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최수련(Soo Ryun Cho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정신보건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함으로써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일반적인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자살률 또한 낮출 수 있다. BDI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우울증상을 발견할 수 있는 척도이다. 이 연구는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을 밝혀 지역 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온양 3동에 거주하는 주민 29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기초정보 및 BDI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은 BDI 점수를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23점, 여성의 경우 24점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상은 BDI STEN 점수 7점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령 보정 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전체 8.9%, 남성 4.1%, 여성10.0%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전체 17.9%, 남성 12.5%, 여성 23.1%이었다.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내과적 질환 등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교육정도, 수입, 결혼력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 및 우울증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증상을 조기 발견, 치료한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mmunity mental health.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on early can improve general prognosis of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and reduce the rate of suicide. Using BDI, primary practitioner can easily find depressiv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to suggest baseline data. Methods:We investigated 291 people who were residing in Onyang 3-dong and Dogo-myun, Asan-si, Chungcheongnam-do. Our research team visited their residence and gathered information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BDI. Depression was defined as BDI total score over 23 in males and over 24 in females. Depressive symptom was defined as BDI STEN score over 7. Results: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san-si was 8.9% in total, 4.1% among males, 10.0% among female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17.9% in total, 12.5% among males, 23.1% among females. The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was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disease. Age, education years, incomes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mixed region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s similar with those among national wide sample. With mental service for those who are in high risk group, early detection of depressive symptoms from community will be needed to improve general health status.

      • KCI등재후보

        한국성인에서 영양소 섭취 상태와 우울증과의 연관성: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박서연,한아름,신새론,어재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nutrient element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but few have assessed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on depression, as diagno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hich was diagnosed using the PHQ-9.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econd data set (2014)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Our analysis included 5,897 persons who answered the PHQ-9, aged 20 to 60 years. They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a male or female group, which were then subdivided into a depression group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using the PHQ-9,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control group). The patients’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the 24-hr recollection method in KNH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as investig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males, dietary intake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both groups, except in relation to carotene. While in females, the depression group had lower fiber and vitamin C dietary intake than the control group (fiber P=0.015, vitamin C P=0.020). The dietary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had no associations between the depression and control groups, in both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low dietary intake of fiber and vitamin C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regimen that includes fiber and vitamin C may help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females. 연구배경: 많은 연구들이 각각의 영양성분과 우울증의 관계를 평가해왔으나,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에 대한 식이섭취의 영향은 거의 평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이섭취와 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제6기 2차(2014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20세 이상에서 60세 이하의 성인 중 PHQ-9에 응답한5,897명이며, 이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은 PHQ-9에의해 진단된 우울증 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식이섭취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다. 각군의 식이섭취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남성에서는 우울증 군과 대조군 모두 카로틴을 제외한 식이섭취가 우울증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여성에서는 우울증 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섬유소와 비타민 C 섭취를 보였다(섬유소 P=0.015, 비타민 C P=0.020).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른 영양소들의 식이섭취가우울증 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가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서 섬유소와 비타민 C의 낮은 식이섭취는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여성에서섬유소와 비타민 C를 포함한 식이요법은 우울증의 예방과 감소에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년기 우울증의 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 - 칼 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

