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민과 외국인의 경계: 한국 내 화교의 시민권적 지위에 대한 성격 분석

        정은주 ( Eun Ju Ch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5 韓國文化人類學 Vol.48 No.1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첫 장기체류 외국인 집단인 화교가 한국 사회에서 지니는 시민권적 지위를‘국적과 시민권의 괴리’라는 프레임하에 분석한다. 국민 됨과 시민권을 향유하는 자격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은 국경을 넘는 이주가 확대되고 복잡화되면서 심화되고 있는바, 전 지구적 인권 담론 속에서도 이주자집단의 요구가 수용되는 양상은 개별국가와 특정 외국인 집단에 따라 다양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어떤 역사적·정치적·문화적 정황 속에서 시민권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그에 따른 새로운 정체성 및 연대의 탄생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하에 130년의 이주 역사에도 불구하고 대만 국적을 지니고 한국에서 삶을 영위하는 한국화교가 지니는 권익의 확장 양상과 그 성격을 국내 외국인 정책의 변화와 화교를 둘러싼 초국적 작동의 흐름에 주목하며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 외국인정책 관련 법적 규정과 미디어 담론을 점검하였고 민족지적 현장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재한화교의 한국 내 시민권적 권리는 1990년대 말 이후 점차 확장되고 있으나, 영주권 조항을 제외하면 한국 내 여타 다른 외국인과 큰 차이 없이 한국 사회가 전 지구적흐름에 대응하여 개방된 처우를 공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재한화교는 영주외국인이라는 경계적 위치에서 더 나아가 외국인 범주에서 차별화될 만한 역사성과 한국인과의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는‘특수한 외국인’임을 주장한다. 국민과 외국인의 경계 속의 또 다른 경계적 범주 속에서 재한화교는 한국의 외국인정책에서의 독특한 지위를 점하며 비체계적 한국 외국인정책의 와중에 권리 항목을 파편적으로나마 확대해 가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under the frame of the‘nationality-citizenship disjuncture’in the civil standing and rights that overseas Chinese have in Korea as Korea``s first long-resident aliens. This phenomenon reveals discord between nationhood and the qualification for citizenship which is deepening as the border-crossing migration is expanding and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While affected by globally circulating human-rights discourse, the way that each immigrant group’s demand for civil rights is accommodated varies by each nation-state and the particular foreign group, thus requiring inquiry into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in which the new conceptions of‘citizen’and‘citizenship’and their identities and solidarities are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ceding citizens’ rights. In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inquires about the character of civil rights expansion to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who, despite 130 years of residence in Korea, carry on their lives in Korea still holding Taiwanese nationality. Their situation is instructive, leading to a focus on Korean governance of foreigners and the transnational social and political workings that have given impetus to it. The civil rights of the long-term resident Chinese in Korea have been gradually enlarged since the end of 1990s, yet, except for the permanent residency over which they have priority, other new rights they have acquired as aliens are also provided to the other foreign resident groups in Korea. Korea has opened up to granting some citizens’ rights in response to the global economic tide. Regarding this current status of foreign residents, the members of the long-term resident Chinese diaspora assert they should be treated as “particular foreigners”as they share the moder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s Korean residents to a degree that differentiates their border position further over to what‘denizenship’contains between the nation and the foreigners. In this way, the first long-term resident Chinese demanded and acquired their civil rights, though in fragmented, yet unsophisticated Korean alien residency policies by asserting their in-between states in Korean society which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foreigners with mere denizenship.

