가족들이 모두 참여하고 협력적인 모습을 보여 상담을 잘 진행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대상 관계이론, 애착 이론, 코헛(Kohut)의 자기심리학, 보웬(Murry Bowen)의 정신역동 가족체계이론 등 통합적인 가족 상담의 접근으로 진행하였다. 치료적 개입전략으로는 상담자와 안전한 관계 형성하기, 거울반영과 담아주기, 이상화 전이, 보듬어주는 환경조성, 심리구조의 변형, 전이감정과 수용, 분열에서 통합으로 등을 활용하였다. 내담자 딸의 부부 상담은 이마고 부부 관계 치료를 적용하여 “이마고 대화법”을 통한 두 사람의 정서적인 연결하기, 서로 담아주기, 담기기,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반영하며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엄마와의 관계에서 큰 상처를 받고 단절한 딸은 부부 관계를 통하여 지지와 따듯한 연결감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이마고 부모·자녀 대화법”을 통하여 아내의 과거 어린 시절의 상처들이 지금 두 사람의 관계에서 어떤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나누는 공감적 대화를 시도하였다. 상담결과 자아 분화수준이 낮은 내담자 가족은 엄마와 딸 개개인의 자아 분화를 잘할 수 있도록 시도하여 각자의 개별성과 독립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담자의 딸은 부부 관계에서 차갑고 냉랭한 투사적인 관계가 좀 더 부드럽고 원만하게 개선되었다. 상담 이후 모자 관계에서 엄마는 큰딸에게 의존하고 자기 방식대로 요구하기보다는 큰딸의 입장도 배려하고 자기 생활에 대한 자의식을 가지고 좀 더 책임감 있는 모습이 보였다. 내담자는 혼자서 생활하는 새로운 패턴에 적응해 갔고 딸도 엄마와 거리 두기를 하고 명확한 경계선을 세우는 것에 노력하였다. The study is based on multiple case study consisting of an individual counseling for a depressed disorder female client in old aged, an individual counseling for the client’s daughter, and a couple counseling. The client’s depressive tendencies emerged as primitive anger and aggress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reafter, feelings of empty emptiness and meaninglessness appeared repeatedly due to regret, self-destruction, and grief.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examine the client’s background and psychoanalytical insight into depression, and to understand how an unrealistic client, such as anxiety, low self-esteem, feelings of emptiness, emotional anger expression, and helplessness, builds a safe self-world and the process of change. is to reveal. In addition, the client’s depressed state was transferred to her eldest daughter, who also complained of difficulties, raising the ne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The problem addressed in this study is that the object relationship patterns that the client experienced in childhood were formed internally due to anxiety and fear, and were a convergent relationship pattern that appeared later as an adult. In her relationship with her boyfriend and her eldest daughter, she showed tendencies towar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ue to repeated expressions of anger and self-blame rather than forming appropriate relationships. The client’s depression was triggered by a conflict with her boyfriend and an assault incident, and she sometimes showed lethargy and emptiness, and sometimes became aggressive. The approaches covered in this case are as follows. As a multiple case, 2 sessions of family counseling were conducted for the entire client, 20 sessions of individual counseling, 1 session of individual counseling for the daughter, and 2 sessions of couple counseling for the daughter. During the COVID-19 period, non-face-to-face counseling was provided to the client living in a rural area and the client’s daughter living abroad. In this case, the crisis intervention was due to the client’s depression and a violent incident, and the counseling proceeded well as the entire family participated and cooper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an integrated family counseling approach, including object relations theory, attachment theory, Kohut’s self-psychology, and Murry Bowen’s psychodynamic family system theory.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ies used included forming a safe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being a mirroring selfobject and contain, idealizing transference, holding environment, transmuting of psychological structure, transference feelings and acceptance, and moving from division to integration. The client’s daughter’s couple applied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and had time to connect emotionally through the “Imago Dialogue Method”, empathize with each other, reflect and reflect the other person’s words as they are. Through the “Imago Parent-Child Dialogue Method”, an empathetic conversation was attempted to share what kind of phenomenon the wife’s past childhood wounds are appe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ow. As a result of the counseling, the client’s family, who had a low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ttempted to help the mother and daughter differentiate themselves better and establish their individuality, independence, and identity. The client’s daughter’s relationship as a couple improved from being cold, cold, and combative to becoming softer and smoother. After the counseling,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rather than relying on the eldest daughter and demanding her own way, the mother showed consideration for the eldest daughter’s position and became more responsible with self-consciousness about her own life. The client adapted to the new pattern of living alone, and the daughter also tried to distance herself from her mother and set clear boundaries.