        박철안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중년기 우울증은 생물학적 변화와 외부적인 환경의 변화의 요인에 의해 심리적인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중년기의 우울증이 이제까지의 자기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혼란,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고 여겼던 것에 대한 회의에 의한 중요가치의 우선순위 혼란,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과 가치에 따른 삶의 방법의 재정립요구에 대한 심리적인 혼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특히 중년기의 우울증은 개인이 중년기에 이르기까지 외부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또한 중년기에 이르기까지 외부적인 가치를 추구해왔다고 보아야 한다. 그 반면에 자신의 내면 가치를 이루지 못한 것이라는 무의식의 신호에 의해 점점 피곤하고, 쉬고 싶은 생각이 강하고, 그리고 무기력이나 절망의 상태로 빠지게 된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칼 융(C. G. Jung)의 집단무의식 이론이 중년기 우울증의 극복에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한다. 중년기 우울증은 중년기에 발병하기 쉬운 우울증으로서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그 증상적인 측면에서 다른 매우 특이한 점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 것이다. 특히 중년기에는 자기실현과 관련하여 가장 큰 상처가 됨에 주목한 것이다. 이들의 상처가 잘못되는 경우에는 좌절과 죽음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자는 중년기에 이른 심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People who have a middle-aged depression are known to suffer from the psychological confusion due to the biological change and the outside environmental change. This results from confusion of the self-identity and the role, the confusion of the priorities of the important values which come from doubting self-importance. And this leads to the psychological confusion coming from the need for the rearrangement of the method of life related to the self-identity and values.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he middle-aged depression show that they spend a lot of energy by seeking the outside values until the middle-ag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y become more exhausted by the signal that they didn‘t accomplish the inner values, and they have a strong feeling for the rest, which stems from being bogged down in the powerlessness and frustration. Under this consideration ,this thesis studies whether the theory of the group unconsciousness of C. G. Jung helps overcome the middle-aged depression. The middle-aged depression is the depression which may occur easily among the middle-aged people, and this is a unique one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 general depression. This fact was researched with the main focus. Especially I considered the fact that the depression together with the self-realization is the most harmful one. If their scar is worsened, it may lead to the frustration and death. That is why I tried to comprehe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people.

      • KCI등재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 관한 통합적 연구

        김홍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Nowadays people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reason why depression is serious issue. it causes suicide. The symptoms both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very similar each other.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come from same roots and different expression. One side, there is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which process of spiritual maturation in the other side. Not only these two things reveal on man individually, but sometimes those appear simultaneously on same person. The persons have Depressed Tendency is more sensitive on religion. So they tend to immersed deeply in religion. People who have depressed disposition more easily experienced Dark night of the soul. Further the state of depression means one type of Dark night of the soul itself. Therefore, Depression could be opening the gate of spiritual awakening and it is process of spiritual journey at the same time. A seeker of Dark night of the soul faces with Solitary always. But depressed patients can not feel Solitary only they felt Loneliness. Solitary means physically alone but the object of love is internalized inside. So full with Solitary inside of man gives us creativity. But Loneliness is not contained on inner side of object. It causes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s defense mechanism.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give an alternative for depression treatment by researching integrated Psychoanalysis and Dark night of the soul. We try to understand by “View of Psychoanalysis, Existentialism, and Dark night of the soul on Depression”. And we will introduce some cases Overcoming De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Dark night of the soul” without drug treatment and psychotherapy. From these, I tried to prove possibility of Spiritual Psychotherapy on Depression.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으로 고통하고 있다. 우울증이 심각한 이유는 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서 나타나는 많은 증상들은 매우 유사하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동일한 원줄기에서 나온 열매이며, 같은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 표현이다. 그 한쪽 끝에는 우울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영적 성숙을 향한 과정으로서의 어두운 밤이 있을 뿐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개인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때로는 동일한 사람에게서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우울성향을 지닌 사람은 종교적으로 더 예민하며 종교에 깊이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우울증의 기질을 가진 사람들은 영혼의 어두운 밤의 경험을 더 잘 느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우울증적 상태 자체가 일종의 어두운 밤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울증은 영적 각성을 여는 관문이 되는 동시에 영적 여정의 필수 과정이기도 하다. 영혼의 어두운 밤을 지나는 이는 고독함 속에 거한다. 하지만 우울증 환자는 고독을 겪을 수 없고 외로움을 겪는다. 고독은 물리적으로는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굳건한 자긍심을 가지고 자신의 창조성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외로움은 내면에 좋은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외로움에 대한 방어로서 갖가지 병리적인 증상들을 야기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을 통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우울증 치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의 관점을 각각 이해한 후에 양자를 통합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심각한 우울증을 겪으면서도 약물치료나 심리치료를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혼의 어두운 밤의 과정을 겪음으로써 이를 극복한 사례를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성심리치료의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재규,이정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1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n particular the gender difference on the change of depression. In order to do this work, this study uses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collected by Kor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That i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10,225 persons answering all 11-item questions which are composed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rom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age, education, marriage status, the status change of labor market, income level, health level, family and social relations. In particularly,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s more critical to female than male.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on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the depression, the female respondents who were less educated and were divorced from or bereaved of their husbands tend to remain in the state of depression and become depressed. Also the female who were out of work or belonged to poor family tend to be depressed continuously. However, the health or family relationship factor is more significant to the male's depression than one of the female. From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measures which can prevent women from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 변화, 우울증이 지속되거나 혹은 비우울증 상태에 있는 사람이 우울증 상태로 이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특히 성별 차이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6년 및 2009년 자료에서 우울증 척도 문항을 이용하여 3년 사이 우울증 변화를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우울증 변화와 개인적 특성 간의 관련성 분석에 의하면, 우울증 지속과 우울증 증가 등은 응답자의 연령, 교육, 혼인상태, 경제활동, 노동시장 변화, 소득, 건강,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만족도 수준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우울증 집단에 비해 우울증 지속 혹은 우울증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남성에 비해 여성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를 상실할 경우 우울증이 지속되거나 혹은 비우울 상태에서 우울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혼한 여성이나 별거상태에 놓인 여성의 경우 더욱 취약했고, 노동시장에서 퇴출되거나 혹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 여성도 남성보다 우울증 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건강이나 가족관계 만족도는 여성보다 남성의 우울증 지속이나 혹은 비우울 상태에서 우울 상태로 이행하는데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구논문 : 1991∼2010년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우울증 담론의 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1