      • KCI등재

        연구논문 : 2000년대 관광 홍보 동영상 속의 한국: 그 특성과 의미

        김영훈 ( Young Hoon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2

        현대 한국 사회에서 시각 이미지의 중요성은 상업 광고는 물론 다방면에서 확인된다. 한국 정부가 국가브랜드위원회를 설치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에 노력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이다. 특히 외국인 대상으로 관광 이미지를 제공하는 한국관광공사의 노력과 활동은 우리에게 매우 흥미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관광 이미지는 특정 가치와 이데올로기에 의해 생산되고 또한 그것을 투영하는 수단이다. 과연 한국관광공사가 보여 주는 한국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정확히 말해 보여 주고 싶은 한국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외국 관광객을 위한 시각적 전략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을 배경으로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제작, 배포되고 있는 동영상 관광 이미지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인터넷에 공개된 11개의 동영상 작품을 대상으로 소재 이미지들의 종류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관광이미지에 나타난 대표적 이미지 소재들은 무엇인가, 그 특성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이전 시대와 비교해 볼 때 2000년대 관광 이미지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 주요 질문들이다. 선택된 자료들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된다. 우선 통계적 측면에서 대표적 이미지 소재와 속성에는 이전 시기와 큰 차이가 없지만 매우 전략화된 이미지가 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관광객의 출신지역에 따라 매우 차별화된 이미지 소재와 속성이 선택 또는 배제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한국의 이미지가 변주되고 있는 점이다. 둘째, 전체 비율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작지만 한류, 붉은 악마, 비보이 등 특정소재 이미지들의 등장이다. ``한국적`` 브랜드의 원천으로서의 전통유산 이미지와 더불어 새롭게 변화하는 현대 한국의 상징들이 점차 관광 이미지들에 등장하고 있다. 한국이라는 주제의 복합성을 선택된 소재 이미지들로 전환시키는 관광 이미지 제작 과정은 엄청난 단순화의 과정이면서 매우 정치적이며 상징적인 과정임에 틀림없다. 한국관광공사의 홍보 동영상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시각문화의 일부를 다루는 것이면서 있는 그대로의 한국이 아니라 변화하는 한국, 보이기 위한 코리아, 상품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visual images is found in the diverse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Korean government is officially trying to improve its national image by establishing a special presidential committee called Korean Brand Committee since 2009. In a similar vein, the Kore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hereafter KNTO) tourism images and its advertizing strategies generate interest among researchers of Korean visual culture. What are the images of Korea which appear in KNTO`s tourism films? Which messages do those visual messages deliver to foreign tourist? How could we interpret the changing visual strategies employed in those carefully crafted Korean tourism films? These ar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to be examined in this paper.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I`ve selected 11 short films found in the official internet site of KNTO and have conducted a statistical survey to investigate the number and kind of visual images used in those film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 few interesting points for discussion. Firstly, while most representative visual motives found in tourism images of the previous period continue to be used, newly diversified and strategically crafted tourism images are produced to attract foreign tourists of different countries. Particular visual images including Red Devils and Korean B-Boys, are being added to create new dimensions of visually constructed Koreanness alongside the traditional images of Korean. Does this change in visual imagery mean that a significant shift has occurred from traditional tourist images of the previous era? Or is the very juxtaposition of the old and the new,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 emerging visual strategy which is only unique to Korean tourism images? How could we compare the constructed Korean images with those used for tourism promotion in other countries? These questions remain unanswered and require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 KCI등재

        ‘한국형’ 개발원조 문화의 인류학적 성찰: 글로벌 새마을 ODA와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중심으로