      • 그림에서 표현된 조현병 환자의 증상 진행과정 고찰

        유혜신 ( Yu Hye Si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조현병은 그 어느 때보다 현대사회에서 더욱 관심을 갖게 된 정신질환 중 하나이다. 다른 심리적 질병과는 달리 조현병을 앓는 환자는 현실감의 무너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망상, 환각 증상들로 인하여 심각한 고통을 겪을 뿐 아니라 조현병에 이해에 대한 부족으로 사회 전반에 만연한 오해와 편견으로 힘듦을 경험한다. 본 고찰에서 구체적인 형태로 토의하기 위해서 정신분석과 미술심리치료라는 두 가지 모델을 가지고 이를 통해 증상의 원인, 증상의 진행과정, 증상의 발현, 치료를 포함한 다차원적인 방향에서 조현병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정신의학이 규정하는 조현병의 핵심증상인 망상, 환각을 정신분석적 관점과 미술심리치료에서의 그림분석으로 검토해 보려고 한다. 조현병 환자의 그림사례를 제시하여 그림에서 표현된 요소들의 그림분석을 통하여 조현병으로의 진행과정에 대한 부분들을 살펴보면서 정신증에 해당하는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증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미술심리치료 고찰의 시도이다. Schizophrenia is one of the mental disorders that have attracted more attention in modern society than ever before. Unlike other psychological diseases, patients suffering from schizophrenia not only suffer from various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characterized by a collapse of reality, but also suffer from widespread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throughout society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schizophrenia. to experience In order to discuss in a specific form in this review, we will take two models, psychoanalysis and art psychotherapy, and examine schizophrenia from a multidimensional direction including the cause of symptoms, progression of symptoms, manifestation of symptoms, and treatment. In addition,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which are the core symptoms of schizophrenia defined by modern psychiatry, will be reviewe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and picture analysis in art psychotherapy. By presenting examples of pictur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rough picture analysis of the elements expressed in the pictures, we try to help understand the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 corresponding to psychosis by examining the parts of the process of progressing to schizophrenia. Therefo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nsider psychoanalytic art psychotherapy for symptoms of schizophrenia.

      •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정신분석적 사례 연구: Kohut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민정원 ( Jeong-won Mi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을 기반으로 자기애 성향 내담자를 위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진행하여 정신분석적 심리치료가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자기 변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단일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애 성향이 내담자의 삶에 나타나는 양상과 그 의미를 장기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이해하고, 자기의 변형과정을 심층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Kvale의 정신분석적 인터뷰를 토대로 약 2년간 106회기의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치료적 측면에서 자기대상 전이의 형태로 활성화되는 상담자 내담자간의 치료적 관계가 자기의 회복에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가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자의 손상된 자기를 회복시키는 자기대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내담자의 자기의 구조를 발달시키기 위해, Kohut이 강조한 공감(empathy)적 연합을 지향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무의식을 도구로 사용하는 공감적 침잠 및 대리적 성찰의 상태 안에서 치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취약한 자기를 방어하기 위한 양상이, 지나친 자기몰두 및 과대적 환상으로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감적 자기대상과의 새로운 관계경험을 통해 병리적 자기애가 현실적으로 수정되고 내담자의 성격 안으로 통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한 자기감을 형성해가는 자기애의 발달과정과 자기 변형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single-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on the self-transformation of a client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based on self-psychology by Kohut by conducting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for the cli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narcissistic tendencies appearing in the client’s life and their meanings through long-term case analysis and reveal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 depth.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s of 106 sessions for about two years based on Kvale’s psychoanalytic interview.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rough which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activated in the form of the self-object transfer acts on the recovery of the self from the therapeutic aspect. The researcher aimed at the empathetic alliance emphasized by Kohut to develop the client’s self-structure by performing the self-object function that would recover the damaged self. In addition, in the empathetic withdrawal using the researcher’s unconscious as a means and reflection by proxy,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ould be maintain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aspect to defend the client’s weak self was realized by excessive self-absorption and grandiose fantasies. Also, it could be found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was modified realistically and integrated into the client’s person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a new relationship with an empathic self-object,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love of self to form a healthy sense of self an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elf-transformation could be prom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