        최근 한국 사회에서 자살률 증가와 더불어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사회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한가지 시도로서 지난 20년간 한국 신문기사에서 우울증을 다루어 온 방식과 시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본다. 연구자는 199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한국의 다섯 개 주요 일간지(조선, 동아, 국민, 경향, 한겨레)의 전체 기사 중 제목에 ‘우울증’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검색 프로그램(KINDS)을 이용하여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총 958개의 기사를 획득하였다. 이 기사들을 정해진 유목에 따라 Excel 2007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빈도 분석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난 20년간 제목에 우울증을 포함한 기사 수는 1996년과 2005년 두 번의 시기에 크게 급증하였으며, 이러한 급증의 배경에는 국가적 규모의 사고와 IMF 구조조정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1996) 및 유명 연예인의 자살사건(2005)이 주된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지난 20년간 우울증 기사는 우울증 환자의 ‘폭력적’이고 ‘비정상적’인 사건을 드러내는 ‘사건 보도’의 성격으로부터 점차 질병으로서의 우울증의 개념과 치료법 및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의 성격으로 변화되어 왔다. 셋째, 지난 20년간 우울증의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이 전체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별로 없었지만,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을 언급한 기사 수의 변화는 생의학적 연구결과를 포함한 기사 수나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 의견이 인용된 기사 수의 변화와 대체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20년간 한국의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우울증은 단순히 의학적 질병을 넘어서 현대 한국인의 일상적 위험과 불안을 상징하는 사회적 은유로서 사용되고 있다. 둘째, 대중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는 매스미디어 담론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명 연예인과 관련된 우울증 기사는 특별히 집중 보도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매스미디어를 통한 우울증 담론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점차 ‘정보 제공’의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우울증 기사들은 개인의 지속적인 자가진단과 관리에 의해서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조기치료할 수 있다는 사고를 확산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 담론을 지지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우울증에 관한 기사가 점차 ‘과학’이나 ‘건강’과 같은 전문 섹션에서 다루어짐에 따라, 최신 과학적 실험 결과를 강조하는 생의학적 관점은 특히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increasing degree of social concern with depression today, this paper examines how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treated depress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paper Database System), from which I selected a total of 958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from five daily newspapers between January 1, 1991 and December 31, 2010. The selected articles were cod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three main findings: Firs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has remarkab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wo contexts. The increase is associated with widespread socioeconomic anxiety in the mid-1990s, while it is also related to the shocking news of a celebrity`s suicide motivated by depression in the mid-2000s. Second, articles about depression have gradually focused more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its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s, rather than on recounting ``violent`` and ``exceptional`` episodes surrounding the victim of depression. Third,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have contained a consistent yet smaller proportion of biological/ genetic causes of depression every year, compared with that of the social causes. From these results, I discussed four cultural implications: First, in Korea`s mass media discours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epression is represented not merely as a medical disease but as a social metaphor that symbolizes everyday risks and anxiety among the Koreans. Second, articles about a celebrity`s illness experience tend to contribute to spreading a new type of depression discourse in Korean mass media. Third, articles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depression and its preventive methods reinforce neoliberal political discourse, particularly by spreading the idea that the risks of depression can be prevented by relevant self-diagnosis and self-management. Fourth, articles dealt with in the specialized section of health or science contribute to disseminating biomedic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particularly by way of psychiatrist commentaries which highlight the results of recent scientific experiments.