        이태주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culture of ‘Korean-style’ development aid and the policies, discourses and practices inherent in the Korean aid program by following Korean-style aid projects in terms of historical, empirical and cultural aspects. In order to review and reflect on the Korean aid anthropologically, this paper applies two contemporary techniques of cultural critique (Marcus and Fisher 2005), defamiliarization and cross-cultural juxtaposition, which serve as ‘stronger versions of epistemological critique’ to the ethnographic research of institutions and the culture of professionals in the formation of Korean-style development aid policies and practices. The paper aims to demythify the Korean-style aid regimes and the rhetoric of success stories and to debunk donor-centric and diffusionistic ways of thinking among high-level policy makers, development experts and consultants who are planners, designers and implementers of Korean aid. This article applies multi-sited ethnography to understand the real worlds of Korean aid programs and projects in diverse developing countries an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substance of the “Korean-style aid model” plann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everal short-term periods of evaluation fieldwork carried out in Rwanda, Myanmar, Vietnam and Ethiopia during 2015-2020, and by carrying out intensive interviews with 16 high-level goverment officials, managers of aid agencies and development experts who have experienced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KSP) and the Global Saemauel ODA. Utilizing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method with all the key stake-holders including policy makers and project managers of the KSP and Saemauel program which represents the typical success stories of the Korean aid model, the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ros and cons, 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of the Korean-style development aid. 이 논문은 ‘한국형 원조’의 문화적 특성을 역사적, 정책적, 경험적으로 추적하고 ‘한국형 원조’라는 특별한 정책과 담론, 관행에 내재된 문화적 특성을 다양한 원조 현장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인류학적 문화비평 방법인 ‘더 강한 형태의 인식론적 비평’(마커스⋅피셔 2005)으로서 비교문화적 대조를 통해 ‘한국형 원조’를 낯설게 만들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원조전문가 집단에서 미화되고 신비화되고 있는 ‘한국형’ 원조의 신화를 드러내고 ‘코리아에이드’를 통해 나타나는 공여국 중심주의와 전파론적 사고방식을 들추어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국내외의 다양한 원조 현장에서 나타나는 ‘한국형’이라는 국가에 의해 기획된 개발원조 모델의 문화적 실체를 들추어내고 성찰하기 위해 다현장 에스노그라피(multi-sited ethnography)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KSP 사업에 프로젝트 매니저(PM)로 참여한 16명의 고위급 전문가들과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코이카, 수출입은행, 한국개발연구원과 KDI정책대학원 등 관계자들을 심층 인터뷰했다. 새마을 ODA 를 평가하기 위해서 2015년 5-6월의 3주간 르완다 현지 방문평가를 비롯하여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미얀마, 에티오피아, 베트남 등 현장 방문과 참여관찰 연구를 하였다. 사업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들 심층 인터뷰와 국내와 현지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에 의한 참여적 평가(participatory evaluation)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상충된 입장과 견해를 종합하여 ‘한국형 원조’의 성과와 한계 및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원조’의 대표 모델사업인 한국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과 글로벌 새마을 ODA 사업을 경험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형 원조문화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를 담론과 관행의 두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한국형 원조’에 내재된 집단적 사고로써 개발국가 모델과 공여국 중심주의 및 전파론적 이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한국형 원조’에 대한 에스노그라피 연구는 집단적 사고와 국가 기획 사업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향후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박소진 ( So Ji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와 불균등한 유학이라는 맥락 속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이 어떻게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과 맞물리는지를 밝힌다. 특히 한국대학 구조의 위계 속에서 다른 위치를 가진 서울의 B대학과 지방의 C대학 사례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학(dynamics)을 비교·분석한다. B대학의 경우 대학평가, C대학의 경우 대학재정이라는 유치 동기를 가진다. 두 대학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 속에서 불안정한 위치를 공유하면서 입학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이 약간의 경제력만 되면 손쉽게 한국 유학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교육, 평가, 관리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습득, 한국 관련 관심, 학위취득이라는 주요 동기를 공유하지만, 대학 위계에 따라 한국 유학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B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교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지만 학업 능력이나 언어 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니는 한국 유학을 영어권 유학의 차선책으로 인식하였다. 위상이 낮은 C대학의 경우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평가를 하기에 중국에서 대학 입시에 실패하거나 전문대를 다니는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손쉬운 대학 진학과 학위취득이 가능한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업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유입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글은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으로서 중국인 유학생 유치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의 역동적인 관계를 함께 연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 universities` globalization strategies are articulated with Chinese students` choices of study in Korea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of hierarchical global higher education and uneven flows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 compare the dynamics of recruiting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in Seoul and C university in a provincial city, each of which occupies a different location in the hierarchy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 university recruits Chinese students to promote its own global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university evaluation, while C university actively recruits them motivated by financial gain. Because both universities admit Chinese students easily without many requests, Chinese students can choose study in Korea as an easy option, if economically feasibl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relation to teaching, evaluating and managing Chinese students, these issues are not publicized. Chinese students come to study in Korea in order to learn Korean and get a bachelor`s degree. Chines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however, give study in Korea different meanings.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feel pride in the brand value of B university, even while they lack the confidence of academic capacity. They also perceive study in Korea as a second best choice because it has less relative brandname value than do institutions of stud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cause C university with its relatively low-rated reputation actively recruits Chinese students and adopt a stopgap measure for evaluation, Chinese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university or else entered a third-tier or junior college in China, perceive study in Korea as an easy second chance to get into college and get a bachelor`s degree. This study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노동집약적 한국기업의 초국경적 활동: 경제적 합리성, 정치경제적 조건, 문화적 논리의 상호작용

        장세길 ( Se Gil Ja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1

        이 논문은 노동집약적 한국기업의 사례를 통해, 기업의 초국경적 활동이 경제적 합리성만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정치경제적 조건과 문화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정치과정으로 이해돼야 한다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노동집약적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은 저렴한 생산기지로 이동해 국제경쟁력을 회복하려는 경제적 합리성, 양국의 정치경제적 현실 및 경제발전전략 그리고 ``차이나드림``이라는 중국진출에 대한``한국``기업인의 문화적 해석이 상호작용한 결과였다. 또한, 한국기업인들은 중국진출 이후의 위상변화에 대해 경제논리로 설명하면서도 한편으로 한국인이 중국인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그런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중국의 상황변화에 따라 위기에 처한 한국기업의 대응 역시 단순히 경제적 합리성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문화가 한국기업의 실천을 결정하는 것도 아니었으며, 국제적인 정치경제 및 권력관계를 통해서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것도 무리가 있었다. 즉, ``한국``기업(인)의 정치경제적 현실, 수출 위주 중소기업의 경제적 합리성 그리고 한국 우위의 한중계서구조라는 한국인의 문화적 배경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한국기업인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위기를 해석하고, 대응했다. This paper argues that transborder companies`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by economic rationality, but also by the political process wher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mutually interact.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labor-intensive companies in Qingdao, China, this paper observed 1) how the companies advanced into China, 2)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3) how they interpreted and dealt with the economic crisis. Korean labor-intensive companies` inroads into China resulted from mutual interaction of economic rationality for cheap labor, political economic aspects of Korea and China, and "Korean" enterprisers` cultural interpretation on their moving into China. This tendency was also observed after Korean companies settled in China. In Qingdao, Korean enterprisers usually seemed to come true their "Chinese Dream" with making good profits and elevating their social status. While considering the economic rationality as well, many Korean enterprisers said that their success could be carried out because Koreans were superior to Chinese in business.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Korean labor-intensive companies did not respond to the economic crisis only in terms of economic rationality. It did not also mean that they exclusively relied on cultural factors to come over their difficulties. International and political economic power relations could not fully explain the Korean companies` experiences in China either. Hence, Korean enterprisers` responses to the economic crisis in China should be analyzed with understanding of mutual interaction among the political economic reality where "Korean" enterprisers were put it, the economic rationality of the small businesses focusing on export, and the cultural background shared among "Korean people."

      • KCI등재

        강신표의 한국문화 이해와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

        송도영 ( Song Doyo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3 韓國文化人類學 Vol.56 No.1

        강신표는 1970년대 초중반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한국의 문화구조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이 주제를 평생의 과제로 삼아왔다. 그의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한국의 탈식민을 지향하고 주체적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했던 동시대 학계 일부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그는 일찍부터 레비 스트로스의 구조주의에서 영향을 받아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를 사고구조의 문화적 문법 차원에서 밝히고자 했다. 그가 정리한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는 중국의 고전철학에 담긴 언어 전개방식이라고 해석된 ‘음양(陰陽)의 논리(論理)’로 설명되었다. 강신표는 이 음양의 논리를 좀 더 발전시켜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이라는 형태로 정리했고, 부연설명으로 급수성(級數性), 집단성(集團性), 연극의례성(演劇儀禮性) 세 가지를 언급했다.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과 그것을 부연하는 세 가지 개념들은 한국의 문화를 설명하기 위한 토착적 이론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그 논리적 구조상의 타당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특수 지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범주 인식과 규정에 있어서도 논란의 소지가 많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한국 인류학계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토론이 없었다는 것, 그리고 강신표가 평생 제시한 이론적 틀이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국문화의 구조적 논리를 독자적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강신표와 같은 학자들의 학문의 탈식민화를 위해 기울인 노력들이 갖는 의미는 오늘날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론적 논쟁이 거의 부재하다시피 한 한국 인류학계는 학문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깊은 반성과 함께 새로운 고민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Kang Shin-pyo started his study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nce the 1970s.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became the main theme of study during most of his academic life. For Kang, the essential objective of cultural studies should be the inquiry to discover the ‘cultural map’ of societies, according to Claude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Kang mainly explains the cultural logic (map)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employing the concept of Yin-Yang as the basis of his theory of Dae-dae-mun-wha-mun-bop. Kang suggested that three mai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logic are hierarchicalism, collectivism, and theatrical ritualism. I argue that the logic and language of Kang’s interpretations of the cultural logic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ve several serious defects. Confusion around the boundary of object cultures and the irregularity of logics are typical ones. Nevertheless, Kang Shin-pyo was a sincere academic of Korea’s post-colonial epoch who strove passionately to develop a kind of ‘indigenous academic knowledge’ which ensures a place for indigenous society (Korean society, in his case) in the discovery, interpretation, and benefits from decision making about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Korean anthropological society, still lacking sufficient diligence for theoretical debates, should learn the lessons from his legacy.