      • KCI등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I) : 병태생리적 기전

        배경열,김재민,윤진상,Bae, Kyung-Yeol,Kim, Jae-Min,Yoon, Jin-Sa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4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주요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는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혈액 응고 경향, HPA 축 기능 및 ANS 조절 이상, 상승된 염증 반응 상태 등과 더불어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이 공통된 유전적 위험 인자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 등이 있다. 혈액 응고와 관련되어서는 혈소판의 활성 및 반응성 증가, 혈관 내피 기능 이상, 혈액 응고 인자의 증가 등이 구체적인 병리 기전으로 제시 되었으며, HPA 축 및 ANS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서는 혈장내 카테콜라민의 증가와 이와 연관된 심박수 증가 및 심박 변이성의 감소, 기타 혈역학적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한 부정맥 및 죽상경화증의 촉진이 주요한 기전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CRP 등과 같은 염증 표지자 연구를 통해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염증 반응이 죽상경화증이나 혈전 형성과 관계 되어있을 가능성 역시 제시되었다. 하지만 역으로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의 동반 이환율이 높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질환에서의 어떤 병태생리적 변화가 우울증의 발병 및 경과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 이외에도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 외의 제3의 요인 즉, 유전적 위험 인자가 두 질환에 선행함을 제시하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이 공통된 유전적 취약성을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들도 있다. 그 밖에도 우울증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연구나 ${\Omega}$-3 지방산, homocystein 수준에 주목한 일부 연구들이 존재하며,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는 뇌혈관에도 죽상경화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뇌의 특정 부위에 혈류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이것이 혈관성 우울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한 연구들도 있다. 우울증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은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울증이라는 대상 질환 자체의 이질성과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항응고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병태생리 규명 연구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병태생리적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는 향후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의 우울증의 중요성을 치료자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 예후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이다. Depres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re both highly prevalent diseases.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depression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onset, course, and pro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diseases remain unclear. Pathophysiologic mechanisms that may expla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coronary artery disease include hypercoagulability,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 altered inflammatory response. On the contrary, pathophysiologic mechanisms in coronary artery disease that affect depression are less well known. It is also suggested that both diseases may share a common genetic vulnerability.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pathophysiologic relationships of depres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 KCI등재

        안면 홍조 증상을 수반한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

        송민재,조숙행,정현강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7 정신신체의학 Vol.25 No.2