      • KCI등재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소장품에 반영된 한국 문화: 표상화의 문제

        최협 ( Hyup Choi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8 韓國文化人類學 Vol.41 No.2

        인류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자연사박물관에는 방대한 양의 민족학적 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논문은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유물과 한국 문화관련 전시를 인류학에서 쟁점화 되고 있는 타문화의 표상화 문제와 연계시켜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나도와 크네즈 수집품, 그리고 2007년 선을 보인 한국실의 전시 형태의 분석을 통하여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한국 유물과 전시가 어떻게 미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더 나아가 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19세기 말 한국의 이미지는 서양과의 접촉이 없어 때 묻지 않은 동양 유물이 감추어져 있는 `은자의 나라`였다. 1970년대에는 서구에서 시작된 산업화의 확산에 따른 `근대화`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field)으로 바뀌었다가, 2007년의 전시에서는 `오랜 역사`와 `냉전의 보루`라는 복합적인 이미지가 부각되는 변화를 보여 주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한국 유물은 분명 한국 문화의 구성요소임이 분명하지만, 일단 그것이 미국의 자연사박물관으로 옮겨져 온 이후에는 이제 미국이라는 새로운 사회, 새로운 문화, 새로운 역사적 맥락 안에서 의미와 위치를 부여받게 된다. 즉, 박물관에서의 수집과 전시는 이러한 탈맥락화와 새로운 의미 부여의 과정을 거치며 타문화의 재구성과 재발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국 자연사박물관에서 그동안 유물의 수집과 전시를 통해 표상화한 한국 문화 역시 시대와 이론적 관점, 그리고 관여한 당사자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이 이를 확인해 준다. 확실히 박물관의 유물 수집과 전시는 의미의 재구성, 탈맥락화, 그리고 문화의 재발명 과정을 수반하며, 따라서 우리는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의 한국 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국 문화 그 자체보다는 차라리 미국적인 관점과 가치, 그리고 미국인의 인식 체계와 세계관에 대하여 이해하게 된다. 인류학자 에임스는 바로 이러한 연구가 문화 접촉과 문화적 지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박물관인류학분야의 핵심 주제의 하나임을 지적한 바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n ethnological collections and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o illustrate the current issues of cultural representation that surround museum collections and exhibition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mithsonian`s natural history museum is that the museum not only has a large number of Korean ethnological collections but also it just opened a new permanent exhibition of Korean culture. Two Korean collections, the Bernadou and Knez collections, were examin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exhibition at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close analysis, the Korea collections and the exhibition reflected American perceptions on Korea at respectively different times.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distant `other`, Korea was perceived as a fertile ground for securing many exotic artefacts. Unlike China and Japan which were considered to be much more contaminated by the western influence, Korea was viewed as a virgin country which still possessed the exotic, authentic and traditional culture intact. Bernadou collected artifacts believing that they would reveal a far different culture from that of the west. In 1950, Korea became well known to Americans because of the Korean War. America took a part in the war with a noble cause of protecting the free world of capitalism by stopping the spread of communism. Coming through such experiences, `Korea` was reinvented as a Cold War bastion of belligerent polarities between two powerful world views. This is the reason why many Americans still remember Korea in relation to the Cold War context. However, entering into the 1960s, Korea launched an ambitious economic development plan, transforming her economy and society. Knez` collection was made within this framework of history. During the 1960s and 70s, modernization theory was prevailing in the American intellectual circles, and Knez collected artifacts to show this changing aspects of Korean culture. Althoug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hermit nation to a modernizing country, the fact that Korea is the only one country left that is still divided is the reason why the image of Korea as the Cold War bastion resists all attempts to change it. It is evident that this persisting image of Korea still lingers in the minds of Americans when they view the exhibition at the Smithsonian Museum.

      • KCI등재

        한국 유학 선택과정과 초국적 연결망: 한국 지방 대학으로의 유학생 이동을 중심으로

        김도혜,최희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3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its ‘Study Korea Project’ in 2005 to pull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institutions.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udents from post–socialist countries in Asia including Vietnam, Mongolia, Kazakhstan, and Kyrgyzstan have tendency to choose to study in provicial universiti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A and B provincial universities where these students are relatively concentrated, we aim to show why and how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particular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to recruit international students, the social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ome countries have been combined to create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Previous studies on the process of making student mobility to English speaking countries viewed the choice procedure of study abroad as three— phase process—ⓛ decision to study abroad, ② decision on the country of destination, ③ decision on the particular institu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ways in which student mobility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has been created and strengthene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hree–phase model of study aborad choice procedure does not fully explain the student mobility to South Korea.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aken–for–granted important factors such as the ranking system within South Korea, reputation of a university, the quality of program, and the location of a university are not crucial in the choice of institutions for study abroad, in the case of students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Instead, we argue that the transnational network which Korean universities and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have made spur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한국 정부가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시작한 이래로 유학생 인구는 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그 규모를 확장해 가고 있는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구 공산권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미국, 지방 대학을 많이 선택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 지방 대학을 선택한 특정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개별 대학이 선택되는 이유와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 전체 유학생 통계에 비해 이들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현저히 많은 지방 대학 두 곳을 선택하여 유학생 본국의 사회경제적 맥락, 한국 대학의 유학생 유치 전략,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결합하여 특정 국가에서 특정 대학으로 대량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지 살핀다. 영미권 서구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는 유학 결정 과정이 주로 ⓛ 유학 결정, ② 유학 국가 선택, ③ 학교선택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에서 한국 지방 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계적 접근이 한국의 경우 유용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 출신 유학생의 경우 한국 대학의 위계 구조나 대학의 명성, 프로그램의 질, 서울(글로벌 대도시) 소재 여부 등 대학 선택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들이 결정적인 선택 계기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한국 대학과 유학생 주체가 형성한 ‘초국적 연결망’이 특정 대학으로의 유입을 추동하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밝혀 한국으로의 국제 학생 이동성이 가진 특징을 살핀다.

      • KCI등재

        가짜 유학생 담론과 한국 대학 학위의 가치: 몽골 출신 유학생의 졸업 후 삶을 통해 본 한국 유학 산업의 딜레마

        김도혜 ( Kim Dohy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4 韓國文化人類學 Vol.57 No.1