        Objectives:Middle aged women with depression often experience hot flush symptoms. It is still unclear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hot flush symptoms. Therefore, we investigated hormonal profile, functional somatic symptoms, coping styles and attitude for menopause between depressed women with hot flush and those without hot flush. Methods:This study included 33 depressed patients with hot flush symptoms and 33 depressed patients without hot flush symptoms. Hot flush was confirmed through prospective daily symptom ratings for a week. Subjects’ coping styles were assessed by the stress coping checklist. Somatic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PHQ-15). Sex hormonal levels were assayed by a radioimmunoassay. The 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WHOQOL-BREF) was used to evaluate quality of life. Results:In coping style, depressed women with hot flush symptoms used less ‘problem-centered coping’( 13.15±3.17) and ‘search for social support’(11.83±2.84) than those without hot flush symptoms(15.17± 3.1, p=0.028 ; 14.25±3.22, p=0.009 ; respectively). Depressed women with hot flush symptom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post-menopause,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marginally insufficient(p=0.059). We did not find any group differences in sex hormonal levels and somatic complaints assessed by the PHQ-15. The score of social relationship domain of WHOQOL-BREF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with hot flush symptoms(8.62±2.04) than subjects without hot flush symptoms(9.71±1.65 ; p=0.044). Conclusions:Among middle aged women with depression, the manifestation of hot flush symptoms was associated with coping styles and attitude for menopausal transition. Hot flush symptoms in depressed women negatively influence quality of life, so clinicians actively perform therapeutic approach in case of depressed patients with hot flush symptoms. In case of depressed patients who present hot flushes, cognitive behavior therapy or stress management might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company with antidepressants or hormonal treatment. Later, longitudinal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risk factor, cause and effect associated with hot flush and depression. 연구목적: 중년 우울증 여성은 안면 홍조 증상을 자주 경험한다. 우울증과 안면 홍조 간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농도, 기능적 신체 증상,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스트레스대처 방식을 비교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 33명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안면 홍조증상은 일주일에 걸쳐 전향적으로 일일 증상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신체 증상은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로 평가하였다. 성 호르몬 농도는 방사성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간편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평가도구(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 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있어서,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문제-중심의 대처 방식과(13.15±3.17) 사회적 지지에 대한 탐색(11.83±2.84) 항목이 안면 홍조 증상이 없는 우울증 여성에 비해 적었다(각각 15.17±3.1, p=0.028 ; 14.25±3.22, p=0.009).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폐경 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 태도를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근사치로 불충분하였다(p=0.059). 본 연구에서는 PHQ-15로 평가한 신체 증상과 성호르몬 농도에서 두 군 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 하였다. WHOQOL-BREF에 따른 사회적 대인 관계의 점수는안면 홍조가 없는 군보다(9.71±1.65 ; p=0.044) 안면 홍조가 있는 군에서(8.62±2.04)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우울증이 있는 중년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므로, 임상가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환자에서 적극적으로 안면 홍조에 대하여 치료적인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항우울제 혹은 소량의 호르몬 치료에 반응이 없는 우울증 환자에서, 인지 행동 치료 또는 스트레스 관리가 효과적일 수 있겠다. 추후 안면 홍조 및 우울증과관련된 위험 요인에 대한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방법을 통한 종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생각된다.