        이 글은 한국 대학을 졸업한 몽골 유학생의 졸업 이후 삶에 관한 연구로, 한국에서 유학한 자들 가운데 공부를 하지 않고 돈을 벌다 온 ‘가짜’ 유학생이 있다는 담론이 몽골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 현지에서 한국 대학 학위가 어떻게 평가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몽골에서 진행된 현장연구를 토대로 돈을 벌어 온 학생이주자가 있다는 몽골 사회의 혐의가 한국 대학과 연계된 현지 유학원의 ‘돈 벌면서 학위도 딸 수 있다.’ 는 홍보 전략이 한국 내 몽골 이주 역사와 교차하면서 만들어졌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한국 대학이 유학원을 통해 유학생을 모집하려 노력하면 할수록 현지에서 한국 대학 학위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밝힌다. 이러한 문제점이 신흥 유학 목적지로서 한국 대학이 위치를 잡는 과정에서 벌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 유학이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위험을 졸업생이 감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가짜 유학생이 아님을 증명하고 평가절하된 한국 대학 학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졸업생들이 현지에서 벌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천을 살펴 오늘날 한국을 비롯한 신흥 유학목적지에서의 유학 결과물이 어떤 방식으로 졸업생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지 드러내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explicate the after-study lives of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who graduated from Korean universities and returned home, in order to reveal how the value of a Korean diploma is evaluated in Mongolia. This explication involves analyzing how the members of Mongolian society claim there are bogus students among the alumni.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in Korea and Mongolia, I discovered that the suspicion over the Mongolian alumni at home has been shaped by the advertising slogan that the educational brokers takes, such as ‘You can make money while studying in Korea’, which intersects with the long history of Mongolian labor migration to Korea. I argue that the extent of Korean universities’ efforts to attract Mongolian students through the brokers will have repercussions of lowering the value of a Korean diploma in Mongolia. Emphasizing the intrinsic dilemma embedded in the way of advertizing Korea as an emerging Asian hub for study abroad, this study enables me to unpack how alumni deal with risks resulting from the commodification of study abroad. Furthermore, charting the ways in which alumni perform to heighten the value of a Korean diploma at home, this article provides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of study abroad which influence the alumna’s lives and community practices for social recogni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디아스포라와 민족교육의 신화; 한국의 중국인 디아스포라 교육실천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정은주 ( Eun Ju Ch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본 연구는 근대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국민을 형성하고 결속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논의되어 온 국민교육 혹은 민족교육이, 디아스포라 상황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상상되고 전개되는지를 현대 한국의 중국인 디아스포라 인구가 행해 온 유례없이 집중적인 민족교육 실천을 통해 점검하고자 한 민족지적 사례 연구이다. 한국 화교는 이민 3~4세대 사회로서는 이례적으로 대다수가 여전히 정착지인 한국의 국적이 아닌 대만의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대다수의 화교 아이들이 정규 중국인 학교에 다니고 있다. 이는 종래 민족교육과 국민 형성 간 인과관계를 확신하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듯하지만, 필자는 한화를 둘러싼 독특한 역사적·사회적 맥락과 사회정치적 변화가 법적·혈연적·문화적 연대와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민족교육이라는 원래의 기획이 달리 수용되고 디아스포라 상황에서 새롭게 전략화되며 한화를 특징짓는 영역이 됨을 분석하였다. 현재 한화가 민족학교를 선택하는 것은 전적으로 교육적인 이유나 과거 1~2세대와 같이 중국에 대한 문화적 혹은 정치적 소속감에서 발원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화교학교를 선택함으로써 한화는 법적 중국인으로 살아가야 하지만, 문화적 중국인이 되도록 학습되지는 못한다. 중국어와 중국인 교육이라는 교육목표가 좌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민족교육에 대한 압도적인 선택은, 국가 정체성이 역사적으로 타 지역 화교들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었던 한화에게 소수자로서의 생존의 보루를 마련한다는 의미로 혹은 대학졸업장이 중요한 가치재인 한국 사회에서의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전략화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sumptions which come into play in studi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te-sponsored mass education and its nation-making functions through an ethnographic study of diasporic Chinese practices of ethnic education in contemporary Korea. The Chinese diaspora in Korea, or Korean Huaqiaos are notable in their practices of keeping" Chinese"legal and educational identities; they continue to retain Chinese (Taiwanese) nationality despite their over one hundred years of settlement in Korea, and most of them, although mainlandoriginated, opt for full-time Chinese ethnic schooling with exclusively Taiwaneseadministered curriculum and support. These phenomena can be easily represented as to championing the previous discussions arguing for the nation-making role of ethnic education. I maintain that, however, by focusing on the historical particularity in which Korean Huaqiaos have been interpol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n the international sociopolitical dynamics that surround them, the originally hypothesized nationalist educational agenda is differently accommodated, and Korean Huaqiaos` ethnic schooling has been developed in a pattern that represents the strategizing of a diasporan minority. I also argue that the schooling strategy turned out to be less than strategic, but rather making itself essential in characterizing their group identity. The Korean Huaqiaos` choice of ethnic education cannot be considered as reasoned entirely out of educational considerations, nor as based exclusively upon ethnic or national affinity with Chinese culture or nationhood. Huaqiao kids are schooled to live as Chinese nationals in Korea, but could not properly learn to be Chinese. The persistence of opting for ethnic schooling by Korean Huaqiaos even when they aware of the school`s failure to attain its raison d`etre, continues since it provides a minority group in Korea with an ethnic bastion as well as a cultur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where the brand-name of the college is greatly appreci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