      • KCI등재

        우울증에 대한 구강건강 및 관리행태 위험요인

        이경희 ( Kyung Hee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3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의사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았거나 우울증 선별도구 (PHQ-9)를 바탕으로 우울증 분류된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 건강관리행태를 비교하고 관련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전체 대상자 수는 16,489명이며, 그중 성인(19세 이상)이며 구강검진을 시행한 13,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흡연과 음주 모두에서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검진 및 구강 건강상태에서 비우울증군과 비교하여 우울증 군에서 말하기 불편감(OR=2.82), 저작불편감(OR=2.41), 치통경험(OR=1.49), 보철물(OR=1.33)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가공의치 필요 수는 우울증 발생관련 위험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전신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증 발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OR=9.10), 구강건강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도 증가하여(OR=1.94) 우울증 발생 관련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강 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일일 칫솔질 횟수가 감소할수록(OR=1.81), 치실을 사용하지 않고(OR=1.42) 구강검진을 받지 않는 사람 일수록(OR=1.31)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건강 행태는 성인 우울증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인지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인 우울증 관리에 있어서 일반적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과 구강관리행태 고려한 성인건강 관련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ral health and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adults. Data on 13,199 people (male 5,793, female 7,406; age ≥19 years old)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Ⅷ (KNHANES Ⅷ) (2016~2018)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 x<sup>2</sup> test, a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was defined as either a medical diagnosis or a score ≥10 o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he probability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school grade, income, and drink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general health awareness (OR=9.094, 95% CI 7.139∼11.585) and oral health awareness (OR=1.936, 95% CI 1.465∼2.560),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peaking discomfort, chewing discomfort, oral pain (within 1 year), and prosthesis were found to increase depression probability. The depression probability was also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by 1.81 times if brushing frequency was less that once a day, if people used dental floss (OR=1.42), and had to have an oral examination (OR=1.3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with the influencing factors having oral health and behavior-related characteristics. Therefore, proper oral health and oral health risk factor behavior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assist in reducing depression.

      • KCI등재

        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비교를 중심으로

        임명호,조수철,백기청,이경규,김현우,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서의 우울증 및 조울증의 우울삽화에 대한 임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3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 ○○대학교 어린이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하였던 34명의 우울증 환아와 17명의 조울증 우울삽화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 기록을 통해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적 분류, 입원시 주 증상 및 문제점, 증상의 빈도, 주산기 모 병력과 아동기 발달력, 공존정신 질환 및 신경 심리학적 검사 가족의 임상적 특성, 가족 정신병리 및 가족 병력, 치료반응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우울증에서 남자의 비율이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조울증 우울삽화에서는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2) 평균 발병 연령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14.1세, 우울중에서 12.8세로 우울증에서 일찍 발병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입원 횟수에 있어서는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우울증에 비해서 많았다. 3)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에서 식물증상의 호소가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자살사고 증상은 우울증에서, 공격적인 증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았고,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망상은 우울증에서 환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이 나타났다. 4) 두 집단 모두에서 불안장애가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신체형 장애, 정신지체, 인격장애 등이 동반되었다. 5)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 높은 가족력을 보였고, 특히 우울증은 아동 학대력과 가족의 부적절한 양육과 관련성을 보였다. 성인에서 조울증과 우울증이 분명한 임상적 차이를 갖고있는 것처럼 소아에서도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은 발병연령, 신체증상 및 식물증상을 비롯한 임상증상의 차이, 공존질환 등에서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내었다. 중심 단어 : 주요 우울증ㆍ우울 삽화ㆍ임상 특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episode about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major depression patients and 17 bipolar disorder patients hospitalized at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1st March 1993 to 31st October 1999.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agnostic classification, chief problems and symptoms at admission, frequency of symptoms, maternal pregnancy problem history, childhood developmental history, coexisting psychiatric disorders, family psychopathology and family history and therapeutic response through their chart. 1) The ratio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while they are similar in manic episode, bipolar disorder. 2) Average onset age of bipolar disorder was 14 years 1 month and it was 12 years 8 months in the case of major depression As a result, average onset age of major depression is lower than that of bipolar disorder. 3) The patients complained of vegetative symptoms than somatic symptoms in both bipolar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Also, the cases of major depression developed more suicide idea symptom while the case of bipolar disorder developed more aggressive symptoms. In the respect of psychotic symptoms, delusion was more frequently shown in major depression, but halucination was more often shown in bipolar disorder. 4) Anxiety disorder coexisted most frequently in two groups. And there coexisted symptoms such as somartoform disorder, mental retardation and personality disorder in both cases. 5) The influence of family loading was remarkable in both cases. Above all, the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on had to do with child abuse history and inappropriate care of family. It is apparent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rough the study, just as in adult cases. Therefor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disorders is founded in coexisting disorders and clinical symptoms including onset age, somatic symptoms and vegetative symptoms. KEY WORDS : Major depressive disorderㆍDepressive episodeㆍClin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